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조은서,김은영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6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new scale that reflects academic stress-specialized construct according to domestic situation by making up for the measurement’s limits of the existing academic stress and to justify the new scale. Applying the Lazarus and Folkman(1984) theory of stress in academic context, along with base of Internal and external literatures and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academic stress, the study sets academic performance-expectation of the parents, academic performance-expectation of the teacher, academic performance-expectation of the self, cademic result-expectation of the parents, academic result-expectation of the teacher and academic result-expectation of the self as six factors. Through five expert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the study constructs 66 preliminary items, and practices preliminary inspections for 334 of 4th,5th, and 6th graders atten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Enforcing item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tem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reviews and deletes items that require modification; moreover, after confirming the convergence in six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the study formulates final 27 items for this analysis in total. The analysis was tested for 939 of 4th, 5th, and 6th graders in two elementary schools. Resulting from the inspection technique of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ll final 27 items were indicated to be suitable. The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daily stress(academic factor),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ross validity for different samples,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academic stress scale was verified. 본 연구는 현행 학업스트레스 측정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학업 스트레스에 특화된 구성개념을 국내 상황에 맞게 반영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 개념을 학업적 맥락에 적용하고 학업스트레스와 관련된 국내외 문헌 및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업스트레스를 학업수행-부모기대, 학업수행-교사기대, 학업수행-자기기대, 학업성취결과-부모기대, 학업성취결과-교사기대, 학업성취결과-자기기대의 6개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5인의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총 66개의 예비검사 문항을 구성하고, 3개 초등학교 4, 5, 6학년 33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문항분석, 문항 간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수정이 필요한 문항을 검토하고 삭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들이 6개의 요인으로 잘 수렴되는지 확인한 후에 최종 27개의 본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본검사는 2개 초등학교 4, 5, 6,학년 939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검사도구의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7개의 모든 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스트레스(학업요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상관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서로 다른 표본인 교차집단의 교차타당도 분석을 통해 개발된 학업스트레스척도의 외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선혜연(宣惠娟),오정희(吳姃禧)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기초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봄으로써,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안과 학교상담의 실질적 활용방안 및 부모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초등학생 484명과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으며,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는 초등학생만이 유의한 부적상관이 되었다. 둘째,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과 달리 초등학생의 경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부모의 역할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unter measures to cope with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practical ways for school counseling as well implications for parental education, For this, the study examined impacts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stress, building on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tress main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 And it further investigated if academic self-efficacy would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nd academic stress. The study found as below as a result of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48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494 middle school students. Firstly,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confirme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for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as confirme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found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nd academic self-efficacy on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nd academic self-efficacy exerted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stress for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rdly, the result of examining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correl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nd academic stress show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ly mediated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f parents and academic stress. Lastly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meaning of these findings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 KCI등재

        중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

        유찬미,최연재,정연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및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와 B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3곳이며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남학생 620명, 여학생 610명 총 1230명으로 선정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척도는 Kang, Lee(2013)가 사용한 설문지를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Seok, Chung(2013)이 개발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요인분석(Factoranalysis), t-test, 다변량분산분석(MO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종목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기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빈도에 따라서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수업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서는 학업스트레스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좋아하는 과목에서 학업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과거 운동경험과 참여기간별에 대해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articipation in school sport clubs affected academic stress and physical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615 boys and 607 girls from 3 middle schools in City A and Province B, who participated in school sport clubs were sampled. The academic stress scale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reconstructed by Ghang (2013) and the scale developed by Seok, Jung (2013) was used to measure physical self-efficacy. For data analyse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ost-hoc analysis were perform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 club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gend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stress by school year;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 by school yea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ev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stress by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by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in physical self-efficacy by preferred subjects. By the experience of doing exercise or by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cademic stres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자아개념을 매개로 한 부모학업비교행위와 학업성취 간의 경로분석

        조한익,손선경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of studies,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337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Busan are responded in the research survey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th of variables which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is affected b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of studies positively related with academic stress. Also, academic stress negatively related with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there was positive 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concep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of studies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of studies with others contributes to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the academic stress leads to negative academic self-concept, finally parents’ social comparison affects negatively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effects of parents’ forced social comparison of studie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by empirical research and suggested the approach to academic counseling and the educational method for parents.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비교행위, 학업스트레스,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부산의 고등학교 재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로 변인들 간의 이론적 모형을 상정하고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부모의 학업비교행위는 학업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업자아개념은 학업성취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자아개념이 부모학업비교행위와 학업성취 간을 완전하게 매개하였다. 즉 부모비교행위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모비교행위는 학업스트레스에,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자아개념에, 학업자아개념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부모의 학업비교행위는 학업스트레스, 학업자아개념을 통해 학업성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는 자녀의 학업을 다른 대상과 비교하는 부모의 행위가 자녀에게 학업스트레스를 주고 학업스트레스는 부정적 학업자아개념을 가지게 하여 결국 학업성적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부모의 학업비교행위가 자녀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증명한 점에서 의의가 있고 이를 통해 학습상담과 부모교육에의 접근방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유형 및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 분

        김부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학교수학 Vol.1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types. It also tested differential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in the high vs. low academic achievement level groups and the boys vs. girls of middle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952 second graders from five middle schools. Student scores from the standardized tests that were developed to assess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three types of motivation (a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patterns of the research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provided evidences tha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but positively related with a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Also,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but positively related with autonomous motiv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provided the evidence that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a significant, in that the students’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mediated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Multiple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But the academic stress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the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via amotiv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in all groups.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생들의 학업동기유형이 학업스트레스와 매개하여 수학 학습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수학 학습 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학업동기유형 중 무동기와 통제동기와는 정적 상관을, 자율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수학 학습 동기는 무동기와 통제동기와는 각각 부적 상관을, 자율동기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성취수준별 상관분석 결과, 수학 학습 동기와 통제동기는 상집단에서만 부적 상관을 보였고 하집단에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모형분석 결과,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 학습 동기는 학업동기유형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성취수준 상집단, 하집단, 남학생 집단,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업동기유형 중 통제동기는 수학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스트레스가 학업동기유형을 매개하여 수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성취수준 상, 하 집단, 남녀 학생 집단에서 설명력의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수준 상집단에서 하집단보다 학업스트레스가 모든 학업동기유형을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집단은 상집단보다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유형이 수학 학습 동기를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학업스트레스가 무동기와 자율동기를 더 많이 설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유형이 수학 학습 동기를 설명하는 정도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성적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미경 ( Kyung Kim Mi ),김양희 ( Yang Hee Kim ),황사라 ( Sa Rah Hwang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2패널 3차년도와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성적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1과 고2학생들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성적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적수준에 따라서 학업스트레스를 받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고1의 경우는 성적이 낮은 집단이 학업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고2의 경우에서는 성적이 중간인 집단의 학업스트레스가 성적이 상·하위인 집단이 받는 학업스트레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주요변수의 차이를 분석했을 때, 여자 청소년은 남자 청소년보다 학업스트레스, 불안·우울, 부모애착과 친구애착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 청소년은 여자 청소년에 비해 자아통제와 자기신뢰감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성적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성별 조절효과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고2에서만 나타났다.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성적이 낮아질수록 학업스트레스가 증가되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고2 여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학업성적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다.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성적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반드시 성별 차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cademic stress pervades the life of the Korean students and tends to impact adversely their quality of life.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suffer from academic stress owing to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cadem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school grades.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grades. Data come from the third and fourth wave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tress of the first year high school students was associated with lower school grades. However, the academic stress of th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 the middle group than in the upper and lower group of school grade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used variables. Compared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academic stress, anxiety-depression, and attachment with parents and friends.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were higher in self-control and self-confidence. Thir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ly on th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grades. The academic stress of second year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more affected by the level of school grades than 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hool grades had more impact o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gender differences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youth.

      • KCI등재후보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 학업자아개념의 조절효과

        상효경(Xiao Qing Xiang),이용남(Yong 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자아개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00대학교 중국유학생 221명에게 학업스트레스 척도, 학업자아개념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없었다. 즉, 학업스트레스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학업성취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적절한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와 상관성이 있고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줄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성적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각자의 관계에서 학업성취자아개념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공부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능력자아개념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nese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Two hundred and twenty one Chin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academic Stress Scale and the academic Self-concept Scale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academic self-concept was,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became. However, there is no linear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self-concept on the rel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record stress, examin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examination stress, lesson stress and study stress were found. Those with high academic self-concept showed lower students` academic stress. This means that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concept play an important role.

      • KCI등재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우영 ( Yun Woo-young ),김수현 ( Kim Soo-hyu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0 세무회계연구 Vol.0 No.6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하고,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 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 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의 관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가 있는가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대구와 경남의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의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중도탈락,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적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 간에는 유의한 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무회계 전공 전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중도탈락의도 간에는 유의한 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중도탈락의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중도탈락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도탈락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그리고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항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세무회계 전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 accounting departments has on dropout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oes academic stress affect the dropout intention? Second, does academic self-efficacy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Methodolog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32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in Daegu and Gyeongnam about academic stress, drop-out inten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dropout,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Finding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x accounting.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ul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ropout intention,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ropout inten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negatively affected by dropout intention. Influence, and the terms of interac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ulating effect.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uggested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in tax accounting and prevent dropout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서미옥(Mee-Ock Su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 부담으로 힘들어하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업소진과 관련된 논문들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의 평균 효과크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런 목적을 위해 44편의 논문이 수집되었고,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의 범주는 부모개입 요인, 스트레스 요인, 개인 내적 요인, 학업 요인의 네 가지로 분류 되었다. 메타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R-소프트웨어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개입 요인 중에서 학업성취압력의 평균 효과 크기는 .29, 부모의 학습관여는 -.29로써 중간 정도의 평균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학업 스트레스의 평균 효과크기가 .36로 가장 높았고, 다음 순으로 진로 스트레스가 .34, 교사 스트레스가 .33, 부모 스트레스가 .29, 가정 스트레스가 ,27, 친구 스트레스가 .18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 내적 요인 중에서 실패내성의 평균 효과크기가 -.47, 자기효능감은 -.37, 자아탄력성은 -.28, 자기통제는 -.25, 부적응 완벽주의는 .24, 숙달접근은 -.16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적응적 완벽주의, 수행접근, 수행회피의 평균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학업 요인 중에서 학업열의에 대한 평균 효과크기는 -.44, 학업 과다는 .36, 학교적응은 -.23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 급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에서 학업 스트레스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학업소진을 예방하는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안들이 이루어졌다.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Korean adolescents are not happy with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d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by analyzing meta analysis. A total of 44 papers were collected for this purpose. There were four categories of related variables: parental intervention, stressor, personal, and academic factors.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R-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arents" intervention variables, the mean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was .28, and the parental academic involvement was -.28.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academic stress among the stressor factors was .36, career stress was .34, teacher(school) stress was .33, parent stress was .29, family stress was 27, friend stress was 18. Third, among personal factors, the mean effect size of failure resistance was -.47, self-efficacy was -.37, ego-resilience was -.28, self-control was -.25,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24, and mastery approach was -16. However,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mean effect size on academic engagement was -.44, heavy academic demands was .36, and school adjustment was -.23. Fifth, the moderator analysis for school level did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cademic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recommended for follow-up researchers.

      • KCI등재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서정미,김은실 한국코칭학회 2018 코칭연구 Vol.11 No.2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과 과도한 교육열로 학업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이는 심리‧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적응상의 문제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첫 단계에서는 학업스트레스 감소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구성요소와 내용을 추출하여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개 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자기효능감, 자기표현, 사회적지지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학생 42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게임놀이를 이용한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실험집단의 학업스트레스의 학사적 요소 중 성적, 시험, 공부 스트레스가 줄었다. 또한 참여자들은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자기인식 및 표현 등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고 참여자들의 학업 및 학교생활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velops an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using game play and verifies program effectiveness in order to reduc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First, a precedent study related to the reduction of academic stress was examined to extract the component and content. Then an expert validation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 academic stress reduction program using game play was developed in a total of 12 sessions, which consists of self-efficacy, self-expression, and social support. Second, an academic stress scale was used as a pre-test and post-test too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42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tress reduction program using game play reduced the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grades, exams, and studies among the academic factors of academic stress. The participant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elf-awareness and expression, and participants' subjective satisfaction increased with their academic life and school 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