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근세 강남 도시의 네 가지 흐름

        조영현(Cho, Young-Hun) 도시사학회 2011 도시연구 Vol.5 No.-

        본 논문은 “중국 전근대 도시란 무엇인가?”라는 기본 질문으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명대 성곽 축조를 둘러싼 국가권력과 도시민의 이해관계를 검토하면서 강남 사회의 도시 유형을 양주, 소주, 남경, 시진의 네 가지로 정리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화를 통해, 도시란 곧 그곳에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안보 및 치안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곳이자 동시에 경제적 문제를 해결해주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로 기능했다고 볼 수 있다. 적어도 중국에서 도시는 안보와 경제 문제를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해주는 공간으로 기대되었다고 여겨진다. 성곽 축조 역시 도시민들에게 이러한 관점에서 수용되고 논의되었다. 양주는 대운하와 양자강이라는 장거리 유통망의 허브에 위치한 도시로, 외지에서 들어온 상인들이 도시 발전의 원동력을 장악했다. 그 결과 양주는 체류민 정체성이 강하게 부각되는 도시로 발전했으며, 축성 논의와 新城의 증설에 체류민들의 의지와 재정적 기여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소주는 송대 이래 항주와 함께 강남의 대표적인 경제·문화·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감당했고, 도시의 주도 세력은 상인이 아니라 신사였다. 이른바 정착민 정체성이 강한 도시로, 왜구의 위협 속에서 축성론이 제기되었으나 성사되지 못한 배경으로 체류민을 압도하는 소주 정착민들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남경이 가진 도시의 생명력은 명조의 수도라는 정치적 맥락에서 주어졌다. 하지만 1421년 북경으로의 천도 이후 남경은 명목상의 수도로 전락했고, 점차 남방지역에 대한 경제적, 군사적 통제의 중심지로 변모해갔다. 이후 강남 지역 전체에 대한 통합의 구심력은 소주에 물려주었으나, 군사적 거점으로서의 위상은 강하게 남아있어, 왜구의 침입 때에도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았을 뿐 아니라 더 이상 축성의 논의도 일어나지 않았다. 반면 시진은 정치적, 행정적인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연발생적으로 성장한 경제 도시였다. 시진은 대부분 성곽이 없었으므로 왜구의 침입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행정 중심지로 포섭된 일부 시진에서는 여러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성곽이 건설되었고, 일부 시진은 왜구의 침입으로 쇠퇴의 길을 걷기도 했다. 시진 사회에는 다분히 ‘자치적’인 요소가 많았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시진 사회의 주도권이 보수적인 紳士에게 장악되어 갔으며, 국가 권력 역시 시진에 대한 통제력을 점차 확대해 갔다.

      • KCI등재후보

        ‘전원 도시’로 가는 길?

        염복규(Yum, Bok Kyu) 도시사학회 2015 도시연구 Vol.13 No.-

        이 논문은 1920~30년대 남산주회도로(현재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신당역구간)의 부설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식민지시기 서구에서 기원한 전원도시론이 일본을 경유하여 조선에 전파되는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래 자본주의 도시화의 폐해에 대응한 사회개혁론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전원도시론은 미국, 일본으로 전파되면서 도시 유산층의 교외주택지 개발이론으로 변용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변용된 전원도시론이 식민지 조선에도 전파되었다. 1920년대 조선에서는 전원도시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경성거주 일본인 유산층을 중심으로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가 개발되고 남산주회도로를 부설하자는 운동이 일어났다. 이 운동은 여러 차례 부침을 겪으며 쉽게 성사되지는 못했다. 남산주회도로는 1936년 경성시가지계획이 시작되면서 그 일환으로 비로소 부설되었다. 그리고 남산주회도로의 부설은 그 연도인 남산 동남록 지역의 고급 주택지 개발을 더욱 촉진했다. 그러나 이는 주택지 개발 이전부터 그 곳에 살고 있던 영세민의 추방을 의미했다. 이렇게 식민지 조선에서 전원도시론은 (일본인) 유산층을 위한 고급 주택지 개발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the building of the Ring Road around the Namsan mountain, located in the south of the colonial capital, during 1920’s and 30’s. The road, winding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mount, roughly corresponds a stretch between the Samgakji station and the Sindang station on the Line No. Six of the current Seoul Metropolitan Subways. Through the examination, the paper examines how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had been initiated in the west, arrived and spread in the colonial Joseon via Japan and analyzes its implications. The theory of garden city, which was originally advocated as a reformist argument against harmful effects of capitalist urbanization, underwent a transformation into a development theory promoting residential suburbs for urban middle class in the US and Japan. The modified version of the theory arrived in colonial Joseon via Japan: in 1920’s, a campaign for developing an exclusive residential area at the southeastern foot of the Namsan mount and building a circular road surrounding the area was initiated by mostly wealthy Japanese settlers in Kyungseong, and their argument was based on the garden city theory. The campaign went through its ups and downs through years without fruition. The Namsan Ring Road was finally constructed with the onset of the Kyungseong Town Plan in 1936, and therefore promoted the development of the upper-class residential area around the new road. However, the building process resulted in the displacement of low-income residents, who had inhabited the area for generations. In this way, the theory of garden city was exploited in colonial Jose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drive, mostly beneficial to the (Japanese colonialist) middle class.

      • KCI등재

        아시아태평양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사회기술 전환적 특징

        김남미,양승우 도시사학회 2023 도시연구 Vol.- No.34

        스마트도시는 다양한 이름으로 여러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술을 개발해 왔다. 혁신모델인 스마트도시 서비스가 적응 및 진화할 때 정보통신기술(ICTs)만을 강조된 탓에 기술 위주의 발전이 두드러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본연의 복합적 특징을 기반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 많은 학자들은 사회기술관점에서 스마트도시의 진화에 대한 심도 있는 실증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본 연구는 주기분류 유형화분석을 활용하여 아시아 태평양 스마트도시 거버넌스에 따른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사회기술전환적 특징을 실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대상 도시는 스마트도시의 조작적 정의의 중요한 측면을 반영하는 네 가지 대표 문서를 기반으로 세 가지 선별 단계를 거쳐 클러스터 샘플링을 통해 표본을 추출했다. 도시 수준의 데이터는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프로토콜의 우선 보고 항목(PRISMA)을(를) 사용하여 수집하고 코딩 및 가중치 부여를 통해 사전 처리하여 주기분류 유형화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공공-시민, 공공-학계, 민간-학계 주도로 가지 유형의 거버넌스 유형을 밝혔고 아시아태평양 스마트도시 거버넌스별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사회기술전환적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는 아시아태평양 대도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 진화 순서를 거버넌스유형별로 실증분석했다는 점에서 스마트 메타볼리즘 (Smart Metabolism), 다수준 관점 (Multilevel Perspectives), 중간 범위 이론(Middle Range Theory) 등 기존 이론에 대해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스마트도시 개발에 있어 사회가 가진 거버넌스 유형에 따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고, 특정 서비스 및 비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떤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한지 설명하고 있어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개발에 대한 실무적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시사점을 가진다. Smart cities have developed various services and technologies engaging diverse stakeholders’ partnerships under tremendous city names. The oversimplification issues on the smart cities development has arose owing that the ICTs has been emphasized and materialized in the advancement and evolution of smart cities Many scholars highlight that the challenges could be overcame by detailed empirical researches on evolutionary smart cities from socio-technical perspectives.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socio-technical transitions of smart cities services driven by different governance types in Asia-Pacific smart cities. The five target cities are selected using cluster sampling based on the relevant ranking report, which represent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smart cities. The city-level data are collected by using PRISMA under the relevant keywords, which are list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Then the data are coded and weighted to conduct Periodic Matrix Taxonomy. The three types of smart city governance, including public-people, public-academia, private-academia, have the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of smart cities services’ socio-technical transitions. The three outcome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to several related theories including Smart Metabolism, Multilevel Perspectives, and Middle Range Theory, in terms of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services development steps for the Asia-Pacific smart cities. It also has empirical implication in terms of contributing smart city projects to be sustainable by suggesting services development roadmaps based on the governance types embedded in the society, while by demonstrating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a certain type of governance to development particular servic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과 물리적 도시공간변화 연구

        고아라,양승우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0

        본 연구는 서울역사도심의 도시공간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던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공사기록을 근대지도에 실증하여 가시화하고 살펴봄으로써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방향 및 방식이 갖는 의미와 변화특성을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과 근대도시화라는 사회적 국면에 의해 시행된 경성 ‘하수개수’ 사업은 경성이 갖는 특수한 도시지리적 특성에 따른 도시구조적 한계로 일관되고 총체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경성은 일제하 다른 식민지에 비해 도시개조가 어려운 자연지리구조를 가졌다. 내사산과 연결되어 미세혈관처럼 형성된 도시 물길은 총체적인 도로개수 및 ‘하수개수’를 어려움에 빠뜨렸다. 총체적이고 일관된 도시개조를 요구하는 시대적 국면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도시구조아래 한정된 예산과 기술력의 한계는 공사시기의 지연과 함께 공사계획과 기간, 공사방식 등을 변화시켰다. 경성1기 ‘하수개수’ 공사(1918~1924)는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소규모로 시행되었다. 정치적 의도와 목적에 따라 공사위치가 결정되었고, 물길의 지리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사방식(개거와 암거방식)과 공사규모(공사구간)가 결정되었다. 경성1기 ‘하수개수’ 공사는 청계천 이남 총독부 부근과 일본인 상업지역을 우선으로 대부분 암거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성1기 후반에는 청계천 이북 북촌지역도 공사가 시행되었는데 경복궁과 창덕・창경궁 양 궁궐사이에 입지한 다수의 학교 및 교육시설에의 접근성, 전차노선 연장 등이 이유로 작용했다. 경성2기 ‘하수개수’ 공사(1925~1931)는 조선총독부가 이전한 경복궁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조선총독부 이전에 따라 경복궁 서측지역이 빠르게 시가화되고 이 지역에 흐르던 백운동천 물길의 개수가 강력하게 요구되었다. 경성2기 ‘하수개수’ 공사에서 백운동천은 경성 내 가장 크고 긴 물줄기임에도 불구하고 암거방식으로 공사가 시행되었다. 그 외에 총독부의원과 경성제국대학 등 동북부지역의 관립학교 건립을 중심으로 하는 흥덕동천의 개거공사, 경성운동장과 장충단공원을 중심으로 하는 남소문동천의 개거공사가 시행되었다. ‘하수개수’ 공사위치와 공사방식을 통해 일제강점 통치시설 중심의 힘과 권력이 실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경성3기(1933~1936), 경성4기(1937~1943) ‘하수개수’ 공사는 모두 암거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성3기, 경성4기의 공사기록 한계로 1936년 근대지도 대경성부대관 을 활용하여 도시공간 내 물길과 복개도로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경성3기 ‘하수개수’ 공사 직후인 1936년 경성은 청계천 본천을 비롯하여 백운동천 상류지역, 삼청동천, 흥덕동천 일부구간과 남소문동천 일부구간이 복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으며 이는 하천의 지리특성에 기초한다. 경성 도시지리구조의 특수성은 총체적 근대도시 공간개조의 대단한 걸림돌이었다. 하수로로 활용되었던 미세하고 촘촘하게 연결된 도시 물길은 복개되어 도로의 모습으로 변화하는데 오랜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근대도시의 더러운 하수도로만 치부되었던 도시 내 자연 하천은 경성 ‘하수개수’ 사업을 통해 개수되었고 현재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공간구조 및 도로형태, 하수관거의 기틀이 되었다. 서울 역사도심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에 일제강점기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이 있으며, 시행과 변화특성을...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and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of Gyeong-seong Sewage Works by reproducing construction records of Gyeong-seong Sewage Works, which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downtown Seoul. The Gyeong-seong Sewage Works, implemented by the strength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social phase of modern urbanization, was partially carried out for a long time due to urban structural limitations according to special urb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seong. Gyeong-seong was in a situation where urban renovation was more difficult than other coloni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Due to the city's waterways connected like naturally formed microvascular systems, it was difficult to perform total road renovation and 'sewage renovation'. Despite the era of rapid and total urban renovation, the limited budget and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special urban structure base changed the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plan, and construction method. The Gyeong-seong 1st period of Sewage Improvement Works (1918-1924) was implemented on a small scale, focusing on Japanese residences.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intention and purpose. The construction method (opening and reclamation method) and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section) we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way. Most construction of Gyeong-seong 1st Sewage Treatment Works were carried out in a dark way, focusing on the vicinity of the Governor-General south of Cheong-gye Stream and the Japanese commercial a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Gyeong-seong 1st period, construction was also carried out in the Bukchon area north of Cheong-gye Stream due to accessibility to a number of schools and educational facilities located between Gyeong-bok Palace and Chang-deok and Chang-gyeong Palace.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seong 2nd period of Sewerage Improvement Works (1925-1931) was carried out around the area near Gyeong-bok Palace, which was relocated by Governor-General of Joseon. With relocation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 the western part of Gyeong-bok Palace was quickly urbanized and the number of Baek-un-dong Stream flowing in this area was strongly demand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seong 2nd period of Sewage Improvement, Baek-un-dong Stream was carried out in an underground method, although it was the largest and longest water stream in Gyeong-seong. In addition, construction of Heung-deok-dong Stream centered on the construction of government schools in the northeast (such as the Governor-General's Council and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d the construction of Nam-so-mun-dong Stream centered on Gyeong-seong Stadium and Jang-chung-dan Park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location and method of the “sewerage” construc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power centered on Japanese colonial governance facilities was realized. The construction of Gyeong-seong 3rd period (1933-1936), Gyeong-seong 4th period (1937-1943), and Sewerage was all carried out with a dark method. Construction records of Gyeong-seong 3rd and Gyeong-seong 4th periods were simply recorded in the Gyeong-seong-bu Civil Engineering Project Overview,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extension of number (length), and construction cost. Due to limitations of records,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aterways and covered roads in urban spaces were identified using the modern map “Dae-gyeong-seong Bu-gwan” in 1936. In 1936, shortl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3rd Gyeongseong Sewage Works, it was confirmed that Gyeong-seong remained uncovered, including the main stream of Cheong-gye Stream, the upstream area of Baek-un-dong Stream, Sam-cheong-dong Stream, Heung-deok-dong Stream, and some sections of Nam-so-mun-dong Stream. Since then, the main stream of Cheong-gye Stream was covered in the 1970s...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동향과 과제(2001~2020)

        유현정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changes and development of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focusing on research outcomes of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in the domestic academia from 2001 to 2020. Since the 1990s, interest in urban space has been accumulated as the Asian history world of Korea attempts to historically understand cities. In history research studies, urban space is now understood not only as a product of history, but also as the sum of multilayered relations of various leveled-social powers. The theme of research was mostly expanded from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such as political conflict or development of commerce/industry in urban society to urban administration, disease and hygiene, urban culture, and identity of city and its members. I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analysis on city was moved toward the direction of interpreting and examining the spatial nature of city by exploring human activities with correlations and interactions of urban space.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there were new changes of utilizing non-textual materials such as theater art and printed art. Like this,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have achieved eye-opening result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Concerns about the nature of modern urban space paid attention to its coloniality and recovery of the right of urban space. Now, interest in urban space right should be more expanded to explore the right of urban space open to every urbanite. In the future, this is expected to become a research task we can inquire into as a “practical activit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lternative urban culture based on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이 글은 2001년~2020년까지 국내 학계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국내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가 내용 면에서 어떠한 변화 발전을 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1990년대 이래 한국의 동양사학계에서 도시를 역사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면서 도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축적되었다. 이제 역사 연구에서 도시 공간은 역사의 산물이자 다양한 층차의 사회 세력들이 맺은 중층적 관계의 총합으로서 이해되었다. 연구의 테마는 주로 도시 사회의 정치적 갈등이나 상공업 발전과 같은 정치, 사회, 경제 연구가 중심이던 것에서 도시행정, 질병과 위생, 도시문화, 도시와 도시 구성원의 정체성 등으로 확장되었다. 연구의 시각도 인간의 활동과 도시 공간의 상호관계 및 상호영향을 탐색하면서 도시라는 공간의 성격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극예술, 인쇄 미술 등 비문자 자료를 활용하는 등 연구 방법 면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괄목할 만한 성과를 쌓아왔다. 근대적 도시 공간의 성격에 대한 고민은 그 식민성과 도시 공간의 권리를 회복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제 도시 공간권에 대한 관심을 더욱 확장시켜 도시 공간이 도시인들 모두에게 열려있어야 할 공간의 권리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이는 “참여와 연대성에 기초한 대안적 도시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활동”으로서 앞으로 우리가 천착할 수 있는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식민지 도시사 연구의 최근 성과 검토와 약간의 전망

        염복규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This paper examined recent research articles and books on the urban history of colonial Korea and presented some views for further studies. The research papers in this academic fiel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2001 to 2021,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articles, research target period, and research themes. Then,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research topics: 1)colonial rule and city administration, 2)city politics and influential persons, 3)urban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4)urban landscape and 5)culture.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this field peaked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and decreased relatively in the 2010s. As for the research target periods, the focus appeared to move from the Ports Opening and early colonial rule period to the late occupation period. Research themes were observed as moved to urban sociology from urban development history. This paper presented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Firstly, current research target cities and topics, which were found as focused o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further. Secondly,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urban history needs to be pursued through lively debates between other academic fields. Thirdly, the historical analysis needs to be based on a greater awareness of current issues. 이 논문은 식민지 도시사 연구의 최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약간의 전망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01~2021년 식민지 도시사 연구 저서・논문을 수집하여 연구의 총량, 연구 대상 시기, 연구 주제 등의 변화 양상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연구 주제를 식민통치와 도시행정, 도시정치와 유력자, 도시사회와 도시주민, 도시개발과 인프라, 도시경관과 도시문화 등 5개로 나누어 주요 연구 성과를 검토했다. 그 결과 2001~2010년 연구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 이후에는 증가세가 둔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연구 대상 시기는 개항~일제초기에서 일제말기로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 주제는 도시개발사에서 도시사회사로 초점이 옮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 결과에서 도출한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도시와 주제가 편중되어 있다. 이를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사 연구의 융합적 특징을 살리기 위해 다른 학문 분야 간의 논쟁적 대화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성 있는 문제의식을 더 가다듬어야 한다.

      • KCI등재

        일본의 도시위생사 연구동향과 전망 - 근대사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김영수(Kim, Young-soo) 도시사학회 2020 도시연구 Vol.- No.23

        본 논문은 일본의 근대국가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이자 수단이었던 위생문제에 주목하여 일본 근대사에서 도시위생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아보고, 그 성과와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도시를 이해하고 도시의 구조적인 변화를 설명하는 주요 테마로 위생이라는 주제가 주목받기 시작했고, 도시위생에 관한 연구는 도시 공간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질과 성격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차별의 재생산 문제, 전근대와 근대 신분제도에 대한 단절과 연속문제 등을 분석하기 위한 주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1990년대 도시공간 연구에 대한 방법론이 전환된 결과로, 위생을 독립적인 주제로 다루는 경향이 강해진 것에 기인한다. 최근 연구는 위생제도의 변화, 분뇨처리 문제, 전염병 예방, 상하수도 시스템, 빈민, 환경위생에 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이는 의료사회사 연구의 성장과도 맞물려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위생과 관련된 근대적인 제도 그 자체의 불완전성이나 전근대 제도와의 연관성과 전근대 제도의 근대적인 변용에 주목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한 가운데 공개자료의 확대와 통계 등 다양한 분석기법의 활용으로 생활수준, 상하수도 부설, 우물 이용, 주거 지형의 차이 등의 다양한 요소가 도시의 위생환경을 구성하는 요인이며, 각 요소가 위생사업에서 동인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위생을 빈곤의 문제와 결부시키던 기존의 논의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최근 발간된 자료집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각을 담아내는 연구, 그리고 비교연구를 통한 도시위생 연구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kinds of research conducted on the subject of urban sanitation in modern Japanese history. Studies on sanitation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hygiene (sanitation) was recognized as a major issue explain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city. Studies on urban sanitation emerged as a topic for analyz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poor in cities--its impact on marginalizing and perpetuating class distinctions from the pre-modern to the modern period--in the process of analyz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s. The emergence of these studies was the result of a shift in methodology for urban space research in the 1990s; researchers had a strong tendency to consider sanitation (hygiene)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understanding cities.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changes in the administration of public health and the perception of night soil, preventive measures for infectious diseases, and water supply and sewage systems,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Such research is closely linked to advances in the study of the social history of medicine. These studies focus on the imperfections of modern systems relating to hygiene or their association with the transformation of pre-modern systems. The studies confirm that modernization was not a decisive factor driving the improvement of sanitation or in determining the sanitary environment in the city. Additionally, some studies criticized the existing theory of the cycle of poverty-poor sanitary conditions-infectious diseases-poverty. Thus, further studies analyzing urban sanitation from a different angle should be undertaken.

      • KCI등재

        현대 한국의 도시위생 개선과 의학 교과서 서술의 변화

        권오영(Kwon, Oh Young)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8

        이 글은 도시위생과 관련된 예방의학과 미생물학의 교과서를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도시위생의 개선에 따라 교과서가 어떻게 서술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현대 도시위생의 개념이 시작된 1950년대에는 도시위생의 인프라를 구축하던 시기였다. 당시 도시위생은 의학의 하나의 주제였고,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시위생의 직접적인 주제들이 의학 교과서에 수록된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이 같은 내용은 점차 축소되면서 산업보건 문제와 만성질환 분야의 서술이 증가한다. 최근에는 신종감염병과 국가 간 위생에 관점을 맞추어 교과서 내용은 변화하고 있다. 도시위생의 개선은 이와 관련된 감염병의 발생을 감소시켜 미생물학의 교과서 서술 내용과 구성을 변화시켰다. 상하수도 시설의 구축으로 수인성감염병의 발생이 감소하였고, 교과서 분량도 같이 감소한다. 해외유입 감염병과 신종감염병의 유행은 이 분야의 서술을 점차 증가시키고 있다. 도시위생 시설변화에 의해 특정 질병의 서술이 시기별로 변화한 사실을 콜레라와 레지오넬라증으로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위생의 개선은 의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의학 교과서의 서술을 변화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escriptions of medical textbooks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by analyzing textbooks of preventive medicine and microbiology related to urban hygiene. In the 1950’s, the concept of urban hygiene was taking root. This was the time to build up the hygienic infrastructure in Korea. At that time, urban hygiene was one of the topics of the world of medicine. More direct topics of urban hygiene were introduced in medical textbooks. However, after improving urban hygiene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topic was no longer considered of major import, as occupational health and chronic illnesses have taken its place.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also changed the description and structure of the microbiology textbooks by reducing the occurrences of many types of infectious diseases. Improvement in urban hygiene, which reduced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has changed the d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textbooks in microbiology. The construction of water and sewage facilities reduced infectious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s, and the amount of these description of microbiology textbooks also decreased. The outbreak of new infectious diseases and diseases from overseas are increasingly being described in this field.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diseases were changed by the sanitary facilities of the city through the cases of cholera and legionellosis.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has made a great impact on medicine, and has also changed the descriptions of medical textbooks.

      • KCI등재

        식민지 도시계획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염복규(Yum, Bok Kyu)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7

        이 논문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전개 과정과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을 재검토한 연구이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도시계획파는 잡지 『조선과 건축』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도시계획 담론을 조선에 전파했다. 또 조선 4대 도시(경성, 부산, 대구, 평양)의 조사와 도시계획안 작성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했다. 조선총독부 수뇌부의 반대로 도시계획법이 제정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 내내 조선에서 도시계획은 부침을 겪으며 점차 하강곡선을 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대 도시의 조사 작업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1930-31년 경성, 부산, 대구 세 도시의 도시계획안이 간행되었다. 그런데 이것은 도시계획을 즉시 실행하지 않음을 전제로 총독 등에게 보고용으로 소량만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도시계획을 위한 재원 마련책이 없으며, 실지 측량도 일부만 했다. 무엇보다도 조선총독부의 공식 간행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고, 국회도서관과 일본 사이토기념관에만 소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오랫동안 존재조차 잊혀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증거이다. This treatise examines the discussion of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During the 1920’ s, urban planners in the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promote city planning ideas and discussions through publishing the periodical “Joseon and Construction.” They conducted preliminary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in Joseon – Kyeongseong (京城), Busan (釜山), Daegu (大邱), Pyongyang (平壤) - and drew up urban plans for these cities. However, the project faced opposition from higher levels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legislating the urban planning act. Throughout the 1920’ s, there were ups and downs, but efforts for urban planning in Joseon continued to decline. Nevertheless, the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were carried out and resulted in the 1930-1931 publication of the city plans for Kyeongseong, Busan, and Daegu. However, the urban plans were meant to be printed only in small numbers to debrief the Governor General, without any intentions to realize them in the foreseeable future. No resources were procured for the plans and the actual surveys did not cover the cities’ entire areas. Moreover, although the plans were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they are currently not in possession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nly found at Korea’s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as the Saito Makoto Memorial Hall in Japan, actually forgotten, even among scholars. In conclusion,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embodies both the achievement of discussions on urban planning in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its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근대 중국 도시-향촌관계 연구의 시각과 쟁점

        렌지동(任吉東) 도시사학회 2011 도시연구 Vol.5 No.-

        도시-향촌관계란 오래되었으면서도 새로운 주제다. 도시-향촌 관계에 대한 연구는 핵심적인 분야로서 도시사의 발전과 더불어 의미심장한 발전을 이루어냈다. 외국 학자들의 인식은 중국의 도시공간과 향촌간의 대립이라는 주제에서 그 연속선, 즉 이들 간의 유기적이고도 밀접한 관계로 그 관점을 이동시키고 있다. 중국의 학자들 또한 이론의 측면에서, 그러나 서로 다르게 보여주고 있는 도시-향촌관계들의 구체적 사례가 지닌 특수성들을 주의 깊게 또 실증적으로 고려하면서, 이들 관계에 대해 토론을 전개하고 있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네 가지 영역에 걸쳐 수많은 분석들이 이루어져왔다. 본 글은 중국과 외국학자들의 이에 대한 주요 관점들과 학술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이 분야에서의 경향과 문제들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도시-향촌간의 관계라는 주제는 이론과 기본 개념의 수준에서 아직 이루어지지 못한 모호함과 불일치로 인해 아직 독립분과로 정립되지 못했다. 무엇보다도 중국의 상황에 고유한 어떠한 설득적 체계나 모델(내용, 맥락, 추동력, 근대화 등)을 보여주기가 힘들다. 사료의 차원에서 분석들은 또한 주요 도시들과 거대항구도시들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심도 주로 경제 분야에만 맞춰져 있다. 따라서 이제 도시-향촌관계의 다양한 측면들 (의식, 습관, 문화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 이론과 방법론을 쇄신해야 하고 또한 중국적 상황에서 각각의 사례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Urban-rural relationship is an old and new historic theme. As a essential section, the research of urban-rural relationship make significant progress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urban-history. The foreign scholars’ cognition to the Chinese urban-rural relationship undergoes the transform of opposition between the urban space and the rural one to their continuum, i.d. their organic and narrow relationship. Chinese scholars also discuss their relations from the aspect of the theory, but with careful and positive consideration for specificities of concretes examples which each urban-rural relationship present differently. Multiple analysis are concentrated in four domains of this relationships: the theory, the economy, the population, the culture and so on. This paper reviews the mainstream views and academic trends of Chinese and foreign scholars, and considers some pioneer questions about the status and prospects of the field. With this review, we can find out a tendency and problems. The theme of the urban-rural relationship does not yet establish a independent discipline because of ambiguity and disaccord at the level of theory and basic concepts. Above all it is difficult to present any persuasive system or model(content, context, impetus, modernization, etc.) proper to chinese situations. At the level of sources, analyses is principally concentrated not only on major cities and great seaport cities but also on economic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novate the theory and the methodology for studying various dimensions(rite, habits, cultures etc,) of the urban-rural relationship and to grasp wholly respective examples in the chinese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