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재수,Lee, Jae-Su 대한인쇄문화협회 2007 프린팅코리아 Vol.63 No.-
대한인쇄문화협회와 한국이앤엑스는 프린코2007을 기념하여 지난 8월 22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코엑스 전시장 특별세미나실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박인섭 B&S Law Firm 개인자산관리연구소장이 '인쇄 경영과 재테크'에 대해, 이재수 동국대산업대학원겸임교수(일진피엠에스 부사장) '인쇄 블루오션 개발' 에 대해 각각 강의했다. 다음은 이재수 교수의 강연 내용이다.
이재수,나동균,김상겸,탁관철 대한성형외과학회 2008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5 No.3
Purpose: Microcystic adnexal carcinoma is a rare malignant appendage tumor, first described by Goldstein et al in 1982. Here, we present our experience in treatment of a case on the lower lip.Methods: A 52-year-old female with an asymptomatic nodule on the chin, previously misdiagnosed as trichoadenoma by needle aspiration biopsy, was treated by wide excision combined with multiple circumferential frozen biopsies.Results: 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typical features of microcystic adnexal carcinoma, such as basaloid and squamous cells forming nests and cord-like patterns, horn cysts, and minimal cytologic atypia. The patient has been followed up for 6 months. No sign of recurrence is noted to date.Conclusion: Differentiation from other benign adnexal neoplasms is important for its appropriate treatment. Differentiation can be difficult histological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acquire an adequate biopsy due to its invasiveness, and clinically due to its asymptomatic and slow growing features. Complete excision is the key treatment, but it may not always be the best solution considering the huge defect that may result and the low incidence of metastasis & deaths owing to the tumor. We add this case to the approximately 300 cases reported worldwid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이재수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5 No.-
본 논의는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이 수행해온 한국33관음성지순례 사업에 대한 성과와 평가를 통해 전통사찰 성지순례 사업의 발전방안을 고민하였 다. 먼저 33관음성지 사업을 평가하고, 전국적으로 관음성지화 될 수 있는 사찰을 다시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평가하였다. 논자는 전통사찰 소재 성지순례 사업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전통사찰이 지니고 있는 우수한 문화자원을 토대로 관광자원화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과 무궁무진한 역량을 살펴보았다. 한국불교의 특징과 문화 적 상징성 및 문화자원 연계 가능성이 큰 관음성지순례야 말로 종교관광 과 문화관광의 성공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논자는 전통사찰 성지순례 개발 및 활용을 위해서 제언하였다. 먼저 성 지순례의 체험요소 확보가 중요하다고 본다. 이를 위해 성지 관련 스토리 텔링과 순례자들의 체험을 공유하는 프로그램 개발, 성지에 관한 정보를 자세하게 제공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스토리텔링 작업이 필요하다. 둘 째, 보다 다양한 문화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본 논의에서 전통사찰을 소재로 성지순례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전통사찰 성격별 재정비 및 문화자원 활용방안 도출이 시급하다. 둘째, 성지순례 사찰의 스토리자원의 분석과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성지순례 사찰 전체에 통용될 수 있는 문화체험 및 신앙 의례를 개발하여 체험을 이끌어내 브랜드 체험을 각인시킬 수 있는 계기 를 마련해야 한다. 다음으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성지순례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제 안하였다. 아울러 운영조직체계의 확대 개편과 성지 인증제 도입 및 소통의 장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한국 전통사찰이 보유한 가치를 현대화하고 확장할 수 있는 전통사찰 성지순례 사업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이바지할 것이다. This discussion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temple pilgrimage project through the performance and evaluation of the Korea 33 Guanyin Holy Land Pilgrimage Project,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the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 This was first evaluated for the 33 Guanyin Holy Land Pilgrimage, and the results of conducting research on re-selection of temples that can be Guanyin Holy Land throughout the country were evaluated. I examined the prospects of pilgrimage to the Holy Land in traditional temples. Based on the excellent cultural resources of Korea's traditional temples, we looked at the sufficient possibilities and endless capabilities to make tourism resources. A pilgrimage to the Guanyin Holy Land Pilgrimage, which is highly likely to link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with cultural symbolism and cultural resources, is likely to be a successful example of religious tourism and cultural tourism. I propose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ilgrimage to traditional Buddhist temples. First of all, I think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experience element of pilgrimage to the Holy Land. To this end, more active storytelling work is needed to develop a program to share the pilgrims' experiences, an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Holy Land.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more diverse cultural tourism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In this discussion, a proposal was made for the development of pilgrimage to the Holy Land based on traditional temples. First, it is urgent to find ways to reorganize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by the nature of traditional templ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gram to analyze and utilize story resources of pilgrimage temples. Third, cultural experiences and rituals of faith that can be used throughout the pilgrimage temple should be developed, leading to the experience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mprint the brand experience. Next, w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the Holy Land Pilgrimage Brand Identity. In addition, it proposed the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operating organization system, the introduction of the Holy L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venue for communication. Through this discussion, we will contribute to a new leap forward in the pilgrimage project of traditional temples that can modernize and expand the value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불교와 사회과학 연구 성과와 과제:지난 40년 동안을 중심으로
이재수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ademic performancesof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social science for the past 40 yearsand to present research tasks. Because the areas of social science arevarious and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all the fields,the author restricted the areas to politics, economics, society,administration, and culture-related ones that are the centers of thescience. The basic research of Buddhism and social science began from the“View of State and Political Ideas of Buddhism,” a study that wasconducted to commemorate the 10th anniversary of the foundation ofthe Korea Buddhist Research Institute in Dongguk University in 1973. During 1980s and 1990s, where bases of studying Buddhism andsocial science were built,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Buddhist Studies published the Jeong Tae-Hyeok’s study, followed bythe study of social science from the Buddhist aspect by Kim Jin-Yeol,Park Gyeong-Jun, and Cha Cha-Seok and then the first study oftheoretical foundation of Buddhist sociology. Yu Seung-Mu attemptedto construct theories of Buddhist sociology from the aspects of socialscience. Studying Buddhism and social science can have twomethodologies: an approach to social science from the Buddhist basisand an approach to Buddhism from the basis of social science. Thefusion between the two measures may be most desirable. Also, social roles and tasks of Buddhism were identified via the processes anddiscussions of reform movements and Buddhism for the masses as theBuddhist social movements. Among the 877 report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for Buddhist Studies, the ones related to history of Buddhist thoughtswere 447, or 51%, followed by the ones related to Buddhist history(216, 24.6%) and the ones related to applied Buddhism (214, 24.4%). In particular, consistent effort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Studies may sufficiently contribute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growth of studies related to applied Buddhism since 2000. As for the diversified progresses and developments of Buddhismand social science since 2000, the author restricted the fields toBuddhist sociology and political science, Buddhist economics andbusiness administration, Buddhist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Buddhist ecology, and the fields related to culture, in order tounderstand the performance and flow of the studies settled in theacademic system (universities and associations). In this paper, the outcome of studies of Buddhism and socialscience may include Buddhist responses and searching answers formodern social problems from the theoretical bases and discussions inthe fields of various academic fields and fostering majors in appliedBuddhism who take lead in the studies in the future. Forums forexpanding the outcome of studies related to applied Buddhism wereestablished in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width of relative studieswas extended, and applied Buddhism may have taken the initiative inpresenting Buddhist responses and theories about the themes of variousdiscussions demanded from the situations of the times for Buddhism. Further tasks may include expansion of research into more variousfields, settlement of research methodology, and fusion betweenBuddhist aspects and bases of social science. In this paper the authorpresented necessity of consistent effort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modernization and socialization of Buddhism. Applied Buddhism via the encounter between Buddhism and socialscience may be settled as the true Buddhist studies of the times andserve as the future of Buddhism. 본 논의는 지난 40년 동안 불교학과 사회과학의 만남이라는 학문적 성과를 소개하고, 연구의 과제를 도출해보고자 한 것이다. 사회과학의 분야는 다양하고 복잡하여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그 중심이 되는 정치, 경제, 사회, 행정, 문화 관련 분야만 한정하였다. 불교와 사회과학의 기본적인 연구는 1973년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소의 개설 10주년 특집 ‘불교의 국가관 및 정치사상 연구’를 통해서 서막을 열게 되었다. 불교와 사회과학 연구의 토대 구축기인 1980-90년대 정태혁의 논의를 시작으로 불교학적 입장에서 사회과학을 연구한 김진열, 박경준, 차차석 등의 논의와 불교사회학의 이론적 정초의 연구 성과가 한국불교학을 동해 발표되었다. 유승무는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불교사회학의 이론구축을 시도하였다. 불교와 사회과학 연구는 불교학적 토대에서 사회과학을 접근하는 시각과 사회과학적인 토대에서 불교로 접근하는 두 방식이 있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이 양자의 중도적 융합이라고 본다. 또한 불교계 사회운동인 개혁운동, 민중불교운동의 과정과 논의를 통해 불교의 사회적 역할과 과제를 정리하였다. 『한국불교학』 수록 논문 877편 가운데 불교교학 관련 논문은 447편으로 전체 51%이고, 불교사학 관련 논문은 216편으로 24.6%, 응용불교 관련 논문은 214편으로 24.4%에 해당된다. 특히 2000년 이후로 응용불교 관련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은 한국불교학회의 지속적인 노력에 힘입었다고 할 수 있다. 2000년 이후 불교와 사회과학의 다양한 발전과 전개는 제도권(학교 및 학회)에 학문적으로 뿌리내린 성과와 흐름을 보기 위하여 불교사회학․정치학, 불교경제학․경영학, 불교행정학 및 문화관련 분야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와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면, 다양한 학문의 분야에서 이론적인 토대와 논의의 성과가 현대 사회문제와 불교적 대응과 해답 찾기를 이끌었으며, 이를 주도할 응용불교학 관련 전공자를 양성할 수 있게 되었다. 학회 및 단체에 응용불교학 관련 연구 성과를 확산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었고, 관련 연구의 폭이 확장되었으며, 그동안 응용불교학은 시대적인 상황이 불교계에 요구한 다양한 논의의 주제들에 대한 불교적 대응과 이론의 생산 등에 앞장서 왔다고 보았다. 향후의 과제로는 보다 다양한 분야로 연구영역이 확장되고 연구방법론이 정착되어야 하며, 불교적 입장과 사회과학적 토대를 중도적으로 융합해야 한다. 불교의 현대화 사회화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 및 학제간 연구가 필요함 등을 제시하였다. 불교와 사회과학의 만남을 통한 응용불교학은 이 시대 진정한 불교학으로 자리 잡게 되고, 불교학의 미래가 될 것이다.
요금소 하이패스 차로 배치 최적화를 위한 하이패스 차량 교통분산율 추정
이재수,이기영,이철기,윤일수,유정훈 한국ITS학회 201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2 No.4
고속도로 이용차량중 통행료 전자지불장치인 하이패스를 장착한 차량의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요금소 하이패스 차로 배치의 최적화는 교통제어와 운영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업소별 물리적 기하구조 형태와 교통 특성을 고려하여 현재의 하이패스차로 설치 위치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하이패스 차로별로 차량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이용하는가를 측정하기 위해 “하이패스차량 교통분산율이라는 새로운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교통분산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도출하여 이러한 변수들과 교통분산율과의 관계를 로지스틱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모형추정결과에 따르면 하이패스 교통량, 광장부 길이, 진입연결로와의 거리, 진출연결로와의 거리, 중앙 배치비율, 우측배치비율 등의 변수들이 교통분산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중에서 하이패스 차로배치 위치 변수인 중앙 배치비율, 우측 배치비율을 조정함으로서 교통분산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하이패스차로 배치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교통분산율을 계량화할 수 있게 되어 하이패스차로 위치 선정과 운영방식을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the percentage of vehicles equipped with Hi-pass, an electronic toll collecting device, has increased rapidly, it is very crucial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of Hi-pass lanes at a toll plaza in terms of traffic control and operation. In this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existing Hi-pass lanes of a toll plaza is evaluated considering its physical geometry and traffic characteristics. A new evaluating criterion called traffic dispersion rate is developed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traffic spreading across the toll booth lanes at a toll plaza. Logistic regression models are construct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ffic dispersion rate and its affecting variables. The model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several variables including Hi-pass lane traffic volume, length of toll plaza, entering/exiting taper lengths, and locations of Hi-pass lane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traffic dispersion rate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location of Hi-pass lanes. The study enables us to quantify traffic dispersion rate which can be used to optimize the location and operation of Hi-pass lanes at toll plazas.
이재수,이삼수 서울연구원 2010 서울도시연구 Vol.11 No.4
A self-reinforcing pattern of growing automobile dependence, automobile-oriented planning and development and segregated and sprawling land use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system over past decades in the U.S. To address the linkage,this study examines overall trends and causes and effects of automobile dependence in the U.S., the ideas and major issues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integrating land use and transportation as well as accomplishing sustainability goals. First, theory and issues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as a comprehensive framework needs to be studied in Korea. Performance measurement and decision-making system also need to be established. Policies and strategies for integrating land use and transportation proposed by new planning movements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Coherent land use policies and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stakeholders and public entities from the far-reaching perspective are required to control travel demand by land use measures. Finally,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oretical grounds, practical issues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and land use and transportation integration system to establish low-carbon and energy-saving cities in Korea.
스테레오 비젼 시스템에서 시차정보와 픽셀 유사도를 이용한 표적물체 추출
이재수,서춘원,김은수 한국통신학회 200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6 No.9
본 논문은 스테레오 시차정보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비젼 시스템에서 표적물체의 영역 및 위치를 구하고, 표적물체를 제외한 배경을 분리함으로써 표적물체 영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즉, 제안한 알고리즘은 스테레오 비젼 시스템에서 얻어지는 양안시차 정보와 각 픽셀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배경을 분리한 후 그 결과에 히스토그램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표적물체 영역을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은 스테레오 입력 영상에서 배경잡음과 관계없이 표적 물체영역을 추출할 수 있었고, 이의 구현으로 스테레오 원격작업 시스템이나 적응적인 스테레오 물체 추적기 등의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