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학교에서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 —대안학교와 미션스쿨의 비교 연구—

        황병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exam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This research examines high school principals’ understanding of highly competitive college entrance exam in Korea. Moreover, it display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with regards 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1)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entrance exam, 2) the educational purpose, 3) the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4) self-learning and supplementary lessons at schools, and 5) the importance of faithfu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exist differences in all the above mentioned categories between alternative schools and mission schools. Compared to mission schools, alternative schools have higher Christian perspectives on college entrance exam: the perspective of God’s calling, the perspective of God’s talents, the perspective on building God’s Kingdom, and the perspective on excellency in the order. This research found that while mission schools focused on happiness in life, raising virtuous humans, and cultivating men of talents for the nation; alternative schools concentrated on bringing up students as truly faithful Christians and professional Christians. Alternative schools showed that higher the mean of educational purpose is, higher the mean of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becomes. Alternative schools rarely or selectively enforced extra self-learning time and supplementary lessons at school. Compared to mission schools, alternative schools practiced higher levels of character education, religious (Biblical knowledge) education, chapel (worship) service, Bible study, and Q.T.(quiet time). Specifically, for Q.T,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ternative schools encouraged students to exercise Q.T more than mission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faithful life was closely related to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value standard of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The importance of the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high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f college entrance exam between alternative and mission schools and to suggest what factors influence to Christian understandings of college entrance exam for the futur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대안학교에서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이 미션스쿨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현상인 대학입시 과열경쟁에 대해 기독교학교 교장들의 대학입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것을 대안학교와 미션스쿨로 분류하여 대학입시 이해의 차이, 교육목적의 차이, 학생진로교육 가치기준의 차이,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 실시여부, 신앙생활의 중요성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션스쿨 학교운영자들과 비교해서 대안학교 학교운영자들은 더 높은 수준의 기독교적 입시관을 보였는데, 하나님의 부르심(소명)의 관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은사(재능)의 관점,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관점, 그리고 전문성(탁월성)의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미션스쿨의 교육목적이 행복한 생활, 덕 있는 사람 양성, 나라발전의 인재양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기독교 대안학교는 진정한 신앙인을 키우는 것과 기독교 전문인을 양성하는데 그 교육의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학교의 교과과정을 따르고 있는 미션스쿨은 학생들의 진로교육 가치기준이 기독교 대안학교와는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학생진로교육 가치관이 대안학교의 교육목적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또한 조사되었다. 미션스쿨과 비교해서 대안학교에서는 교육의 목적이 높아지면 학생진로교육의 가치기준도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션스쿨은 대안학교에 비교해서 더 높은 수준의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을 실시하였다. 대안학교의 경우, ‘자율학습 및 보충수업’은 거의 실시하지 않거나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션스쿨과 비교해서 대안학교는 더 높은 수준의 인성교육, 종교(성경지식)수업, 채플(예배), 성경공부, 개인(아침)경건의 시간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아침)경건의 시간의 실시여부는 대안학교가 미션스쿨보다 더 심도 깊게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신앙생활의 중요성은 교육의 목적과 학생진로교육의 가치기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중요성은 대안학교와 미션스쿨 학교운영자의 입시에 대한 인식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대안학교와 미션스쿨의 기독교적 입시관의 방향을 제시한다는데 그 중요성이 있다.

      • KCI등재

        공교육 측면에서 바라본 「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박남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2022년 1월 13일에 시행된 「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의 의미를 공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등록제 안착을위해 정비해 나가야 할 과제를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 「대안교육기관법」과 시행령의 주요내용을 정리하여교육감에게 등록하는 대안교육기관의 권한과 의무를 정리하고, 입법 과정에서 이슈화되었던 쟁점을 분석하여 법률제정의 의미를 공교육의 관점에서 재탐색하였다. 그 결과 「대안교육기관법」 제정이 갖는 공적인 의미는 공교육 정책방향의 변화가 외부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점, 공교육과 다른 교육기관이 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게 되었다는 점, 공교육과대안교육의 경계가 불명확해졌다는 점, 교육 수요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적 환경이 마련되었다는 점으로정리되었다. 등록제의 현장 안착을 위한 과제로는 교육청의 등록제 운영 역량 강화, 대안교육 정책방향에 대한 재검토, 미등록 시설에 대한 시‧도 공동대응 방안 모색, 등록제를 통해 확보되는 정보의 데이터화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대안교육기관법 관련 연구에서 가지는 의의는 공교육의 관점에서 제정의 의미를 탐색한 점이다. 대안교육기관법과관련한 선행연구들이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의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데 반해, 본 연구는 공교육 관점으로초점화하여 대안교육기관의 제도권 진입을 탐색하고 향후 공교육계에서 해결해 나가야 할 후속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안학교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정책 제안

        이병환(Lee Byung-Hw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3

        독특한 건학 이념과 대안적 교육 실천으로 주목을 받아 왔던 대안학교의 운영 성과를 진단하고, 새로운 학교 유형의 공간으로서 대안학교의 미래를 전망하는 일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학교 체제의 다양화를 통한 대안적 학교 유형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은 작게는 대안교육의 내실을 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크게는 공교육 체제의 경직성에 대한 또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대안학교를 대상으로 학교교육의 중핵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체계적인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노력은 비단 대안학교의 성장 토대를 공고히 하거나 확충하는 일일 뿐 아니라 일반 학교에 미치는 영향 또한 지대하다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많은 영역에서 그래왔듯이 대안교육의 성공적인경영 기법들이 일반 학교의 혁신적 경영을 견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전국에 소재한 대안학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 경영 실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현장 방문 면접을 통해 실제 당면한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들을 다각도로 진단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된 조사 결과를 통해 대안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운영, 평가의 교육과정 운영 단계별 정책 제안과 국가, 시ㆍ도교육청, 단위학교 등 교육과정 운영 주체별 정책 제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단위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자율적 역량 배양은 대안 학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단위학교 차원의 교육과정 활성화 방안도 제도적 차원과 연계하여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 뿐 아니라 앞으로 개정될 교육과정에서 각 대안학교가 견지해야 할 운영 지침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Nowadays the alternative education system starts to attract many people against standard public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political proposals for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in the alternative schools. Research methods utilized survey questions and school visiting interview in the understanding major issues of alternative school The present curriculum in specialized high school system is organized and managed by the consultation between the municipal or provincial boards of education with each school. The overall form is basically based on the important points of the 7th curriculum The curriculum is made up common and curricular compulsory courses with specialized subjects. Particularly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of specialized curriculum reveals educational features of each school. Therefore each school needs to design the general frame in the course of specialized high school education within the field of maintaining peculiar characteristics and autonomy of each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urriculum in the alternative schools four directions such as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elective-centered curricula, extra curricula activities, optional curricula activities are autonomy and learning society based education were adopted. The autonomy of alternative schools in the formation of their curriculum and their management must be secured. If central government controls alternative education, its proper value would be interfere with and it would be hard to manage alternative school with creativity and flexibility.

      • KCI등재

        제도권 내 미래형 대안교육의 방향성 탐색

        이길재,김지선,박태양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alternative education existing within the territory of public education system, wherein the role of alternative education is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service to public education. Based on the que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education’s leading the innovation of public education system by providing the direction of future alternative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some of the examples of alternative schools are visited such as the Met School, Alt School, and Chungbuk Future alternative education model. Drawing on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es, the direction of future alternative educ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model of futuristic alternative education is expected to not only focus on students‘ maladaptation, but need to be expanded in a direction that leads future experiments in education. Second, the model of future-oriented alternative education needs to put greater amount of emphasis on 'student-centered' curriculum reflecting the divers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learners. Third, the model of future-oriented alternative education is required to establish curriculum that is oriented to real life and local community. Last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dvanced technology in line with the demands of times. Although the educational ideologies and philosophies of public education and alternative education may vary by the spirit of the times, the ultimate goal is the same. What is desired of an alternative education is to move beyond qualitative change in public education to the innovation of it. 본 연구는 제도권 내에서 이루어지는 대안교육이 공교육의 대항 주체로서의 역할에 주력하고 있는 현 단계의 제도권 내 대안교육의 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 터해 진행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형 대안교육의 방향성을 수립함으로써 제도권 내의 대안교육이 공교육의 혁신을 주도하는 대안적 교육체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래형 대안교육의 우수사례로 메트스쿨, 알트스쿨, 충북미래형 대안교육 모델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래형 대안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학생의 부적응에만 초점을 두는 ‘대상’ 중심의 대안교육에서 벗어나 근대학교의 한계를 넘어설 교육의 미래적 실험을 선도하는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학생 맞춤’ 교육과정을 보다 더 강조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지역사회와 연계한 실생활 중심의 교육과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미래형 대안교육의 모델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교육 형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공교육과 대안교육의 교육이념과 철학이 시대정신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대안교육이 기존 학교교육의 질적 변화를 거쳐 새로운 교육을 이끄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비인가 대안학교 구성원이 인식하는 대안교육의 성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김윤희,이지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of the Non-alternative school, which is recognized by Non-alternative school members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For this purpose, 10 Non-alternative school members were interviewed and the transcripts were analysed. The success factors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recognized by the Non-alternative school members were classfied into six clusters. Six clusters were named as openness to change, commitment and enthusiasm of educational subjects, manifesta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philosophy, practice of social solidarity, pursuit of coexistence of education and life, healthy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In addition 'healthy democratic community culture' was the category with greatest deviation as a result of the assessement of importance and level of practice, and 'manifesta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philosophy' was the category with the highest harmonization, and the category with both lower importance and level of practice was 'practice of social solidarit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비인가 대안학교 구성원이 인식하는 대안교육의 성공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 method)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대안교육의 성공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수준을 알아보았다. 5년 이상의 비인가 대안학교 구성원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비인가 대안학교 구성원이 인식하는 대안교육의 성공요인은 ‘대안적 가치–현실구현’ 차원, ‘심리적 동력–사회적 동력’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변화에 대한 개방성, 교육 주체의 헌신과 유대감, 대안적 교육 철학의 발현, 사회적 연대 실천, 교육과 삶의 합치성 추구, 건강한 민주적 공동체 문화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이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 수준 평정 결과 가장 큰 편차를 보인 범주로 ‘건강한 민주적 공동체 문화’였으며 가장 높은 일치를 보인 범주로는 ‘대안적 교육 철학의 발현’이었고 중요도와 실행 수준이 모두 낮은 범주로는 ‘사회적 연대실천’이었다. 본 연구는 대안교육이 추구하는 대안적 가치가 현실 구현으로 일치하고자 하는 대안학교 구성원의 의지를 개념적 구조로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안학교 관련 쟁점 분석

        이병환(Lee Byung-H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4

        이 연구는 그 동안 추진되어 온 대안교육 정책의 주요 법령에 대해서 대안학교 관계자들이 직접 체감하고 있는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안학교 정책은 관련 법령의 정비를 통해서 이루어졌고 법제화의 진전은 곧 대안학교의 양성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대안학교관련 법령을 중심으로 쟁점을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향후 대안교육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대안학교가 최근 수년 동안 괄목할만한 법적 정비의 성과를 보였지만 그 내용이 현장 적합성을 갖추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지금까지 추진되었던 대안학교 제도화의 성과로서 관련 법령을 탐색하는 작업은 대안학교 법제화가 미완성이라는 점에서 향후 대안학교 법제화 방향설정과 대안교육 정책 추진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정책의 성패는 정책 수혜자들이 직접 체감하는 바에 달려있기 때문에 대안학교 운영 당사자들의 관련 법령에 대한 반응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이 연구는 대안학교 법제화의 주요 수혜자이자 대안교육의 현장 실천가이기도 한 대안학교 교원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사후 방문조사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대안교육의 실천 양상이 워낙 다양할 뿐 아니라 대안교육 관련 법령의 정비는 인가된 학교를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기 때문에 연구대상은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그간 추진되었던 대안교육 법령 정비의 성과가 대안교육 현장에서 대안적 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장치로 기능하는데 있어서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 6월에 공포된 대안학교 설립ㆍ운영 규정에 관한 대통령령은 시ㆍ도교육청과 단위 대안학교의 재량을 최대한 보장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기 때문에 대안학교 입장에서는 이 법령이 제대로 시행된다면 대안적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안교육 현장의 반응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대안학교 경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뿐 아니라 대안학교 관련 정책 수립과 집행과정에서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chieve improvement of alternative school management through survey centered teacher's in the alternative schools. This study accomplished form a part evaluation of policy for ordinances related with alternative schools. To achieve research purposes were used to literature study and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nd call on interview to explore issue of law in the government policy through 10th year after named alternative education firstly. Additionally Ministry of human resources and development made enactment 'Regulation about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alternative schools'(Presidential decree 20116. 2007. 6. 28) recently. Ordinances related with alternative schools such as Article 61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law and Article 105 of the same enforcement ordinance are reviewed. The autonomy of alternative schools in the formation of their curriculum and their management must be secured. If government controls alternative education, its proper value would be interfere with and it would be hard to manage alternative school with creativity and flexibility. For better creating legislation of systematic alternative schools should have the autonomy to create. Thus, legislation of alternative schools should break from the conventional educational system. Also,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rules less strict and more supportive for the autonomous school running to create systematic school reform.

      • KCI등재

        역사적 문제로서 기독교대안교육

        송순재(Song,Sun-Jae)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3 기독교교육논총 Vol.9 No.-

        본 연구는 서양교육사적 시각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인 “대안교육운동”에 있어 기독교가 가지는 의미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는 대안교육운동이 상당부분 기독교 신앙인들에 의해 촉발되었음과, 아울러 그러한 대안학교들에서 이루어지는 기독교종교교육이 성격상 기존의 기독교종립학교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왔음을 뜻하는 것이다. 기독교종립학교(christian Religious School)면서도 대안교육을 표방하는 학교, 즉 “기독교종립대안학교”(Christian Religious Alternativschool)의 경우도 있는데, 여기서 그러한 문제의 성격은 보다 명백히 드러난다. 이는 서양에서 뿐 아니라, 태동된지 이제 십여년 정도 밖에는 되지 않은, 그러나 그간 상당한 파급력을 가지고 빠르게 확산되어 온 우리나라 대안교육운동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동서양 대안교육 연구 영역에서 이 주제는 지금까지 그리 심도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단 서양에서 이루어진 주요한 면모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대안교육운동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핀 후, 본 주제는 이를 배경으로 기독교대안교육 내지 기독교종립대안학교 사례를 들어 살피고자 했다. 그 주요한 사례들이란 예컨대 전원학사(Landerziehungsheim)의 종교수업, 발도르프 학교(Waldorfschule)의 자유종교교육(free religious education), 마리아 몬테소리Maria Montessori)의 종교교육, 덴마크의 자유교육(friskole in Denmark)에서의 자유종교교육, 현대적 기독교종립대안학교인 카알 요제프 라이프레히트 학교 (Carl-Joseph-Leiprecht-Schule)의 자유종교교육 등이나, 지면상 덴마크와 현대적 기독교종립대안학교 사례에 국한 하였다. 결론 부분에서는 대안교육운동 전반에서 문제시 되는 몇몇 쟁점들을 거론하고, 또 그 맥락에서 대안교육과 기독교종교교육간의 관계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간추려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volution, characteristics, and major issues in the fast expanding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 since the mid 1990s. In Korea, such alternative education has been mostly a practical education movement rather than an academic exercise. In this vein, this study is going to clarify the concept of alternative education through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wo distinctive practical modes are dealt with at this point. One is an alternative school beyond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the other is the one goes in and out of the public education structur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focuses on some current debatable issues and tasks based upon each alternative education s philosophical points and features implied in their course of their process of evolution. For the study, the truthfulness of education/alternative education and true education /the definition of alternative education/early models of alternative education/ small schools /the foundation of alternative schools and public education/freedom in alternative schools/hastily founding of alternative schools/lack of educational preparation/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minority are discussed. This historiographical study, the researcher attempts to present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somewhat biased and limited approaches to alternative education in field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alternative education topics are to be spot-lighted in the broad range and properly encourage meaningful communications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대안학교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교사의 통합교육 실행과 인식 및 지원 요구

        박지영,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3 No.3

        This is the first study conducted in Korea to present information on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rolled in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158 teachers at 19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responded to the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d: (1)the current status of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at those 19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2)th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clusive education in general and in their schools; (3)the teachers' support needs for implementing quality inclusive education at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Finally,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topics and policy-making supporting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at alternative school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전국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현황과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 실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첫 번째 조사연구이다. 전국의 19개 대안학교 초등교사 158명을 대상으로: (1) 대안학교에서의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현황 및 통합교육 실행실태; (2) 대안학교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인식과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3) 대안학교 초등교사의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전국 대안학교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는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의 일반적 실태 정보를 제시하며, 교사들의 통합교육 인식 및 지원 요구를 조사한 연구로서 향후 대안학교에서 장애학생 통합교육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 필요한 체제를 마련해 나가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안학교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 현황과 실태에 중점을 둔 첫 조사연구이여서 심층적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교육 맥락에서 장애학생 교육과 통합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논의를 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다양한 학생들을 위한 양질의 교육 제공과 장애학생을 위한 양질의 통합교육 제공 과제의 제휴를 통하여 모든 학생들 개개인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는 최적합한 학교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많은 후속연구들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대안학교의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적 배려의 필요성을 지적한다.

      • KCI등재

        미국 대안교육의 다양화 경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

        이병환(Lee Byung H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1

        이 연구는 미국 대안교육의 실천 양상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대안학교 경영과 대안교육 정책 추진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국의 대안교육은 오랜 역사적 맥락을 통해 형성되어 온 주권재민의 민주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개인의 개성 존중과 사회통합의 조화를 꾀하려는 실험적 시도들을 전개 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이후 국가 주도의 경직된 교육체제에 대한 반성과 학교체제의 다양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비등해 짐에 따라, 중동교육의 큰 줄기를 형성해 왔던 고교평준화 제도의 개선 방안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대안학교 동 새로운 유형의 학교에 주목하면서 변화된 교육패러다임을 담아내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었다. 대안학교는 학교체제의 다양화라는 사회적 요구 뿐 아니라, 양적 팽창의 그늘에 가려서 제대로 검토되지 못했던 공교육의 반성적 분위기를 배경으로 많은 사회적 기대 속에 등장하였다. 우리나라의 대안학교는 역사적 기원이나 교육철학이 서구에 비해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에 엄청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음을 볼 때 대안적 교육 모형에 대한 갈증은 범사회적 요청이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달리 구체적인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작업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것이 사실이었다. 미국 대안학교의 최근 동향을 이해하는 작업은 우리나라 대안 학교 경영에서 뿐만 아니라 공교육의 전반에 걸쳐서 생명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 대안교육의 다양화 경향을 대안교육의 준거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안교육 정책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미국의 대안교육은 차터스쿨, 매그넷스쿨, 공립 대안학교, 홈스쿨링, 종교학교 등 다양한 형태로 각기 특색있게 발전하고 있다. 미국 대안학교의 동향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개인차 존중, 학교 경영의 효율성 증진, 교육수요자의 선택권 보장, 탄력적인 학교 경영 체제, 사회통합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안학교 정책 뿐만 아니라 공교육 체제 전반에서 범세계적인 교육패러다임의 변화 양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학교체제 전반을 개혁해야 할 것이며, 교육을 통한 사회통합 및 다양하고 만족스러운 교육서비스 제공이라는 틀속에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chieve the suggestions to promote that of Korean alternative education policy through the diversity of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at is to say find it is possibility can apply in the Korean situation through take a view by and large status of alternative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o achieve research purposes were used to literature study and explored major issue the target of schools named alternative educatio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Most alternative schools aim to realize an alternative vision of schooling and have considerabl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The school administration should found small schools for students to effective individual schooling. Second, Educator concerned with meeting the individual needs of different students should create "flexible alternative program" as charter school, magnet school, public alternative school, home schooling ets which provided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and structures for students who did not "fit in" to the traditional schools' programs. In conclusion, through diversity of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an be understood as a alternative fitting for the students were than antithesis against public education system. Also,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rules less strict and more supportive for the autonomous school running to create systematic school reform.

      • KCI등재

        대안학교에서 디자인 씽킹 교육 적용을 통한 디자인교육의 필요성 탐색

        박은규,최명식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When analyzing the education curriculum of Alternative Schools in the Gyeonggi-do area, it was discovered that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art field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education curriculum of general academic schools, and learner-centric education was not being conducted properly. In these educational environments, Design Education is an education method that can lead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it is expected to solve many of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lternative Education syst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and analyze the effects of Design Education on students in Alternative Schools and explore its necessity. In addition, it is a Design Education experiment conducted on Alternative School students. For two years, 94 high school students at Central Yedam Christian Academy, an Alternativ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were provided with Design Education. At the end of their second semester, a project where they could apply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o solve problems at their school was conducted. Then, the data was collected after the project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ternative Education in the art field, different from general academic schools, is necessary. Second, Design Education improves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can teach them creative Design Thinking Processes. Third, students hope for Alternative Education focused on various experiences and activities, and Design Education is suited for such Alternative Education.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es were higher as Design Education provided them with aspects that can not be taught in general academic schools due to organizational reasons. Therefore, Design Education will prove to be the Alternative Education method that solves the problem that current Alternative Schools lack differentiation from regular public education. 경기도에 있는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예술분야의 대안교육은 일반학교의 교육과정과 큰차이가 없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교육 환경 속에서 디자인교육은 창의적인 사고 능력의 향상을 이끌 수 있는 교육이며, 기존 대안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는 대안학교 현장에서 디자인교육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그 필요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더불어 대안학교 학생을대상으로 하는 디자인교육 실험이기도 하다. 2년 동안 경기도에 위치한 대안학교인 중앙예닮학교 고등학생 94명을 대상으로 디자인교육을 시행했으며, 2학기에 진행한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바탕으로교내의 문제를 학생들이 직접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연구 수업 이후의 설문조사와심층면담을 진행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학교와는 다른예술분야의 대안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디자인교육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이끌어 낼 수 있으며,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방식을 배울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은 다양한 체험과 활동 위주의 대안교육을 희망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안교육으로서 디자인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디자인교육은 일반 교육과정에서편제상 일반 학교에서 배울 수 없기에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욱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디자인교육은 공교육과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다는 대안학교의 문제점을 해결해주는 대안교육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