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와 일본 수학 교과서의 순환소수 내용 비교

        김부미 한국학교수학회 202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2015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조화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다룰 때 학습량 적정화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육과정에서 차이가 있게 다루는 순환소수를 교육과정의 연계성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수학 내적 연결성의 계통성과 공유성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개정 교육과정의 순환소수를 도입 시기, 내용, 다루는 방법 등을 비교하고, 두 나라의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루는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무리수 개념 도입 전인 중학교 2학년에서 순환소수를 정의하고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를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으로 다루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중학교 3학년에서 무리수를 학습한 후 순환소수의 용어를 간단히 다루고 고등학교 <수학I>에서 순환소수 개념을 다루고 <수학Ⅲ> 교과목에서 극한 개념을 배울 때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를 다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학습량 적정화 등을 고려할 때 순환소수를 어떻게 다룰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비교 분석

        김부미,조형미 한국학교수학회 202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최신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최초로 시행한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수학 문항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의 개선을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두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개괄하였고, 두 국가의 중학교 수학 학업성취도평가의 문항을 내용영역, 맥락, 역량에 따른 분석틀에 따라 수와 식, 함수, 기하,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두 국가의 문항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생활 맥락을 강조하고 문제해결 과정과 결과를 반성할 수 있는 문항 개발,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사항을 반영한 평가 문항 개발 등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개선방안과 2022 개정을 앞두고 ‘증명’ 용어의 도입 필요성 및 방법 등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athematics assessment items of the middle school's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s in Korea and Japan, recently revised as a competency-focused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ssessment items in each country, the analytic framework is integrated into content areas, contexts, and competenci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assessment items developed for each content area were analyzed using the framework.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on developing and improving national-level academic assessment items.

      • KCI등재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김부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학교수학 Vol.18 No.2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is not only the primary goal of learning mathematics but also mediates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s learning. Nevertheless, the present learning environment is full of impeding factors which reduc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self-regulatory 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various suggestions for program to enhance and forster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empirical findings and theories on motivation, self-regulatory learning, regulatory focus, reducing academic stress and math anxiety. The concrete and practical ideas are suggested in terms of mathematical self-regulatory efficacy, learners’ characteristics, learning task. The analysis of the effects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mathematical self-regulatory learning.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을 학습자 특성, 수학 과제 특성, 자기조절학습이론을 고려하여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으로 개발하였다. 정의적 프로그램은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조절초점 확인,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학업스트레스 대처, 수학 불안 감소를 목적으로 개발되었고, 인지적 프로그램은 중‧고등학교의 수학 과제난이도에 대한 선호 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수학 성취수준과 학업동기유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참가를 희망한 남녀 중·고등학생들 12명에게 10주 동안 적용하였다. 수학 교사의 관찰일지와 4차에 걸친 심층면담을 분석한 결과, 조절초점 확인 프로그램에서 학생의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이 변화하지는 않았으나, 수학적 자기조절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은 성취수준이나 성차와 관계없이 자율동기, 통제동기가 높았던 학생들에게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 대처와 수학 불안 감소 프로그램에서는 신체적 대처 활동이 학교급, 성차, 성취수준에 관계없이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고, 수학 시험 불안 해소 활동이 학업동기유형과 관계없이 효과적이었다. 인지적 프로그램에서는 오답노트와 문제만들기 활동이 결합된 ‘수학의 달인’ 노트가 수학 학업 성취수준이 중 또는 하인 학생들에게서 수학 학습 동기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미래 수학 교실 기준과 수업 모형의 개발

        김부미,이종희 한국학교수학회 201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5 No.4

        본 연구는 미래 수학 교실의 기준을 환경, 교사, 학생의 측면에서 총 20개로 제시하였다. 환경 기준은 미래 수학 교실이 갖추어야 할 물적 자원이 수행해야 하는 역할과 기능의 측면을 중심으로 3개로 제시하였다. 교사 기준은 수업 전문성의 영역 4개, 학습자의 능력 신장 영역 4개로 제시하고. 학생 기준은 수학적 탐구와 문제 해결, 협력과 의사소통, 공학적 도구나 지원 시스템의 활용 및 조작, 윤리 의식과 디지털 시민 의식의 4개 영역에서 총 9 개로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 수학 수업 모형으로 융합 중심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첨단 환경과 공학적 도구가 갖추어진 미래 수학교실에서의 수학 수업 구현 모습을 시나리오로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 현재 수학교과와 타교과 간의 융합 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현재의 수업에 융합 중심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미래 수학 교실을 위한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KCI등재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 수학 학습 콘텐츠 개발

        김부미 한국학교수학회 202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집단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해 범교과 학습주제인 ‘환경’과 연계하여 관련 문제를 다항함수로 표현하고 제한된 범위에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 수학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수학에서의 집단창의성 개념과 발현과정, 집단창의성 발현과정 요소와 모바일, 온/오프라인 구현 기능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온/오프라인 연계 협력 학습을 통해 집단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앱 ‘지구를 생각하는 Best Box 제작’과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수학 학습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도 함께 개발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하이브리드 앱 ‘지구를 생각하는 Best Box 제작’은 상호보완적-메타인지적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집단유창성과 집단정교성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support the expression of group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we developed mathematics learning contents linked with mobile and online/offline that obtai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the function within a limited range. This learning content was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environment’, a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 We explored the concept of group creativity in school mathematics. Its manifestation process, elements of group creativity expression process, and mobile and on/offline implementation functions were also explored. Then, we developed a hybrid app, ‘Making the Best Box that Thinks of the Earth’, which can express group creativity through mobile and online/offline-linked cooperative learning.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 and a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plan were also developed to efficiently operate mobile and online/offline-linked math learning using the app in schools. Our study found that the hybrid app, ‘Creating the Best Box that Thinks of the Earth’, was suitable for promoting collective fluency and collective sophistication based on complementary-metacognitive interaction.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 : 동기 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부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 학습 장면에서 고등학생들이 학업스트레스를 받을 때 동기 유형이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수학 학습 동기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학업스트레스는 무동기와 통제동기와는 정적 상관, 자율동기와는 부적 상관이 나 타났다. 또한 수학 학습 동기는 무동기와 통제동기와는 각각 부적 상관을, 자율동기와는 정적 상관 을 보였다. 그리고 구조모형분석결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수학 학습 동기는 동기 유형에 의해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스트레스가 동기 유형(무동기, 통제동기, 자율동기)을 매개로 수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성취수준 상·하 전체 집단, 상집단, 하집단, 남학생 집단, 여학생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든 집단에서 학업스트레스는 무동기와 통제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율동기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무동기는 수학 학습 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자율동기는 수학 학습 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동기는 수학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완전매개모형에서 다중상관자승(R2)을 살펴본 결과, 성취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학업스트레스와 동기 유형이 수학 학습 동기를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학생보 다 남학생의 경우에서 학업스트레스가 동기 유형을 설명하는 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스트레스와 동기 유형이 수학 학습 동기를 더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types. It also tested differential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 the high vs. low academic achievement level groups and the boys vs. girls of the high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896 first graders from five high schools. Student scores from the standardized tests that were developed to assess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three types of motivation (a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patterns of the research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but positively related with a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In addition,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but positively related with autonomous motiva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full mediation model was significant in that the students’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mediated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Multiple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structural model.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via amotiv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in all groups.

      • KCI등재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앱 활용 수학 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TPACK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김부미 한국학교수학회 202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가 고등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바일 수학 학습 콘텐츠인 애플리케이션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E-learning 고등수학”을 활용하여 사범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함양하고 수학 수업에서 학생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사전교육, 목표설정, 수업계획, 수업실습, 수업평가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테크놀로지 도구를 평가하였고, 앱의 두 활동에서 고등학생들이 집단창의성을 발현하도록 지도하기 위해 과제대화록, 레슨 플레이, 반성적 저널,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수학교사의 TPACK을 함양할 수 있었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학생과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에이스 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에 관한 연구

        김부미,권영재,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Hotels are changing into suggesting lifestyles and providing various sensory experiences to customers beyond accommodation spa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pace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Ace Hotel by analyzing the space branding of Ace Hotel, called the first generation of lifestyle hotels.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Ace Hotel and i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concepts of lifestyle hotels and space marketing a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space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hotels are derived based on the element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pace marketing of lifestyle hotels. Third,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space, experience, social culture and detailed elements. Data are collected based on the contents of Ace Hotel's official website and MAGAZINE B, and qualitative analysis is conducted on all Ace Hotel branches in operation, except for the London Showditch branch and Pittsburgh branch in the U.S. as of January 2023.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Ace Hotel was designing the overall spatial composition and architectural elements by selecting historic buildings in the undervalued area and storytelling based on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t this time,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designers and local artists, Ace Hotel's own visual identity was established. Second, public spaces and service spaces were designed as spaces for not only guests but also local communities and creators through open spac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nd also consisted of programs and events for both local communities and guests in cooperation with brands, artists, and musicians in the region. Third, it was found in Ace Hotel that it has resulted in a virtuous cycle of brand growth by activating undervalued local spaces into spaces where many people gather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brands and communities based on the discovery of inherent regional value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e Hotel has a synergy effect through organic interaction while evenly applying the spatial, experiential, a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space marketing elements of lifestyle hotels, and it was possible to fi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hotels and space marketing through case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all branches of Ace Hotel, called the first generation of lifestyle hotels, and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marketing of Ace Hotel. (연구배경 및 목적) 호텔은 숙박의 공간을 넘어 고객들에게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그에 맞춰 다양한 감각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라이프스타일 호텔 1세대라 불리는 에이스호텔의 스페이스 브랜딩을 분석하여에이스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범위는 에이스호텔로 한정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호텔과 스페이스 마케팅의 개념을 고찰한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호텔의공간 특성과 스페이스 마케팅 요소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공간, 체험, 사회문화의 특성 들과 세부 요소를 토대로 사례를 분석한다. 에이스호텔의 공식 홈페이지 및 MAGAZINE B에 수록된 내용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여,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하여 폐업한 영국 런던 쇼디치 지점과 미국 피츠버그 지점을 제외하고, 영업 중인 에이스호텔 전 지점을 대상으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한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에이스 호텔은 저평가된 지역의 유서 깊은건물을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스토리텔링하여 전체적인 공간 구성 및 건축적 요소를 디자인하고있었다. 이때, 지역 디자이너 및 지역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에이스 호텔만의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공용 공간과 서비스 공간은 열린 공간 구성 및 배치를 통해, 투숙객뿐만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와 크리에이터 등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디자인하고, 지역 내 브랜드와 아티스트, 뮤지션들과 협력하여 지역 커뮤니티와 투숙객 모두를 위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로구성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에이스 호텔은 지역의 브랜드 및 예술가, 뮤지션들과 함께 상생하게 되며, 고객은 에이스 호텔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와의 소통과 지역 문화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셋째, 에이스 호텔은 내재된 지역적 가치 발견을 기반으로지역 브랜드 및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통해 저평가된 지역 공간을 많은 사람이 모여드는 공간으로 활성화함으로 브랜드 성장이라는 선순환적 구조의 결과를 가져왔음을 발견했다. (결론) 에이스 호텔에는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요소인 공간적특성과 체험적 특성, 그리고 사회문화적 특성이 전반적으로 고르게 적용된 동시에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호텔과 스페이스 마케팅과의 상호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라이프 스타일 호텔의 1세대라 불리는 에이스 호텔의 전 지점을 분석하여 에이스 호텔만의 스페이스 마케팅 특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그래프 단원 분석

        김부미,김윤민 대한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학연구 Vol.28 No.4

        This study compares the newly introduced ‘Graph’ unit in the mathematics textbook for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suitability of the definition of ‘graph’ in each textbook for the first-grade level in middle school. Second,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and interpretation of graphs in each textbook on context, translation, approach, type, method and evaluation questions reveal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dditionally, the results of cross-analysis by graph type, textbook areas and publishers all ha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Finally, we examined how various graphs were encountered in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activities .We then qualitatively analyzed the contexts of increase and decrease of graph and that of periodic change. This study could guide students in the development of better and ideal textbooks that can be addressed in the subsequent year in a wider variety of forms related to real life, society and natural phenomena.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그래프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 10종을 모두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종 교과서 모두 중학교 1학년 수준에 적합한 ‘그래프’에 관한 정의를 교수학적 변환을 하여 다루고 있었다. 둘째, 각 교과서의 그래프 작성과 해석 활동을 그래프 과제의 맥락, 번역, 접근 관점과 유형, 문제해결 방식과 평가 문제의 개수 등에 대해 빈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그래프 유형, 교과서의 구성 영역, 출판사 변인 간 교차 분석한 결과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래프 작성과 해석 활동에서 초등학교에서 배운 개념과 그래프 활동 맥락의 연계성을 고려하는 등 다양한 맥락을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그래프의 증가와 감소 맥락, 주기적 변화의 맥락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차기에 실생활이나 사회, 자연 현상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형태의 그래프가 다뤄질 수 있는 보다 개선되고 이상적인 교과용 도서를 개발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