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정부 유학생 교육정책의 계보와 과제

        김성은,이교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부의 유학생 유치 및 관리를 위한 교육정책의 변화를 계보학적으로 성찰함으로써 유학생교육정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1967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 정부 유학생 교육정책의 배경과내용이 무엇이며, 그 시행결과는 어떠하였는지 분석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주요문헌은 교육부 유학생 정책보고서, 교육통계, 언론 기사 등이다. 연구결과, 한국 정부의 유학생 교육정책은 한국의위상을 높이기 위한 외교정책, 무역수지 개선을 위한 경제 논리, 우수 유학생 유치를 위한 정책에 따라 변화하였음을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정부의 정책이 유학생 유치확대와 관리 강화 사이에서 딜레마를 겪어왔으며, 유학생 정책의시기별 변화가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율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한국 정부의 유학생교육정책이 더 많은 유학생을 유치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고등교육 국제화의 일환으로서 외국인 유학생에게 높은수준의 유학경험과 교육자본 축적의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s to advance education policies to recruit and manage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genealogical research on the changes in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It traces the changes in backgrounds, contents, and outcomes of the government’s polic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since 1967 based on archival research on news media, government policy reports, and relevant official statistics. This article reveals that the polic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have been transformed based on the changes in policy rationales — from diplomatic reason to raise Korea’s global status to economic reason for trade balance and for recruiting elite students. Furthermore, the changes in education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not only shape the shift in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but also university policies to manage international students. Eventually, this article claim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map out its policies on international students by situating them within the concept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의무교육의 측면에서 본 국외유학에 관한 법적 규제와 정비 방안

        이종근(Lee, Jong Geu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3 No.3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規程)」은 의무교육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무분별한 조기유학을 방지하고자 1979년에 대통령령으로 제정된 최초의 국외유학 관련 법령인바, 동 규정상의 자비국외유학 부분에 대해서는 제정 당시부터 법의 실효성이 없어 폐지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 제5조가 자비유학의 자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으나 많은 의무교육 단계에 있는 초·중학생들이 동 규정 제5조가 정하는 자격요건을 갖추지 않고도 아무런 법적인 제재를 받지 않고 조기유학을 다녀오는 것이 현실이고, 최근에는 조기유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외유학과 관련한 기존의 규제적 법령은 전반적으로 정비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헌법 제31조 제2항과 「교육기본법」 제8조는 그 보호하는 자녀에게 의무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조기유학이나 자비국외유학의 경우에 의무교육의 대상자가 외국의 교육기관에서 6개월 이상의 기간에 걸쳐서 수학하고 돌아오는 경우, 그 외국에서의 수학행위가 「교육기본법」 제8조가 말하는 ‘6년의 초등교육’ 또는 ‘3년의 중등교육’에 해당하는가 하는 점이다.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 제5조가 자비국외 유학의 자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규제하는 이유가 바로 자비국외유학을 통하여 의무교육의 수학의무를 면탈할 우려가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지고 노동시장이 점차 글로벌화 되면서 해외 파견이나 해외 취업이 증가함에 따라 의무교육 대상의 자녀를 동반한 해외 체류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로 인하여 기존의 국외유학과 관련한 법령의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6.10.28. 국무조정실 ‘규제개혁위원회’에서는 글로벌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라는 이유로 자비유학 자격의 폐지가 최종 결정됨으로써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 제5조는 규제의 일몰기간(2020.01.01.~2022.12.31.) 내에 관련 조항들의 체계적인 정비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국외유학에 관한 규정」은 「교육기본법」 제29조 제3항을 그 기초로 하고 있는바, 헌법,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아동복지법 등 관련 법령과의 상충 여지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비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국외유학에 관한 이론적 배경, 의무교육과 국외자비유학에 관한 법제도적 현황, 그리고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의 자비유학 내지 의무교육관련 규정의 비교법적 검토, 국외유학에 규정의 정비방안의 제시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The 「executive order concerning studying overseas」 issued in 1979 is an ordinance to prevent indiscreet “studying abroad at an early age” and to guarantee effectiveness of compulsory education system. From the beginning, the claim that the presidential order should be abolished has been raised on the ground of invalidness. Although Article 5 of the executive order regulates eligibility strictly to a studying abroad, many unqualified persons have studied abroad without permission of educational authorities according to Article 5. It"s high time to improve regulatory legislation by and large concerning studying overseas in lockstep with the latest positive awareness of studying abroad at an early age. Article 32(2)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provides that all citizens who have children to support shall be responsible at least for their elementary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 as provided by act. For the detailed realization of constitutional ideology, Article 8(1)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stipulates that compulsory education shall be elementary education for six years and secondary education for three years, and Article 8(2) prescribes that every citizen shall have a right to receive the compulsory education referred to in paragraph (1). In case of studying abroad at an early age, there is a central question of whether we can equate the "studying abroad" with "elementary education for six years" or "secondary education for three years" corresponding to compulsory education in Korea. We need to search for answer to this question to secure value for constitutional ideas with regard to compulsory education. My main point in this article is that reorganization plan concerning Article 5 of the 「executive order concerning studying overseas」should be prepared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conflict between Constitution, 「framework act on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child welfare 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present situations related laws, comparative legal approach concerning studying abroad, and proffers an alternative to a preparation plan for the「executive order concerning studying overseas」.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예비유아교사의 한국 대학 유아교육과에서 유학경험과 그 교육적 의미 탐색

        한민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A대학 유아교육과에 유학 중인 중국 조선족 예비교유아사가 국내 교원양성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를 알아보고, 유학경험의 총체적 의미 및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국내 교원양성과정에서 유학 중인 예비교사의 발전을 위한 교사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질적 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조선족 예비교사 김봄날 예비교사는 유학 초기에는 문화적 갈등, 인간관계에서의 소외감, 자신의 능력에 대한 좌절감 등을 경험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과 교수들이 유학생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배려해 주고, 유학생의 능력을 인정하고 발휘할 기회를 주는 것이 유학생의 겪고 있는 심리적 갈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임파워먼트를 제공하였다. 이와 더불어 김봄날 예비교사가유학에서의 경험들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행동으로 실천해 감으로써, 유학의 경험은 많은 도전적인 상황과 배움의 환경을 조성해 주었고, 또한 사회와 자기 자신을 객관적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리하여 김봄날은 조선족 그리고 유학생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의 내면과 맥락을 이해할 수 있는 시야가 생겼을 뿐 만 아니라, 유학생활이 유아교사로서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매개물이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국내 교원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유학생의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의 한국유학 경험에 관한 연구 - 외국인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김현주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4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5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 상황 속에서의 한국유학 생활을 경험한 외국인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이들의 유학 경험에 대한 인식 및 탐색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교육 상황 속에서 외국인 학부 유학생에 맞는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비대면 교육 상황 속에서의 한국유학 생활을 경험한 외국인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대면 교육 상황과 대면 교육 상황을 모두 경험한 8명의 외국인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교육 상황 속에서의 한국 유학 경험에 대한 의견을 듣고, 이와 비교하여 현재 대면 교육 상황 속에서의 한국 유학 생활에 대해 이들이 느끼는 바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하여 처음 접한 비대면 교육 상황은 혼란스럽고 힘든 유학 생활이었다. 새로운 교육 방식과 어려운 전공과 교양 과목 내용, 대인 관계 부재로 인하여 유학생활의 어려움 컸다. 둘째, 비대면 교육 상황이 길어지면서 쉽지는 않았지만 힘겹게 적응가는 상황에 직면하였다고 하였다. 셋째, 코로나19 상황이 회복되면서 대면 교육이 실시되면서 새로운 환경에 또 다시 적응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또한 전면적인 대면 수업 방식보다는 과목 특성에 따라서 온라인 동영상 수업이나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면 좋겠다는 의견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 상황이 끝난 시점에서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의 유학 생활에 대해 3년 혹은 4년 간의 경험을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맞이하게 될 새로운 교육 환경에 맞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이나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targeting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tudying abroad in Korea in a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and to study their perceptions and exploration of their study abroad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we seek to find a direction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new educational situation in the post-corona era.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d studying abroad in Korea in a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We listened to the opinions of eight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s about their experiences studying abroad in Korea in a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and compared them to their experiences studying abroad in Korea in the current 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I heard their opinions about what they felt about it.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the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I encountered for the first time due to COVID-19 was a confusing and difficult study abroad experience. Studying abroad was very difficult due to the new teaching method, difficult major and liberal arts content, and lack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as the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prolonged, it was not easy, but it was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adapt. Third, as the COVID-19 situation recovered and face-to-face education was implemented, we had to adapt to a new environment again.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better to use online video classes or online systems depending on the subject characteristics rather than full-scale 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derived results based on three or four years of experience studying abroad in a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at the end of the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r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we will face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한제국기 성균관의 고등교육기관화를 둘러싼 담론

        김종준(Jongju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6 역사문화연구 Vol.57 No.-

        본고는 대한제국기 성균관의 고등교육기관화를 둘러싼 담론을 살펴 보았다.대한제국기라 함은 1897년부터 1910년까지를 말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이발견되는 것은 1899년 황성신문이 발간된 이후다. 이 시기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언론과 상소 등을 통해 성균관에 대한 기대를 표출하고 있었다. 보수 유생들이 성균관의 복권을 주장하고 있었던 데 반해 개신유학자층은 부국강병과 문명화의 관점에서 성균관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대한제국 정부는 겉으로 표방한 것과는 달리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았다. 1904년 들어 대한제국 정부의 힘이 약화되고, 통감부라는 새로운 정치 권력이 등장했다. 국가적 위기감 속에서 지식인들의 발화도 늘어났다. 그런가운데 통감부는 기본적으로 성균관에 대해 방관자적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국가주의의 확장 속에서 성균관에 대한 기대감은 커져갔고, 통감부도 나름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의 변화 속에서 각 세력의 입장이 복잡하게얽혀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본고는 성균관을 둘러싼 담론에서 두 가지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 1904년을기점으로 성균관 담론이 변화한다는 점이다. 1904년 이전까지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전통 유학에 기반하여 고등교육기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개신유학자층은 신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국민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1904년 이후에도 보수 유생 본고는 대한제국기 성균관의 고등교육기관화를 둘러싼 담론을 살펴 보았다.대한제국기라 함은 1897년부터 1910년까지를 말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이발견되는 것은 1899년 황성신문이 발간된 이후다. 이 시기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언론과 상소 등을 통해 성균관에 대한 기대를 표출하고 있었다. 보수 유생들이 성균관의 복권을 주장하고 있었던 데 반해 개신유학자층은 부국강병과 문명화의 관점에서 성균관을 바라보고 있었다. 하지만 대한제국 정부는 겉으로 표방한 것과는 달리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지는 않았다. 1904년 들어 대한제국 정부의 힘이 약화되고, 통감부라는 새로운 정치 권력이 등장했다. 국가적 위기감 속에서 지식인들의 발화도 늘어났다. 그런가운데 통감부는 기본적으로 성균관에 대해 방관자적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국가주의의 확장 속에서 성균관에 대한 기대감은 커져갔고, 통감부도 나름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성균관에 관한 담론의 변화 속에서 각 세력의 입장이 복잡하게얽혀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본고는 성균관을 둘러싼 담론에서 두 가지 특징을 발견했다. 첫째, 1904년을기점으로 성균관 담론이 변화한다는 점이다. 1904년 이전까지 보수 유생들과 개신유학자층은 전통 유학에 기반하여 고등교육기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개신유학자층은 신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국민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차이가 있다. 1904년 이후에도 보수 유생들은 여전히 전통적 유학 교육의 장으로서 성균관을 구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생들은 대한제국 정부의 학교 설립 조칙을 수용하며, 국가 간 경쟁에서 살아남기위해 고등교육기관이 필요하다는 분위기에 호응하였다. 국가주의적 교육관은 󰡔황성신문󰡕과 󰡔만세보󰡕 등의 신문과 각종 학회지에서 더욱 명료하게 전개되었다. 이들은 정부의 성균관 방치를 규탄하고, 성균관 구성원들의 각성을 촉구했다. 교육관 자체가 국가주의화 하는 속에서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들고자 하는 여론도 강렬하게 일어났던 것이다.둘째, 대한제국 정부와 통감부 모두 성균관 정책 입안을 정치적으로 접근했고,이는 당대 성균관에 관한 담론들과 일정하게 조응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대한제국 정부가 유생층을 포용하기 위해 유교를 종교화하겠다고 선언하고 성균관의 위상 제고 표방을 포기하지 않았던 것처럼 통감부도 기본적으로 유생층의 포섭이라는 정치적 목적 하에 성균관에 대한 정책을 수립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감부 설치 초기 교육 업무를 담당했던 시데하라는 순차적으로 성균관을 고등교육기관으로 만들겠다고 밝혔고 이는 이전 대한제국 정부의 정책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토 통감은 시데하라를 경질했고, 성균관 정책도 보류시켰다.그러다가 1907년 황태자의 성균관 방문, 1908년 순종의 성균관 방문을 계기로성균관학칙을 개정하여 학과 체계를 신식으로 정비하였다. 이는 실업 분야의 보통교육에 주력한다던 통감부 교육 정책에 위배되는 일이었다. 따라서 통감부 시기 성균관 정비는 교육 내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외부 정치적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scourse around Sungkyunkwan turninginto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during the Great Han Empireand found two characteristics. First, there were changes to the discourse of Sungkyunkwan around 1904, before which both conservativeand reformed Confucian scholars reached an agreement that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should be founded based on traditional Confucianism. Relatively speaking, reformed Confucian schola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new science and took an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education, in which they were different from their conservative counterparts. Even after 1904, conservative Confucianscholars still designed Sungkyunkwan as a place of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Confucian scholars, however, responded to the atmosphere of a need for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to react to the royal edict on school establishment from the government of Korean Empire and survive in the competition among the nations. The nationalistic view of education developed in an even clearer manner in newspapers such as Hwangseong Shinmun and Mansebo and all kinds of journals. They denounced the way the Government neglected Sungkyunkwan and urged the members of Sungkyunkwan to have an awakening. A strong public opinion emerged to make Sungkyunkwan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as the view of education itself was becoming nationalistic.Secondly, both the government of Korean Empire and Residency-General made a political approach toward the formulation of Sungkyunkwan policy, which corresponded to the Sungkyunkwan discourses of the times in some constant fashion. Just like the government of Korean Empire declared to turn Confucianism into a religion to embrace the Confucian scholars and never gave up its claim for the heightened status of Sungkyunkwan, Residency-General seems to have set policies for Sungkyunkwan basically under the political goal of embracing Confucian scholars. Being responsible for education affairs in theearly days of Residency-General, Shidehara announced a plan of turning Sungkyunkwan into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n a sequential manner. His plan did not stray off the old government policy of Korean Empire much. Residency-General Ito, however, replaced Shidehara and put the Sungkyunkwan policy on hold. After the CrownPrince's visit to Sungkyunkwan in 1907 and King Sunjong's visit toit in 1908, the its school regulations were revised with its subject system arranged in a new mode, which went against the educational policy of Residency-General that tried to focus on common education inthe field of business. It is thus natural that the arrangement of Sungkyunkwan should be interpreted to have followed the external political purposes rather than the internal perspective of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Residency-General. Som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and their reformed counterparts made a positive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Confucian educat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교육참여동기가 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a Yang,호선방,주성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inspire positive recommenda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preparing to study in Korea in the future through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education in the current study abroad life in Korea. Therefor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education is classified as major factors for positive recommend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s verified.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oretical basis was prepar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based on this,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were established. 30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4-year universities in Busan City and were finally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including demographic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were perform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Ver 26.0,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ability of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university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ing ability of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university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erefore, Hypothesis 1, Hypothesis 2, and Hypothesis 3 were all adopt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ttract foreign students, domestic universities should not have a tendency to be biased toward specific factors of participation in college education, and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inspire satisfaction of various factors in participation in college education. Second, it’s necessary to actively seek out solutions to inspire the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with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university education in various ways, such as improving the dormitory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deploying administrative staff in charg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developing programs to adapt to university life. Third, domestic universities should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university education that foreign students encounter in their university life.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의 유학생활에 대한 교육참여동기를 통해 향후 한국유학을 준비하고 있는 유학생들에게 긍정적 추천을 고취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교육참여동기를 긍정적 추천을 위한 주요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요인이 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 관계를 검증한다. 또한 교육참여동기의 차별성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300부의 유효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의 실증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Ver 26.0를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분석, 타당도와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교육참여동기의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수능력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교육참여동기의 교육내용, 교육환경, 교수능력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 가설 2, 가설 3은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의 결과가 갖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해 국내 대학들은 대학교육참여요인의 특정 요인에 편중되는 성향을 가져서는 안되며, 다양한 대학교육참여요인의 만족을 고취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국내대학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교육참여동기에 대한 만족을 고취시키기 위해 유학생 기숙사의 환경개선, 유학생 전담 행정직원 배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방면에서 유학생의 만족도를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내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이 대학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대학교육참여동기와 관련한 다양한 요인에도 지속적으로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내용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유학생 교양교육 연구

        심지영(Jiyoung S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내용중심 언어 교수법을 기반으로 한 유학생 교양수업의 전체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나아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 공유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행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모색된 것이다. 방법 유학생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 그리고 내용중심 언어교육의 필요성 확인을 위해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는 문헌연구법을 적용하였다. 이어서 서울 소재 4년제 A대학에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병존모델을 적용하여 ‘한국현대사의 이해’ 과목을 운영한 사례에 대해 케이스 스터디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학생 교육에 유효한 수업구성과 스캐폴딩 방식을 추출하였다. 결과 현행 유학생 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용중심 교수법을 단계별로 확대 적용하는 유학생 교양수업 모델을 마련하였다. 특히 그 중 병존수업 방식이 초기 단계 유학생들을 위한 대안적 수업 형태가 될 수 있음을 관련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론 유학생 대상의 교양교육은 내용교육과 함께 한국어 능력과 한국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내용중심 교수법을 단계별로 확대 적용하는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병존수업 방식은 본격적인 전공 수업에 진입하기 전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수업 방식으로 적합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whole model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ntent- based language instruc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furthermore, to present and share specific educational plans through actual cases. This was sought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Methods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and to confirm the necessity of the content-based language education. Subsequentl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class of ‘Understanding Korean Modern History’ which has been appling the adjunct model for years, and based on this, we extracted the effective class composition and scaffoldings for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Result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a foreign student liberal arts class model that applied the content-based instruction step by step.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rough related cases that the adjunct model can be an alternative class form for early-stage international students. Conclusions Libe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Korean language and the ability to adapt to Korean universities and complete their studies along with content education.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model that applies content-based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adjunct model is suitable as a customized teaching method for international students before entering a full-fledged major class.

      • KCI등재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동국대학교 ‘유학생 한국어 과정’을 중심으로

        최윤곤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8

        This study examined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Curriculum operation subject and learner question findings that is enforcing in Dongguk University. Grasped unpreparedness point of curriculum and learner requirement that is enforcing learner question findings present. The result will accommodate electively before 2008 academic years Korean curriculum enforcement and supplement.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curriculum of study examined that give many helps scholastic aptitude development and Korean campus life adaptation to students studying abroad. From now on, is going to need development of such curriculum in more colleges. This study is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expect that is utilized to basis data for development in better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training curriculum learner question investigation.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에서 시행 중인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과목과 학습자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설문 조사 결과 현재 시행 중인 교육과정의 미비점과 학습자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 과정은 유학생들에게 대학 수학 능력 개발과 한국의 대학 생활 적응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더 많은 대학에서 이와 같은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둘째, 대학에서 새로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용 과목 개설이 어렵다면, 기존에 개설한 교과목을 외국인 전용 강좌로 개설해서 운영한다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 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의 성패는 교과목의 내실있는 운영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의 입학에서 졸업과 취업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인 유학생을 마칠 수 있도록 대학의 지속적인 관심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그리고 학습자 설문 조사를 통해 더 나은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에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

        권은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2

        In this paper, I suggest the guidelines on the curriculum design of the liberal art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data for the state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level of Korean skills, and lectures they've taken and completed.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foreign students and graduates tend to have taken the diverse liberal art courses including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an the courses for the foreign students like learning Korean, and culture and history of their countries. In addition they have completed the courses more than required for graduation. Based on this result, I point out that the current curriculum consisting of similar and overlapped courses for raising Korean skill, and exclusive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lectures in English, does not provide the appropriate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Also it is emphasized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changed and enforced in the direction to reduce a gap between th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they learn in the class and practically required ability, to help them adapting Korean culture, and eventually to have them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lives in Korea as foreign students by themselves. As a means of complement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and enhancing the capability of self-determination through basic knowledge learned from a wide range of disciplines, the rich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in recognition of their culture identity and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본고는 실제 대학의 외국인 졸업생 교과목 이수 현황 자료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교과목 이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교양교과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외국인 졸업생들은 모국어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는 모국의 언어와 문화 관련 교과목 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과목과 같은 외국인 전용 강좌의 이수를 지양하고 졸업할 때까지 졸업요건 이상으로 교양교과목을 이수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그러한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들에 비해 한국의 문화·역사 관련 교과목을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의 교양교과목을 이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종래 외국인 유학생의 편의를 위해 외국인 교양교과과정에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과목과 졸업학점 이수에 장애가 되지 않는 원어 강의, 외국어 강좌 또는 전공 기초 교과목 등을 대거 개설한 것이 외국인 유학생에게 적절한 도움이 아니었음을 역설하였다. 또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수업에서 가르치는 한국어 의사소통능력과 실제 대학 생활에서 필요로 하는 한국어 사이의 간극을 줄이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문화 수용 및 유학 생활 적응을 돕고, 무엇보다 외국인 유학생이 유학생활 중에 겪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스스로가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해결을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교양교육을 강화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한국어 교과목의 졸업학점 인정 불가 지침으로 전공 교과목 이수를 위한 기초 지식과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배양을 위한 교과목 개설에 치중하던 외국인 유학생 교양교육과정은 새로운 방향성 논의가 시급해졌다.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교육과정의 다양화는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를 보완하고, 여러 학문 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기초 지식 습득을 통한 지적 자율성과 의사 결정 능력을 높이는 방법으로써, 자기의 문화적 정체성 인식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방법으로 큰 효용성을 가진다.

      • KCI등재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의 변천과 그 특징

        박종배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3

        본 논문에서는 크게 전기, 중기, 후기의 세 시기로 나누어 조선시대 유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과 그 특징에 대하여 논의였다.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조선 전기에는『소학』과『가례』를 필수 학습 교재로 삼고, 《사서오경》을 핵심으로하는 교재 체계를 정립하는 등 신유학적 교육과정의 큰 틀이 마련되었지만 본격적인 성리학 교육과정의 수준까지는 나아가지못하였다. 조선 중기에 이르면, 성리학 관련 서적의 도입과 간행·보급, 성리학 연구의 활성화와 이해의 심화 등에 힘입어 본격적인 성리학 교육과정 단계로 진입한다. 이 시기에 『근사록』, 『심경』, 『이정전서』, 『주자대전』등의 성리서들이공식적으로 유학 교재 체계에 편입되었다. 이와 함께 조선 중기 유학 교육과정은 신유학의 일종인 양명학을 이단으로 배제으로써 ``배타적인 주자학 정통주의``라는 성격도 갖게 되었다. 조선 후기의 유학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조선 중기의 연선상에 있었지만, 이황의 『성학십도』와 『주자서절요』, 이이의 『성학집요』와 『격몽요결』, 송시열의 『절작통편』등이른바 자찬 성리서나 강학 교재들이 정식으로 유학 교육과정에 편입되는 주목할 만한 특징이 발견된다. 本論文主要從朝鮮前期、中期以及后期三慨時期來論述儒學課程的變遷過程及其特征。据考察顯示,在朝鮮前期,《小學》和《家禮》成爲必備的基礎學習敎材,進而確立了以《四書五經》爲核心的新儒學敎材?系。雖然這成爲新儒學課程的大綱模式,但還沒達到眞正的性理學課程的水準。到朝鮮中期,隨着蕭于性理學方面書籍的出版和普及,以及對于性理學的理解深入,從而儒學課程正式進入性理學課程的階段。在這慨時期,《近思錄》、《心經》、《二程全書》以及《朱子大全》等性理書正式納入儒學敎材?系中。與此同時,在儒學課程中,排除陽明學或陸王心學,朝鮮中期儒學課程具有排他性朱子學中心主學的特征。朝鮮后期的儒學課程基本上是延續朝鮮中期的性理學課程。同時, 李滉的《聖學十圖》和《朱子書節要》,李珥的《聖學緝要》和《擊蒙要訣》以及宋時烈的《節酌通編》等一些朝鮮學者自撰的性理書及講學敎材,正式成爲這慨時代儒學課程的重要部分之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