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단위 쓰기 평가 설계를 위한 평가 체제 검토 -SAT essay와 GRE Analytical Writing을 중심으로-

        오규설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6

        대단위 쓰기 평가는 교실 쓰기 평가와 대별되어 특정 규모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접 평가 방식의 쓰기 평가를 말한다. 서논술형 평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강해지는 가운데, 타당도와 신뢰도, 공정성을 확보한 대단위 쓰기 평가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평가틀의 관점에서 대학 이상 기관의 선발 시험에서 시행한 대단위 쓰기 평가 체제를 검토하여 대단위 쓰기 평가의 체제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SAT와 GRE의 쓰기 평가 체제와 개발 과정을 검토하여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단위 쓰기 평가의 설계를 위해 증거 중심 설계와 평가 공학적 접근의 활용 방안, 다양한 심리측정학적 접근 방법을 활용한 대단위 쓰기 평가 설계 연구 방안을 제시하였고, 공정성 확보를 위한 실질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differentiate from classroom writing assessments as they are a direct assessment method targeting a significant number of learners. With the increasing societal demand for essay type assessments, systematic research must precede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ensuring validity, reliability, and fairnes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assessment systems of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administered in college-level selection exams, extract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 framework. In pursuit of this objective, the study examined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writing assessment systems and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United States' SAT and GRE. For the design of the large-scale writing assessments, this study proposed research methods utilizing evidence-centered design, assessment engineering approaches, and various psychometric approaches. It also discussed practical alternatives to secure fairness.

      • KCI등재후보

        중국의 주택제도 개혁과 '단위체제'의 해체: 상해시를 중심으로

        김영진,장홍밍,임반석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3 국제지역연구 Vol.12 No.3

        This paper examines the housing reform and its deconstructive implications on the so-called “work unit system,”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s of social management in China. During the pre-reform period a typical work unit combined the workplace and housing, the latter was an indispensable aspect of the work unit system. This paper first explains the formation of public ownership of housing and its distribution system in the planned society, focusing on Shanghai. Then the reforming process of housing is examined, focusing on the important points of the reform: namely, raising rent on the one hand and selling out public housing on the oth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ousing reform and its results, two examples were studied in a field work research at Shanghai Guangming Middle School and Shanghai Jinshan Petroleum Inc. Through a summary of the fi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the housing reforms have contributed to the deconstruction of the work unit system, which has resulted in an improvement of the inequality of living conditions. Housing reforms not only increase the liquidity of human resources but also relaxes the state’s control of society. 이 글은 중국에서 계획체제의 중요한 사회관리 방식의 하나인 소위 단위체제가 개혁과정에서 어떻게 해체되고 있는지 주택개혁을 통해서 살펴본다. 계획체제에서 주택은 직장과 주거지의 공간적 일치를 특징으로 하는 전형적인 단위체제의 불가결한 구성요소였다. 따라서 주택의 상품화는 단위체제 해체의 중요한 측면을 이루고 있다. 방법론적으로 이 글은 주택제도의 개혁이 단순히 경제적 효율성에 입각한 것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적 이해구조와 관련된다는 시각, 즉 정치경제적 시각에 입각하고 있다. 글의 전개에 있어서는 먼저 계획체제에서 공유주택 제도의 성립과 주택분배 제도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어 개혁 과정에서 공유주택 임대료의 인상과 공유주택 매각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개혁 과정에 관해 논의한다. 그와 함께 구체적인 주택개혁의 사례로서 상해시에 소재하는 광명중학과 금산석화유한주식회사에 대한 현지조사 내용이 검토된다. 결론적으로 주택개혁이 단위체제 해체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와 함께 주택의 상품화 개혁은 한편으로 주거공간의 확대를 가져오지만 다른 한편 주거조건의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 아울러 주택개혁은 인적인 요소의 유동성 확대와 함께 사회에 대한 국가의 통제와 간섭의 이완을 내포하고 있다.

      • KCI등재

        지역발전사업(지원계정) 평가체제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김명엽(Kim, Myeongyeob) 한국지역지리학회 2019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지역발전사업(지원계정) 평가체제의 변천과정과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향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는 외부평가자의 의견과 내부의 자기성찰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사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 만큼이나 중요하다. 2005년부터 시작된 지역발전사업(지원계정) 평가는 균형위(평가총괄)-평가자문단(평가수행)-전문평가기관(평가지원)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부처의 자체평가에 대한 종합평가 절차로 평가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제고해 왔다. 그리고 사업의 기획, 집행, 성과를 점검하는 평가지표를 마련하고, 평가결과를 사업 예산조정이나 체계개편 등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해 왔다. 향후에는 피평가자인 부처의 평가계획 수립과정 등에 참여를 확대하여 평가의 수용성을 제고해 나가야 한다. 또한 사업의 지역단위 성과평가 체제를 마련하고, 활용중심의 평가를 위해 평가결과의 후속조치에 대해 추적·관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and status of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local support account)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Evaluation is as important as planning and executing a project as a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through external evaluators" opinions and internal self-reflection. The evalu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local support accounts) that has been underway since 2005 is being pursued by establishing fair and professional evaluation systems and procedures. And the evaluation authority has set up evaluation indicators to check the planning, execution and performance of projects, and has made efforts to utilize the evaluation results practically for the adjustment of project budget and the restructuring of projects. In the future, participation in the evaluation planning process of appraisee should be expanded to enhance the acceptability of evaluation.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regional uni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project, and to follow up and manage the follow - up of the evaluation results for utilization-oriented evaluation.

      • KCI등재

        중국의 체제전환과 「사상정치공작 연구회」- 1990년대 도시개혁 시기 국유기업 개혁과 단위체제 해제를 중심으로

        박철현(Park, Chul-Hyun) 도시사학회 2021 도시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1980년대와 큰 차별성을 보이는 1990년대 ‘도시개혁’의 과정에서 국유기업 개혁과 단위체제 해체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노동자의 불만과 저항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에 대응하여 국가가 투사한 이데올로기를 「사상정치공작 연구회」를 통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90년대 「사상정치공작 연구회」와 국가의 관계는 ‘행정적인 지휘와 복종’으로 구체화되고, 학술지 『사상정치공작연구』는 ‘주식제 도입에 의한 현대적 기업 건설’, ‘정리해고’, ‘재취업’, ‘공유제 주택 폐지’ 등 ‘도시개혁’의 주요 조치들에 대응하여 이를 정당화 합리화하는 이데올로기를 투사한다. 또한 기관차 제작이 주요 생산활동인 다롄기차차량창의 사례를 통해서 1990년대 국유기업 개혁과 단위체제 해체가 실제 기업 층위에서 어떠한 조치를 통해서 진행되었고, 이에 대응하는 어떠한 이데올로기가 「사상정치공작연구회」에 의해서 투사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1980년대, 1990년대에 이어서, 중국이 ‘세계의 공장’이 되는 21세기에「사상정치공작 연구회」의 위상과 조직의 변화 및 이데올로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Against the backdrop of the deepening of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and danwei system dismantling during the course of urban reform in the 1990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deology of the 〈Chinese Society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Work〉 which coped with workers’ discontent and resistance. The relationship of ‘administrative command and obedience’ between 〈Chinese Society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Work〉 and the state settled down in the 1990s. Research on Ideological and Political Work, the scholarly journal of the 〈Chinese Society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Work〉, projected the justification ideology in response to the measures of urban reform.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case of the Dalian Locomotive & Rolling Stock Company in order to clarify the corporate-scale realities of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and danwei system dismantling, and the ideology that was projected through these processes. Furthermore, this paper raises the necessity of additional research on the〈Chinese Society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Work〉 in the 2000s, when China became ‘the factory of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동북지역 사회관리 정책에서 나타나는 당·정 주도성

        백승욱 ( Baek Seung-wook ),김판수 ( Kim Pan-su ),정규식 ( Jeong Kyu-sik ) 현대중국학회 2017 現代中國硏究 Vol.19 No.2

        동북지역 사회조직이 사회관리에 대한 참여에서 주로 채택하는 것은 ‘합작모델’이다. 동북지역의 사회관리 정책이 사구차원에서 수행되면서 나타나는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조직에 의한 서비스구매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경쟁력 있는 사회조직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구매는 경쟁적 입찰이라기보다 수의계약에 가까운 방식으로 특정 사회조직에 혜택을 집중시킨다. 둘째, 사회조직의 저발전 때문에 지방정부와 지방정부의 후원을 받는 반(半)-관 사회조직 사이의 긴밀한 협조관계가 수립되기 쉽다. 셋째, 단위체제의 역할은 약화되었지만, 동북지역의 사회관리와 사회조직 운영의 배경에는 여전히 단위체제의 특성이 온존하고 있다. 넷째, 위에서 아래로의 관리가 실질적으로 강조되다 보니, 현실적으로 남는 것은 격자망화에 기반한 통제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Northeastern Provinces in China are catching up with ‘advanced models’ of social management(or social governance) in Southern Provinces. In Northeastern provinces,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social government policies is witnessed in their cooperative model. Northeastern provinces display their important characteristics in social management policies as follows: 1) owing to few independent social organizations, targeted model social organizations are easily selected as suppliers for social services; 2) semi-governmental organizations are established as official ‘NGOs’ suit for government standard; 3) continuing legacy of work unit system is still found in these area; 4) ‘Grid management’ technic is widely introduced to control the society.

      • KCI등재

        자기주도적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PDS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구원회,박영희,나귀수,황연주,하정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model (PDS) for the reinforcement of teacher's self-directed teaching capability. To achieve this aim, we conduced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attended seminars, internal and external conferences and searched for a PDS model. As a result, we have develop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model. We established five PDS standards - Collaboration, Learning Community, Structure and Resources, Self-directed attitude, and Evaluation(accountability). We developed a teacher learning community-centered model, a work study-centered model, and unit school-centered model. We discussed mutually beneficial university-school collaboration, teachers' continuous practicing ability and attitud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ssistanc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eachers' needs as essential components for developing a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model in Korea. 이 논문의 목적은 교사 전문성 발달의 새로운 접근으로 주목받고 있는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의 관점에서 한국의 교사들이 자기주도적인 교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PDS 모형을 개발하고, 개발한 PDS 모형의 현실 적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국내외 관련 연구에 대한 검토, 설문조사, 학술대회 등를 통해 PDS 모형을 탐색하였고, PDS의 다섯 가지 기준을 협동, 학습공동체, 구조와 자원, 자기 주도성, 평가로 설정하고, 교사공동체 중심, 연수 중심, 단위학교 중심의 PDS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PDS 모형을 한국에서 구현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조건들로 학교와 대학간의 동등하고 호혜적인 협력, 전문성 발달을 추구하는 교사의 학습 의지와 지속적인 실천 능력, 교사의 요구에 기반한 전문성 발달 지원 등을 논의하였다. 한국의 교육 현실에서 단순히 교사교육제도의 변화나 일부 교사들의 개인적 각성만으로는 교사전문성체제가 구축되기 어렵다. 교육은 단순히 제도나 정책의 변화 문제를 넘어서는, 우리의 삶과 교육에 대한 가치와 문화의 문제이다. 학교가 변하고 교육이 변하려면 제도나 정책을 잘 만들고 운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바로 교육과 관련된 우리의 삶과 생각과 태도를 변화시키고 이를 실천하는 일이다. PDS내에서 대학과 학교, 교사공동체가 발전적으로 변화하려면 상호간의 인식 차이를 좁히고 이해를 넓혀가야 한다. PDS를 통해 서로 다른 환경과 문화에 처해있는 대학 연구자와 교사가 서로를 더 잘 이해하고 협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동북지역 도시공간의 재구성과 사회 거버넌스 체계의 변화

        정규식 만주학회 2020 만주연구 Vol.- No.29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and socio-economic causes of the differenc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ast region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social governance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ground power mechanism and governance structure that actually works in urban spaces of the northeast region are changing. Since the 2000s, the Northeast has emphasized the reduction of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in response to the central government's social governance system, and the shift to a ‘public autonomy’ model where local residents and social organizations participate. However, in the Northeast region, the influence of local governments from the ‘community building’ process is very strong. Above all, due to the low level of competence and development of social organizations, the generalization of ‘government-led communities’ and the discontinuation of administrativeization continue to be obstacles. In fact, in the ‘government-social cooperation’ model developed in the northeast region, most of the forms are in progress with social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council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local governments or social organizations that have high influence on local society.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the Northeast region, independent social organizations do not have a large capacity, so most of them stay in the subsidiary role of government projects. Under these circumstances, social governance projects in the Northeast region may potential risk the selective development of projects that meet the interests of the government, while certain interest groups or relatives who have collaborated with local governments monopolize privileges. In addition,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nd expenses to participate in social organizations, and the lack of system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vitalizing social organizations are pointed out as important limitations in establishing a social governance system in the Northeast region. 본 논문은 ‘사회 거버넌스 체계’로의 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중국 동북지역의 독특한 특성에 주목하여 그 차이가 발현된 역사적・사회경제적 원인을 고찰하고, 나아가 동북지역의 도시공간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기층 권력기제 및 지배구조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개혁개방 이후 ‘단위체제’의 해체와 ‘사구건설’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동북지역에서도 다양한 사구 건설 실험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공업단위제 사회’의 특성과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요구를 반영하여 전개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부터 중앙정부의 사회 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부응하여 지방정부의 권한을 축소하고, 지역주민 및 사회조직이 참여하는 ‘공민(公民)자치’ 모델로 전환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동북지역의 경우 ‘사구건설’ 과정에서부터 지방정부의 영향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사회조직의 역량과 발전 수준이 낮기 때문에 정부주도형 사구의 보편화와 그에 따른 행정화의 폐단이 심각하다. 실제로 동북지역에서 전개되는 ‘정부-사회 합작’ 과정을 보면, 기존에 지방정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관에서 설립한 사회조직이나 지방사회에 영향력이 큰 사회조직과 진행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또한 동북지역 특성상 독립적인 사회조직의 역량이 크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정부 프로젝트 사업의 보조역할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으며, 이마저도 단기적이거나 임시적인 형태이기에 장기적인 전망을 갖기가 어렵다. 따라서 동북지역의 사회 거버넌스 프로젝트는 지방정부와 결탁한 특정 이익집단이나 친족이 특권을 독점하면서 정부의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사업만을 선별적으로 전개해나갈 위험이 잠재해 있다. 또한 사회조직에 참여하는 인재와 경비의 부족, 사회조직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행정 절차의 미비 등이 동북지역 사회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중요한 한계로 지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바다에서 보는 역사’와 8∼13세기 ‘해양권역’의 형성

        현재열 부산경남사학회 2015 역사와 경계 Vol.96 No.-

        This article attempts to outline the ‘history seen from the sea’, a trend of the World history, and depict its meaning of historical methodology. In addition to that, it sumts the ‘Sea-Areas’ as an historical analytic frame on which the history have to rely, interrogating some problems posed on the ‘history seen from the sea’ now. And then, it determines tentatively when these sea-areas had constituted on a worldwide scale and what their extents were respectively: Seven sea-areas which had constituted over a long time span between the eighth to the thirteenth centuries. The ‘hsitroy seen from the sea’ has made a effort to break out of the history which focus on the borderness and the hierarchy of human communities,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nation involved by the continent-centered history, by the exploration of human activities on the sea that is a space with fluidity, multifacedness, and superposition. Thus, it has showd the possibilities that it would escape from the frame of the national history which has dominated the modern historical scholar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history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free the historical writings of non-european regions from the eurocentrism that has defined them under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Nonetheless, it can't be said yet that the ‘history seen from the sea’ liberates successfully from these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history and the eurocentrism. Among others, we can often see that this ‘history’ rather dismiss intentionally the dark side of the modernity, that is, the coloniality by bringing the surmounting of the ecurocentrism into the front as well. Here, we are forced to ask this question: How should the new historical writings of true ‘world history’ charge the class, hierarchy, and exploitation of the modern capitalism? 이 논문은 인간의 역사를 장기적 전망 하에서 전 지구적 시야 속에서 접근하는 세계사 연구 경향 중 하나인 ‘바다에서 보는 역사’를 대략적으로 살펴보고 그 역사방법론적 의미를 그려본다. 나아가 ‘바다에서 보는 역사’가 현재 가지고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보면서, 역사라면 당연히 가져야 할 연구 및 분석 단위로서 ‘해양권역’을 상정한다. 그리고 현재까지의 여러 실증적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해양권역’의 전 세계적 범위의 형성 시기와 그 범위들의 설정을 시론적으로 시도하여, 8세기에서 13세기에 걸치는 장기적인 국면 속에서 이루어진 7개 정도의 ‘해양권역’들을 제시한다. ‘바다에서 보는 역사’는 지금까지의 대륙 중심의 역사가 가지는 국가사적 전망, 인간 집단의 경계성에 초점을 두는 역사에서 벗어나 유동적이면서 중첩적인 열린 공간인 바다를 중심으로 인간 활동의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하기에 ‘바다에서 보는 역사’는 분명 19세기 근대 역사학의 성립 이후 역사를 독점해 온 국가사의 틀을 벗어나면서, 동시에 ‘계몽의 기획’ 속에서 비유럽 세계의 역사서술을 규정해온 유럽중심적 역사서술을 탈피할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바다에서 보는 역사’가 완전히 이런 국가사적 전망과 유럽중심적 역사서술을 벗어난 것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 ‘바다에서 보는 역사’가 내세우는 유럽중심적 역사서술의 탈피가 오히려 근대성의 전개가 내포하는 ‘어두운 면’, 즉 식민성에 대한 의도적인 외면으로 귀결되고 있는 모습 또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진정한 ‘세계사’의 새로운 서술이 과연 근대 자본주의가 가졌던 계급성과 위계성, 착취성을 어떻게 담보하며 전개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거리를 안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