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계층별 문해 인구의 규모와 문해율 추정 방법에 대한 시론적 고찰

        박종배 한국교육사학회 2024 한국교육사학 Vol.46 No.1

        이 논문에서는 크게 양반, 중인, 평민, 노비 네 계층으로 나누어 조선 후기 계층별 문해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조선 후기 호적 연구를 통해 산출되고 있는 계층별 인구 구성 정보와 대응시키는 방법을 통해 조선 후기 문해율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이 가능함을 밝혔다. 이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조선 후기의 양반과 중인 계층은 대다수가 한글․한자 이중문해자였다. 그들은 신분적 지위의 유지를 위해서나 직무 수행상의 필요에 따라 일정 정도 이상의 문해 능력을 갖추어야 했는데, 기초교육 단계에서부터 이중언어 텍스트가 널리 활용되던 조선 후기의 교육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한글․한자 이중문해자로 성장하였다. 양반․중인 계층과 달리 평민․천민 계층은 한자 문해 능력 획득에 필요한 장기간의 체계적인 교육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한자 문해자는 소수 또는 극소수에 그치고 상대적으로 한글 중심으로 문자생활을 영위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선 후기의 계층별 문해 양상에 조선 후기의 계층별 인구 구성 정보를 대응시키면 조선 후기의 한글 및 한자 문해 인구의 규모와 문해율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이 가능하다. 다만 이 논문에서 예시한 조선 후기의 문해 인구 및 문해율 추정 방법은 앞으로 그 사실적, 논리적 근거를 더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the pattern of literacy by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largely divided into four classes: Yangban, Jungin, commoners, and slaves. And in this paper, it was revealed that it was possible to roughly estimate the literacy rate of the late Joseon Dynasty by matching this with the population composition information of each class calculated through the study of family regis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review in this paper, most of the Yangban and Jungin cla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those with dual literacy skills in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They had to have a certain degree of literacy skills to maintain their status or perform their duties, but they naturally grew into holders of Korean and Chinese bilingual literacy skil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re bilingual texts were widely used from the basic education stage. Unlike the Yangban and Jungin classes, the commoners and low-class people were often alienated from long-term systematic education necessary to acquire Chinese character literacy skills, so only a few or few people had Chinese character literacy skills and lived a writing life relatively centered on Hangeul. It is possible to roughly estimate the size and literacy rate of the literacy population of each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matching the population com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is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above family register study. However,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literacy population size and literacy rate of the late Joseon Dynasty illustrated in this paper is required to supplement the factual and logical basis through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4서(四書) 중심 유학(儒學) 교육과정의 성립과 그 의의

        박종배 韓國敎育史學會 2005 한국교육사학 Vol.27 No.2

        This paper analyses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 Books centered Confucian Curriculum in traditional Chinese and Korean education, and review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contained in that process. The Four Books, namely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Works of Mencius,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were established in Song Dynasty by Ercheng brothers and Zhuxi.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 Books, they domineered the status of the Five Classics in Confucian curriculum. The Four Books were regarded as the foundational texts to read before studying the Five Classics. In fact, the Four Books occupied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Confucian texts system. The establishment of the Four Books was deeply related to the rising of Neo-Confucianism, and the Four Books represented the Neo-Confucian education. After importing Neo-Confucianism and the Four Books,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also transferred to the Four Books centered Confucian Curriculum. This transition means the radical change of Confucian education from chasing external success to pursuing internal self-perfecting. The study of the Four Books was regarded as an essential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Confucian orthodoxy to become a sage. In this sense, the transition from the five classics to the Four Books centered Confucian curriculum could be said that it marked an epoch in Confucian educational history of China and Korea.

      • 대규모 발전기 예방정비계획 최적화 문제를 위한 이산민감도 지수의 개발 및 적용

        박종배 안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8 自然科學硏究 Vol.5 No.2

        이 논문은 n 차원의 공간 벡터에서 정의되고 두 개의 이산상태 변수를 가지는 대규모 발전기 예방정비계획 최적화를 위한 새로운 해석적인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한하는 방법론에서는 각 발전기의 이산 상태 민감도를 해당 발전기가 운전 중일때와 보수 중일때의 차이로부터 정의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법을 적용하였다. 즉, 개발한 방법론은 기존의 일변수 이산 기울기 탐색법과 변수 완화법을 결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고, 이를 대규모 최적화 문제에 적용하기 편이하도록 해석적인 식을 유도하였다. 제안하는 방법론의 효율성을 보이기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두개의 예방정비계획 최적화 문제에 적용하였다. 첫 번째 사례는 10대의 발전기를 가지는 문제를 대상으로 하였고, 두 번째 사례에서는 280대의 발전기를 가지는 대규모 실계통 최적화 문제에 적용하였다. 두 사례에 대하여 기존의 용량 기준 우선순위법 및 조합최적화 결과치와 비교하여 제안하는 방법론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approach to a large-scale optimal generator maintenance scheduling problem with n-dimensional vector space. To do this, we propose a new discrete sensitivity index of each generator evaluated from the difference of objective fuction value when it is on and off status. Based on the sensitivity vlue, we applied the conventional priority approach for maintenance scheduling optimization in the order of each generator's sensitivity value. That is, the proposed method combine a discrete gradient approach of each variable, with a varient of relaxation method for efficient n-dimensional vector space optimization. The proposed method have applied to two power system optimization problems. One is a sample power system with 10 generators (i.e., variables), the other is a practical large-scale power system of Korea with 280 generators. Numerical tests have shown it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 terms of computation time and exactness.

      • KCI등재

        19세기 후반 무성서원(武城書院)의 강습례(講習禮)에 관한 일 고찰

        박종배 한국서원학회 2011 한국서원학보 Vol.1 No.-

        본 논문에서는 『武城書院誌』에 수록되어 있는 〈甲乙記事>, <講習禮節目>, <講習禮執事>, <笏記>, <講習禮圖> 등의 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19세기 후반 무성서원에서 개최된 講習禮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873년부터 1880년까지 무성서원에서는 매년 3월 3일과 9월 9일에 강습례를 개최하였으며, 1891년 이후에도 간헐적으로 강습례를 개최해 나갔다. 무성서원의 강습례는 기본적으로 鄕飮酒義의 예법에 따라 반차를 정하였으며, 크게 陳設-瞻拜-相揖-升堂-讀規-拜讀-進講-禮畢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무성서원에서 강습례를 개최하기 시작한 1873년은 1871년의 전국적인 서원 철폐조치와 신미양요라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하여 그 시기적 의미가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성서원의 강습례는 조선시대 서원 講會의 일종이라 할 수 있지만, ` 3월 3`일과 ` 9월 9일`이라는 개최 시기, `강습례`라는 명칭, 虛位의 진설과 허위를 향한 瞻拜, 허위 앞에서의 拜讀 등 몇 가지 의식절차상에서 여타 조선시대 서원 강회와 다른 독특한 면을 갖고 있다. 무성서원의 강습례는 경서 강독을 위주로 전개된 집단적 강학 활동이라는 강회의 일반적 의미와 함께 古禮 習禮라는 특별한 禮敎的 意味를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무성서원의 강습례는 서원 철폐와 쇄국에서 개항으로 전환, 전통교육의 해체 등의 역사적 상황과 관련해서도 그 특징과 의의에 대해 다각적인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 本論文主要以記載于『武城書院志』里的 《甲乙記事》, 《講習禮節日》, 《講習禮執事》, 《笏記》, 《講習禮圓》 等相關資料 爲中心, 對19世紀末期在武城書院召開的講習禮進行了探究。從1873年到1880年間,武城書院每年都在3月3日和9月9日召開講習禮,但是從1891年以店就間斷地召開講習禮。武城書院的講習禮基本根据鄕飮酒義的禮節來定班次,大體以陳設-瞻拜-相揖-升堂-讀規-拜讀-進講-禮畢的順序來進行。1873年武城書院在首次召開的講習禮上, 說明幷解釋了關于1871年全國撒除書院的措施和辛未洋擾的歷史背景。武城書院的習禮可以說是朝鮮時代書院講會的一種,但從召開的日期爲 `3月3日`和`9月9日`、`講習禮`的名稱、虛位的陳設和向往虛僞的瞻拜、在虛僞面前拜讀等幾個儀式程序中可以看出武城書院的講習禮與朝鮮時代的書院講會相比具有獨特的一面。武城書院的講習禮是以經書講爲主而展開的集體講學活動,旣包含了朝鮮時期書院講會的一般意義,又有以`古禮習禮`追求禮敎的特殊意義。今後還要對武城書院的講習禮,包括`撤除書院`和`帝國主義列强侵入`、`傳統敎育的危機`等歷史背景的特徵和意義,進行多方面的硏究和討論。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