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정책학의 신지평과 만주문제 인식 - 야나이하라 다다오(矢內原忠雄)를 중심으로 -

        박양신 만주학회 2016 만주연구 Vol.- No.21

        This article reviews the recognition of a series of situations that unfolded around Manchuria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of 1931, and is based on the arguments of Tadao Yanaihara, a colonial policy scholar. Yanaihara started to study Manchurian problems primarily motivated by the Manchurian Incident. He viewed the Manchurian Incident as the result of the collision between Japanese imperialism and Chinese nationalism,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Manchukuo. He argued that Manchukuo was a state having colonial interests for Japan, and at most only a “quasi-protectorate” rather than the independent stat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claimed. As for immigration policy to Manchuria, Yanaihara took the position that Manchuria is not suitable for the settlement of the Japanese. His position contrasted other colonial policy scholars of the time including Miono Yamamoto, who had emphasized the need for immigration and colonization as a solution to overpopulation. Yanaihara was critical to Japan/Manchuria block economic theory and to the planned economy in Manchuria. He argued that the economic block cannot maintain a self-sufficient economy both in Japan and Manchuria, and that it is important to boost the economic development of Manchuria independently. He also criticized the Manchurian controlled economy, arguing that joint national companies are not appropriate in light of Manchuria’s economic level, and industrial control from a military point of view is not common economic practice. 이 글은 만주사변 이후 전개되는 만주를 둘러싼 일련의 사태에 대한 인식을 식민정책학자인 야나이하라 다다오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야나이하라는 만주사변을 계기로 만주문제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그에 따르면 만주사변은 일본 제국주의와 중국 국민주의의 충돌이었으며,그 산물이 만주국이다. 그는 만주국에 대해 일본이 ‘식민지적 이해관계’를 갖는 국가이며, 정부의 주장처럼 독립국가가 아니라 ‘준보호국’ 정도의 위상이라고 규정했다. 만주사변 이후 실행된 정부의 만주 이민정책에 대해서는 만주는 일본인의 이주지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였다. 이는 종전부터 과잉 인구의 해결책으로서 이민과 식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던 야마모토 미노오를 비롯한 당시의 식민정책학자들이 만주 이민에 적극적이었던 것과 대조되는 주장이었다. 야나이하라는 일만경제블록론이나 만주 경제통제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이었다. 일본과 만주의 블록경제만으로는 일본, 만주 모두 자급자족적 경제를 유지할 수 없으며, 블록경제에서 중요한 것은 만주 자체의 개발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만주 경제통제책에 대해서는 전국적 기업합동안은 만주의 경제발달 수준에 비추어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하고, 군사적 견지에서의 산업통제는 경제의 ‘상도(常道)’가 아니라고 비판하였다.

      • KCI등재후보

        아베 고보의 ‘만주표상’-귀환자의 노스탤지어-

        박이진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본 논문은 일본작가 아베 고보의 ‘만주표상’이 형성된 과정을 추적한 것으로, 이전까지 선행론에서 지적되어 오던 ‘패전을 통한 고향상실감’이라는 논리구도를 좀 더 확장시켜 아베 고보의 전후일본에서의 인식 변화에 착안하여 고향상실자의 시점이 형성된 구도를 고찰하였다. 아베 고보는 전후일본을 대표하는 문학자로 일본의 카프카라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기도 하다. 1948년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하는 그는, 자신이 유소년기에 보냈던 만주를 무대로 한 소설을 데뷔작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패전으로 만주에서 일본으로 강제 귀송 조치에 따라야 했던 아베 고보는 실제 자신의 출신 때문에 아이덴티티의 균열을 겪게 된다. 전후일본 사회에서 만주일본인이라는 출신이 갖는 이질감을 자각했던 아베는 만주에서는 지배민족 일본인이었던 자신의 과거 사이에서 극심한 저항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과거 자신의 고향에서 침략자이자 식민자였던 만주일본인이 갖는 위화감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인식하게 되는 아베는, 같은 일본인 사이에 벌어지는 복수극을 그린 『굶주린 피부』라는 작품을 통해 그러한 내적 갈등(혼란)을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자신이 계획한 복수가 성공한 듯해도 스스로를 향한 자괴감은 일본인이라는 출신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는 현실을 다시금 상기시키게 된다. 결국 아베 고보는 식민지주의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감을 폭력성을 통해 묘사, 풍자하게 되고, 식민지의 풍경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 존재인 피식민자의 입장을 사자(死者)로 그려내게 된다. 『변형의 기록』이 그것으로, 이 작품은 과거 만주와 전후일본의 피식민자의 입장을 이중적으로 투영한 것이기도 하다. 아베 고보는 전후일본의 미군점령의 현실을 식민지주의라는 지배 이데올로기로 직시한 것으로 이와 동시에 만주에서의 일본인이 갖고 있던 존재감을 보다 선명하게 인식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제는 더 이상 만주를 고향이라고 여길 수 없는, 고향상실자로서의 위치감각을 인지하게 된다. 『탐정과 나』에서 묘사되듯이 건조한 날씨와 회오리치는 모래 바람처럼 황량하고 메마른 만주의 표상은 실제 만주의 풍토를 이루는 요소이기도 하지만, 침략자 일본인이라는 사실관계 때문에 오는 죄책감에 그리움이 넘치는 정겨운 기억으로 고향 만주를 표현할 수 없었기에 형성된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아베 고보의 인식 변화에 따른 노스탤지어의 형성과정으로, 황량하고 살풍경한 만주의 이미지는 아베 자신의 표상할 수 없는 고향에 대한 내면 풍경을 함유하고 있다.

      • KCI등재

        전시체제 하 만주국의 국병법 선전

        전경선 만주학회 2017 만주연구 Vol.- No.2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National Army Law(國兵法) in wartime Manchukuo(滿洲國) through propaganda policy. With imminent outbreak of the Pacific War, an active mass mobilization movement began and established the wartime system in Manchukuo. From April 1939, the projects were discussed in name of People’s Compensation Act (人民總服役制度). As a result, the system of military service in Manchukuo was fundamentally changed from the volunteer system to the conscription system. However, the reality of Manchukuo, which was as “a state without a member of the nation” differed fundamentally from government intentions of pursuing a conscription system, leading to a massive propaganda campaign. It was “Outline of National Instruction(國民指導要綱)” that the State published. This “outline” aimed at awakening nationality, which the general public needed as a means of promoting a Manchukuo identity. This was a basic precond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whose establishment was difficult to solve. In contrary of the National Army Law, the Administration strengthened the post-national movement, which was aimed at not only the young, but the families of them. In the process, mass media such as movies and newspapers played important roles in popular propaganda. However, despite of the all-round propaganda campaign, overcoming the reality of Manchukuo, “a state without nation” was futile. In conclusion, the campaign failed, but not without historical significance. I argue that the National Army Law had a two-prong objective. The National Army Law of Manchukuo first aimed to mobilize, and second, to make nationalism or citizenship appealing to both youth and the general public. The significanc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Army Law is revealed in its propaganda work. 본 논문은 ‘국민 없는 국가’ 만주국의 징병제를 규정한 국병법의 내용과 특징을 파악하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를 국병법 선전공작에 주목하여 도출하고자 한 시도이다. 태평양전쟁이 임박해질 무렵, 만주국에서도 대중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동원하여 전시체제를 확립하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전개되었다. 1939년 4월부터 인민총복역법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고 그 결과 만주국 병역제도는 기존 지원제 방식의 모병제에서 의무병제인 징병제로 근본적인 개혁이 단행되었다. 국민 의무부담의 불균등, 질적으로 저하된 사병 등의 폐해를 안고 강제적 구속력이 없이 운영되던 기존 모병제로는 긴박감을 더해가는 시국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국민 없는 국가’였던 만주국의 현실은 징병제 시행을 관철시키려는 정부의 의도와는 상당히 괴리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본 제도에 대한 선전공작은 막중한 임무를 띨 수밖에 없었다. 선전공작은 인민총복역법에 관한 논의와 동시에 시작되었다. 이 시기 선전공작의 주요 방침은 인민 일반이 만주국의 국민이라는 자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것이야말로 본 제도 시행의 기본적인 선결조건이었으나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였다. 1940년 4월 11일 상유와 더불어 제국 인민 남자의 병역의무를 규정한 국병법 및 시행령 전문이 공포되었다. 전문 6장 48조로 구성된 만주국 국병법에서는 ‘精兵主義’를 채택하였고 ‘精兵의 양성’과 ‘良民의 연성’을 목표로 하였다. 이와 아울러 「국민지도요강」에 따른 국병법 선전이 전개되었다. 우선 징병의 당사자인 청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군 입대 전 예비교육 혹은 훈련을 적극 실시하였다. 기존 청년훈련을 담당했던 청년훈련소가 증설되고 학교 교련 역시 강화되었다. 한편 국병법은 징병 당사자에게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청년들의 가족은 물론 전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후방국민운동을 강화해 나갔으며 그 중심에는 협화회를 비롯한 국방부인회, 만주적십자사 등의 관변단체가 있었다. 국병법이 공포, 시행되는 1940년 4월에 이르면 만주국 정부의 국병법 선전은 한층 더 가열되었고 이후 첫 번째 장정 입영이 있기까지 1년여의 준비기간 동안에도 국병법을 위한 대민선전은 끊임없이 이어졌다. 이 기간 영화, 신문 모두 국병법 선전에서 간과할 수 없는 활약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전방위적인 대민선전공작에도 불구하고 ‘국민 없는 국가’라는 만주국의 현실의 벽을 쉽게 넘어설 수는 없었다. 애초에 만주국의 국병법은 단순한 병력 동원만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청년은 물론 전체 대중들에게 국방의식, 국가의식을 내면화시키기 위한 대중총동원운동으로서의 의미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국병법 시행의 의의는 그 선전공작에서 그대로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만주국의 선전전과 라디오 방송

        강희주 만주학회 2010 만주연구 Vol.- No.10

        본 논문은 만주국의 국민국가 형성과 제국 질서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만주국 라디오 방송의 전개 과정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 시도이다. 20세기전반은 국가의 통제 아래 라디오가 국민의 창출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했던시기였다. 만주국에서도 제국 일본의 하위 구성원이자 독립적인 국민국가만주국 선전 · 선무의 역사는 남만주철도공사 시기 철도 및 부속 지역의안정적인 지배를 위한 정보수집 및 선전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1932년 독립국가로 건립된 만주국은 괴뢰국의 이미지를 불식하고 국민국가로서의 정당성을 재확인하기 위해 대내외적으로 선전활동에 주력하였다. 특히 중일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총력전 체제를 뒷받침할 국민의 창출이 더욱 시급해졌다. 여기서 만주국은 지리적 · 계층적 경계를 뛰어넘는 월경성과 전파의동시성이라는 라디오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만주의 라디오 방송은 관동주에서 시작되어, 만주국이 건립된 이후에는수도 신징으로 방송의 중심이 옮겨 갔다. 1933년 국책회사인 만주전신전화주식회사가 설립되자 본격적인 방송사업이 전개되었다. 1934년에는 만주국과 관동주 전체를 하나의 방송권으로 묶을 수 있는 100kW 대출력 방송국이 신징에 건설되어, 중국어를 비롯한 기타 언어와 일본어의 이중방송이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기술적 토대와 만주국 정부의 지도 아래 만주전전은 프로그램의 제작 및 송신과 수신기 보급 사업을 전개하였다. 선전도구로서 라디오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달성되어야 할 조건은 수신기의 보급이었다. 만주전전은 염가의 전전형(電電型) 수신기를 개발하고 이를 직접 판매하는 사업까지 담당하여 적극적으로 수신기 보급 활동을 벌였으며, 청취 계약의 증가에 힘을 기울였다. 이와 같은만주전전의 라디오 보급사업은 전파를 통해 국가의 경계를 명시하고 내부의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는 ‘국가 만들기’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라디오 보급 사업의 중심 대상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계(滿系)주민이었다. 중국계 주민들은 가장 많은 (잠재적) 청취자인 동시에, 만주국이 창출하고자 하였던 ‘만주문화’의 주역이라는 점에서도 방송이 반드시 포섭해야 할 집단이었다. ‘만주문화’는 만주국이 독립국으로서의 자기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로 했던 독자적인 대중문화로, 만주국을 구성하는 다양한 민족들을 아우르면서도 일본이나 중국과는 다른 문화여야 했다. 만주전전은 ‘만주문화’를 방송전파 위에서 실현하기 위해 중국어 프로그램의 제작에 힘을 기울이고, 각 지역별로 러시아어, 조선어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다언어 방송정책을 펼쳤다. 이와 더불어 전통음악기록사업 등을 통해 ‘만주문화’의 내용을 채울 ‘만주적인 것’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복합민족국가 만주국에서 일본인의 지위를 위협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문화와 구별되는 것을만들어내기는 쉽지 않았다. 오히려 ‘만주문화’의 모색 과정은 제국 질서 안에 존재하는 독립국가 만주국의 딜레마를 뚜렷이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방송보급사업이 대내적인 ‘국가 만들기’사업이었다면, 조선 · 대만 등의식민지와 화북지역 괴뢰정권과의 연계 사업은 제국의 판도를 청각을 통해나타낸다는 점에서 대외적인 ‘제국 만들기’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만주전라는 상반된 정체성을 동시에 가진 ‘만주국 국민’을 만들어내기 위한 도구로 라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development and meaning of radio broadcasting in terms of Manchukuo‘s formation of nation-state and enforcement of imperial regime. In 20th century, radio has contributed in creating nationhood under state's control. Radio was popular also in Manchukuo as a way to create 'Manchurian' who had contradictory identities as a submember of Japan empire and citizen of independent country. Therefore, radio industry in Manchukuo is an important example of state and empire's logic penetrating into people's daily lives and artificially constructing national identity. History of propaganda in Manchukuo starts with information gathering and publicizing with the purpose of stabilizing domination over railway and surrounding areas in times of South Manchuria Railway Corporation. Manchukuo,an independent state established in 1932, focused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propaganda activities in order to eliminate impression of puppet state and to reconfirm legitimacy as authentic nation-state. Especially in the Sino-Japanese War period, producing nationhood to support total war became urgent. Manchukuo then took notice of radio in terms of its signal's synchronicity and crossability of border which overcomes regional and class boundaries. Radio broadcasting in Manchuria began in the Kwantung Leased Territory(關東州), and after Manchukuo was established, the system moved to the capital Xinjing(新京). In 1933, the state-run company, Manchuria Telegram and Telephone Corporation, or MTT, was established and broadcasting industry got into its stride. 100kW output broadcasting station was constructed in Xinjing that could link whole Manchukuo and Kwantung Leased Territory which enabled dual language broadcasting in Chinese, etc. and Japanese. Based on thes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Manchukuo government's guidance, MTT began creating and transmitting programs while supplying receivers. Receiver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for the radios to operate as instrument of propaganda. MTT enthusiastically supplied receivers, developing MTT-Type Receiver and selling it by themselves at a reasonable price, hoping to increase listening population. MTT's radio supplying project was a kind of 'nation-building‘project that indicated state's boundary and enhanced unity among state members. The main target of radio supplying project was Chinese citizens which made up most of the population. The broadcasters showed deep interest in Chinese citizens because they had the most (potential) listeners and were supposed to be the leading force of 'Manchurian Culture'. 'Manchurian Culture' was an unique mass culture that Manchukuo needed for its identity as an independent state. It should straddle various races that make up Manchukuo but should also be different from Japanese or Chinese culture. MTT focused on producing Chinese programs and devised a multi-lingual broadcasting policy to use Russian, Korean etc. in each region in order to realize 'Manchurian Culture' through radio wave. MTT also tried to seek 'something Manchurian' that constitute 'Manchurian Culture' through traditional music recording projec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create independent culture without threatening Japanese culture, the culture of leading group, in Manchukuo which is the multi-racial country. Rather, seeking 'Manchurian Culture' became a good example of independent country Manchukuo's dilemma that exists within imperial regime. While radio supplying project was inwardly a 'nation-building' project, bilateral project between colonies such as Korea, Taiwan, and puppet governments in North China was outwardly a 'empire-building' project since it tries to express dynamics of the imperialism through hearing. MTTs broadcasting exchange industry had two issues; to sensually make listeners aware of empire Japan's territory,and to reconfirm Japan(ese) as leading race of Imperial Japan. Before 1941, there were active exchange of broadcast among ...

      • KCI등재

        태평양전쟁 말기 만주국의 문예정책 - 잡지 "藝文"을 중심으로 -

        전경선 만주학회 2016 만주연구 Vol.- No.21

        The magazine Yemoon (1944, printed in Japanese language) at the end of Pacific War was the first published edition to faithfully dedicated to literature and art policy of Manchukuo. At the end of Pacific War, the Manchukuo government wanted to utilize Yemoon (藝文) or, transliterally, “art and literature (works),” as a tool for ideological warfare and insisted that artists and writers become warriors filled with the fighting spirit needed for decisive battles. Thus, Yemoon contains articles emphasizing the artists’ and writers’ roles and missions, which turn out to be numerous in quantity. Quite a few works of “art and literature for the country” (藝文報國) with this aim were published, such as local reports propagandizing the policies of Manchukuo and war poems strengthening the commitment to fight wars. Meanwhile, Japanese writers in Manchukuo discussed the independent establishment of Manchukuo literature.’ Chinese writers also joined the movement. Although no consensus could be reached among Japanese writers nor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writers, attempts have continued to build independence and identity for Manchu literature. Of course, these were in line with the intentions of the Manchukuo government, which needed an independent culture that fitted the status of an independent nation. With war defeat imminent, Japanese armed forces were irreversibly annihilated in many corners of the world. Nonetheless, cries for commitment to fight out the war in the rear of Manchukuo were hardly heard. Only the ‘color of fighting the war’ remained in art and literature. As such, the two, art and literature, have long been reduced to tools for waging an ideological and propaganda war under the powerful art and literature policy of the Manchukuo. Yemoon vividly reflects the situation of Manchukuo at the end of Pacific War under which art and literature existed and operated. 본 논문은 태평양전쟁 말기에 창간된 문예지 "예문"을 통하여 당시 만주국의 문예정책과 그 아래에서 활동했던 작가들의 동향을 살피고자 한 시도이다. 만주국 정부가 문학과 예술을 통제하려는 움직임은 이미 1941년 3월 「예문지도요강」발표 이후 본격화되었다. 본 「요강」에 의거하여 만주국의 문학과 예술, 즉 예문은 그 내용과 사명이 규정되면서 국책 선전의 도구로 전락되어 갔다. 이윽고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갈수록 전황이 악화되면서 일본이 전장의 곳곳에서 패전을 거듭함에 따라, 日滿一體의 관계에 있던 만주국에서도 정치, 경제, 문화, 사상 모든 방면이 '전쟁의 완수'로 귀결되면서 '決戰'을 부르짖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만주국 정부에서는 대중들에게 결전의식을 고취시키고 후방에서 전쟁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문에 더욱 주목하였다. 이러한 만주국의 문예정책 하에 작가들은 결전의식을 담은, 즉 전쟁의 동력이 될 수 있는 작품을 생산하느라 분주하였다. 즉, 작가들은 대동아문학자대회, 결전예문대회 등에 동원되어 스스로의 결전의식을 다져야 했을뿐만 아니라 만주국의 국책인 ‘북변의 수호’, ‘증산’이 실행되고 있는 국경이나 광산, 농촌의 생산현장을 직접 시찰하고 보고서나 수필형식의 글을 써내기도 하였다. "예문"은 작가들의 이러한 ‘예문보국’을 독려하기 위해 발간된 잡지였다. 일본어로 간행된 예문은 주로 일본인 작가들의 활동공간이었다. 특히 이 시기 예문의 지면에 나타나는 일본인 작가들의 주요한 관심사 중 하나는 ‘만주문학’에 관한 것이었다. 태평양전쟁에서 만주국의 역할, 그에 따른 문학의 내용과 사명을 규정하려 했으며 그 속에서 ‘만주문학’의 독자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일본인 작가들의 움직임 또한 그것이 타의든 자의든 간에, 문학을 전쟁에 동원하고자 했던 만주국 정부의 문예정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라 하겠다. ‘예문보국’이라는 만주국 정부의 문예정책 하에 작가들의 문예활동은 상당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나, 작가들의 움직임은 만주국 정부가 의도한 바대로 한 방향으로 귀결되지는 않았다. 예컨대, 일본인 작가와 중국인 작가는 물론이거니와, 일본인 작가들 간에도 전쟁과 ‘만주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했다. 이러한 작가들의 동상이몽을 의식한 듯 아닌 듯 만주국의 문예정책은 ‘결전’ 일변도로 치닫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만주국의 조선인:디아스포라와 식민 사이

        이동진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3

        Manchuriaoftheearly20thcenturywastheBalkanPeninsulaoftheEast Asia.TakingadvantageoftheweakenedChina,Russiathecontinentalpower andJapanthemaritimeforcecameintoconflictoverManchuria.Sincethe Russo-JapaneseWar,thetwocountrieshaddividedtheirdominanceintheregionbysouthandnorth,andblockedtheinterventionoftheUnitedStates. Thissituation,however,changedwhentheRussianRevolutionweakenedthe controlofRussiaovertheterritory,increasingtheinfluenceoftheU.S.instead,andtherisingnationalismamongtheChinesethreatenedthevestedrightsofthe Japanese.AsthecentralChinesegovernment,havingsucceededinthe‘North Extension(orUnification),’triedtoextenditspowertoManchuria,Japanstaged the‘Manchurianincident’andsetup‘Manchuguo.’Japaneseoccupationofthe regionresultedintherisingstatusfortheKoreanslivingthere,whohadbeen harshlytreatedbytheChinesegovernmentontheaccountthattheywerethe toolsofJapanandRussia.FortheKoreansweretheJapaneseunderthelaw. SincetheJapanesedidnotrecognizetheKorean’srenunciationofnationality,theycouldstillconsiderthoseKoreanswhohadacquiredChinesenationalityas Japanese.ThismadetheKoreansseen,totheeyesoftheChinese,astheadvanceguardortoolsoftheJapan’sinvasionofManchuria;thiswas‘theproblem oftheKoreans.’Thisproblem twistedwiththeemergenceofManchuguo;theproblem was solvedasfortheKoreans,buttheChinesecouldnotacceptit.Legallyspeaking,Manchuguowasastatenotacolony,hencetheChineseasitspeoplecou hardlyembracethefactthattheywereputintheinferiorstatustotheKoreans whowereundertheJapanesecolonialrule.Thiscausedconflictsoverthestatus oftheKoreansinManchuriabetweentheGwandongArmyandtheJapanese Government-generalofKorea.Yet,astheKoreansofManchuguolikethosein theKoreaPeninsulahadbecomethesubjectofthedraft,theywerelessregulatedbythe‘onenessofManchuriaandJapan’orthe‘onenessofManchuria andKorea’policies(Nationalharmony)thanthe‘onenessofKoreaandJapan’policy.Asaresult,theKoreansintheregioncouldenjoythestatussimilarto thatoftheJapanese(‘thesecond-classcitizen’or‘thesecondJapanese’).This showsthatthekoreandiasporainManchuriaincluded‘colonial’elementas‘the problem oftheKoreans’wasinfluencedbythegeopoliticalfactorofManchuria (‘theproblem ofManchuria’). 만주는 20세기 전반에 동아시아의 발칸이었다.이는 중국의 세력이 약화된 틈을 타서,대륙 세력인 러시아와 해양 세력인 일본이 만주에서 충돌하였기 때문이다.러일전쟁 이래 일본과 러시아는 남북으로 세력권을 구획하고 미국의 개입을 막았다.그러다가 러시아혁명으로 러시아의 세력이 약화되었고,대신에 미국의 세력이 강화되고,중국 민족주의가 고양되어,만주에서의 일본의 기득 권익이 위협을 받게 되었다.‘북벌’에 성공으로 중앙 정부의 세력이 만주에까지 미치려고 하자,일본이 ‘만주 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수립하였다.그런데 일본이 만주를 지배하게 되자,만주사변 이전까지일본과 소련의 앞잡이라는 이유로 해서 중국 정부로부터 숱한 박해를 받던조선인의 지위가 상승하게 되었다.왜냐하면 조선인은 법률상으로는 일본인이었기 때문이었다.일본이 조선인의 ‘국적 이탈’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국적을 취득하는 경우에도 일본은 여전히 조선인을 일본인으로 간주할 수 있었고,이로 인해서 중국의 입장에서는 조선인은 일본의 만주 침략의 첨병이거나 구실이 되었다.이것이 ‘조선인 문제’이다. 이 조선인 문제는 만주국 수립으로 인해서 변형되어 나타났다.조선인으로서는 해결된 것이지만,중국인은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만주국은 법률상으로는 식민지가 아니라 국가라는 점에서,만주국의 국민인중국인으로서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는 조선인보다 못한 지위에 놓인다는 것은 받아들이기 어려웠다.이 때문에 관동군과 조선총독부간에 만주의 조선인 지위를 둘러싼 갈등이 발생했다.그러나 만주국의 조선인도 내지의 조선인과 마찬가지로 징병제의 대상이 되면서는 만주의 조선인은 ‘만주와 일본의 일체화(민족협화와 일만일심일덕)’이나 ‘만주와 조선의 일체화(민족협화와 만선일여)’보다는 ‘일본과 조선의 일체화(내선일체)’의 규정을 더강하게 받게 되었다.그 결과로 인해서 만주국의 조선인은 일본인과 유사한지위(‘제2국민’,‘제2일본인’)를 누릴 수 있었다.이와 같이 만주의 조선인은‘조선인 문제’가 만주의 지정학(‘만주 문제’)의 영향을 받는 과정에서,디아스포라였을 뿐만 아니라 ‘식민’의 요소도 포함하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만주․대중소설․동아시아론 -조흔파의 실록소설 『만주국』-

        조성면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Cho Heun Pa’s Manchukuo(滿洲國, 1970) is a kind of faction dealing with the Puppet nation Manchuria, the last emperor of Ching Àixīnjuéluó Pǔyí, and the modern history of East Asia from 1908 to 1945. It is noteworthy that Cho wrote and published these story 18 years earlier than Bernardo Bertolucci’s famous film The Last Emperor,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work to have principal political events and figures of modern East Asia during the 1st and 2nd World War. However, Cho’s Manchukuo could not be defined exactly Manchu story. Because it is title only-not Manchuria’s story but the East Asia’s politic and historical mishaps. Despite its title Manchukuo, the faction eventually would become popular fiction to meet the needs of adult male readers and monthly journalism through substituting and appropriating a gossip story for Àixīnjuéluó Pǔyí & Manchuria. Above all, we think the biggest problem of the novel to avoid the stories related to the tyrant president Park Jong Hee himself & his staffs of the regime from the Military Academy of Manchukuo and to prelude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of the korean leftists in chinese East Asia. There are three problems with this novel-that is empirical error, arbitrary interpretation, and pandering to the tastes of readers. But this novel has meant to represent Manchuria as the introspective object of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to bring light Pǔyí as the epitome of modern East Asian history, depart from the limits of Korean modern novels to be tied with the feature of immigration’s and refugees’ literature. 조흔파의 『만주국』(1970)은 ‘만주국’에 관한 이야기 곧 푸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현대사의 주요 인물과 정치적 사건을 그린 장편 실록소설이다. 작품의 완성도를 떠나 한국소설사에서 베르톨루치의 영화 「마지막 황제」보다 18년이나 앞서 푸이를 본격적으로 다루었으며, 동아시아를 뒤흔든 주요 인물과 사건을 그리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만주국』은 제목만 ‘만주국’일뿐 실제로는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과 인물들을 다룬 대중소설이다. ‘실록소설’이란 타이틀을 내걸었지만, 실제로는 성인 남성 독자들의 관심을 끌만한 정치 야사와 미확인 비사(秘事)들을 다루고 푸이를 가십(gossip)성 인물로 전유함으로써 『만주국』은 저널리즘의 요구에 부응하는 대중소설로 떨어지고 말았다. 작품 발표 시기가 제3공화국 말기라는 특수상황 때문이었는지 만주군관 학교 출신인 박정희와 정권 실세들의 이야기를 철저하게 배제하고, 항일무장투쟁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고 있지 않는 등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만주국』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실증적인 오류와 함께 동아시아 현대사의 축도라 할 푸이를 통속적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만주국’이 갖는 다양하고 중층적인 의미를 간과한 채 성인 남성 독자의 취향에 영합하고 있다는 점이다. 『만주국』은 이와 같이 많은 문제와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망명문학과 이민문학이 주류를 이루는 이른바 한국 ‘만주문학’의 한계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에서 ‘만주’의 현재성과 당대성을 강력하게 환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또 이념이자 방법으로서 동아시아론의 현실성을 가늠해볼 대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서구학계 근현대 만주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지현 만주학회 2019 만주연구 Vol.- No.28

        This paper surveys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modern Manchuria as a field of scholarly inquiry in Western academia and outlines some of the significant research findings. Until the 1990s, academic research on modern Manchuria consisted mainly of economic histories analyzing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1930-40s,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ies in contemporary Chinese historical contexts, and studies on Manchuria as part of Japanese imperial expansion. This trend methodologically and thematically changed at the dawn of the twenty-first century. It also marked the postmodern and poststructuralist turn in the Western intellectual world. The new direction includes borderland history, which highlights modern Manchuria as a transnational and transcultural place. The borderland studies, in theoretical pursuit of boundaries and cultures, focus on how Chinese, Japanese, Korean, Russian, and other people interacted and competed in Manchuria. The cultural turn in the field of history and the rise of cultural studies promoted researchers to examine how modernity and power were culturally represented in literature, film, art,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with a focus primarily on Manchukuo). Other works, deeply associated with Michel Foucault’s theory of governmentality and biopolitics, either analyze racial discourse in Manchukuo, or investigate scientific, technical, medical knowledge, and the intellectuals who supported Manchukuo governance. Due to its theoretically rich implication and relatively good accessibility of primary sources, 1930-40s Manchuria has dominated the field, while Manchuria after 1949 remains mostly barren. Modern Manchuria will attract Western scholars’ attention based on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contemporary East Asian politics. 만주학회 창립 20주년을 맞아 근현대 만주지역에 대한 서구학계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는 글이다. 근현대 만주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가 본격적으로 출판된 것은 1970년대부터로, 1930-40년대 만주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그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들, 중국근현대사의 맥락에서 쓰인 만주의 정치군사사, 만주에서의 일본 제국주의 확장을 탐구하는 연구들이 1990년대까지 주류를 이루었다. 2000년대 이후로는 서구지성계와 역사학계 전반에서 부흥한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아, 근현대 만주 연구자들도 이전과는 다른 방법론으로 이전과는 다른 주제들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여러 민족과 문화가 넘나드는 초국가적 변경지대로서 만주를 이해하는 시각은 만주를 살던 중국인, 일본인, 조선인, 러시아인 등 다양한 사람들의 교류와 경쟁에 초점을 맞추고 경계 넘나들기에 관한 이론적 탐구를 추구한다. 문화 연구의 출현과 역사학계의 문화사적 전환의 맥락에서 나온 연구들은 근현대 만주의 근대성과 정치권력의 문화적 재현을 문학, 영화, 예술, 건축, 도시 건설 등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미셸 푸코의 통치성과 생명정치 이론으로 생명권력을 역사화하고 그 해체를 시도하는 연구들은 일본 제국과 만주국 내 인종 담론을 분석하거나, 과학기술연구의 일환으로 만주 통치에 활용된 과학적, 의학적, 기술적 지식과 지식인들의 활동을 조사한다. 만주국 시기의 풍부한 이론적 함의와 높은 사료 접근성 때문에 기존 연구가 1930-40년대 만주에 집중되어 있고 1949년 이후의 만주에 대한 연구는 공백으로 남아있다. 근현대 만주는 현재 동아시아 정세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서구학계의 관심을 끌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조선인의 만주국군 입대 배경과 동기 —1938년 간도특설대 창설 시기를 중심으로

        고한빈 만주학회 2022 만주연구 Vol.- No.33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backgrounds and motives of Koreans who had volunteered to join the Manchukuo Imperial Army during colonization. Initially used as an auxiliary security force of the Japanese Kwantung Army, the Manchukuo Imperial Army was later involved in several border conflicts against the Soviet Union after 1937. In preparation for a possible war with the Soviet Union, the Manchukuo Imperial Army enlisted the help of foreign troops, including Koreans. Living primarily in the Jiandao region, the Koreans had already endured two decades of colonial rule and were thus seen as a valued and amenable source for troops. Koreans began volunteering for the Manchukuo Imperial Army in 1938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anto T'ŭksŏltae (Jiandao Special Forces). Their motivations were multivarious. Some likely responded to pro-Japanese presses that encouraged Koreans living in Manchukuo to join the Army, such as Mansŏn Ilbo (Manchuria-Joseon Daily). These papers often cited the Josŏn Yukkun Tŭkpyŏl Jiwŏnbyŏngryŏng (Korean Army Special Volunteers Act) of 1938 or enticed their audiences with chances of earning civil rights as “Koukoku Shinmin (imperial subjects of Japan).” For other volunteers, national pride in Manchukuo also weighed heavily on their decision. Their memoirs are saturated with expressions that evince a national spirit. Their volunteerism exceeds mere opportunism or notions of collaborative dispositions. It reflects a deep sense of national pride. 이 논문에서는 만주국군에 복무한 조선인들의 사회적 배경과 입대 동기를 분석한다. 만주국군 출신 조선인들의 역사적 의미, 특히 광복 직후 한국군의 창설과정과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에 미친 영향은 이미 선행연구를 통해 충분히 규명되었지만, ‘이들이 왜 만주국군에 입대하였는가?’라는근본적인 질문에는 답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조선인 자원입대의 결정적인 계기인 1938년 간도특설대의 창설 시기를 중심으로, 당시관변언론의 보도와 만주국군에 참가한 조선인들의 회고를 검토한다. 만주국군은 1932년 만주국의 수립과 함께 창설되었다. 창설 당시의 만주국군은 일본 관동군의 보조부대로서 국내 치안유지 임무를 주로 담당하였으나, 1937년 이후 소련과 일본 간 국경분쟁이 잦아지자 점차 관동군의대외작전까지 보조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만주국군 내에서는대소전 발발 시 소련 영내로 침투할 외국인 부대들을 다수 조직하였고, 그과정에서 만주국군 복무의 의무가 없던 만주국 내 외국인들의 입대가 허용 혹은 장려되었다. 특히 간도 일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던 조선인들은국적법 상 일본인으로 취급되면서도 식민통치의 강력한 규율 아래에 놓인자들로서 군사 동원의 가치가 높은 집단이었다. 1938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본격적인 모병과 입대 현상을 중심으로, 만주국군에 입대를 결정한 조선인들의 동기는 크게 ①관(官)의 모병선전, ②민족적 명분, ③생계와 출세 등 개인적 동기의 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민당국의 의도를 직접 반영하던 만선일보 등은 비슷한 시기 조선 내에서 시행된 조선육군특별지원병령 의 시행 논리를 답습하며, 차별을 받는 조선인들이 ‘황국신민’으로의 신분 상승을 위해 군국주의의 산실인 군대에 자발적으로 투신하도록 조장하였다. 한편 간도특설대에 자원입대한조선인들은 같은 민족의 거주지역인 간도의 치안을 지키는 한편 민족의우월성을 대표한다는 자긍심을 가졌다. 만주국군에 자원한 조선인들은 자신들의 복무 동기를 재만 조선인 사회가 낳은 민족정신의 발로(發露)로 치환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서사는 친일부역행위의 대한 상투적인 변명이자 실제로 당시 지원자들이 경험하였을 ‘협력적 민족주의’의 심상이반영되어 있다.

      • KCI등재

        ‘방법론적 지역주의’와 만주연구의 과제 —‘만주국’ 이민 연구의 동향을 중심으로—

        이동진 만주학회 2019 만주연구 Vol.- No.28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surge in research on Koreans immigrating into Manchukuo. This article explores the phenomenon and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and limitations of research on Koreans immigrating into Manchuria. It finds that the Korean government’s research support system contributes to the sudden rise in interest. Another is the growing impact of Korean immigrant literature in Manchuria and its growing interest among Korean literary circles within Korea. Currently, Korean young literature scholars play leading roles in this research. Such research has led to a treasure trove of discovery, providing new insight and understanding of colonial history and creating a new chapter for "last-minute" literature on the colonial period. This article takes the imbalance of literary study of “representation” as opposed to an engaged inquiry in the history of actuality. It explores the potential points of conflict and the problems that this dichotomy’s imbalance could cause. Lastly, this article examines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research on Korean immigration into Manchuria as a possible form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that should be replaced with the “methodological regionalism” that the Manchurian Studies Association has explored. 한국에서 ‘만주국’ 이민 연구는 가히 붐을 이루고 있다. 이 글은 만주국 이민 연구가 붐을 이루게 되는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고, 만주국 연구 붐의 현황과 그 한계에 대해서 살펴본다. 만주국 연구가 붐을 이루게 되는 하나의 배경에는 정부의 연구 지원 체제가 있다. 또 하나의 배경에는 한국 문학에서 만주 이민 문학의 발견이 있다. 현재 한국의 만주국 이민 연구를 주도하는 것은 한국 문학 전공자들이다. 이것은 한국 문학에서 만주국 이민 문학을 발견함으로써 식민지 시기 ‘최후기’ 문학 연구의 새로운 장이 열린 것과 관련이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학 연구라는 ‘표상’의 연구와 역사 연구라는 ‘실재’의 연구가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현상과 그것의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만주 이민 연구에 대한 지원 체제가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입장에 서 있을 수 있는 위험과 그것에 대해서 ‘만주학회’에 의해서 탐구되어 온 ‘방법론적 지역주의’의 의의에 대해서 연구사 정리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