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태도 및 인식에 관한 연구

        김종욱,남정권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 및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서 수도권에 위치한 초등학교 부장교사 10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및 백분율, t 검증,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한 학기에 1회∼2회 정도 협동학습을 시행하고 있거나,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초등학교에서 협동학습의 수업 적용이 효과적이라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원인은 협동학습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거나, 협동학습 관련 교육이 단순히 강의를 듣는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있어서 성별, 교육경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이 많을수록 새로운 지식습득을 위한 협동학습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교사들의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에는 교사들이 협동학습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연수와 함께 다양한 평가 방법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s and awar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the subject is a hundred directo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we conduct of statistical analyses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and ANOVA by using SP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The score of cooperative attitudes by age as new cooperative job training is 4.186±.018 out of 5.0, the score for awar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by age and career is 14.200±.000, 8.228±.001 of 5.0 respectively. There a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ttitudes item and awar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item. On the one hand, cooperative learning for teachers’ training requires practical skills, knowledge and multiple assessment methods.

      • KCI등재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에 발간된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구병두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cooperative learning using the meta-analysi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8 academic journal, published from 2001 to August 2012 were analyzed and 5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questions to be answered. Problem 1: How large is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Problem 2: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each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Problem 3: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 of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sex, age(grade), curriculum area, publication year selected in this study?Problem 4: How large are the mean effect sizes of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of student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grand mean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44. 2. The mean effect sizes of the each model of cooperative learning selected in this study, structural cooperative learning model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its effect size being .91. The second highest one is Jigsaw whose effect size is .72. On the other hand,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was proved to have the lowest effect size in this study. 3.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school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is most effective in fine arts subject but less effective in mathematic. 4. Cooperative learning is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low learning ability students.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1년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논문 48편 가운데 54개의 효과크기 수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협동학습 각 모형들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협동학습 실시 대상의 성별, 학교급별, 실시 교과목에 따라 협동학습의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넷째, 학생들의 학습능력 정도(상위, 중위, 하위)에 따라 협동학습의 학업성취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협동학습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44(r=.21)로 나타나 실험집단의 효과는 67.00퍼센타일로 17퍼센타일 만큼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협동학습의 모형들 중 학업성취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모형은 구조중심 협동학습과 Jigsaw로, 타 모형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효과가 큰 모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협동학습의 실시 대상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 효과는 남녀혼합집단이, 실시 대상에 따른 학업성취 효과크기는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실시교과목에 따라서는 예체능과 과학 교과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협동학습에 있어서 학생들의 학습능력 수준에 따른 학업성취 효과는 하위집단, 중위집단, 상위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어과 협동학습을 창조하는 교사의 역할

        한명숙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국어과 협동학습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첫째 역할은 협동학습 구조를 기획하는 것이다. 이는 교사의 수업 의도에 따라 적합한 협동학습 모형을 선정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선택하는 일이며, 수업의 협력 구조와 협동 구조를 계획하는 것이다. 둘째, 협동적 비계형성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다. 교사는 안내자, 보조자, 조력자의 역할을 각각 수행함으로써 근거리 비계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중재자, 촉진자, 참여자의 역할을 세분화하여 수행함으로써 원거리 비계형성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들 역할의 단위를 결정하는 역할도 비중이 크다. 셋째, 협동학습 운영을 위하여 교사는 전략적 언어 활용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국어과 수업에서 교사는 협동의 마인드를 형성하는 언어를 의도적으로 구사해야 한다. 또 교사는 전문적인 상황언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넷째, 국어과 협동학습의 운영 방안을 창조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습 책무성을 강화하고, 학습자에게 학습 역할을 분배하여 서로에 게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높이는 학습 조절 장치를 마련해야 한 다. 또 학습자의 상호작용 기술이 자동화되도록 하는 도구적 학습 을 단계적으로 조직해야 한다. 이처럼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교사의 역할은 협동학습 운영을 위한 열쇠로서의 기능을 한다. In this study, I classify Four kinds of teachers' roles for managing cooperative lesson in Korean language art because these are very important. Teachers must be attend to role specially for managing cooperative lesson in Korean language art. First, teachers must be designed and planned special structures for cooperative lesson. In cooperative lessons, teachers are able to design cooperative structure and collaborative structure. Second,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provide students with scaffoldings in managing cooperative lesson in Korean language art. In this study, these are called cooperative scaffoldings. Third, teachers should be suitably intend to use strategic instruction languages. Teachers must use special instruction language to make cooperative mind with their students. Finally, if teachers want to manage a cooperative lesson in Korean language art, than there is a need for several particular and detailed plans.

      • KCI등재

        협동학습 실천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김대권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as the ground theory method how the cooperative learning is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by the teachers in the ecological perspective. It was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cooperative learning is developed I the elementary school field and to seek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teaching and what is the problem. This study was made through the analysis, application and generation observation of percep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eaching by 27 teachers in Somang Elementary School and the interview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analysis of questionnaire and documentary data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expert interview, adopting the research tradition and paradigm of the grounded theory for 9 months. The causal condition, which formed the negative percep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by the teachers was drawn and they are the teachers who feel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is not easy. The major phenomenon occurred by this causal condition is that seeking the compromise plan for the realistic cooperative learning and find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culture hard to apply it. In the meantime, the students who engaged in the activities happily and feel hard and the teachers who feel the vitality of the teaching but express that it is fatigued are considered as dual thinking. The students who are difficult for cooperative learning, inappropriate classroom environment, and the teachers who are passive for change were drawn as contextual condition that works as restrictive condition in selecting the strategy. In addition to these contextual condition, the doubt on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curriculum not easy and the reconstruction of evaluation were drawn as a mediating condition having influence on accelerating or suppressing the reaction of teachers and the interaction strategy. The deliberate strategy taken matching with these central phenomenon and mediating condition were to suggest new education policy, to innovate the training system and to challenge to the changed teaching. The results mean the results performed the re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y taken to cope and solve the central phenomenon facing with it and what appear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as the outcome category of the strategy corresponded to the central phenomenon in implementing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were the class and innovation of evaluation system, which were pushed out in the prior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nalytic situational model for the understanding the classroom eco-system arou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was schematized. The classroom eco-system of cooperative learning was composed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school culture, class progress, which are the factor that can be verified intuitively and at the same time, are the factor that obstructs the eco-system of cooperative learning, the outside eco-system made of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nd the inside eco-system composed of fellow teacher, policy, training and student. It was observed that these inside and outside eco-system factors also interact each other within each eco-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to implement the cooperative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t was observed that it can survive in the classroom eco-system when considering diverse environmental elements that exist in the inside eco-system and outside eco-system complexly rather than inducing the implement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with several factors inclined to some parts.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 안에서의 협동학습 실천에 대해 생태학적인 관점에서 교사의 의미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발견해보기 위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초등학교 현장에서 협동학습의 전개 및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협동학습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이 무엇인지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근거이론을 사용하였으며, 약 9개월에 걸쳐 초등학교 교사 27명의 협동학습 수업 분석과 협동학습 수업 적용과 인식에 대한 관찰 및 면담, 설문지 분석, 문서자료 분석, 협동학습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협동학습은 쉽지 않다고 느끼는 교사들, 몸이 지친 교사들, 마음이 지친 교사들’ 이라는 인과적 조건으로 인해 ‘타협 방안 모색, 교실환경과 문화, 교사와 학생의 이중적 사고’라는 중심현상을 발견했으며, 현상에 대한 전략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으로 ‘협동학습이 힘든 학생들, 적합하지 않은 교실환경, 변화에 수동적인 교사’가 도출되었다. 교사들의 상호작용 전략에 영향을 주는 중재적 조건에는 ‘협동학습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의심, 교육과정과 평가의 재구성’ 범주가 핵심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현상과 조건에 취해진 전략으로 ‘새로운 교육정책 제시, 수업 혁신을 위한 연수, 변화된 수업 도전’이 시도되었다. 결과적으로는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된 수업과 평가 시스템의 개선’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협동학습 교실실천을 둘러싼 교실생태계 이해를 위한 분석적인 상황모형을 도식화하였다. 협동학습 교실생태계는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협동학습 생태계를 방해하는 요인이기도 한 교실환경, 학교 문화, 수업진행, 효과성과 효율성으로 이루어진 외곽생태계와 동료교사, 정책, 연수, 학생으로 구성된 내곽 생태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외곽 생태계 요소들은 협동학습 교실 실천을 서로 상호작용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협동학습 실천을 위해서는 일부의 몇 가지 요인들로 협동학습 실천을 유인하기 보다는 내곽 생태계와 외곽 생태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수학 협동학습의 역사적 고찰

        이중권,Lee Joong Kwoen 한국수학사학회 2005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8 No.2

        본 논문은 수학 교육방법 개선을 위한 노력의 하나로 학습 모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중 특히 협동학습 유형을 역사적으로 종합 정리하고 협동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소집단 협동학습의 필요성 그리고 협동학습과 전통 조별학습의 차이점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다양한 협동학습의 유형을 제시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수학교육학적 견지에서 의미 있는 협동학습 유형으로 팀보조개별학습(TAI: 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직소우(JIGSAW) 협동 학습, 직소우II(JIGSAW II) 협동 학습, 직소우III(JIGSAW III) 협동 학습, STAD(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협동학습, 팀경쟁 협동학습(TGT: Teams-Games-Tournament)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This research studied loaming model for the purpose of renov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methods. Especially,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types of cooperative team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cooperative learning, the need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hool mathematic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cooperative teaming and traditional small group learning. This research also suggested special feature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various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s. The main types of cooperative loaming which this research supported are TAI(Team-Assisted Individualization, JIGSAW cooperative loaming, JIGSAW II cooperative teaming, JIGSAW III cooperative teaming, STAD(Student Team-Achievement divi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TGT (Teams - Games - Tournament).

      • KCI등재

        학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협동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종수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도 방법으로서 수준별 협동학습 학습지를 활용한 수준별 수업과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협동학습 학습지를 활용한 학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으로 학생들의 수학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둘째, 수준별 협동학습 학습지를 활용한 학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으로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도록 하여 협동학습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셋째, 수준별 협동학습 학습지를 활용한 학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실험 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학업성취도에 향상을 보여 주었다. 둘째,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협동학습 태도의 변화에 도움이 되었다. 셋째, 수준별 협동학습 학습지를 활용한 학 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으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의미 있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e produce the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sheets which was appropriate instructional content for various levels. And, by using them appropriately at the levels of student learning on their own interest, we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s. Specific for detail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pplying a variety of the differentiated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sheets and developing instruction⋅learning, we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rough the making and utilizing the differentiated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sheets and the interest and attitudes in mathematics, we improve the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Third, through the levels of the subgroup cooperative learning, we improve the math learning abilities through a learner-centered. Fur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up complementary cooperative spirit among colleagues

      • KCI등재

        국어과 협동 학습의 의미와 방법

        이재승,정필우 청람어문교육학회 2003 청람어문교육 Vol.27 No.-

        이 글은 국어과 협동 학습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법을 다루고 있다. 협동 학습은 한 마디로 일정한 구성원들이 공동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동등한 입장에서 책무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구성원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산출해 내고 결과에 대해 공동의 평가를 강조하는 학습 형태이다. 이렇게 협동 학습은 공동의 목표를 갖는다는 점, 구성원 모두가 동등한 입장이라는 점, 개인의 책무성이 강조된다는 점,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산출하고자 한다는 점, 결과에 대해 공동으로 책임을 진다는 점 등에서 일반적인 학습 형태와는 구별된다. 이 글에서는 국어과에서 협동 학습법의 뜻과 그 중요성을 다루었다. 그런 다음 국어과 협동 학습법을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원리를 제시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협동 학습을 적용하는 데 하나의원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국어과의 협동 학습법의 유형으로 배분 학습법, 상호 교수법 등을 제시했다. 그런 다음 각 협동 학습법을 적용할 때의 지도 절차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협동 학습법의 적용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제시함으로써 협동 학습법의 적용 모습을 그려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했다. Korean Language Learning can be achieved by the interaction of the Language among the students. Just as Vygotsky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social language' and 'role of adult and peer', Korean learning process can be done by the talking with the able student or a teacher, and by the established scaffolding which they communicate between little master and student,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ccordingly, Cooperative Learning makes students play active roles in their Korean Language Learning.. Because one of the traits of Cooperative Learning is that the member of the group are from heterogeneous groups, Cooperative Learning evokes language interaction actively. 'Teaching According to students level' which the Seven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point, aims individual teaching on the ground of the homogeneous traits of the student. But the social interaction of language which can be active among the heterogeneous groups will be diminished if we devide the student into able and poor group.

      • KCI등재

        과학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곽영순,Kwak, Young-Sun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5

        본 정성적 연구는 협동학습에 대한 현직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교실 현장에서 협동학습의 실천에 따른 장애요소들을 조사하였다. 구성주의 인식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협동학습은 내용의 단순암기와 경쟁을 통한 학업성취를 조장하는 현재의 교육체계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틀로서 제시되었다. 2001년 여름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등록한 18명의 현직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한 면접자료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정의,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실천과 관련된 이슈들, 교사 및 학생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반응’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류, 분석되었다. 이 영역들은 다시 10개의 주제들로 다시 세분되었다: 교사들이 느낀 협동학습의 의미, 학습에서 대화의 중요성, 협동학습이(부)적절한 상황, 협동학습 수업의 마무리 방법들, 협동학습시의 조편성 방법, 협동학습의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소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교사들이 밝힌 학습중심 교수/학습 방법 선택(또는 거부)의 이유, 협동학습법을 선호하는 교사들의 특성, 교사들이 현장에서 협동학습을 거부하는 이유. 각 주제별로 교사들의 반응을 상술하고 토의를 제시하였다. 보다 많은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개발과 실행을 위해서는 (1) 교사들의 인식 전환의 필요성, (2)교사 재교육 기회의 제공, (3) 학생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적응, (4) 교육과정 및 학습자료 측면의 지원 및 (5) 행정적, 시설적지원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한편, 협동학습이 모든 수업상황이나 교수/학습적 문제들에 있어서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협동학습은 단지 하나의 수업방법 또는 도구로서 가르치고자 하는 특정한 교수목표를 위해 유용하며, 특히 다양한 학습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섞여있는 교실에 적절한 방법이다. 후속 연구과제도 제안되었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e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cooperative learning and their perceived barriers in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their classrooms. The underlying premise for cooperative learning is founded i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Cooperative learning (CL)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rame to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hich emphasizes content memorization and individual student performance through competition.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8 in-service science teachers who enrolled in the first-class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during 2001 summer vacation. These secondary school teachers'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teachers' defini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ssues with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in classrooms, and teachers' and students' responses towards cooperative learning. Each of these areas are further subdivided into 10 themes: teachers' perceived meaning of cooperative learning, the importance of talk in learning, when to use cooperative learning, how to end a cooperative class, how to group students for cooperative learning, obstacles to implementing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reactions to cooperative learning, teachers' reasons for choosing (not choosing) student-centered approaches to learning/teaching,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ho use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nd teachers' reasons for resisting cooperative learning.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teachers' responses and discussion on each category are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L in more classrooms, there should be changes and supports in the following five areas: (1) teachers have to examine their pedagogical beliefs toward constructivist perspectives, (2)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have to provide teachers with cooperative learning opportunities in methods courses, (3)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ir changed roles (4) supports in light of curriculum materials and instructional resources, (5) supports in terms of facilities and administrators. It's important to remember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not a panacea for all instructional problems. It's only on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useful for specific kinds of teaching goals and especially relevant for classrooms with a wide mix of student academic skill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provided.

      • KCI등재

        협동학습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조사 연구

        유종열(Yu Jong Yo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와 관점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연구결과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 나 ‘협동학습은 다인수 학습에서 실시하기 어렵다’, ‘협동학습 활동 과정에서 학생들 이 상처를 입을 수 있다’, 그리고 ‘협동 집단을 구성하면 모든 수업 활동에서 협동 학습의 효과가 나타난다’ 등에 대해서는 다른 항목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학습이 효과적인 학생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학업 성취도와 상관 없이 ‘모든 학생’에게 효과가 있다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협동학습이 효과적 인 영역에 대해서는 ‘사회성’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협동학습이 효과적인 사고영역으로는 탐구력, 의사결정력, 창조력, 비판적 사고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들이 나타나는 원천에 대해서는 동료 간의 교수 활동이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교사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관점은 한 가지 유형으로 정형화하기는 어려 웠으나 변혁적, 교류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The study has probed into teachers understanding and viewpoints about cooperative learning. The findings reveals that teachers understand cooperative learning at the high level. The teachers, meanwhile, shows relatively conceptual misunderstanding in terms of Cooperative learning is difficult for a large class, Students could get hurt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groups has striking effects on all class activities, etc. In addition, the survey received the most strong responses about the statement that cooperative learning works for every student and for improving social skⅢs. As for the thinking skⅢs, cooperative learning takes effect in the order of inquiring mind, decision-making, and critical thinking. Teachers recognize these effects result from teaching or interaction between peers. Teachers standpoints depart from the standard pattern, but most teachers view cooperative learning from a transformative or a transactional perspective.

      • KCI등재

        위키 기반 협동학습과제 수행에서 혼합학습 유형과 협동학습 구조화 전략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승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web 2.0 환경에서 제공하는 위키를 활용한 협동학습 환경에서 대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과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혼합학습의 유형과 협동학습 구조화 전략이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혼합학습 유형은 전체 수업을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으로 진행한 ‘집합학습’ 2개 집단,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한 ‘병행학습’ 1개 집단, 수업의 대부분을 주로 온라인으로 진행한 ‘원격학습’ 1개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협동학습 구조화 전략은 Dansereau 등(1988)이 개발한 ‘MURDER’ 전략을 사용한 ‘구조화 전략’ 2개 집단과 ‘MURDER’를 사용하지 않은 ‘비구조화 전략’ 2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MURDER 전략에 따라 협동학습의 수행을 구체적으로 안내해 주는 ‘구조화 전략’은 ‘집합학습’ 1개 집단과 ‘원격학습’ 집단에 투입하였으며, ‘비구조화 전략’은 학습자들 스스로 협동학습 전략을 사용하여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략으로서 ‘집합학습’ 1개 집단과 ‘병행학습’ 집단에 투입하였다. 실험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위키를 활용한 협동학습 환경 및 효과에 대한 태도가 혼합학습 유형별 집단 및 협동학습 구조화 전략별 집단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위키 기반 협동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학습태도는 혼합학습의 형태 중 면대면 접촉의 기회가 가장 많았던 ‘집합학습’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면대면 접촉의 기회가 가장 낮은 ‘원격학습’ 집단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협동학습 구조화 전략별에 따라서는 협동학습의 진행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안내해 주는 ‘구조화 전략’ 집단이 ‘비구조화 전략’ 집단 보다 더 높은 학습태도 점수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오늘날 오프라인 학습과 온라인 학습이 별도의 학습공간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확장된 학습공간 개념으로 인식되어 감에 따라 온라인 학습환경에서도 가급적 면대면 접촉의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하여야 하며, 학습방법에 대한 구체적 지도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ypes of blended learning and the types of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on students attitude toward their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is study, two face-to-face instruction classes, one blended learning class, and one online instruction class were organized. The MURDER strategy, the structured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was utilized for the one face-to-face instruction class and one online instruction class, where students were guided step by step to complete th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unstructured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was used for the other face-to-face instruction class and the blended learning class, where students had no chance to be guid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instruction and the types of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First, regarding the types of the instruction, students in the face-to-face instruction class showed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y and students in the online instruction class showed the least one. Second, students, who completed their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y using the MURDER strategy, showed the more positive attitude on their learning than students using the unstructured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Key Words : wiki,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structured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