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댄스스포츠 전문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지수,장덕선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on exercise commitment among dance athletes. The study involved 218 professional dance sports play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A number of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exercise commitment based on a demographic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titive state anxiety based on gender (both male and female). Both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exercise commitment varied among age groups (over 30s, under 30s), affiliated groups (professionals, amateurs), and exercise experience level (more than 10 years, less than 10 year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nly noted in exercise commitment for each event (Latin, Standard). Based on an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exercise commitment, among the cogn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and confidence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in the case of confidence, physical activity commit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sports commitment, sports enjoyment, personal investments, and social constraints. Competition state anxiety was the second most significant effect for social constraint.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전문선수들을 대상으로 경쟁상태불안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은 댄스스포츠 전문선수들 218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통계학적으로 경쟁상태불안과 운동몰입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 경쟁상태불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연령별(30대 이상, 30대 미만)ㆍ소속별(프로선수, 아마추어선수)ㆍ운동경력별(10년 이상, 10년 미만)로는 경쟁상태불안과 운동몰입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다, 참여종목별(라틴, 스탠다드)로는 운동몰입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경쟁상태불안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경쟁상태불안의 인지불안, 신체불안, 자신감 가운데 자신감이 운동몰입의 스포츠공약, 스포츠 즐거움, 개인투자, 사회적 제약조건, 참여기회 등 각각의 요인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제약조건에만 경쟁상태불안 중 신체불안이 두 번째 영향을 보였다.
유형에 따른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
박지수,최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2
목적 : 본 연구는 두 가지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이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 기 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발병 6개월 이내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와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하루 20분간, 주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울프운동기능평가(Wolf Motor Function Test;WMFT), Fugl-Meyer Assessment (FMA)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 용하였다. 결과 : 1) 4주간의 중재 후, 상상 훈련 결합된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에서 FMA와 WMFT의 통 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MBI 평가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개인활동 항목에 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2)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를 받은 집단의 경우FMA의 손목 움직 임 항목과 WMFT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또한 MBI 전체 점수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은 없었지 만 개인활동 항목에서만 통계학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두 유형의 근전도 유발 신경근 전기자극치료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회복과 일상생활활동에 효과적인 치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포스터 18 : 혈액형 검사에서의 Rh 음성 환자와 Weak-D 환자의 빈도
박지수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5 임상수혈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5 No.-
배경(Background): Rh 혈액형군에 속해 있는 항원은 D, C, c, E, e 등을 포함하여 49개나 되지만 이중에서 면역원성이 강하고 임상적으로 중요한 항원이 D항원이다. 수혈전 검사 필수항목이며 신생아 용혈성 질환등의 판별에 중요한 검사이기에 본원 에서는Rh D 혈액형 검사중음성환자와 Weak-D 형 환자 빈도를 알아 보았다. 방법(Methods): 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8월 31까지의 본원에 의뢰된 Rh D 혈액형 검사를 대상으로 Rh D 음성과 Weak-D 형의 통계를 비교 분석 하였다. Rh D 혈액형 검사는 적혈구 자성화검사 (EMT)를 이용하는 QWALYS2up 장비를 사용하였고, 음성이 나온 환자는 Weak-D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Results): 총 의뢰건 수 66904 건 중 Rh D 음성 결과로 판독 된 수는 292 건으로 약0.43 % 였다 이 중 Weak-D 검사에서 양성을 보인 경우는 19건 으로 약 0.03 %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고찰(Discussion): Rh D 항원은 면역원성이 매우 강해 D 음성인 사람이 수혈 또는 임신에 의해 Rh D 양성 적혈구에 노출되면 높은 확률로 Anti -D 동종항체를 생성한다. 항체 역가가 오랫동안 지속 되기 때문에 신생아 용혈성 질환 또는 용혈성 수혈 부작용을 유발 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며, Rh D 음성일 경우에 반드시 Weak D 검사를 실시하여 수혈전 오류를 방지하여야 하겠다.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역할
박지수,서영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애착회피, 애착불안)과 사회관계망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사용하고, 국내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은 수집한 자료에 적합하였고, SNS중독경향성 변량의 약 4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인애착(회피, 불안)과 기본 심리욕구 만족에서 SNS중독경향성에 이르는 직접 경로를 제외한 모든 가설적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경로의 경우, FOMO는 성인애착(애착회피, 애착불안)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불안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FOMO가 매개한 간접 경로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애착회피와 FOMO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욕구 만족의 억제효과가 시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ear of missing out (FOM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i.e., anxiety, avoidance)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ddiction proneness. A total of 322 undergraduate SNS users participa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final model had a good fit and explained 43% of the variance i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All hypothesized direct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those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the SNS addiction proneness. FOMO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the SNS addiction proneness. The link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ully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OMO.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suppresso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FOMO.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on SNS addiction proneness are discussed.
박지수,길준민,Park, Ji Su,Gil, Joon-M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Vol.9 No.11
에듀테크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된 단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는 4차 산업혁명의 빅데이터(Bigdata), 인공지능(AI), 로봇,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차세대 교육을 의미한다. ICT에서의 교육은 온라인 강의로 이러닝(e-Learning)이 사용되고 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교육에 대한 수유가 급증함에 따라 이러닝과 함께 에듀테크가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배지서비스 플랫폼, 시뮬레이션 기반 협동형 이러닝 시스템, 동영상 영어사전, 그리고 블록체인 기반의 접근제어 감사시스템에 대한 심사 완료된 논문들을 분석한다. Edutech is a compound word of education and technology, and is an educational paradig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refers to next-generation education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s, and virtual reality (VR)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Learning is being used as an online lecture for education in ICT, but edutech is attracting attention along with e-learning as the feeding of non-face-to-face education has rapidly increased due to COVID-19.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the reviewed papers on the blockchain-based badge service platform, simulation-based collaborative e-Learning system, video English dictionary, and blockchain-based access control audit system.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지수,황순영 국립특수교육원 2019 특수교육연구 Vol.26 No.1
The special education class is a limited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on teaching efficacy of novice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nd to propose a foundation for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For this study, thre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vited to perform micro-teaching and receive six consulting sessions from consultants. As a result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eaching efficacy of novice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t secondary school. Th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alyzed and evaluated the recorded videos of their own class and evaluate themselves as a teacher. This w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each teaching situation and to improve it. In particular, in the instructional group consultation of this study,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shared the problems of trial and error of each instruction, so that they were mentored and experienced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improved the teaching efficac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t secondary school. In conclusion,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provided consulting advice, interac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self reflection opportunities for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the restricted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This study helped to implement more structured class and improved teaching efficacy. 대부분의 일반학교에는 한 명의 특수교사만 근무하기에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이 구조적으로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제안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컨설티로 선정된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들은 교수·학습과정안을 바탕으로 압축수업을 실시하고 컨설턴트에게 그룹컨설팅을 받았다. 이를 통해 수업컨설팅 전·후의 교수효능감 검사, 반성적 저널, 면담, 수업컨설팅의 내용을 분석하여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들의 교수효능감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특수학급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근무하는 초임 중등특수교사에게 컨설턴트의 조언, 동료교사와의 상호작용, 자기반성적 성찰의 시간을 통해 보다 구조화 된 수업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에게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의 기회를 제공하여 긍정적인 교수효능감을 형성하고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연구
박지수,최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4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신경근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마비 측 상지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K의료원에 외래 치료 중인 4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무 작위 대조 실험을 하였다. 두 집단은 전통적 재활치료와 함께 실험군은 상상 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 합된 치료를, 대조군은 일반적인 전기자극치료를 회당 30분간, 주 5회, 6주간 실시하였다. 상지기능평가로 Fugl-Meyer Assessment (FMA)와 Manual Function Test (MFT)를 사용 하였으며 일상생활활동 평가로 수정바 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사용하여 중재 전·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1) 6주간의 중재 후 실험군의 FMA, MFT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1). 2) 실 험군의 MBI 점수의 비교 결과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개인위생과 옷 입기 항목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반면 대조군의 경우 약간의 점수 향상은 있었지만 모든 평가에서 통계학적 유의 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상훈련과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의 결합된 치료가 기능적 전기자극치료 에 비해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일상생활 활동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박지수,김정룡 대한인간공학회 2008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본 연구는 현장근로자의 자세변화에 따른 어깨근육 피로도 예측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30 대 남녀 실험참가자 11 명을 대상으로 앉은 작업자세에서 어깨의 각도가 모음(adduction) 30°, 벌림(abduction) 30°, 중립(neutral) 일 때와 굽힘 각도가 60°, 90°, 120° 일 때, 30% MVC 를 1 분간 유지하도록 한 후, 주파수 천이에 따른 근육피로도의 정량적 측정을 위해 근전도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작업자세를 측정하기 위하여 어깨의 굽힘(flexion)과 모음/벌림(add/abduction) 그리고 어깨의 바깥쪽과 안쪽 돌림(lateral and medial rotation) 동작을 사용하였고, 위쪽/아래쪽 등세모근(upper and trapezius), 앞쪽/뒤쪽 어깨세모근 (anterior and posterior deltoid), 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가시아래근 (infrasupinatus) 그리고 어깨올림근(levator scapulae)을 선택하였다. 자세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 천이값을 이용하여 예측식을 추출하였다. 근육피로도 예측식은 자세에 따른 피로도 변화의 경향을 고려하여 선형회귀와 비선형회귀 분석을 사용하였고, 비선형회귀식 중에서 2 차식의 R2 값이 선형회귀식이나 3 차식의 R2 값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고, R2 값이 0.9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어깨근육 피로도 예측모델은 어깨의 모든 자세를 고려하여, 실제 ROM(range of motion)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현장적용성을 높였다고 할 수 있으며, 어깨를 주로 사용하는 현장에서 근골격계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위험자세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ture Trends of IoT, 5G Mobile Networks, and AI: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Solutions
박지수,박종혁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6 No.4
Internet of Things (IoT) is a growing technology alo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Recently, increasing cases of developing knowledge services u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sensor data have been reported. Communication is required to connect the IoT and AI, and 5G mobile networks have been widelyspread recently. IoT, AI services, and 5G mobile networks can be configured and used as sensormobile edgeserver. The sensor does not send data directly to the server. Instead, the sensor sends data to the mobile edge for quick processing. Subsequently, mobile edge enables the immediate processing of data based on AItechnology or by sending data to the server for processing. 5G mobile network technology is used for this data transmiss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solutions used in each type oftechnology. To this end, this study addresses clustering, Hyperledger Fabric, data, security, machine vis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oT technology, and resource management of 5G mobile net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