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양시 지역문화콘텐츠에 나타난 ‘밥할머니 설화’의 선택적 수용과 변주

        송미경(Song, Mi-Kyoung) 우리문학회 2020 우리文學硏究 Vol.0 No.68

        지역문화콘텐츠는 지역문화자원이 지역에서 지역민 등에 의해 기획, 개발되어 만들어진 산물이다. 고양 지역의 ‘밥할머니’는 고양시 향토문화재 제46호 ‘밥할머니 석상’이라는 유형의 문화자원과 〈북한동의 노적봉과 밥할머니〉로 대표되는 지역 설화라는 무형의 문화자원을 고루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콘텐츠 기획에 적합한 소재였고, 실제로 고양시의 지역문화콘텐츠 상당수가 ‘밥할머니’라는 문화자원을 소재로 활용해왔다. 그런데 이들 콘텐츠가 다루고 있는 이야기에 주목해 보면, 콘텐츠의 장르나 전달방식이 비교적 다양한 데 반해 이야기를 구성하는 인물․배경․사건의 틀이 유사하다. 이는 2011년 ‘고양시 이야기자원 발굴 연구 용역사업’의 결과물로 나온 이상국의 〈(북한산 여장군, 정경부인 오씨) 고양의 잔 다르크, 밥할머니〉가 원천콘텐츠로 기능했기 때문이다. ‘밥할머니’를 여성 전쟁 영웅이자 역사적 실존 인물로 스토리텔링한 이상국의 원천콘텐츠는 이후 나온 거의 모든 콘텐츠에 영향을 주었다. 매체에 적합하게 스토리텔링의 방식을 바꾸고, 대상 연령층을 어린이로 특화하는 경우 서사를 단순화하고 체험 활동을 배치하는 등의 변화를 도모하기도 했으나, 기본적인 서사의 틀은 대체로 유지되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밥할머니’ 지역문화콘텐츠에서 ‘밥할머니’의 실체는 남편 문옥형과 아들 문천립을 둔 해주오씨 여인으로 비정되었고, 그 활약상은 지역 경계를 넘어서는 소재인 행주대첩과 연결되어 ‘최초의 여성의병장’이라는 명명과 함께 국가 단위로 확장되었다. 그렇게 지난 10여 년간, 고양시의 ‘밥할머니’ 지역문화콘텐츠는 역사성과 사실성을 지향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로 기획되어왔다. 이제 그 역사적 배경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기존의 접근 방식을 보완하는 한편, 새로운 접근 방식 또는 방향을 모색해 볼 만한 시점이 되었다. 대중의 역사문화콘텐츠 수용 경향을 볼 때, 과거가 고정적으로 이해되지 않고, 다양한 관점과 더불어 여러 문화적 경험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전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단계에서 배제되었던 설화적 접근을 새로운 방향으로 제안하였으며, 이는 ‘밥할머니’의 여신적 면모와 관련된다. 그동안 배제된 설화, 이른 시기에 기록된 설화의 내용을 살펴보면 당시의 설화 전승자들은 ‘밥할머니’를 신적 존재로 받아들였으며, ‘밥할머니 석상’을 매개로 한 마을 공동의 신앙도 있었다. 또한 학술적 담론의 영역에서도 고양 지역의 ‘밥할머니’는 산과 물을 관장하는 능력을 지닌 여산신(미륵할미), 국토 수호의 모습이 발견되는 호국신적 성격을 지닌 할미신 등으로 해석되어왔기에 콘텐츠 기획을 위한 토대도 비교적 탄탄하게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설화적 접근, 관점의 전환은 고양시 ‘밥할머니’ 지역문화콘텐츠의 양상을 보다 풍성하고 다채롭게 하는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ocal cultural content involves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cultural resources by the residents of a particular region. "Bob Grandmother" in the Goyang area has been considered suitable for content planning, since it includes both a type of cultural resource called the "Bob Grandmother" stone statue in Local Cultural Asset No. 46, Goyang City, and the intangible cultural resource, "Nohjeokbong and Bob Grandmother,” in Bukhan-dong. Many of Goyang"s local cultural contents have employed the subject of "Bob Grandmother." However, in the stories covered by these contents, the genre and the method of delivery are relatively diverse, although similar feature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frame of the person, background, and the events that represent the story. This can be attributed to Lee Sang-guk"s "Joan of Arc of Goyang, Bob Grandmother," which was the result of the 2011 Goyang City Story Resource Excavation Research Service Project, serving as the original content. The original content of Lee Sang-guk, who characterized "Bob Grandma" as a female war hero and a real person historically, influenced almost all the content that emerged subsequently. The basic narrative framework was largely maintained, although the method of storytelling was altered to suit the media, and when the target was children, the narrative was simplified and the experience rearranged. Accordingly, in most local cultural contents, "Bob Grandmother" has been portrayed as a Haejuoh woman who lived with her husband Moon Ok-hyung and son Mun Chun-lip, and its activities were expanded to a national level through the name of "the first female sergeant" in connection with Haengju Daecheop, a material that transcends regional boundaries. Therefore, over the past decade or so, Goyang City"s "Bob Grandma" local cultural content has been designed as "storytelling content with historicity and practicality, or near realism." It is time to explore a new approach or direction while complementing existing ones through a close examination of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this paper, the narrative approach, which had been excluded from the storytelling phase of previous content, is applied in a new direction concerning the goddess-like aspect of “Bob Grandmother.” According to the excluded tales and early stories, the successors of the tales of those days considered "Grandmother Bob" a divine being, and there was also a common belief in the village to this effect based on the statue of Grandmother Bob. In addition, in the area of academic discourse, "Bob Grandmother" in the Goyang area has been interpreted as a female mountain god (Mireuk Halmi) who has the ability to control mountains and water, and a grandmother god who has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defense; hence, the foundation for content planning is relatively solid. This narrative approach and shift of perspective could b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ichness and the variety of local cultural contents of the "Bob Grandmother" in Goyang.

      • KCI등재

        ‘NFT문화콘텐츠’와 파생실재(hyperréel)공동체의 향유: 뱅크시의 문화적 실천과 <훈민정음> 사례를 중심으로

        이지혜,안숭범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6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fold. First,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concepts of “NFT contents” and “NFT culture content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produced using NFT (non-replaceable tokens). Second, the identity of the enjoyment community formed in the process of consuming NFT culture contents will be named a derivative real communit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will be explain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simply defining “NFT contents” can be said to be content that has proven ownership with NFT technology, and there are various types. Determining the value of NFT contents is not the original value of real objects, but the symbolic value of virtual objects transferred on the web. In particular, if NFT content issued with non-replaceable tokens is NFT culture contents by embody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elements, it can cover concepts such as “NFT art” and “NFT culture and artistic contents.” It can also acquire the possibility of reconsidering culture contents terms that are already being used on a new technology basis. Today, NFT culture contents is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through imaginary preference values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which i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discussing the utility of NFT contents.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case of NFT culture contents, the value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is confirmed by the storytelling effect of the enjoyment community derived around it. Accordingly, this paper explained the power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driven by the NFT culture contents in the term “Hyperréel Community.”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article analyzes two representative examples of NFT contents. The series of NFT contents work attempted by Banksy and the ‘Hunminjeongeum Haeryebon’, published as an NFT by the Kansong Museum of Art, are examples of the nature of the “imaginative communication space” and the flowing power of the “Hyperréel Community.” These works have something in common as consumer goods with a new imaginary context, eras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web and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reating imaginary preference values and the supermediated aspect of the derivative real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NFT(대체불가토큰)를 활용해 생산된 콘텐츠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여 ‘NFT콘 텐츠’, ‘NFT문화콘텐츠’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NFT문화콘텐츠의 소비 과정에서 형성된 향유공동체의 정체성을 파생실재공동체로 명명하고 ‘상상적 대화공간’의 함의를 해명하기로 한다. 연구결과, ‘NFT콘텐츠’는 NFT 기술로 소유권이 증명된 콘텐츠라 할 수 있다. NFT콘텐츠의 종류는 다양하다. NFT콘 텐츠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현실 사물의 원본가치가 아니라 웹상으로 전이된 가상적 사물의 기호가치이다. 특히 유무형 의 문화적 요소를 체화시켜 대체불가토큰으로 발행된 ‘NFT콘텐츠’를 ‘NFT문화콘텐츠’라고 칭한다면, 이는 ‘NFT아트’, ‘NFT문화예술콘텐츠’ 등의 개념을 포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 범용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용어를 새로운 기술기반 위에서 인문학적으로 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획득할 수 있다. 오늘날 NFT문화콘텐츠는 제작⋅유통 과정에서 상상적 기호가치를 통한 상호작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NFT콘텐츠의 효용을 논하는 데 중요한 참고점이 된다. 주목할 지점은 NFT문화콘텐츠의 경우 그것을 둘러싸고 파생된 향유공동체의 스토리텔링 효과로 ‘상상적 대화공간’의 가치를 확인시킨다는 사실이다. 이에 본고는 NFT문화콘텐가 견인 하는 ‘상상적 대화공간’의 힘을 ‘파생실재공동체’라는 용어로 해명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 글은 NFT콘텐츠의 대표적인 사례 두 가지를 분석한다. 뱅크시가 시도한 일련의 NFT콘텐츠 작업과 간송미술관에서 NFT로 발행한 H훈민정음 해례본H은 ‘상상적 대화공간’의 성격과 ‘파생실재공동체’의 유동하는 힘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이들 작품은 웹과 현실세계의 경계를 지워내며 새로운 상상적 맥락이 기입된 소비재로 공통점을 지닌다. 한편 상상적 기호가치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파생실재공동체의 초매개적 양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본 <다문화콘텐츠연구>의 연구 경향 분석

        강진구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2

        The paper carried out a Text Mining Technique for a paper published in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the country’s first multi cultural related journal. The author wanted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content in Korea as an analysis of the abstract of the paper, which was published from its inaugural issue in 2006 to its 31st album published in late August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figures that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has led the nation’s multicultural research through its high quotations index and the establishment of a wide network of researchers.Second, domestic multicultural studies are gradually spreading from multiculturalism to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and to performance verifica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laws and various other multicultural programs. Third,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has seen a sharp decline in its quotations and influence, with the end of its project to support the university’s intensive research institutes. Active solution plan should be taken to solve this problem. Fourth, the regulations on contributions should be revised to suit the convenience of contributors to make it possible for more diverse researchers to contribute, and the excessive number of duplicate postings by some researchers should also be improved. Despite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great limitations to view the entire study of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content in Korea. This is because it only targeted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all the papers published in leading competitive journals were excluded. 이 논문은 국내 최초의 다문화 관련 전문 학술지인 <다문화콘텐츠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실시하였다. 필자는 2006년 창간호부터 2019년 8월말에 발간된 31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초록을 분석 대상으로 국내 다문화 및 다문화콘텐츠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콘텐츠연구>가 높은 인용지수와 폭넓은 연구자 네트워크의 구축 등을 통해 국내 다문화 연구를 선도하여 왔음을 통계적인 수치를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국내 다문화 관련 연구가 결혼이주여성이나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에서 점차 다문화 정책과 관련 법, 그리고 각종 다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 검증으로 확산되고 있다. 셋째, <다문화콘텐츠연구>는 대학 중점연구소 지원 사업 종료를 기점으로 인용지수나 영향력 등에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투고 규정 등을 투고자 편의성에 맞게 개정하여 보다 다양한 연구자들이 투고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하며, 일부 연구자들의 지나친 중복 게재 등도 개선해야 한다. 이상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및 다문화콘텐츠 연구 전체를 조망하기에는 큰 한계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다문화콘텐츠연구> 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경쟁 관계에 있는 유수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모두 배제되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문화원형사업과 공연 문화콘텐츠 ― '종교문화' 디지털콘텐츠화와 관련해서 ―

        이남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2 No.-

        This paper focuses the present stages and relations between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and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especially in relation with the digitization of religious cultures. And it especially examines the digitization of the Buddhist culture more concretely among religious cultures. And in this paper, we will use the concept of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more broadly, in other words, we are going to see religious ritual and actions as a kind of 'sacred' the Public Performance. At first, we are going to review the present stage of Culture content and Culture industry in Korea, and summarize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which had begun at the year of 2002. And we are going to checked 170 projects of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and choose the projects which can be categorized as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and especially those of Buddhist culture. There are many Buddhism related projects, and which are the rituals, the life style of monks at temple, the architectures of temple, and instruments for example 'four things' of Buddhistic instruments, etc. We can see and use much contents and multimedia, for example pictures, sound, characters, animation, etc. At the present stage, it is very important for Religious institutions and groups and to have more concerns at the Project of Culture Archetypes and the Public Performance Content. And it is required to digitalize the various materials of religious culture including the pictures, images, sound data, maps, etc. It will be an important work and function for the Religious institutions and groups to build the religious Public Performance Content. Certainly it will be a creative reformation of religious culture for the future. 이 글에서는 일차적으로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의 연계성이라는 부문에 주목하면서, 문화콘텐츠의 인프라 구축이라 할 수 있는 문화원형사업과 공연문화 콘텐츠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공연문화의 주요한 한 부분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는 ‘종교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 나아가서는 그것이 문화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공연문화에 대한 개념 문제와 관련해서, 이 글에서는 종교적인 의례와 행위 자체를 일종의 신성한 ‘공연문화’로 볼 수 있다는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 예를 든다면 팔관회, 승무, 영산재, 독경, 아침·저녁 예불, 사시(巳時)불공, 명고타종(鳴鼓打鐘) 등을 그런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불교 영산재를 공연 문화콘텐츠로 접근하는 연구도 이미 나왔다. 본격적인 논의에서는 문화콘텐츠와 문화산업에 대해서 그 추세와 특성을 간략하게 정리한 다음, 2002년부터 실행되고 있는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그 사업 안에 공연문화와 관련된 어떤 과제들이 있는가 하는 점을 파악해보았다. 그리고 종교문화, 특히 불교문화와 관련해서는 어떤 과제들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불교문화의 경우, 의례나 의식 뿐 아니라 그와 관련된 것으로 승려의 생활문화, 사찰 건축, 전통시대 건축물, 불교 사물(법고, 범종, 목어, 운판 등) 등에 대한 내용을 전문적인 고증된 내용과 사진, 동영상,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어 시각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공연문화에 관심을 가진 단체나 기관에서는 문화원형콘텐츠 디지털화 사업의 연구 성과에 관심을 가지고서 데이터베이스 내지 인프라 구축을 계속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관련 학회나 기관에서 장기적인 구상과 계획을 가지고서 공연문화 콘텐츠를 구축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같은 맥락에서 종교단체나 관련 기관들 역시 종교문화 측면에서 이러한 공연문화 콘텐츠화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하겠다. 이는 ‘종교의 대중화’ 차원에서도 필요한 것이며, 변해가는 시대에 걸맞는 종교문화를 창조적으로 형성해가는 것이라 생각한다.

      • 복고문화콘텐츠로서 TV 예능 프로그램의 기획 방향 연구

        강지원(Kang, Ji Wone)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6

        문화경험이 중요한 가치로 작용되는 문화콘텐츠 기반 경제와 체험 경제 시대가 도래 함에 따라, 향수와 추억이 담긴 이야기인 복고문화콘텐츠가 새로운 소비문화 상품으로 등장했다. 복고문화콘텐츠를 통한 복고 열풍은 영화, 드라마의 성공을 시작으로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폭발적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양적증가에 비해 복고문화콘텐츠와 관련한 학술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복고와 복고문화, 복고문화콘텐츠의 개념도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복고문화콘텐츠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복고를 소재로 한 TV 예능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어떻게 구성 되었는가와 복고문화 콘텐츠로서의 특징을 갖추고 있는지 고찰한다. TV 예능 프로그램의 복고 소재 활용은 과거 예능 리메이크, 과거 모습 재현무대 제공, 음악과 토크를 결합한 리얼 버라이어티, 추억의 인물 현실화 유형으로 나뉜다. 이에 따라 복고문화콘텐츠는 세대 간 소통, 감성적 경험, 콘텐츠 지속성의 특징을 지닌다. 복고를 소재로 한 TV 예능 프로그램은 복고문화콘텐츠로서의 특징과 TV예능프로그램 구성이 유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기획해야 한다. 그러면 프로그램과 소재로 활용된 과거 문화․문화콘텐츠에 대한 애착과 신뢰도가 생성되며 지속적인 인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복고문화콘텐츠로서 TV 예능 프로그램은 상품 주기가 빠른 문화콘텐츠시장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era of content based economy & experience economy that emphasis value of cultural experience has come, retro culture contents that contained nostalgia and memories have appeared as new product. retro culture contents had started from movie and drama, developed as entertainment show form, make retro fever. Though quantitative expansion of retro culture contents, any academic approach haven’t done. Concept of retro, retro culture and retro culture contents not established neither. On this study, analyze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2. build theoretical framework, 3. characterize retro culture contents.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categorize 1. remake old entertainment show, 2. represent past stage, 3. real-variety show that combined music and talk, 4. retrospect of Persona Materialization, retro culture contents make generational dialogue, emotional experience and contents sustaining power.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should connect character of retro cultur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entertain program. Then, audience get attachment and trust to the program and the material. Go further, the program can be last longer. Considering culture contents market’s short product cycle,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can lead market.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민중의식과 변혁적 가치로의 실천방향

        김진형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1

        In traditional society, there are three major fruits of the culture in which people's consciousness is manifested: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and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As people's cultural contents in traditional society worked to increase the deficiency of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when people's consciousness stayed in people's literature,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regulated people's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between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those based on people's revolution. It also reduced the excessive actions based on people's consciousness during people's revolution. Like traditional society, the culture in which people's consciousness is manifested or is in the process of coming to fruition in modern society has come to fruition in three major aspects. There are, however, differences in terms of mutual relations among the three fruits between modern and traditional societ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immediately led to the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during Rhee Syngman's dictatorial regime. During Park Chung-hee's dictatorial regime, however, there were no fruits based on people's revolution. However, the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laid a foundation for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During Chun Doo-hwan's dictatorial regime, the independent actions of college students led to the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between those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those based on people's revolution. Here, the functions of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worked to serve as a cultural movement for fruition based on people's revolution beyond those of fruits based on people's cultural contents in traditional society. The Gwanghwamun Candlelight Culture Festival, which demanded Park Geun-hye's resignation, went beyond the patterns of mutual relations found in the three types of people's consciousness discussed so far since it solved massive social conflicts with the power of cultural contents by performing people's cultural contents faithfully while bearing fruits based on people's literature and people's cultural content freel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poses two basic directions to realize people's consciousness in cultural contents as transformative values: one is orientation toward cultural contents to keep human dignity alive rather than cultural contents to kill human dignity; the other is to push forward a cultural contents revolution to reorganize the three core bases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legal, management, and business based. When they are realized, the Ministry of Culture will certainly be able to implement a cultural contents policy based on its original duty of creating culture. 전통사회에서 민중의식이 발현된 문화가 맺은 결실은 크게 ‘민중문학적 결실’,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 ‘민중혁명적 결실’ 등 세 가지였다. 여기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은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혁명적 결실 사이에서 민중의 ‘민중의식적 행동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전통사회의 민중문화콘텐츠는 민중의 민중의식이 민중문학에 머물렀을 때 나타나는 민중의식적 행동성의 결핍을 상승시키고, 한편 민중혁명에 나타나는 민중의식적 행동성의 과잉을 하강시키는 기능도 했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민중의식이 발현된 문화는 전통사회처럼 세 결실을 맺었거나 맺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세 결실의 상호관계를 보면, 전통사회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먼저, 이승만 독재정권 때는 민중문학적 결실을 통해 바로 민중혁명적 결실을 맺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달리, 박정희 독재정권 때는 민중혁명적 결실을 맺지는 못했지만, 민중문학적 결실을 바탕으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맺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작업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전두환 독재정권 때는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혁명적 결실 사이에 대학생들의 주체적인 행동으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맺었는데, 여기서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의 기능은 전통사회의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의 기능을 넘어서는 ‘민중혁명적 결실맺음을 향한 문화운동’의 기능을 했던 것이다. 박근혜 퇴진 광화문 촛불문화제는 지금까지 논의한 민중의식의 세 결실의 상호관계 양상을 넘어선 것이다. 왜냐하면 민중문학적 결실과 민중문화콘텐츠적 결실을 자유롭게 맺어가는 가운데 민중문화콘텐츠의 충실한 연행을 통해, ‘문화콘텐츠의 힘’으로 거대한 사회갈등을 해결하는 기능을 했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문화콘텐츠에 나타난 민중의식을 변혁적 가치로 실천하기 위한 두 가지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인간의 존엄성을 ‘죽이는 문화콘텐츠’가 아닌, 그것을 ‘살리는 문화콘텐츠’를 지향하는 것이다. 둘째로 문화콘텐츠의 3대 핵심기반 즉, 법률기반, 관리기반, 사업기반을 재편하는 ‘문화콘텐츠혁명’을 추진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문화창달이라는 문화부 본연의 임무로 문화콘텐츠정책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 자명하다.

      • KCI등재

        “성삼문”을 통한 지역문화의 콘텐츠화 방안

        이혜경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Like human lifestyle culture also evolved accordingly. The concept of a place in this process is to come up with another variable to change the concept of the modern culture. Various attempts to show the culture of the region, thus creating a story appeared in the person resonate as history. Historical figures are one of the important cultural resources of the region, can play a major role in forming the culture of the area, to ensure the identity of the region. Cultural contents that symbolize the region is a major factor that led the people. By combining a variety of media and genre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such work also puts the emphasis on the contents of historical figures such as trying to storytelling. The same is true in the Nonsan area as a cultural asset Seong Sam-mun. The cultural assets of the region has a new economic productivity, the process of contents that are visible or invisible to decorate the values that set it from the rest by performing a creative approach. Particularly, local cultural content conveys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the area. For example, many local festivals are re-established regional identity to increase local people's self-esteem and helps to regional marketing and tourism resources. Nonsan has the tomb of Seong Sam-mun. And there are Cungggokseowon honoring Seong Sam-mun. Therefore, the specific story of the area than what is required in order for local cultural contents developed by the assets of the historical figures Seong Sam-mun. Storytelling should be the main area of Seong Sam-mun contents development. That story will be the prototype of the content of the production environment to provide additional content. And shall ensure that the planning exercise program followed through. In addition, content development, which should be done also with other regions. Of course, at the heart of this process should be a local resident. When this Seong Sam-mun content will be able to fulfill the role and function as another cultural growth of Nonsan. 우리에게 전승된 “문화”의 모습은 인간의 생활양식이 그렇듯 사회와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진화한다. 때로 한 시점을 관통하는 물질문화의 현재성은 그 속도만큼이나 빠른 정신문화의 변화를 촉진시키곤 한다. 이러한 여정에서 구획되어진 장소가 문화의 개념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한 지역의 문화를 보여주기 위한 다양한 시도는 역사가 매개되어 ‘이야기’로 만들어지면서 인물을 등장시킨다. 그 지역에 어떤 문화콘텐츠가 있는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지역으로 발걸음을 내딛게 하는 주요 요소가 되는데, 다양한 매체와 장르를 결합시켜 스토리텔링을 시도하는 등 역사인물의 콘텐츠화에서 주안점을 두는 일 또한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논산 지역의 문화자산으로서 “성삼문”도 마찬가지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와 ‘콘텐츠’가 어우러진 말로 “문화콘텐츠사업”, “문화콘텐츠산업” 등으로 변주된다. 한 지역의 문화적 자산은 다른 지역과 차별되는 유․무형의 가치들을 창조적으로 꾸미는 콘텐츠화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지역문화의 의미와 상징을 전달 가능한 형태로 체화할 수 있다. 이를테면 우리나라의 많은 지역에서 벌어지는 축제를 그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는 지역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이는 한편 지역정체성의 재정립은 물론이거니와 관광 자원화하여 지역 마케팅에도 도움을 준다. 현재의 논산은 조선 유학의 맥을 잇는 한 중심지이다. 가야곡에는 성삼문 묘가 있고, 부적에는 성삼문과 사육신을 추모하는 충곡서원이 있다. 옛 유교문화의 현대적 재활용은 논산의 미래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성삼문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자산으로 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의 특화된 스토리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성삼문 스토리는 콘텐츠의 원형이 되어 다양한 부수적 콘텐츠의 제작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획화한 행사프로그램이 뒤따르도록 해야 한다. 실용적인 스토리 개발도 필요하다. 유교문화유산의 확장성 확보를 위한 콘텐츠 개발은 성삼문 정신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을 것이다. 타 지역과의 연대를 통한 콘텐츠 개발도 모색되어야 한다. 가령, 성삼문과 연고가 있는 세종시와 홍성군, 논산시가 함께 성삼문 콘텐츠 개발과 활용에 나선다면 그 효과가 더욱 커질 수 있으리라 본다. 물론 이러한 과정의 중심에는 지역 주민이 있어야 한다. 지역 주민들 스스로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를 토대로 지역문화 개발에 대한 합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렇게 될 때 성삼문 콘텐츠는 논산의 또 다른 문화적 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마술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이현석,이화형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4

        이 연구에서는 세계마술올림픽(FISMWCM) 수상 등 세계적인 기량을 인정받고 있음에도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국내 마술문화콘텐츠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술문화콘텐츠의 현장 그룹과 연구 그룹 전문가 47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실시하였다. 1차 개방형 설문조사와 2차 및 3차 폐쇄형 설문조사를 통해 세부 내용을 범주화하고, 유의미한 기준치를 확보한 14개의 활성화 방안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즉,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 다양한 레퍼토리 소재 확보, 공연 전문 인력 확보, 체계적인 전문 마술사 육성 시스템 구축, 협업 시스템 도입, 사회적 인식 개선, 학술 연구 도입, 장르적 한계 극복, 관객의 저변 확대, 전국단위 단체 결성, 정부 지원 확보, 마술문화콘텐츠 안정적 원천 확보, 지적재산권 보호,「문화예술진흥법」상 ‘문화예술’범주에 편입 등의 14가지 요소이다. 마술문화콘텐츠업계는 도출된 요소를 반영하여 마술문화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마술문화콘텐츠의 산업적 측면의 학술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마술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을모색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델파이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세부 내용은 마술문화콘텐츠 산업계가 참고할 수 있는 실무적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연구의 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와 대학교육

        김만수 대중서사학회 2006 대중서사연구 Vol.- No.16

        문화산업과 문화상품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다. 이들의 영향력은 대학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문화콘텐츠학과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학과신설과 커리큘럼 개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화는 일반적으로 ‘좋은 것(good)’을 지칭하지만, 이제 현대사회에서 ‘상품(goods)’으로 기능할 것을 강요받고 있는 형국이다. 문화콘텐츠학의 탄생은 멀티미디어/매스미디어의 등장과 궤를 같이한다. 이 과정에서 예전의 전통적인 문화적 내용물들은 ‘문화콘텐츠’라는 이름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적절하고 만족할만한 커리큘럼을 마련하고, 문화콘텐츠의 대상과 방법론을 정립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 문화콘텐츠전공의 교과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한 학과의 분석이지만, 한국 대학들의 전반적인 운영방향과 일치하는 것이어서 표준모델로 간주하기에 크게 부족한 점은 없다고 보았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문화콘텐츠학의 성공과 실패, 가능성을 함께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문화콘텐츠, 인문학, 미디어, 콘텐츠, 교과과정, 스토리창작, 콘텐츠이론, 콘텐츠응용

      • 산업적 활용을 위한 불교문화콘텐츠 기획

        이재수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5 전자불전 Vol.8 No.-

        본 논문은 현재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와 문화콘텐츠 산업의 측면에서 불교문화콘텐츠의 기획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불교문화콘텐츠는 활용적인 가치도 매우 높은데,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확산, 교육적 활용도 매우 높고, 외국인들에게도 문화상품으로 훌륭한 역할을 하여,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상품으로서도 원소스 멀티유즈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전략에서 콘텐츠 기획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라는 One Source를 Multi-use로 개발하는 것이 기획의 목적이다. 아울러 사용자 중심의 열린 콘텐츠를 지양해야 할 것이다.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가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하는데 조금이나마 이바지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Plann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very broad and valuable. Educational applications, the expansion of people's understanding of our culture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culture to foreign countries are all highly expected. Furthermore, One Source with Multiple-Uses as a cultural product is available. The ultimate purpose of plann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lies in developing from one source contents into multi-use contents.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focused on open access to contents for the sake of the user's conveniences. I would like to dedicate myself to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which can reflect the true happiness way, the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