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과 후 수업에서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업이 학습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학교 1학년 함수를 중심으로

        이중권,강가영 한국학교수학회 201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4 No.4

        이 연구는 방과 후 수업에서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디자인 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과 후 수업에서 함수를 학습할 때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지도와 일반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에 대하여 학습태도와 문제해결력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 결과 방과 후 수업에서 근접발달영역을 고려한 수업이 학습태도와 문제해결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에서 나온 부처님의 새로운 수행법

        이중권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2

        부처님이 탄생했던 시기의 인도 사회는 경제적 부와 정치적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브라만 계급의 사치와 향락이 극에 이르렀다. 그로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물질주의와 쾌락주의를 낳아 도덕적으로 타락하여 사회적 가치관의 붕괴를 야기하다. 이러한 문제들은 카스트의 계급 체계를 흔들어 놓았다. 이 카스트 계급 체계를 뒷받침 하던 브라흐마나와 우파니샤드 사상과 권위에 한 회의가 사회 전반에 걸쳐 팽배해졌다. 이렇게타락한 사회에서도 순수한 수행자로 돌아가려는 소수의 브라만과 현실 사회에 문제를제기하며 궁극의 진리를 추구하려는 크샤트리아가 생겨났다. 또한, 가혹한 계급차별과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바이샤 계급이나 수드라 계급에서도 사상계로 진출하는 출가사문(出家沙門)이 생겨났다. 부처님은 브라만교의 사상과 출가사문의 사상을 삼종외도 오종악견(三種外道 五種惡 見)이라 하면서 인간중심의 실천론적 관점에서 다른 의견을 말하다. 부처님은 모든것이 신의 의지에 따라 만들어지고 결정된다면 누가 악한 일을 하거나 선한 일을 해도 그것으로 과보를 받을 수 없으며, 인간의 어떠한 의지도 용납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부처님은 지금의 모든 것이 전생의 업에 따라 결정된다면 모든 행위는 자기 의지로 한것이 아니므로 그 행위에 한 책임을 질 이유가 없으며, 인간이 스스로 수행한다든가노력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다. 또한, 부처님은 모든 것이 어떠한 인과 원칙 없이 단지 우연한 사건의 나열 이라면 인간이 의지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 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부처님은 6년간의 고행 후 목욕을 하고, 부드러운 음식인 우유죽을 먹고, 몸을 편하게 하기 위하여 풀을 깔고 앉아서 새롭게 수행을 시작하다. 이것은 수행자들이 지켜야할 원칙을 벗어나는 행동이었다. 부처님의 이러한 행동은 극단의 원칙을 벗어나 중도(中道)의 행동을 하며 수행을 하는 새로운 수행법이었다. 극단적 원칙을 정함이 없는 수행법이었다. 금강경(金剛經)에서는 부처님이 깨달은 이 중도(中道)를 아뇩다라삼먁삼보리1)라고 하다. 부처님이 깨달은 새로운 수행의 길은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으로중도(中道)의 수행법이라는 것이다. 이 수행법은 정해진 길이 아니라 ‘정함이 없는법’이라는 무유정법(無有定法)인 것이다 The Indian society at the time of the birth of Buddha reached the extremes of Brahman class luxury and enjoyment to maintain economic wealth and political vested interests. It has resulted in materialism and hedonism throughout society, causing moral degradation and collapse of social values. These problems shook the caste system. The meetings of Brahmana and Upanishad ideas and authority, which underpinned this caste hierarchy, spread throughout society. In this fallen society, a small number of Brahman who tried to return to the pure practitioner, and kshatriya who raised the problem in the real society and pursued the ultimate truth. In addition, in the confusion of harsh class distinctions and values, a Chulgasamun which led to the ideology of the Vaisha class and the Sudra class also emerged. The Buddha said the idea of Brahmanism and Buddhist thought was different from the viewpoint of human - centered practicalism while being called the Buddhist monk. The Buddha thought that if everything was made and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no one could do evil or do good works, and no human will would be tolerated. The Buddha believed that if everything is now determined by the work of the past life, it is impossible for him to be responsible for the act because he did not make all his actions by his own will, nor could he try to do it himself. In addition, the Buddha thought that if everything was a sequence of incidental events without any principle of causality,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humans to live with will. After six years of Buddhist practice, the Buddha sat down and laid on grass to eat a soft milk food and to ease the body. This was an act that deviated from the principles that practitioners should obey. This behavior of the Buddha was a new way of carrying out and performing the actions of the middle way beyond the extreme principle. It was a practice without an extreme principle. In Buddhist sutra, Buddha understood the middle way. It means the most perfect enlightenment. A word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by translating the anuttara-samyak-sambodhi along with the Diamond sutra list. It means that the wisdom of all wisdom is widened widely. The new way of performing Buddha 's realization is that it is a way of performing the middle way. This method of action is not a fixed length but an "unjustified law" called "law without a certainty.”

      • 인간적 요소를 고려한 교육 연구와 교사 교육

        이중권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97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 No.1

        A great amount of research and reform has teen done in education, but not much about education has been improved. Much of the research and debate has stemmed from the attempt at making education a science. But, in most of this research, a very important factor has been left out - the individual, Techniques and procedures that are used by scientists on animals in controlled situations in laboratory setting can not be used effectively on humans. Therefore, we must team from our past, decide what we want from education - from the student and the teacher, match our methods with our goals, and look towards the future, while always keeping in mind-the human factor. 교육 분야에 상당히 많은 연구가 있었고, 교육 개혁 또한 수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교육에서 진정으로 도움이 될 만한 발전을 이루지는 못했다고 말할 수 있다. 많은 교육 연구와 교육 논쟁들은 교육을 하나의 과학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저지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물들은 교육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인 인간 개인의 특질적 성향에 대한 요소를 빠트리고 연구를 전개해 온 것이다. 과학자들이 실험실이나 컨트롤된 환경에서 동물들에 사용했던 연구 기술이나 연구 과정 등은 교육 환경에 처한 인간에게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해 온 과거로부터 잘못된 것을 인지하고 교육에 있어서는 늘상 인간이라는 요소를 염두에 두고 교육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 학생 그리고 교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 결정해서 우리의 교육 목표와 우리의 방법을 일치시키고, 미래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수학 탐구학습에서 지식 형성에 대한 연구

        이중권 한국수학사학회 2004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7 No.3

        이 연구는 학과 과제와 기말 프로젝트에 있는 문제들 중에서 컴퓨터를 활용하여 수학적 문제 해결을 해 가는 세 명의 예비 교사를 연구 조사하였다 모든 연구 참여자들의 활동과 컴퓨터를 활용한 문제 해결 과정을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가능한 경우 예비 교사들의 탐구활동 전과 후 및 탐구활동 중에 개별적인 면담을 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관찰, 면담, 현장 기록, 제출과제, 컴퓨터 작업, 오디오와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수학적 문제 해결 초기 단계에서는, 모든 연구 참여자들이 그래프와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 만들기, 사인 함수의 일반적 개념에 대하여 절차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이 약하게 형성되어 있었으나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적 문제 해결 활동을 통하여 그들은 절차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을 강하게 구성하였고 그들을 적절하게 연계시킬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mong hand-in-write-ups and final projects for each subject. All participants' activities and computer explorations were observed and video taped. If it was possible, an open-ended individual interview was performed before, during, and after each exploration.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observation, interviewing, field notes, students' written assignments, computer works, and audio and videotapes of pre- 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tivities. At the beginning of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tivities, all participants did not have strong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of the graph, making a model by using data, and general concept of a sine function, but they built strong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and connected them appropriately throug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ctivities by using the computer technology.

      • KCI등재

        수학교육에서 질적(Qualitative) 연구 방법

        이중권 한국수학교육학회 2003 수학교육 Vol.42 No.2

        This research discussed a general concept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It provided a clas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It also described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It addressed how research design facilitates formulating a research problem, selecting a research design, choosing who and what to study, deciding how to approach participants, selecting means to collect data, choosing how to analyzing data, and interpreting data and applying the analysis. This study addressed the issues involved on choosing relevant populations and in selecting and sampling qualitative data. It described how populations are conceptualized and distinguished between probability sampling and criterion based selection. It discussed not only data arrangement such as, cross-sectional and categorical indexing, non-cross- sectional data organization, but also diagram, flow chart, matrix, cognitive map, family tree to facilitate analyzing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