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와 전망

        김규수 ( Kyu Soo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당위성 및 실효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과제를 짚어보고 앞으로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의 근거는 유치원교육과정 해설서 총론에 제시되고 있으며, 각 유치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교육의 효율성, 적합성, 교원의 자율성과 전문성의 신장을 위해서 그리고 교육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유치원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아교육과정 자율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구성원들의 확고한 의지가 요구된다. 둘째, 원장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정부와 교육청 그리고 단위 유치원의 역할 분담이 잘 이루어지고 이들의 상호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서 교사의 책무성이 요구된다. 한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해 전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질 것이다. 둘째, 정부의 책무성 역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는 획일적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준비와 역량이 된 유치원부터 점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유아교육과정 자율화의 수준과 질에 대한 평가가 수행될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 자율화 추세는 유·초등 연계 교육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draw a picture for the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background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based on the summary section of Handbook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eferences indicate that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and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 problem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w understanding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firm persistency of stake holders are needed. Seco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nd staffs is needed. Third, cooperation among government, educational district, and individual kindergarten is needed. Fourth, strong accountability of teacher is required. Prospects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ill be increased. Second, the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will be increased. Third,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dministrated from the qualified kindergarten. Fourth, the quality of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 KCI등재

        3차 교육과정 시기와 7차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

        김미순,조완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논문집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to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third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nd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This study put the math curricula from the third to the sixth one in third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s those math curricula witnessed the maintenance of industrial society paradigm. And then it put the math curricula from the seventh one to current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period as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paradigm has continued throughout those math curricula. Based on those period categories, We compared and analyzed changes of the middle school math textbooks.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math textbooks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tudy set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unit goal, task type and content development approach as analysis elements in the unit of ‘Nature of Figures’ in the second grade math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xtbooks of the two periods had many changes in the unit organization system, but the unit goal, task type, and content development approach stayed in low level goals and task type that require conceptual and procedural.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지속되었던 제3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제6차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3차수학과 교육과정시기로,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라는 패러다임이 지속되고 있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현재의2009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로 구분하여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는 어떠한변화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두 시기의 중학교 수학과 교과서 비교분석을 위하여 3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3차와 제6차 교육과정 교과서를,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시기에는 제7차와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를 중학교 2학년 수학 교과서의 ‘도형의 성질 단원’의 단원 구성 체제, 목표 수준, 과제 유형, 내용 전개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두시기의 교과서는 단원구성체제는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목표수준 및 과제유형, 내용전개 방식은개념적·절차적 지식을 요구하는 낮은 수준의 목표 및 과제 유형, 내용전개 방식에 머물러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이해중심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전문성 관점과 교사 역할 탐색

        정수경,강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a view of teacher professionalism on which UbD is premised and to explore teacher’s roles in it. The features of UbD described here is that it targets on long-lasting understanding of students with backward design, and then promotes consistency among these goals, instruction, and assessment. Devaluating teacher professionalism, traditional view tends to exclude teachers from curriculum development. Instead, this research highly appreciates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s the key element in their professionalism. Its argument is that UbD needs to be premised on the concept of teacher who mediate between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based on his own practical knowledge. In turn, it recommends five teachers roles for UbD in two respects. Those are making curriculum, analysing the result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sistently from teaching in terms of curriculum, facilitating learning process, and coaching students for performance task in terms of instruction. The fact that it truns back students to the center of education makes this discussion meaningful. 이 연구의 목적은 이해중심교육과정에 전제되어야 할 교사 전문성 관점을 분명히 하고 그에 따른 교사 역할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의 특징은 백워드 설계 방식을 통해 지속적 이해에 목표를 두고, 이러한 목표와 수업, 평가의 일관성을 도모한다는 점이다. 전통적 관점에서 교사 전문성은 평가 절하되어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배제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의 핵심 요소로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높게 평가한다. 실천적 지식을 통해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을 끊임없이 조정하는 개발가이자 실천가로서의 교사 관점이 이해중심교육과정에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 논지다. 끝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본 이해중심교육과정에서의 교사 역할을 교육과정과 수업의 두 가지 측면에서 교육과정 개발자, 평가자, 지속적인 학습자, 학습 촉진자, 수행 코치 다섯 가지로 제시한다. 본 논의는 무엇보다 학습자를 교육의 중심으로 원위치 시키고 교사교육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황윤세 ( Hwang Yoonse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수행된 질적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 실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통해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을 주제로 질적 연구를 실시한 9편을 선정하여, Noblit와 Hare(1988) 그리고 Soilemezi와 Linceviciute(2018)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내러티브의 의미와 실제에 대한 종합, 개념화, 범주화 하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교사와 유아 모두 긍정적 경험의 메시지, 상호 작용의 재발견의 의미가 담겨졌다. 둘째,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의 실제는 이야기나누기와 인성 교육으로 실제화 되고 있었다. 내러티브 유아교육과정은 여전히 시범적인 실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므로 이후 유아교육과정의 다원화를 위한 대안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특히 2019개정 누리과정의 실시와 관련하여 각각의 교실문화를 반영하는 교육과정에서 실제화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he practice of the narrativ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qualitative meta-synanalysis conducted on the topic of the narrative curriculum. The meaning of narrative was derived by conducting qualitative meta-synanalysis according to the steps suggested by Noblit and Hare (1988) and Soilemezi and Linceviciute (2018) by selecting 9 qualitative studies on the topic of narr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The work of synthesizing, conceptualizing, and categorizing both, and reality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curriculum contained a message of positive experiences and rediscovery of interactions for both teachers and young children. Second, the reality of the narrative curriculum was practiced through storytelling, character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narrative curriculum is still a pilot reality, it is necessary to seek alternatives for divers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한 슬기로운 생활 교육내용 변화 분석

        강이화(Kang, E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그 출발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통합의 관점, 방법 등에서 변화를 보이며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다. 그러나 그 개정과정에서 제기된 대표적인 비판은 개별 교과 내용 중심의 통합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그 개정의 방향에 맞게 교육내용을 타당하게 구성해왔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SNA) 중 범주 프레임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 문서인 제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6개 교육과정의 핵심단어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제 5차와 제 6차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은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탈교과적 통합의 맹아가 존재했음이 일정 부분 확인되었다. 제7차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은 기존의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비해 탈교과적 통합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남과 동시에 약한 분과교과적 특성이 공존했다. 2007 개정 ‘슬기로운 생활’의 교육내용에는 탈교과적 통합의 특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교육내용 제시방식이 간략화되면서 탈교과적 통합의 연계성과 긴밀성이 오히려 약해진 결과를 보였다.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a from the 5th curriculum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has been revised constantly, showing some changes on the perspective and the method of integration. However, the typical criticism of each revision focuses on bringing up a problem about the individual subjects-based integra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has made up the contents in Curriculum to match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For this,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keyword of six the “Intelligent Life”curriculum documents, using the analysis category frame in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o some extent that the sprouting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has existed in the 5th and 6th . The characteristics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of 7th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trongly appeared. As for 2007 revised content of “Intelligent Life”, the unique content area emerged importantly in semantic network, but as the presenting way of content was simplified at a time of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a, the coherence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showed a rather weak result.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쟁점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점

        송호열(Song Ho Y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마다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정작 교육 수요자인 학부모들의 의견은 잘 반영되지 않았었다. 2009 교육과정 개정 시에는 교육 수요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제안자 측(교육과학기술부 등)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지만 제안자 측의 설문조사이므로 신뢰를 담보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중립적인 위치에 있는 연구자가 학부모들의 의견을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필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일반 학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쟁점에 대해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쟁점은 크게 ① 교육과정 개정 절차 및 방법, ② 교육과정 총론 개정, ③ 교육과정 각론 개정, ④ 기타 사항 등 4개의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각 범주는 3~6개의 세부 사항으로 구성하였다. 학부모들은 교육과정 개정에 대해서 관심은 많았으나 잘 알고 있지는 못했으며, 2009 교육과정 개정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세부 항목 대부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우세하였다. 총론에 해당하는 학년 집중 이수제, 학년군 및 교과군 제도 도입, 교과군 축소 등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다. 4개 교과군(사회, 과학ㆍ기술, 외국어, 예술)의 통합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우세하였으며, 단위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상의 자율권 확대, 기본 교육과정 기간 축소, 고등학교 선택과목 수 축소,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 과목 축소 등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앞으로는 학부모들의 의견을 광범하게 수렴하고 적극 반영하여 국가 교육과정을 수요자 중심으로 개정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re were great amounts of controversy during times of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opinions of the parents (the main demanders) were only slightly taken into thought. The proposers(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tc.), during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conducted two surveys to gather the opinions of the educational demanders. However,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assuring objectivity, someone with a neutral perspective had to survey the student parents again. For this reason, the writer has conducted 1:1 surveys with 500 parents living in Seoul regarding the issues of the 2009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main issues were ① curriculum revision procedures and methods, ② revision of the general guidelines of national curriculum, ③ revision of the curriculum of individual subjects, ④ other matters. Each main issue consists of 3~6 smaller details. Despite the parents’ great interests in the revision, the majority of the parents were relatively ignorant and also held negative opinions on the matters of the curriculum revision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issues of the adoption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grade clusters, subject groups, and the reduction of subject groups, there was predominant approval from the parents. However, the opinions on whether these changes would be for the better or the worse were diverse. The integrations of each of the 4 subject groups(social studies, science·technology, foreign languages, arts) were met with approval. The increasing of the autonomy of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chool level curriculum, the reduction of the national common curriculum term, the reduction of high school elective subjects, and the reduction of the subjects of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were also met with great approval. In the future, the opinions of the student parents should be gathered and reflected upon more so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can be revised based around its main demanders.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 탐색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및 성취기준 개정을 중심으로-

        천주영 ( Joo-young Chun ),이경건 ( Gyeong-geon Lee ),홍훈기 ( Hun-gi H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교육과정의 ‘지역화’ 정책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한 방향인 ‘분권화·자율화’ 정책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교육과정 정책의 변화는 학생들이 지능 정보 사회 도래, 그린 혁명, 저출산 시대라는 미래사회의 뉴노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회변화 대처 역량 함양을 꾀한다. 특히 끝없이 확대되고 변화하는 과학과 교육환경과 컨텐츠를 고려하면 과학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다양성을 통한 전문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통해 과학과 교육과정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이하 ‘지침’)’과 성취기준 개정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정 시점의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과학과 고유의 특성에 기인하여 교육과정 지역화 확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고, 17개 시·도교육청을 의미하는 지역 수준 지역화와 학교 수준 지역화 사이에 위치하는 시·도내 지역교육청 또는 마을 단위의 지역화 수준을 인식하였으며, 향후 학교 수준까지 지역화가 도달했을 때 교사의 수준이 지역화의 수준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 교사 역량 등 교원 정책과의 연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의 지역화가 이루어지려면, 이와 병행하여 17개 시·도에 일부 성취기준을 자율적으로 구성할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공통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연계되는 과학과 ‘성취기준의 지역화’를 위해서는 ‘성취기준의 재구조화 또는 대강화’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교육과정지역화 정책에 의해 과학과 교육과정의 다양화·자율화 측면이 제고될 것으로 예측하면서도, 성취기준의 설정은 평가와 직결되기에 과학과 ‘지침’ 내 평가 항목의 기술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등의 정책의 정교화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과 특성을 고려할 때, 수업 소재의 지역화를 넘어서서 지침 자체에 지역별 중점 과학교육정책을 명시해 담을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추후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있어서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구체적 거버넌스 구축과 과학과 교육과정 ‘지침’ 및 성취기준 개선에 관한 실질적인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policy, which is a direc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hanging environment and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the localiza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advancing to expertise through diversity. In this paper, through experts’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revision were confirmed, focusing on ‘MPOE(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hereinafter referred to as ‘guideline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In conclusion, study participants considered tha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localiza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cience practices. And they recognized the level of localization at the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or village’-level between MPOE-level and school-level. When localization reaches the school-level in the future,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iscuss linkage with teacher policies such as teacher’s competency, noting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uld become the level of localiz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 order for the science ‘guidelines’ to be localized, 17 MPOE must be given the authority to autonomously organize some achievement standards in parallel. It was considered that ‘restructuring or slimming of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cede localiz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this. On the other hand, it was predicted that th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y would enhance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and autonomy of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directly related to evaluation, so it recognized the need to refine policies such as new description for evaluation clause in future science ‘guidelines’. Finally, considering science and characteristics, it was mentioned that it is necessary to specify regional intensive science education policies in the ‘guidelines’ themselves beyond the loca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 상업계고등학교 회계원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기형 대한경영교육학회 2006 경영교육저널 Vol.10 N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ounting principle textbook, to propose the problem of curriculum and to seek for the improvement plan at our commercial high schools. The total number of textbooks issued through the examination and review at the 7th curriculum are 13. 13 kinds of textbooks were analyzed to present the merits and demerits as textbooks, and problems of the contents in detail, and based on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result in depth of the curriculum itself and the operational problem, the accounting education at our commercial high schools was seriously considered. I believe that as the study scope is limited to the accounting principle, the content has been studied in detail and I conclude the study at the level to propose the accounting education of our commercial high schools in general as a whole, satisfied to handle the remaining accounting subjects at the introduction level.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curriculum of a commercial high school depends on the efficiency of curriculum of a major and response to the social demand. It can be said that the target of accounting education should be not to foster a general manager for special purpose or a professional manager, but to educate the practical knowledge or technology required by the economic society by teaching the general knowledge of accounting and application ability. In general,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education, it is the practical education to clarify the academic foundation and phenomenon and to apply them to the practical studies as it is the theoretic and practical studies at a time. I studied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and improvement as well as the analysis of textbooks and investigated the change of accounting environment, textbooks, curriculum and absence of accounting ethics education. I hope there will be more detailed studies later and expect the development rehabilitation of our commercial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교육인적자원부는 7차 교육과정을 시행하면서 앞으로 교육과정의 전면개정은 없을 것이며 필요하다면, 수시로 개정하는 체제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겠다고 약속을 하였다. 그런데 7차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인프라기반 없이 특유의 밀어붙이기식 실행으로 실패를 경험하였고, 시대적 변화에 대응해 나가는 와중에 주5일 수업제 실시가 시범 실시를 거쳐 전국적으로 도입되었고, 올해는 월 2회로 늘려 시행중이다. 이러한 계기를 바탕으로 제8차 교육과정에 대한 작업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되었으나 교육당국은 제8차 교육과정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주5일 수업제 실시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작업이라는 미명하에 목하 교육과정개정을 위한 작업이 진행 중이다. 단지 우선적으로 국민공통 10대 기본교과를, 다음으로 인문계 나머지 교과목을, 마지막으로 실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육과정을 순차적으로 개정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전국교과연구회 차원에서 필수교과목에 대한 교육과정(process)과 교육과정(curriculum)측면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을 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적 연구도 나름대로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되며, 본 연구내용이 진행 중인 교육과정개정에 반영된다면 미력하나마 상업계고등학교의 계열필수과목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회계원리교과서의 체계뿐만 아니라 내용측면의 개정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기초를 제공하기위해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후속연구로 생각하여 구체적인 교과서의 내용분석이나 개선방향보다는 거시적 안목에서 회계원리교과의 전반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 목적임을 밝혀둔다. 한편 시간적 제한 상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지 못하고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연구를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차이점 즉, 연구의 공헌점은 회계원리분야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는 관계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러한 시도를 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방략

        정희섭 ( Hee-sup Jung ),조인수 ( In-soo Ch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2

        통합교육이 지속적으로 주창되고 있는 현재, 통합교육 장면에서 장애학생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즉, 교육과정적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한 효율적인 교육과정 실행 방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교 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 착목하고, 통합교육 장면에서 장애학생에게 적용되는 교육과정 유형을 일반형, 변환형, 보완.대체형의 구분을 전제로, ‘절차’와 ‘방법’이라는 두 차원이동시에 작동하는 교육과정 실행 방략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절차’는 교육과정사정, 교육과정 구성실행, 수업전환 실행이라는 단계로 진행되고, ‘방법’은 강령, 숙의, 실행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이들 절차와 방법이 맞물려 작동할 때 교육과정적 통합이 이루어지고, 일반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표면적 및 잠재적 효과를 성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것의 정당성 및 타당성의 근거는 교육과정 분야에서 제기되고 있는 ‘실제성’ 이론에 그 기반을 두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inclusive setting. This study is to present strategie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order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o share manifest and hidden effects of general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urriculum implementation strategies in inclusive setting should be processed as ``procedure`` in order of curriculum assessment, curriculum construction implementation, and implementation for converting the curriculum into teaching. Substantial and uncertain curriculum problems at every stage of implementation should be solved through application of ``method`` in order of platform, deliberation and adapt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mises, the factors, and the strategie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inclusive setting can assure the impartiality and validity based on curriculum ``the practic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follow-up studies about the field effects of the strategies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practicality of curriculum as a common study paradigm for both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education.

      • KCI등재

        싱가포르의 시민-도덕과 교육과정 분석: 단위학교의 사회,도덕 교과군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유솔아 ( Sol A Y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함께 도입된 교과군제와 관련하여 싱가포르의 시민-도덕과(Civics and Moral Education: CME)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단위학교의 도덕과 학교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출발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전제에 기초한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는 교과군제를 집중이수제를 위한 수업 시수 통합 수준에 머무르고 있지만 교과군 편제에 적용된 논리적 준거와 교과군제를 통해 기대하고자 했던 교육적 의미를 고려할 때, 사회/도덕 교과군 교육과정은 수업 시수 그 이상의 것으로 교육학적으로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접근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이는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자율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노력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를 위해 도덕과 사회과 교과 관계에 대한 입장들을 고찰하고, 그 가운데 상호 공조적 관점에 입각하여 도덕과와 사회과 교과를 운영하는 싱가포르의 시민-도덕과 교육과정 사례를 교과 위상 및 특징, 교육목표와 구성 원리 그리고 내용체계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 발견된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의 교과군제 도입과 관련하여 단위학교의 도덕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an analysis of Singaporean civics-moral curriculum to investigat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on the basis of subject-cluster syst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relationship with social studies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s a result,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develope valid principles of subject-cluster curriculum between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second, keep the balance of moral socialization theory and the moral development theory in teaching; third, it is necessary to launch a task of systematizing the subject structure of moral education by reflecting the nature of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fourth, have clear understanding of core values and its logical basis for effective instruction; fifth, implement moral education with efforts for changes at social community or schoo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