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과 물리적 도시공간변화 연구

        고아라,양승우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0

        본 연구는 서울역사도심의 도시공간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던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공사기록을 근대지도에 실증하여 가시화하고 살펴봄으로써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방향 및 방식이 갖는 의미와 변화특성을 확인하였다. 일제강점과 근대도시화라는 사회적 국면에 의해 시행된 경성 ‘하수개수’ 사업은 경성이 갖는 특수한 도시지리적 특성에 따른 도시구조적 한계로 일관되고 총체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다. 경성은 일제하 다른 식민지에 비해 도시개조가 어려운 자연지리구조를 가졌다. 내사산과 연결되어 미세혈관처럼 형성된 도시 물길은 총체적인 도로개수 및 ‘하수개수’를 어려움에 빠뜨렸다. 총체적이고 일관된 도시개조를 요구하는 시대적 국면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도시구조아래 한정된 예산과 기술력의 한계는 공사시기의 지연과 함께 공사계획과 기간, 공사방식 등을 변화시켰다. 경성1기 ‘하수개수’ 공사(1918~1924)는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소규모로 시행되었다. 정치적 의도와 목적에 따라 공사위치가 결정되었고, 물길의 지리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사방식(개거와 암거방식)과 공사규모(공사구간)가 결정되었다. 경성1기 ‘하수개수’ 공사는 청계천 이남 총독부 부근과 일본인 상업지역을 우선으로 대부분 암거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성1기 후반에는 청계천 이북 북촌지역도 공사가 시행되었는데 경복궁과 창덕・창경궁 양 궁궐사이에 입지한 다수의 학교 및 교육시설에의 접근성, 전차노선 연장 등이 이유로 작용했다. 경성2기 ‘하수개수’ 공사(1925~1931)는 조선총독부가 이전한 경복궁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되었다. 조선총독부 이전에 따라 경복궁 서측지역이 빠르게 시가화되고 이 지역에 흐르던 백운동천 물길의 개수가 강력하게 요구되었다. 경성2기 ‘하수개수’ 공사에서 백운동천은 경성 내 가장 크고 긴 물줄기임에도 불구하고 암거방식으로 공사가 시행되었다. 그 외에 총독부의원과 경성제국대학 등 동북부지역의 관립학교 건립을 중심으로 하는 흥덕동천의 개거공사, 경성운동장과 장충단공원을 중심으로 하는 남소문동천의 개거공사가 시행되었다. ‘하수개수’ 공사위치와 공사방식을 통해 일제강점 통치시설 중심의 힘과 권력이 실현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경성3기(1933~1936), 경성4기(1937~1943) ‘하수개수’ 공사는 모두 암거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성3기, 경성4기의 공사기록 한계로 1936년 근대지도 대경성부대관 을 활용하여 도시공간 내 물길과 복개도로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경성3기 ‘하수개수’ 공사 직후인 1936년 경성은 청계천 본천을 비롯하여 백운동천 상류지역, 삼청동천, 흥덕동천 일부구간과 남소문동천 일부구간이 복개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으며 이는 하천의 지리특성에 기초한다. 경성 도시지리구조의 특수성은 총체적 근대도시 공간개조의 대단한 걸림돌이었다. 하수로로 활용되었던 미세하고 촘촘하게 연결된 도시 물길은 복개되어 도로의 모습으로 변화하는데 오랜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근대도시의 더러운 하수도로만 치부되었던 도시 내 자연 하천은 경성 ‘하수개수’ 사업을 통해 개수되었고 현재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공간구조 및 도로형태, 하수관거의 기틀이 되었다. 서울 역사도심 공간구조의 형성과 변화에 일제강점기 경성 ‘하수개수’ 사업의 시행이 있으며, 시행과 변화특성을... This study interpreted the meaning and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of Gyeong-seong Sewage Works by reproducing construction records of Gyeong-seong Sewage Works, which brought about a big change i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downtown Seoul. The Gyeong-seong Sewage Works, implemented by the strength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social phase of modern urbanization, was partially carried out for a long time due to urban structural limitations according to special urba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Gyeong-seong. Gyeong-seong was in a situation where urban renovation was more difficult than other coloni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Due to the city's waterways connected like naturally formed microvascular systems, it was difficult to perform total road renovation and 'sewage renovation'. Despite the era of rapid and total urban renovation, the limited budget and technical limitations of the special urban structure base changed the construction period, construction plan, and construction method. The Gyeong-seong 1st period of Sewage Improvement Works (1918-1924) was implemented on a small scale, focusing on Japanese residences. The location of the construc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litical intention and purpose. The construction method (opening and reclamation method) and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section) we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way. Most construction of Gyeong-seong 1st Sewage Treatment Works were carried out in a dark way, focusing on the vicinity of the Governor-General south of Cheong-gye Stream and the Japanese commercial area. In the second half of the Gyeong-seong 1st period, construction was also carried out in the Bukchon area north of Cheong-gye Stream due to accessibility to a number of schools and educational facilities located between Gyeong-bok Palace and Chang-deok and Chang-gyeong Palace.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seong 2nd period of Sewerage Improvement Works (1925-1931) was carried out around the area near Gyeong-bok Palace, which was relocated by Governor-General of Joseon. With relocation of the Joseon Governor-General, the western part of Gyeong-bok Palace was quickly urbanized and the number of Baek-un-dong Stream flowing in this area was strongly demand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Gyeong-seong 2nd period of Sewage Improvement, Baek-un-dong Stream was carried out in an underground method, although it was the largest and longest water stream in Gyeong-seong. In addition, construction of Heung-deok-dong Stream centered on the construction of government schools in the northeast (such as the Governor-General's Council and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and the construction of Nam-so-mun-dong Stream centered on Gyeong-seong Stadium and Jang-chung-dan Park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location and method of the “sewerage” construc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power centered on Japanese colonial governance facilities was realized. The construction of Gyeong-seong 3rd period (1933-1936), Gyeong-seong 4th period (1937-1943), and Sewerage was all carried out with a dark method. Construction records of Gyeong-seong 3rd and Gyeong-seong 4th periods were simply recorded in the Gyeong-seong-bu Civil Engineering Project Overview,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extension of number (length), and construction cost. Due to limitations of records,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aterways and covered roads in urban spaces were identified using the modern map “Dae-gyeong-seong Bu-gwan” in 1936. In 1936, shortly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3rd Gyeongseong Sewage Works, it was confirmed that Gyeong-seong remained uncovered, including the main stream of Cheong-gye Stream, the upstream area of Baek-un-dong Stream, Sam-cheong-dong Stream, Heung-deok-dong Stream, and some sections of Nam-so-mun-dong Stream. Since then, the main stream of Cheong-gye Stream was covered in the 1970s...

      • KCI등재

        식민지 도시계획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염복규(Yum, Bok Kyu)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7

        이 논문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전개 과정과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의 위상을 재검토한 연구이다. 1920년대 조선총독부의 도시계획파는 잡지 『조선과 건축』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도시계획 담론을 조선에 전파했다. 또 조선 4대 도시(경성, 부산, 대구, 평양)의 조사와 도시계획안 작성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작업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했다. 조선총독부 수뇌부의 반대로 도시계획법이 제정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20년대 내내 조선에서 도시계획은 부침을 겪으며 점차 하강곡선을 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대 도시의 조사 작업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1930-31년 경성, 부산, 대구 세 도시의 도시계획안이 간행되었다. 그런데 이것은 도시계획을 즉시 실행하지 않음을 전제로 총독 등에게 보고용으로 소량만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도시계획을 위한 재원 마련책이 없으며, 실지 측량도 일부만 했다. 무엇보다도 조선총독부의 공식 간행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지 않고, 국회도서관과 일본 사이토기념관에만 소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오랫동안 존재조차 잊혀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1930년 조선총독부 도시계획안’은 1920년대 조선 도시계획 논의의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증거이다. This treatise examines the discussion of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During the 1920’ s, urban planners in the colonial government attempted to promote city planning ideas and discussions through publishing the periodical “Joseon and Construction.” They conducted preliminary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in Joseon – Kyeongseong (京城), Busan (釜山), Daegu (大邱), Pyongyang (平壤) - and drew up urban plans for these cities. However, the project faced opposition from higher levels of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specially with regard to legislating the urban planning act. Throughout the 1920’ s, there were ups and downs, but efforts for urban planning in Joseon continued to decline. Nevertheless, the surveys of the four major cities were carried out and resulted in the 1930-1931 publication of the city plans for Kyeongseong, Busan, and Daegu. However, the urban plans were meant to be printed only in small numbers to debrief the Governor General, without any intentions to realize them in the foreseeable future. No resources were procured for the plans and the actual surveys did not cover the cities’ entire areas. Moreover, although the plans were official publications of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 they are currently not in possession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only found at Korea’s Library of the National Assembly as well as the Saito Makoto Memorial Hall in Japan, actually forgotten, even among scholars. In conclusion,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embodies both the achievement of discussions on urban planning in Joseon during the 1920’ s and its limitation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식민지 도시사 연구의 최근 성과 검토와 약간의 전망

        염복규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This paper examined recent research articles and books on the urban history of colonial Korea and presented some views for further studies. The research papers in this academic field,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2001 to 2021,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number of articles, research target period, and research themes. Then,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five research topics: 1)colonial rule and city administration, 2)city politics and influential persons, 3)urban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4)urban landscape and 5)culture.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this field peaked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0th century and decreased relatively in the 2010s. As for the research target periods, the focus appeared to move from the Ports Opening and early colonial rule period to the late occupation period. Research themes were observed as moved to urban sociology from urban development history. This paper presented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analysis. Firstly, current research target cities and topics, which were found as focused o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further. Secondly,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urban history needs to be pursued through lively debates between other academic fields. Thirdly, the historical analysis needs to be based on a greater awareness of current issues. 이 논문은 식민지 도시사 연구의 최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약간의 전망을 제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2001~2021년 식민지 도시사 연구 저서・논문을 수집하여 연구의 총량, 연구 대상 시기, 연구 주제 등의 변화 양상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연구 주제를 식민통치와 도시행정, 도시정치와 유력자, 도시사회와 도시주민, 도시개발과 인프라, 도시경관과 도시문화 등 5개로 나누어 주요 연구 성과를 검토했다. 그 결과 2001~2010년 연구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2010년 이후에는 증가세가 둔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연구 대상 시기는 개항~일제초기에서 일제말기로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 주제는 도시개발사에서 도시사회사로 초점이 옮겨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검토 결과에서 도출한 앞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 도시와 주제가 편중되어 있다. 이를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도시사 연구의 융합적 특징을 살리기 위해 다른 학문 분야 간의 논쟁적 대화가 더 활성화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성 있는 문제의식을 더 가다듬어야 한다.

      • KCI등재

        대안도시 이론과 도시 평가모형의 한계

        송은하(Song, Eun-Ha) 도시사학회 2012 도시연구 Vol.8 No.-

        기능주의적 관점에서의 도시는 매매의 대상이자 물적인 상품으로 하나의 대상이 됨으로써 인간의 삶과 분리되어 왔다. 이러한 산업도시 발전 모델에 대한 비판이자 대안으로 도시에 대한 성찰적 사유를 시도하는 도시인문학 연구가 그간 장족의 발전을 이루었다. 도시와 인간의 관계를 상품과 소비자로서가 아니라 유기체적 그것으로 회복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은 도시를 인간의 삶, 인간의 목적과 동일시하는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도시 평가는 대체로 도시가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측정하는데 치중되어 있다. 인문학적 관점이 접속된 도시에 관한 이론적 실천이라면, 결과가 아니라 원인에 주목해야 하는 사명을 가질 수밖에 없다. 도시가 문화적이고(문화도시), 창조적이며(창조도시), 환경적으로(환경도시), 인권을 존중하며(인권도시), 삶의 질을 높여주어(살기 좋은 도시), 살고 싶게(살고 싶은 도시) 될 수 있게 하는 원인을 찾아내어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해야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도시의 주인으로서 도시민의 주체적 삶, 그리고 그 삶의 과정으로서의 도시라는 순환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The city in the functionalistic approach has been separated from the lives of humans as it became a target for sale and a product. As a criticism and a measure for this industrial city development model, the research on urban humanities that attempts reflective thinking for the city has made great strides. The movement to re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ity and the humans organically, not as the products and consumers, enables one to have the visions to equalize the city with the life of humans and the goals of humans. Though the city evaluation highly relied on measuring the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possessed by the city until now. The humanistic perspective that is regarded as the theoretical practice about the fundamentally accessed city, ends up with having a mission in which the focus should be made on the cause that the result. In other words, it is mandatory to develop the model by finding the causes that make the city that is cultural(cultural city), creative(creative city), considers the health of the urban residents(healthy city), respects the human rights(human rights city), and makes one to live in the city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livable cit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irculatory relationship as the independent lives of the urban residents as the owners of the city as well as the circulatory relationship called as the city of the process.

      • KCI등재

        교육기능에 따른 도시 공간의 변화

        송향숙(Song, Hyang-Sook),박태원(Park, Tae-Won) 도시사학회 2012 도시연구 Vol.8 No.-

        도시는 인간이 삶을 영위하면서 생성되어진 가장 기초가 되는 물리적 현실이다. 주거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도시가 생겨나고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도시의 계획화가 나타나게 되었다. 도시의 변화는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에 의해 바뀌기도 하고 공간에 영향을 받아 도시민의 특성이 지워지기도 한다. 근대를 지나 현대에 이를수록 공간을 결정하는 정책자들에 의해 구획되어 지고 특정 지워진다. 특정 지워진 계획도시들은 도시적 특성에 맞는 사람들로 채워지고, 계층적 양상을 보인다. 특별히, 우리나라의 경우 전후 공급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많은 신도시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 중 1980년대의 택지개발에 의해 공급된 목동 신도시는 공간 소비자들의 사회문화적 요구에 의한 교육기능이 발달한 도시가 되었다. 특정 요인이 발달하면서 토지 이용변화를 일으키고, 도시의 생태적 변화를 이끌어 내어 계획도시들의 모습을 확정짓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공급자들에 의해 건설된 대규모 신도시가 입주 완료 후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토지 경쟁과 지배를 통해 상업지역내의 토지 이용과 공간 점유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기능을 통해 알아보았다. 사례지로 선택한 목동 신시가지는 소형, 중형, 대형의 아파트가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중심에 상업지구가 배치되어 있어 중심 상업지구로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교육기능의 경우 신시가지 내에서는 용도가 지정되어 있어서, 교육 용도의 토지 확산은 신도시를 둘러싼 개별 토지들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었으나 신도시 내의 상업 지구에 대부분 입지하고 있었고, 신도시 내부적으로는 토지의 확산이 수직적 공간 점유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도시내의 집합적 소비가 공간적 집적화를 이끌어 내어 입지의 특성을 결정하고, 특정 지역에 생태학적 현상을 일으켜 기능지역을 만들고 지속하면서 지배와 경쟁을 통해 공간적 변화를 주어 도시의 파편화를 만들 수 있다는 접근을 하였다. A city is a based physical reality that is created as human beings live. On a basis of residential areas, many types of cities were created and a urban planning came up after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a city is sometimes changed by its residents, but also they themselves characterize urban space. As time passed from modern to present, city has been planned and characterized by policy maker. Characterized planned cities was full of accordingly appropriated residents and show classical aspect. Especially a lot of cities in Korea has been built by supply-oriented policy after Korean war. Of those cities, Mok-dong new town developed after 1980 became education-focused area by social and cultural demands. Mok-dong new town is well divided into small sized, medium sized and large sized apartments that are planned to access easily commercial center area. Because educational land use was limited in this area, integrated land use was necessary though the more educational land use existed outside this area. This study shows a special factor can cause land use transition and urban ecological transition, finally build a characterized city. Hence we can find how educational functions affected land uses and space occupation in commercial area of Mok-dong new town. In conclusion, this study aims to show how collective consumption caused integrated land use and finally created city fragmentation.

      • KCI등재

        현대 한국의 도시위생 개선과 의학 교과서 서술의 변화

        권오영(Kwon, Oh Young) 도시사학회 2017 도시연구 Vol.- No.18

        이 글은 도시위생과 관련된 예방의학과 미생물학의 교과서를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여 도시위생의 개선에 따라 교과서가 어떻게 서술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현대 도시위생의 개념이 시작된 1950년대에는 도시위생의 인프라를 구축하던 시기였다. 당시 도시위생은 의학의 하나의 주제였고,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시위생의 직접적인 주제들이 의학 교과서에 수록된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이 같은 내용은 점차 축소되면서 산업보건 문제와 만성질환 분야의 서술이 증가한다. 최근에는 신종감염병과 국가 간 위생에 관점을 맞추어 교과서 내용은 변화하고 있다. 도시위생의 개선은 이와 관련된 감염병의 발생을 감소시켜 미생물학의 교과서 서술 내용과 구성을 변화시켰다. 상하수도 시설의 구축으로 수인성감염병의 발생이 감소하였고, 교과서 분량도 같이 감소한다. 해외유입 감염병과 신종감염병의 유행은 이 분야의 서술을 점차 증가시키고 있다. 도시위생 시설변화에 의해 특정 질병의 서술이 시기별로 변화한 사실을 콜레라와 레지오넬라증으로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도시위생의 개선은 의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의학 교과서의 서술을 변화시켰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descriptions of medical textbooks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by analyzing textbooks of preventive medicine and microbiology related to urban hygiene. In the 1950’s, the concept of urban hygiene was taking root. This was the time to build up the hygienic infrastructure in Korea. At that time, urban hygiene was one of the topics of the world of medicine. More direct topics of urban hygiene were introduced in medical textbooks. However, after improving urban hygiene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topic was no longer considered of major import, as occupational health and chronic illnesses have taken its place.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also changed the description and structure of the microbiology textbooks by reducing the occurrences of many types of infectious diseases. Improvement in urban hygiene, which reduced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has changed the description and composition of textbooks in microbiology. The construction of water and sewage facilities reduced infectious waterborne and foodborne diseases, and the amount of these description of microbiology textbooks also decreased. The outbreak of new infectious diseases and diseases from overseas are increasingly being described in this field. The contents of the specific diseases were changed by the sanitary facilities of the city through the cases of cholera and legionellosis.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urban hygiene has made a great impact on medicine, and has also changed the descriptions of medical textbooks.

      • KCI등재후보

        제국 일본 도시계획가들의 도시사상

        현재열(Hyun, Jae Youl),김나영(Kim, Na Young) 도시사학회 2016 도시연구 Vol.- No.16

        이 글은 메이지(明治) 말기와 다이쇼(大正)기를 거쳐 쇼와(昭和)기에 이르기까지 일본에서 근대도시계획이 형성되는 시기에 주된 역할을 한 고토 신페이(後藤新平), 세키 하지메(關一), 이케다 히로시(池田宏), 가타오카 야스시(片岡安) 같은 주요 인물들의 도시관이나 도시계획론을 비롯한 도시사상을 정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 근대도시 형성과정에 대한 사상적 측면에서의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는 이러하다. 이 네 사람은 모두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 초기에 출생하였으며 메이지 유신기에 일본의 근대국가화에 필수적인 ‘동량(棟梁)’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이 네 사람이 몸담은 분야로 의학, 경제학, 법학, 건축학이라는 근대국가 구성의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는 중심 요소들로 이루어진 점이다. 이러한 핵심 분야들에서 성장한 네 사람이 모두 일본 근대도시계획 형성의 중심인물로 활동했고 오늘날까지 일본 도시들이 가진 기본 축을 이루었다는 것은 일본근대 도시의 기본 특성만이 아니라 일본에서 구현되는 근대성에 대한 기본적 이해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들 모두가 서구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고 그 영향에 기초하여 도시계획에 대한 시각과 틀을 제시하고 있음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들의 도시관과 도시계획관은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는 듯이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국가를 중심에 두고 도시를 생각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며, 그런 점에서 도시계획 역시 이런 국가 중심의 도시에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그래서 인프라를 중시하고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경영을 전제로 한 도시계획을 생각하며 이런 도시계획의 실현은 다름아닌 제국 일본의 근대성을 적확하게 구현하는 도시의 실현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중 순전한 건축가적 마인드로 접근하는 가타오카 야스시에게서는 그런 국가주의적 속성이 그다지 드러나지 않는다고도 할 수 있지만, 어쩌면 이렇게 자기 분야에만 완전히 매몰하는 모습 또한 제국 일본 형성에서 한 분야를 차지하는 전문가들에게 요구된 기본 ‘덕목’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between the ideas of city and city planning of four modern Japanese planners (Goto Shinpei, Seki Hajime, Ikeda Hiroshi, Kataoka Yasushi) who played a prominent part in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planning from the late Meiji to the Taisho, so that it attempts to approach to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in view of the method of the history of ideas. All of these planners were born from the late Bakufu to the early Meiji, and growed up as the ‘pillars’ indispensable to the constitution of Japanese modern state during the Meiji period. Above all, it is noteworthy that all of them were in sectors that had given the basic infrastructures of the modern state constitution: Medicine, economics, law, and architecture. The fact that these four planners worked actively as the central figures of the formation of Japanese modern city planning and constituted the basic axes of Japanese cities can provide the foundation of understanding o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odern city as well as the modernity embodied in Imperial Japan. It seems that their ideas of city and city planning differed from each other in the details. However, as a whole, they were common in that they thought the city focusing on the state, and so they approached to the city planning from the viewpoint that it would resolve the problems of city for the state. Therefore, they put stress on the infrastructures and pursued the city planning that premised the practical and rational management of city. It can be said that the fulfillment of this city planning was no more than the realization of city that incarnated accurately the modernity of Imperial Japan.

      • KCI등재

        2000년 이후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동향과 과제(2001~2020)

        유현정 도시사학회 2022 도시연구 Vol.- No.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changes and development of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focusing on research outcomes of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in the domestic academia from 2001 to 2020. Since the 1990s, interest in urban space has been accumulated as the Asian history world of Korea attempts to historically understand cities. In history research studies, urban space is now understood not only as a product of history, but also as the sum of multilayered relations of various leveled-social powers. The theme of research was mostly expanded from politics, society, and economy such as political conflict or development of commerce/industry in urban society to urban administration, disease and hygiene, urban culture, and identity of city and its members. I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analysis on city was moved toward the direction of interpreting and examining the spatial nature of city by exploring human activities with correlations and interactions of urban space. In the aspect of research method, there were new changes of utilizing non-textual materials such as theater art and printed art. Like this, Korean research studies on Chinese modern urban history have achieved eye-opening results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Concerns about the nature of modern urban space paid attention to its coloniality and recovery of the right of urban space. Now, interest in urban space right should be more expanded to explore the right of urban space open to every urbanite. In the future, this is expected to become a research task we can inquire into as a “practical activit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lternative urban culture based on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이 글은 2001년~2020년까지 국내 학계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국내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가 내용 면에서 어떠한 변화 발전을 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1990년대 이래 한국의 동양사학계에서 도시를 역사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면서 도시 공간에 대한 관심이 축적되었다. 이제 역사 연구에서 도시 공간은 역사의 산물이자 다양한 층차의 사회 세력들이 맺은 중층적 관계의 총합으로서 이해되었다. 연구의 테마는 주로 도시 사회의 정치적 갈등이나 상공업 발전과 같은 정치, 사회, 경제 연구가 중심이던 것에서 도시행정, 질병과 위생, 도시문화, 도시와 도시 구성원의 정체성 등으로 확장되었다. 연구의 시각도 인간의 활동과 도시 공간의 상호관계 및 상호영향을 탐색하면서 도시라는 공간의 성격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극예술, 인쇄 미술 등 비문자 자료를 활용하는 등 연구 방법 면에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 이처럼 한국의 중국 근대도시사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괄목할 만한 성과를 쌓아왔다. 근대적 도시 공간의 성격에 대한 고민은 그 식민성과 도시 공간의 권리를 회복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제 도시 공간권에 대한 관심을 더욱 확장시켜 도시 공간이 도시인들 모두에게 열려있어야 할 공간의 권리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이는 “참여와 연대성에 기초한 대안적 도시문화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활동”으로서 앞으로 우리가 천착할 수 있는 연구과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중세 도시의 지리적 구조와 기독교

        박용진(Park, Yong-Jin) 도시사학회 2012 도시연구 Vol.7 No.-

        중세 도시의 형성에 있어서 기독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기독교의 전파경로는 도시의 형성 및 발전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 내에서 교회의 건설과 교구의 설립은 도시의 형성 이후의 확장 과정을 보여주며, 대개 사회경제적 특징을 포함하게 마련이다. 프랑스의 아미앵의 경우 이러한 점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4세기 기독교 공동체의 위치는 로마 제국 시절의 도시가 축소되었을 때 어느 정도 규모였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대개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성벽 외부(extramuros)의 묘지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중세에 이르러 도시가 다시 팽창하는 과정과 속도는 아미앵 시내에 각 교회와 교구가 설립되는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즉 10-11세기에 걸쳐 도시 남쪽에 교회들이 들어서고, 12세기에는 북쪽 생뢰 지구에 교회가 생기며, 그 이후에는 성벽 외부 지역에 교구가 설립되었다. 그런데 도시 남쪽 교구는 비교적 부유한 상인들이나 교회 관계자들의 거주지였고, 북쪽교구는 신흥 지역으로서 장인들의 거주지였다. 이러한 차이는 16세기 말까지도 지속되었고, 이러한 도시의 지리에 근거한 차이는 사회경제적 측면에 그치지 않고 종교적 차이까지 낳게 되었다. 한 마디로 도시의 구조는 쉽게 변하지 않는다. The christianization contains the changes of the medieval city. The christian cemetery or church is the core of the development of medieval cities, because it is the place to worship in the early middle ages. The establishment of the diocese or the parish shows the growth of population and the extension of the urban space. For example, in the late Roman Empire, a christian community worshiped in the cemetery just out of the wall of Amiens. In the early middle ages, the development of the urban space correspon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dioceses. First, the churches were established in the south-west of Amiens, and next, in the south-east, and finally in the north, Saint-Leu Diocese. After fulfilling the inner space(intramuros), the population and the church went out of the wall(faubourg) in the twelfth century. This topography is not limited to the religion. In the south-east district, there lived the clergy, and in the south-west district, the rich merchants, and in the north, the poor textile artisans. This was the same in the conflict of the protestants and the catholics. So the poor artisan-protestant in the north and west faubourg, opposed to the rich merchant-catholic in the south. The urban topography is not easily transformed.

      • KCI등재

        근대 중국 도시-향촌관계 연구의 시각과 쟁점

        렌지동(任吉東) 도시사학회 2011 도시연구 Vol.5 No.-

        도시-향촌관계란 오래되었으면서도 새로운 주제다. 도시-향촌 관계에 대한 연구는 핵심적인 분야로서 도시사의 발전과 더불어 의미심장한 발전을 이루어냈다. 외국 학자들의 인식은 중국의 도시공간과 향촌간의 대립이라는 주제에서 그 연속선, 즉 이들 간의 유기적이고도 밀접한 관계로 그 관점을 이동시키고 있다. 중국의 학자들 또한 이론의 측면에서, 그러나 서로 다르게 보여주고 있는 도시-향촌관계들의 구체적 사례가 지닌 특수성들을 주의 깊게 또 실증적으로 고려하면서, 이들 관계에 대해 토론을 전개하고 있다. 이 주제와 관련하여 네 가지 영역에 걸쳐 수많은 분석들이 이루어져왔다. 본 글은 중국과 외국학자들의 이에 대한 주요 관점들과 학술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이 분야에서의 경향과 문제들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도시-향촌간의 관계라는 주제는 이론과 기본 개념의 수준에서 아직 이루어지지 못한 모호함과 불일치로 인해 아직 독립분과로 정립되지 못했다. 무엇보다도 중국의 상황에 고유한 어떠한 설득적 체계나 모델(내용, 맥락, 추동력, 근대화 등)을 보여주기가 힘들다. 사료의 차원에서 분석들은 또한 주요 도시들과 거대항구도시들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심도 주로 경제 분야에만 맞춰져 있다. 따라서 이제 도시-향촌관계의 다양한 측면들 (의식, 습관, 문화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 이론과 방법론을 쇄신해야 하고 또한 중국적 상황에서 각각의 사례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Urban-rural relationship is an old and new historic theme. As a essential section, the research of urban-rural relationship make significant progress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urban-history. The foreign scholars’ cognition to the Chinese urban-rural relationship undergoes the transform of opposition between the urban space and the rural one to their continuum, i.d. their organic and narrow relationship. Chinese scholars also discuss their relations from the aspect of the theory, but with careful and positive consideration for specificities of concretes examples which each urban-rural relationship present differently. Multiple analysis are concentrated in four domains of this relationships: the theory, the economy, the population, the culture and so on. This paper reviews the mainstream views and academic trends of Chinese and foreign scholars, and considers some pioneer questions about the status and prospects of the field. With this review, we can find out a tendency and problems. The theme of the urban-rural relationship does not yet establish a independent discipline because of ambiguity and disaccord at the level of theory and basic concepts. Above all it is difficult to present any persuasive system or model(content, context, impetus, modernization, etc.) proper to chinese situations. At the level of sources, analyses is principally concentrated not only on major cities and great seaport cities but also on economic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novate the theory and the methodology for studying various dimensions(rite, habits, cultures etc,) of the urban-rural relationship and to grasp wholly respective examples in the chinese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