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이승태(Lee, SeungTae),장유진(Jang, Yo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 관계를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이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4년제 대학의 재학생 및 휴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월 21일에서 1월 24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을 활용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PSS PROCESS Macro 3.5의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불일치는 향상초점, 학습몰입과 부적 상관을 보였지만 예방초점과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향상초점은 예방초점과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예방초점도 학습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조절초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높을수록 학습몰입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향상초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불일치가 향상초점을 경유하면 억제된 향상초점으로 인해 학습몰입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의 매개효과는 억제효과를 발생시켰으나 영향이 유의미하여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불일치가 예방초점을 경유하면 예방초점의 활성화로 학습몰입이 오히려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조절초점을 경유하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해 자기불일치를 낮추고 향상초점을 높이는 개입이 동시에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learning flow in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including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Methods Three hundred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currently enrolled or on a leave of absence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6.0,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ping method of SPSS PROCESS Macro 3.5.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motion focus and learning flow, whil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prevention focus. Promotion focu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vention focus and learning flow, and prevention focus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rning flow.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learning flow, promotion focus had a greater effect on learning flow than prevention focus. Second, the higher the self-discrepa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lower the learning flow. Third, promotion focu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omotion focus, however, learning flow rather decreased due to the suppressed promotion focu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the mediating effect of prevention focus created a suppression effect. However, the effect was significant and thus partially mediated. When self-discrepancy passed through prevention focus, learning flow rather increased due to the activation of prevention focus. Conclusio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nce the direction of the effect on learning flow changes when self-discrepancy passes through regulatory focus, it is necessary to lower self-discrepancy and increase promotion focu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flow.

      • KCI등재

        자기규제초점과 심리적 거리가 창업태도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하환호,변충규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2

        Self Regulatory Focus Theory explained two different self-regulatory systems(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to achieve a goal. According to this theory, people have different type of goal(approach pleasure and avoid pain) and use different type of strategy to achieve the goal. Promotion focus targets their attention to positive outcomes and the achievement of gains. On the other hand, prevention focus targets attention more to negative outcomes and the avoidance of losses. Also, promotion focus tends to use approach and eager strategy to achieve the goal and prevention focus tends to use avoidance and vigilant strateg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 regulation focus on attitude and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We proposed that promotion focused people will respond more positively to the attitude and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than prevention focused people. This likely because promotion focused people tend to focus more ideals and gains, where prevention focused people tend to focus more safety and risk. And also we proposed that these effect will be influenced by psychological dist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se relationships using 186 under graduate students. The result of analysis indicated that promotion focused people responded more positively on the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than prevention focused people. But it had not any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business start-up than prevention focused people. Self regulation focus and psychological distance turns out to be a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 and intention toward business start-up. Finally, we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창업태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 자기규제초점과 심리적 거리에 주목하였다. 자기규제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상초점집단과 예방초점집단이 창업에 대한 심리적 거리에 따른 창업태도와 행동의도의 영향력을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자기규제초점에 따라 창업태도와 행동의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예방초점집단보다는 향상초점집단에서 행동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거리에 따라 이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본 결과, 향상초점집단에서는 창업에 대해 심리적 거리가 멀 때보다는 가깝다고 느낄 때 창업태도와 창업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예방초점집단에서는 창업에 대해 가깝다고 느낄 때보다는 멀다고 느낄 때 창업태도와 행동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절초점 관점에서의 직무개선의 차별적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조절초점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혁신행동을 중심으로

        정소희,정은경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2

        본 연구는 최신 연구 동향에 따라 직무개선 유형을 향상초점/예방초점 직무개선으로 구분하였고, 조절초점 직무개선의 차별적 선행요인과 결과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절초점 성향이 직무개선의 유형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 직무개선 유형이 직무만족, 이직의도, 혁신행동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9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시행하였고, 최종 분석에 355명의 데이터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조절초점은 성향과 대응되는 직무개선 유형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상초점 성향은 향상초점 직무개선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예방초점 성향은 예방초점 직무개선에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향상초점 성향이 예방초점 직무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예방초점 성향이 향상초점 직무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직무개선 유형에 따른 결과 변인에 대한 차별적 효과 또한 검증되었다. 향상초점 직무개선은 직무만족, 혁신행동과 정적 관계, 이직의도와 부적 관계를 갖는 반면, 예방초점 직무개선은 직무만족과 부적 관계, 이직의도와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향상초점 직무개선은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예방초점 직무개선은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직무개선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함의는 제한점, 향후 연구 제언과 함께 논의에서 자세하게 다룰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나준희(Na, June-Hee),이용기(Lee, Yong-K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 KCI등재

        엘리트 사격 선수들이 시합 시 지각하는 시합정서와 조절초점 및 훈련관여의 관계

        박상혁,박인혜,성창훈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ntrol focus and training involvement in games where elite shooters are late. [Methods] Thus, 228 elite shooters were selected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discriminatory emotions, control focus, and training attendance scales.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control focus, and training involvement, positive emotions of surprise, enjoyment, and interest showed a static relationship with improvement focus and training involvement, whil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d guilt had a static relationship with prevention focus, but showed an inadequate relationship with training involvemen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emotion and control focus showed that the improvement focu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f enjoyment emotion, while the prevention focus showed that instability had the most effect on the prevention focus. Overall, the focus of improvement has been shown to be affected by training. Finally, it was found that positive senti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focus and training involvement, while negative sentiment affected prevention focus and reduced cognitive involvement. [Conclusions] Positive sentiment toward the competition has been confirmed to enhance training participation by strengthening the focus of improvement, but negative sentiment has been shown to enhance the focus of prevention, reducing cognitive involvement. [목적] 본 연구는 엘리트 사격 선수들이 지각하는 시합 시 정서와 조절초점 및 훈련관여의 관계를 알아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이에 228명의 엘리트 사격 선수들을 표집하고, 차별적 정서와 조절초점 및 훈련관여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분석에 근거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정서와 조절초점 및 훈련관여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놀람, 즐거움, 흥미의 긍정정서는 향상초점과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분노, 죄책감은 예방초점과 정적 관계가 있었다. 훈련관여 요인은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관계를 보였으며, 긍정적 정서와 향상초점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차별적 정서와 조절초점 간의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즐거움, 혐오, 흥미 정서가 향상초점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이 중 즐거움 정서가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반면 예방초점은 불안, 죄책감, 분노, 흥미의 정서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이 중 불안정서가 예방초점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훈련관여에는 전반적으로 향상초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정서는 향상초점과 훈련관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정서는 예방초점에 영향을 미치고 인지적 관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합에 대한 긍정적 정서는 향상초점을 강화시켜 훈련관여를 증진시키는 과정이 확인되었지만, 부정적 정서는 예방초점을 강화시켜 인지적 관여를 감소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이 선택대안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 만족/불만족 경험의 조절효과

        정유정 ( Yoojeong Jeong ),전선규 ( Sunkyu Jun ),성정연 ( Jungyeon S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이 선택대안을 구성하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해당 제품 혹은 관련 제품에 대한 선행 구매의 결과 즉, 만족/불만족 경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열망, 성취의 동기 측면에서 향상초점(promotion focus)을 갖는 소비자가 안전 지향의 동기 측면에서 방어초점(prevention focus)을 갖는 소비자에 비해 고려 상표군(consideration set)의 형성에 있어 더 많은 개수의 대안을 포함할 뿐 아니라 상호 이질적인 대안을 포함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소비상황에서 벌어지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은 선행 구매경험의 결과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동일 제품의 재구매 및 관련 제품의 대체구매에 있어서 고려 상표군의 구성은 선행 구매결과의 만족/불만족 경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절초점이 고려 상표군의 구성에 미치는 영향은 선행 구매경험의 만족/불만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며 특히, 불만족 경험을 한 경우에는 방어초점을 갖는 소비자도 풍부하고 이질적인 고려 상표군을 구성하게 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구매결과에 대해 만족 경험을 하는 경우, 향상초점의 소비자는 방어초점의 소비자에 비해 더 많은 개수의 대안 및 범주(category)의 개수를 고려대안에 포함하였다. 둘째, 선행 구매결과에 대해 불만족 경험을 한 경우, 고려대안의 구성에 있어서 향상초점을 갖는 소비자와 방어초점을 갖는 소비자 간의 대안의 개수 및 범주의 개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불만족 경험 후에 향상초점과 방어초점 간의 대안의 개수 및 범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방어초점의 개수 증가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ast studies that employed experi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consumer decision making were mostly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participants did not have pre-purchase experiences for the same or similar ones with the focal product that was used in the experiment. However, we suggest that pre-purchase experience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s likely to moderate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the subsequent purchase. Positive and negative post-purchase attitudes are likely to have varying influences on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consideration set, in the sense that product experience is incorporated into the existing knowledge and in turn influences the subsequent information process for the next purchase (Hoch and Deighton 1989). Furthermore, literature suggests asymmetrical effects of positive versus negative events on cognition such that, compared to positive experiences, negative experiences increase cognitive motivation to learn in order to avoid negative outcomes and lead to narrowing down and focusing attention to features that elicited the negative events(Taylor 1991; Hutchison 2002). This implies that, following dissatisfactory experiences(vs. satisfactory experiences),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elaborate on searching and evaluating alternatives for the subsequence purchase. Based on the theory of negativity asymmetry,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e regulatory focus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consideration set is moderated by the pre-purchase experience of (dis)satisfaction. Specifically, it is suggested that consumers with prevention focus(vs. promotion focus) are more likely to have a large consideration set in terms of number of alternatives and number of product categories when their pre-purchase experiences were dissatisfactory(vs. satisfactory). In line with this reasoning, we develop the following hypotheses. H1a: For satisfactory(vs. dis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those with promotion focus(vs. prevention focus) will produce larger numbers of alternatives that are included in the consideration set. H1b: For dissatisfactory (vs. 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number of alternatives will not different whether between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H2a: For satisfactory (vs. dis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those with promotion focus(vs. prevention focus) will produce larger numbers of categories that are included in the consideration set. H2b: For dissatisfactory (vs. 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number of categories will not different whether between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an experiment for 148 college students. We employed 2*2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regulatory focus: promotion(n=72) vs. prevention(n=76), satisfaction(n=74) vs. dissatisfaction(n=74)). For testing H1a and H1b, number of alternatives was subjected to a general linear model that included regulatory focus, (dis)satisfaction, and their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ain effect of regulatory focus (F(1, 147)=1.80, ns) and that of (dis)satisfaction(F(1, 147)=0.02, ns)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dis)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 147)= 6.57, p < 0.05). For 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those with promotion focus produced larger numbers of alternatives that are included in the consideration set (13.39 vs. 10.26, t= 2.4, p < 0.05). H1a was supported. On the other hand, for dis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number of alternative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whether between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11.44 vs. 12.42, t=1.03, ns), supporting H1b. For testing H2a and H2b, number of categories was subjected to a general linear model that included regulatory focus, (dis)satisfaction, and their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main effect of regulatory focus (F(1, 147)=1.14, ns) and that of (dis)satisfaction(F(1, 147)= 1.61, ns)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was marginally significant (F(1, 147)=3.28, p< 0.10). For satisfactory (vs. dis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those with promotion focus(vs. prevention focus) produced larger numbers of categories that are included in the consideration set(6.81 vs. 5.92, t=1.86, p < 0.10). H2a was supported. On the other hand, for dissatisfactory (vs. satisfactory) pre-purchase experience, number of categorie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whether between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6.64 vs. 6.87, t=0.59, ns), supporting H2b.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향적 조절초점,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의 관계

        손정희 ( Jeung Hee Son ),정찬우 ( Chan Woo J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1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가 되고자 유아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4년제 사립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향적 조절초점,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간의 관계와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측정된 자료의 분석은 spss20.0과 Amos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나누어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향상초점과 셀프리더십의 하위범주들은 모두 다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나 예방초점은 자연보상전략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진로결정몰입의 하위범주는 진로결정의 탐색과 몰입에는 향상초점이, 진로선택의 갈등에는 예방초점이 관련 깊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모형의 경로와 효과를 살펴보면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에서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으로 가는 연구모형의 경로는 예방초점의 경우 진로결정몰입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이를 제거한 수정모형을 만들어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향상초점은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으로 가는 경로의 총효과가 .453으로 나타났으나 예방초점은 .029로 나타났다. 예방초점보다 향상초점이 셀프리더십, 진로결정몰입에 더욱 많은 직·간접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생의 초기발달과업을 수행하는 유아들에게 유아교사는 그 자체로 모델링의 대상이자 교과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예비유아교사들은 긍정성향의 동기, 셀프리더십 등을 통한 그들의 진로역량함양에 더욱 더 몰입하여 교사로써의 자질과 품성을 갈고닦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nd effects among chronic regulatory focu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self-leadership in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focus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exploration i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ection conflicts. Prevention focus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explora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ection conflicts. Promo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exploration and commitment, and prevention focus is associated with conflict of selecting one`s career. Second, promotion focus effects to self-leadership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y .453 but prevention focus effects to them by .029. It means that promotion focus is more effected with self-leadership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an prevention focus in various ways. The research suggests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pay more attention to developing their promotion and self-leadership because early childhood teacher affects their students much in their cognition, emotion, and so 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조절초점 프로파일별 학습자 특성 분석

        허윤석(Yun Seok Heo),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조절초점 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프로파일 분포의 차이를 살펴보며, 각 프로파일별 학습자 특성 즉, 성취정서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군집분석을 활용하여서 향상(promotion)및 예방(prevention)초점으로 구성된 조절초점의 프로파일이 몇 가지로 유형화 되는지 파악하고, 도출된 프로파일별로 성취정서 및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D광역시 소재의 2개 초등학교 5, 6학년 270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조절초점 프로 파일은 ``높은 이중초점형``(31.9%), ``향상초점형``(27.0%), ``예방초점형``(27.8%) 및 ``낮은 이중초점형`` (13.3%) 등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프로파일 분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조절초점 프로파일에 따른 성취정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즐거움은 ``높은 이중초점형``과 ``향상초점형``에서, 지루함은 ``예방초점형``과 ``낮은 이중초점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은 ``예방초점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정적정서와 정적효능 및 대인관계는 ``높은 이중초점형``과 ``향상초점형``에서, 부적정서와 부적효능은 ``예방초점형``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장면에서 학습자의 조절초점 유형 분석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조절초점 구인을 다루기 위한 연구 방법론 및 조절초점 프로파일별 맞춤형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student profiles emerged from Regulatory Focus in Korean samples of the 5-6th graders. Additionally, profile differences in terms of achievement emo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examined, as well as differences in student profiles by gender and grade. The subjects were 270 5-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Four groups of students with unique regulatory focus profiles were identified by a cluster analysis: (a) high-dual focus group(31.7%), (b) promotion focus group(27.0%), (c) prevention focus group(27.8%), (d) low-dual focus group(13.3%). The profile differences by gender and grade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bserved differences in achievement emotions indicated that high-dual focus and promotion focus group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njoy. But, prevention focus and low-dual focus groups were related to boredom. And prevention focus group was more related to anxiety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o observed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indicated that high-dual focus and promotion focus group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ositive affect, positive efficacy and inter-relatedness. But, prevention focus group was more related to negative affect, negative efficacy than promotion focus group. Final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regulatory focus theory in educational sett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양자관계에서 조절초점부합과 과제요구가 공동수행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덕웅,양모현,표승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fits among dyad and task demands upon partner choice in collective task.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higher the regulatory focus among self, partner, and task demands, the higher the choice as the participant's partn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2 self-regulatory focus(promotion vs. prevention) × ⑵ regulatory focus-fits between self and partner(fit vs. nonfit) × 3 task demands(promotion vs. prevention vs. mixed strategy) randomized mixed factorial design. Self-regulatory focus was measured by two self-regulation scales and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or high-prevention focus were selected. Regulatory focus of two potential partners were manipulated by two questionnaires. The task demands were framed in terms of the task performance strategies. Ninety eigh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in hypothesis of regulatory-fits were confirmed: ⑴Participants chose good-fit partners more than poor-fit partners. ⑵Higher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consistently observe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focus in spite of differences in task demands. But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differently appeared according to the task demands. ⑶Three way interaction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self-partner regulatory fits and task demands were also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gulatory focus-fit hypothes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ed. 본 연구에서는 두 사람이 짝을 이루어 공동으로 집합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자기와 상대의 만성적 동기지향성인 조절초점과 아울러 과제에서 요구하는 전략이 서로 부합하는 수준에 따라서 상대의 선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을 통하여 알아내었다. 조절초점부합가설을 대인관계로 확장하여 양자관계에서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에 부합하는 상대일수록 많이 선택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먼저 자기의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고, 이들에게 향상조절초점과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제시한 다음에 자신과 공동수행을 함께 할 상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⑴자기와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이 부합하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사람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이 현상은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에서 모두 일관되게 나타났다. ⑵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상대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⑶과제수행의 전략으로 향상과제, 예방과제 및 복합과제의 세 과제요구에 따라서 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선택한 반응이 달라져서 3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향상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과제요구와 상관없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많이 선택한 바와 달리 자기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예방과제에서만 이 현상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들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