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청소년 스포츠정책’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연구

        정현우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4

        [Purpose and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s of ‘youth sport policy’ and policy areas as an alternative to school physical education concept and to provide a cor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youth sports policy in the future. [Results] The notion of youth sport policy is a process of seeking rational decision-making and optimal alternative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sports participation of youth in elementary school(aged 6 years) to high school(aged 18 years). The concept of 'youth sport' can reflect modern culture rather tha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it can be seen as more future oriented for lifelong participation in sports. The areas of youth sport policy are classified into physical education, school sport, and community sport. Physical education refer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chool sport refers to the sports activities that take place throughout the school. Community sport is sports activities that are carried out outside the school by the choice of youth, which is the area where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is needed. [Conclusion] In conclusion, healthy and active life for youth is required to establish cooperative governance of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ensure proper linkage between youth sport policy areas.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of youth and promote their lifelong enjoyment of sport more consistently, efficiently and effectively. [목적 및 방법] 본 연구는 유·청소년 스포츠 활동에 대한 ‘학교체육’의 대안으로 ‘유·청소년 스포츠정책’ 개념을 정의하고, 유·청소년 정책 영역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명확히 드러내어, 차후 유·청소년 스포츠정책 개발 및 실행을 위한 핵심적인 개념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 유·청소년 스포츠정책은 초등학교(만6세)에서 고등학교(만18세)를 포괄하는 유·청소년의 스포츠 참여를 촉진하고, 그들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스포츠를 통해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최적의 대안을 찾는 과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유·청소년 스포츠’ 개념은 정책의 측면에서 ‘학교체육’ 개념보다 현대문화를 반영할 수 있으며, 평생스포츠 참여를 위한 보다 미래지향적이라 볼 수 있다. 한편, 유·청소년 스포츠정책 영역은 정과체육, 학교스포츠, 지역스포츠로 구분된다. 정과체육은 교육부에 의해 운영되는 체육수업을 의미하며, 학교스포츠는 생활스포츠와 엘리트스포츠를 포함하는 학교 전반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 활동을 의미한다. 지역스포츠는 대부분 유·청소년의 선택에 의해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 활동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이 필요한 영역이다. 거버넌스 측면에서 학교체육정책은 교육부가 지속적으로 담당해야 하며, 유·청소년 스포츠정책 개념은 학교스포츠와 지역스포츠 영역을 지원하고 담당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결론] 결론적으로 유·청소년의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위한 평생스포츠 참여는 정책영역 간 적절한 연계성을 위해 유·청소년 스포츠정책 전담기관을 통한 관련 기관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유·청소년 스포츠정책에 대한 명확한 개념에 근거하여 유·청소년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그들의 평생스포츠 향유를 보다 일관성 있고 효율적, 효과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 개혁개방 전후 학교체육 정책사 개관

        오수용,김방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China's school sports policy by dividing it into the era of four leaders before the current regime. [Methods] Former Chinese leader Deng Xiaoping's reform and opening up is a big axis that distinguishes China's time, more than 70 years after its founding. Therefore, we discussed the history of Chinese school sports policy by consider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e ideology of the former Chinese leaders, and the keynote of the sports policy that influenced the school sports policy. [Results] The Chinese school sports policy history before and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s summarized as having a continuity to “sports as an education for all” and a distinction symbolized by “legislation and scientificization.” [Conclusion] Deng Xiaoping's reform and opening up has been carried on by the regimes since then, and his guiding ideology and sports policy keynote have had a profound impact on Chinese school sports policy.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의 학교체육 정책을 현 시진핑 정권 이전 네 명의 지도자 시기별로 나누어 고찰한 것이다. [방법] 건국 후 70여년이 흐른 중국의 시대를 구분하는 큰 축이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이다. 따라서 이를 기준으로 시대적 배경과 시대별 지도사상, 학교체육 정책에 영향을 끼친 스포츠 정책 기조를 고찰하고, 학교체육 정책사를 논의하였다. [결과] 중국 개혁개방 전후 학교체육 정책사는, ‘전인교육으로서의 체육’으로의 연속성과 ‘법제화와 과학화’로 상징되는 차별성을 동시에 지니는 것으로 정리된다. 즉,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변증법 관점에서 유래한 심신일원론에 근거했던 전인교육 정책은 마오쩌둥 정권부터 덩샤오핑의 개혁개방과 그 이후 정권에까지 승계되고 있는 연속적인 특징이다. 동시에 마오쩌둥 시대와 개혁개방 이후의 스포츠는 ‘중화인민공화국체육법’으로 상징되는 법제화와 과학기술로 체육을 발전시킨다는 방침인 ‘科技興體’의 과학화로 완연히 분리된다. 또한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이후 정책 기조는 후속 정권들에 승계되어 이어지고 있으며, 시대별 지도사상과 스포츠 정책은 학교체육 정책 전반에 지속적으로 큰 영향을 미쳐오고 있다.

      • KCI등재

        전문체육정책 의제설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험적 분석: 우수선수양성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강지현,손정화,신호진,권기성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3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policy at the agenda setting phrase. In order to analyze, Multiple Streams Framework(MSF) was adopted. Based on the frame, policy problem stream, policy alternative stream, political stream, window of policy change, and policy entrepreneur were applied for analytical framework. [Methods] The research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with triangulation.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review including newspaper and previous researches. Content analysis was done for deriving factors. Then categorization and itemization were conducted. [Results] For the result, factors derived from the study were not different from factions mentioning at MSF. For policy problem stream perspective, this study draw International Sports Event Result, Hosting International Sports Event, Elite Sports Athletic Recruiting, Athletic and Sports Category Supporting System, Student Study Right/Student Human Right/Sports Academy, Policy Reality, Sport Expert/Institute Capability, Perception of Elite Sport Origin. factors. In the case of Policy Alternative Stream, This study finds Sports Rela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structure, Supporting Policy of Elite Athletic Promoting Restructure, Parent Policy of Elite Athletic Promoting Policy, Parent Institution of Elite Athletic Promoting Law, Incentive Institution for Elite Athletic, Supporting Institution for Elite Athletic, Value of Policy Community for Sports Category Feature, Value of Policy Community for Sports Category Fairness, Budget, International Sports Event Hosting Policy factors. Lastly, in the political perspective, this study figures out Elite Sports for Nation Integration, Elite Sports for Enhancing National Prestige (North and South Replacement), Elite Sports for Inter Korea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Sports Rela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structure Following Regime Change, Parent Policy Change of Elite Sports Following Regime Change factors. [Conclusions] The research has academic implication for generating elite sport policy agenda setting mode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 for urging effective participation of various practitioners concerning elite sport. [목적] 본 연구는 정책 의제 설정 과정을 설명하는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전문체육 정책 수립을 위한 첫 단계인 의제설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했다. [방법] 이를 위해 질적연구 접근으로 선행연구, 언론자료,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계별 범주화 및 항목화를 통해 Kingdon (1984)의 다중흐름모형에 기반하여 문제, 정책, 정치의 흐름이라는 관점을 기준으로 각각의 주요요인을 도출했다. [결과]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전문체육 정책에 영향을 주요 요인의 문제, 정책, 정치 흐름을 구성하는 관점에서 각각의 주요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문제흐름의 경우 국제스포츠 대회 성적, 국제 스포츠 대회 개최 및 참가, 전문체육선수 수급, 전문체육선수 및 종목 지원 시스템, 학생 학습권/인권/학원 스포츠, 정책의 현실성, 스포츠 전문가 및 기관의 역량, 전문체육에 대한 인식이 세부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 흐름의 경우 스포츠 행정기구 개편, 전문체육선수 육성 저책, 상위 정책 및 제도개편, 전문체육선수를 위한 인센티브 및 지원제도, 종목별 특성 및 형평성에 대한 정책공동체의 가치, 예산, 국제 대회 유치 정책이 세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치의 흐름을 구성하는 세부 요인은 국민 통합/국위선양/남북화해 협력을 위한 전문체육, 정권변화에 따른 스포츠 행정기구 개편, 정권 변화에 따른 전문체육 상위정책 변동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 전문체육 정책에 대한 해당 연구 결과와 추후의 적극적인 연구 활동이 전문체육 본질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공감대 형성에 기여하여 궁극적으로 전문체육 기저 문화의 핵심 요소로 공고화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해외 스포츠베팅사업 현황 분석을 통한 체육진흥투표권사업 적정 운영체계 도출

        고정민,강준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propose the appropriate operation structure for the sports betting business in Korea(Sports Toto) by analyzing foreign cases. [Method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preceding studies, the World Lottery Association compendium, and Internet data.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competition, it was deducted that maintaining the monopoly method was appropriate among the monopoly, partial competition, and free competition methods. Secondly, as for the business operator, it was deducted reasonable to adopt the non-profit operation method between the non-profit operation and the for-profit operation methods. Also, it was identified as necessary to review the adequacy of the three-level redundant business management structure, which is rarely found abroad.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all the sports betting business operation structure of foreign countries presented so far, and deducted a new classification of operation structure considering the compet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policymakers to review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orts Toto’s operation structure more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목적] 본 연구는 해외 스포츠베팅사업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 스포츠베팅사업인 체육진흥투표권의 적정 운영체계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세계복권협회 연감, 인터넷자료 등에 대한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체육진흥투표권사업의 운영체계는 경쟁운영 여부 부문에서는 독점운영, 부분경쟁, 자유경쟁 방식 중에서 독점운영 방식의 유지가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사업운영자의 영리성 여부 부문에서는 비영리법인 운영방식, 영리법인 운영방식 중에서 비영리법인 운영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해외 스포츠베팅사업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3단계의 중복대리 사업구조의 적정성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도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시된 해외 각국의 스포츠베팅사업 운영체계를 모두 확인하고 또한 경쟁체계 도입여부를 우선으로 하는 운영체계 분류기준을 정립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체육진흥투표권사업 운영체계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정책검토가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대한체육회의 첫 번째 통합에 대한 역사적 의미

        김미숙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4

        [Purpos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and the Korean School Sports Association in 1968. [Methods] Primary and secondary data were used to understand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three organizations. [Result] First,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 was reorganized and a number of new sports organizations were founded. Second, in the 1960s, the military regime exerted the government's control, making all social groups essential to register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Social Group Registration. Third, the Korea Olympic Committee and the Korean School Sports Association frequently caused friction as they operated overlapping projects with the existing Korean Sports Association. Fourth, in February 1968, the government consolidated three groups that were considered social issu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dissolving the Korean Special Sports Association. Fifth, the integration of the three organization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vented redundant projects and wasted budget, and resolved the discord in the sports world. [Conclusion] The first integration of the Korean Sports Association in 1968 was a historical event that absorbed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and the Korean School Sports Association. The integration of the three organizations is viewed as a solution for the systematic operation of the sports administration, but on the one hand, it has become the top-ranking organization in the Korean sports community since this time by well blocking the checks of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and Korean School Sports Association. It can be understood as maintaining absolute power. [목적] 본 연구는 1968년 대한체육회, 대한올림픽위원회, 대한학교체육회 통합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세 단체의 통합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1·2차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 문교부 행정개혁조사위원회의 체육행정의 개선을 위한 조사보고서, 문교공보위원회의 회의록, 대한체육회사, 대한학교체육회의 한국각급학교보건체육에 관한 실태조사 보고서, 대한체육회 體育, 그리고 당시 언론매체를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광복 직후 대한체육회의 재정비, 신생 체육단체들이 다수 창립하였다. 둘째, 60년대에 들어 군사정권은 사회단체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모든 사회단체들을 필수적으로 등록하도록 만드는 등 정부의 통제권을 발휘하였다. 셋째, 대한올림픽위원회와 대한학교체육회는 기존 대한체육회와의 중복된 사업을 운영하면서 자주 마찰을 일으켰다. 넷째, 정부는 한국특수체육회를 해산시켰던 경험을 토대로 사회 문제시되는 세 단체를 1968년 2월 통합하였다. 다섯째, 세 단체의 통합은 중복 사업 및 예산 낭비를 방지하고, 체육계 불협화음을 해소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있다. [결론] 1968년 대한체육회의 첫 번째 통합은 대한체육회에 대한올림픽위원회와 대한학교체육회를 흡수하였다는 역사적 사건이다. 세 단체의 통합은 체육 행정의 체계적 운영을 위한 해결 방안으로 보는 시각도 있으나 한편으로는 기존 대한체육회에 대한 대한올림픽위원회와 대한학교체육회의 견제를 잘 막음으로써 이 때부터 대한민국 체육계의 최고 상위 단체로 절대적인 세력을 유지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스포츠 허스토리”: 한국 여성 체육사 연구 동향과 과제, 2007~2016

        최여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y reviewing journal articles conducted in the last ten years (2007-2016). [Method] The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which is the only, representative sport history journal in South Korea. 66 articles identified as studies of women’s (or women-related) sport history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including a) period, b) theme/topic, c) purpose, d) method, and e) country. [Results] Specifically, the analysis by period showed that 90% of the research focu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le only 7% of the research was set in pre-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me/topic, genre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36%, followed by figure (20%) and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15%). By the criteria of purpose,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48%) focused on historical evolution and transition, while the research on comparison/relation was of little scholarly interest. Regarding the category of method, textual analysis was used most often, with 70% followed by oral life history (27%). By the criteria of country, the largest ratio of papers studied Korea (75%) while only 3% of studies examined othe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or Japan. Comparative, diasporic, or transnational studies were the second most popular subcategory (11%).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acknowledged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lack of interest in women’s sport history by Korean scholars and “sport herstory” is largely underresearched. In addition,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n a specific period or a particular theme was also exposed. To rectify the biased research practice and promote scholarly growth and enhancement in both academia of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Korean sport histo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historical materials, application of new methodology, cross-disciplinary conversation, and theorization in studying women’s sporting experiences. [목적]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수행된 체육사 연구 중 여성 관련 체육사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과제와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기획하였다. [방법]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 체육사 분야의 유일한 전문 학술지인 『한국체육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를 연구 대상 시기, 연구 주제,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대상 국가 등 5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분석 결과, 282편의 논문 가운데 23%에 해당하는 66편의 연구들이 여성 체육 관련 연구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시기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90%에 해당하는 연구가 근대와 현대시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근대시기를 대상으로 삼은 연구는 전체의 7%에 불과했다. 주제별 검토에서는, 종목/장르에 포함되는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36%), 다음으로 인물(20%), (교육)제도/정책/대회(15%)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분류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연대기적 접근 방식을 통해 고찰되었음(48%)을 알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지역간 혹은 시대간 비교사적 접근을 통한 여성 체육사 연구는 적었다. 연구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문헌고찰 방식의 연구가 전체의 70% 비중을 차지했으며, 구술/생애사적 연구가 27%로 그 뒤를 이었다. 연구 대상 국가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연구(75%)가 한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국가간 비교연구나 디아스포라 관련 연구가 11%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과 유럽에 관한 연구(9%)나 동아시아에 대한 연구(3%)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편이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성 체육사 분야에 대한 학계의 근본적 관심이 여전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의 주제적, 시대적 편중화를 해소하기 위해, 사료 확장,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 학제간 교류, 이론화 등이 요구되었다. 여성의 주체화를 전제로 한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 전략에 대한 모색은 한국 여성 체육사는 물론이고 한국 체육사 전반을 보다 풍성하게 만드는 데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차기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쟁점

        윤기준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차기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논의되어야 할 쟁점 사항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체육과 교육과정,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신체활동 가치와 교과 역량 간의 명확한 관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둘째, 신체활동 가치가 내용 영역으로 제시되고 있는 현재의 내용 체계표는 교과 역량의 층위 설정 및 역량 기반 체육수업 설계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지 못한다. 셋째,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는 명료성, 활용성, 가독성이 떨어진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로 신체활동 가치와 교과 역량 간의 관계 설정과 내용 영역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ssues need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next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different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including the 2007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2011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sults] Three findings emerged. Firstly, there was no clear conceptual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ctivity value and subject competency. Secondly, the way in which physical activity value works as learning content area cannot offer helps to set the level of subject competency and to design physical education lessons that based on the subject competency. Lastly,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has low level of clarity, usability and reada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three different findings as issues that should be discus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한 체육수업의 중-고강도 신체활동 수준 분석: 경쟁영역을 중심으로

        이규일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levels of physical activity in considering gender and different types of competition-oriented physical activity classes using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s. [Methods] A total of 981 students(505 male students, 476 female students) in six different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six different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competition-oriented classes, an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were accessed by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Results] First, descriptive analyses of participation time of levels of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MVPA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s 10.26 mins (22.89%) on average, and, MVPA showed differently in different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order of T ball(14.61 mins), flying disk(12.61 mins), soccer(10.78 mins), volley ball(10.56 mins), basketball(9.64 mins), and table tennis(5.73 mins). Second,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MVPA in all the different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post-hoc analyses showed that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MVPA were found in T bal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MVPA were found in table tennis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mpared to other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clusions] MVPA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s not satisfied with recommended MVPA, and MVPA in Korea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s lower than MVPA in same typ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ther countries. In addition,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of MVPA are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new spo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w higher levels of MVPA compared to classic sport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mpetition orien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dely used in Korea need to find ways to increase MVPA and to overcome different levels of MVPA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경쟁영역 체육수업의 중-고강도 신체활동 특성을 성과 종목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6개 종목(축구, 농구, 플라잉 디스크, 배구, 탁구, 티볼)으로 운영된 체육수업에 참가한 남녀 중학생 981명(남학생 505명, 여학생 476명)을 연구 대상자로 삼았다. 수업은 기능중심모형으로 통제되었으며, 신체활동 자료는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수집되었으며, 자료의 성별 분석을 위해 t 테스트 검정<.05)과 종복별 비교를 위해 ANOVA 분석(<.05)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강도별 신체활동의 시간을 기술통계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의 MVPA는 평균 10.26분(22.89%)로 나타났으며, 종목별로는 티볼(14.61분), 플라잉 디스크(12.61분), 축구(10.78분), 배구(10.56분), 농구(9.64분), 탁구(5.73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분석 결과, 여학생의 MVPA는 모든 종목에서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전통스포츠와 뉴스포츠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종목별 사후 검증 결과, 티볼은 다른 모든 종목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MVPA 값을 보인 반면, 탁구는 다른 모든 종목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냈다<.000). [결론] 국내 체육수업의 MVPA 수준은 MVPA 권장량을 달성하지 못하였고, 동일 학교급과 활동 종목을 분석한 국외 연구들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모든 종목에서 남녀 차이가 나타났으며, 종목의 특성에 따라 뉴스포츠 활동이 근대스포츠 활동보다 MVPA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는 체육수업의 MVPA 증진과 남녀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시급함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시기에 따른 중학교 남녀 학생의 일일 신체활동 분석

        장종훈,이규일,박재영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aily physical activity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period (VD: vaction day, SNPE: school day no PE, SPE: school day with PE) by using 3-axis accelerometer, an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gender and period. [Methods] The subjects were 130 middle school students (68 male, 62 female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a 3-axis accelerometer(GT3X model, ActiGraph). Collected data were converted into time by intensity and rate using physical activity analysis program (Actilife v6.11.9) and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One-way ANOV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ukey's HSD was used as a post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5. [Results] As a result, during each periods(VD, SNPE, and SPE), except for MVPA(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time on SPE, sedentary and MVPA tim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students, and low intensity and total physical activity tim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students. For male students, total physical activity time was higher in the order of SPE, SNPE, and VD, and for female students, physical activity time during the semester(SNPE and S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VD. For male students, MVPA time was significantly high in order of SPE, SNPE, and VD, and for female students, it was high in order of SPE, SNPE, and VD but only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etween SPE and VD.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edentary time was high in the order of VD, SNPE, and SPE, but the sedentary time during va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during the semester. [Conclusions] When summarizing the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chool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a physical activity space play a significant role in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MVPA,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mal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n various grades and to explore various factors affecting physical activity in a complex way.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시기(방학 중; VD - vaction day, 체육수업 있는 날; SPE: school day with physical education, 체육수업 없는 날; SNPE: school day no physical education)별 남녀 중학생의 일일 신체활동량을 측정해, 성별(gender)과 시기에 따른 청소년기 신체활동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남녀 중학생 130명(남학생 68명, 여학생 62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ActiGraph에서 개발한 3차원 가속도계(GT3X 모델)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체활동 분석 프로그램(Actilife v6.11.9)에 의해 강도별 시간과 비중으로 변환시켜 통계프로그램(SPSS 25.0)에 입력하였다. 통계 분석으로 일원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시기 분석의 사후 검증은 Tukey’s HSD으로 활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삼았다. [결과] 연구결과 세 시기(VD, SNPE, SPE) 중 체육수업이 있는 날(SPE)의 중고강도활동 시간을 제외하고, 모든 시기에서 좌식활동과 MVPA 시간은 여학생에게서, 저강도활동과 총신체활동 시간은 남학생에게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총신체활동시간이 SPE, SNPE, VD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학기 중(SNPE와 SPE) 신체활동시간이 방학 중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MVPA 시간의 경우 남학생은 SPE, SNPE, VD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여학생 역시 SPE, SNPE, VD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SPE와 VD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좌식활동 시간의 경우 남녀학생 모두 VD, SNPE, SP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방학 중 좌식활동 시간이 학기 중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첫째, 신체활동 공간으로써 학교와 체육수업이 남녀 중학생의 신체활동 특히 MVPA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둘째, 체육수업의 신체활동 효과는 남학생에게서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다양한 학년에 대한 연구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복합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스포츠윤리학의 역사와 과제, 그리고 전망

        박성주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ntemplate the identity and significance of sport ethics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by examining how it began and developed, where it is now, and where it will or should be moving forward. [Methods] First, a history of sports philosophy which gave birth to sport ethics is surveyed. Second, the emergence of sport ethic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port philosophy is analyzed. Third, major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frames of sport ethics are introduced. Last, what needs to be done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sport ethics is suggested. [Results] Sport ethics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resort to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which combine a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and methodologies. In addition, sport ethics must relate its theory to practice. The pressing task for sport ethics in South Korea is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a separate academic field. In order to do this, we should figure out what to study in sport ethics, and continue to study about the range, methodology, and theoretical frame of sport ethics. [Conclusion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n academic field becomes only possible when fully supported by numerous scholars’ work, practical achievement of the field, and a diversity of policy and institution, and a continued discussion and agreement on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discipline. In order to enhance its status as well as professionalism of sport ethics scholars, researchers of various academic backgrounds should study sport ethics, exchange ideas on theory and methodology, and spread results of studies through education, guid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orts. [목적] 본고는 하나의 학문으로서 스포츠윤리학의 정체성과 의의를 성찰하는 근본적인 목적을 가지고, 스포츠윤리학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고, 어떻게 성장해 왔으며, 현재 어떠한 위치에 와 있고, 향후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 그리고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스포츠윤리학의 부모 학문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철학의 역사를 살펴보고, 둘째, 스포츠철학의 역사적 과정에서 스포츠윤리학의 등장과 그 배경을 분석하며, 셋째, 스포츠윤리 연구의 주요 방법론과 이론적 틀을 고찰하고, 끝으로 국내 스포츠윤리학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결과] 향후 스포츠윤리학은 다양한 학문과 연구방법을 종합하는 융합적인 접근방법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측되며, 또한 앞으로 스포츠윤리학은 이론과 실천이 긴밀하게 연결된 학문으로서 나아가야 한다. 국내 스포츠윤리학이 당면한 과제는 스포츠윤리학의 학문적 정체성 정립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스포츠윤리학이 연구해야 될 지향점을 찾고, 스포츠윤리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방법론, 그리고 그 근간이 되는 이론적 틀을 도출하는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어떤 학문 분야의 성립과 성공적인 발전은 그것을 전공하는 학자들, 그들의 수많은 연구물과 실제 현장에서의 실천적 성과, 다양하고 현실적인 정책적·제도적 뒷받침, 그리고 그 학문의 연구내용과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합의들이 축적되었을 때 가능한 일이다. 스포츠윤리학도 다양한 학자들이 스포츠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이슈와 쟁점에 대해 연구하고, 연구자간 학술적 교류를 통해 이론적 기반과 연구방법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논의하며, 그것이 실제 현장에 보급·확산되어 스포츠의 바람직한 발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때, 학(學)으로서의 체계와 위상을 정립하고 그 전문성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