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전문상담사의 경험과 성장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김현정(Kim, Hyun-Jeong),박경애(Park, Kyung-Ae),김혜은(Kim, Hye-Eun),이수연(Lee, Su-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상담경력 5년 이상의 중년여성 학교전문상담사의 상담사로서의 경험 뿐 아니라 상담공부를 통한 내면적 자기성장에 관한 연구이며, 전문상담사로서 성장하는 과정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학교전문상담사로 근무하면서 상담대학원을 졸업하거나 박사과정을 수료한 상담경력 5년 이상의 중년여성 학교전문상담사 5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2020년 9월부터 2021년 1월까지 2~3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사례연구 방법 중 Creswell이 제시한 사례 내 및 사례 간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사례 간 공통 주제는 총 17개, 사례 내 주제는 총 74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전문상담사의 성장 과정을 ‘전문상담사의 길 진입’, ‘직무수행의 난관’, ‘전문가로서의 도약’, ‘상담사로서의 자기성장’으로 나누어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결론 연구결과 학교전문상담사들은 중년기에 겪은 삶의 위기를 지속적인 상담공부를 통해 극복하였다. 상담사로서 향상된 전문성은 내담자의 문제를 심도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이는 내담자와 더불어 동반성장하며 개인 내적 성찰과 자기치유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년여성 학교전문상담사의 위상에 대한 추가연구 및 정년 이후 경력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study on inner self-growth through counseling study as well as experience as a counselor for middle-aged women s school counselors with more than 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meaning of their growth as professional counselors. Methods Five middle-aged women s school counselors with more than 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who graduated from a counseling graduate school or completed a doctoral program while working as school counselors particip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tra-cas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Creswell among the case study methods, which were conducted 2-3 times of in-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2020 to January 2021.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17 common topics between cases and 74 topics within each case were derived. Based on the derived data, the growth process of professional counselors at school was divided into ‘entry into the path of professional counselors’, ‘difficulty in job performance’, ‘a leap as a professional’, and ‘self-growth as a counselor’, and the meaning was analyzed.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school counselors overcame the crisis of life experienced in middle age through continuous counseling and study. The improved professionalism as a counselor was able to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lient s problems. And, it was found that the counselor grows together with the client, leading to personal introspection and self-healing. Further research on the status of middle-aged women s school counselors is needed, and the need to utilize their careers after retirement was suggested.

      • KCI등재

        시흥혁신교육지구 학교상담사 발달 경험에 관한 연구: 5개년 상담(교)사 지원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이귀선(Lee Gwi Sean),조용주(Cho Yong Joo),정남운(Chung Nan W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시흥혁신교육지구 5개년 상담(교)사 지원 사업-전문가 그룹 슈퍼비전 & 연수」에 참여한 학교상담사들의 발달 경험을 탐색하고, 이 사업이 학교 상담사의 발달에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 법을 사용하였다. 아이디어를 산출하기 위해 사업에 최소 2년 이상 참여하고 학교 근무 경력이 5년 이상 된 학교상담사 5명을 2018년 7월에 개별면접하였고, 「시흥혁 신교육지구 5개년도 사업추진 결과보고서」를 함께 활용하여 최종 78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이 사업에 1년 이상 참여한 10명의 학교상담사를 추가하여 총 15명의 참여자가 2018년 10월에 진술문을 분류․평정하고, 각 진술문이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이 자료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시흥혁신교육지구 학교상담사의 발달 경험에 관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시흥혁신교육지구 학교상담사의 발달 경험은 ‘태도․정체성 및역할’ 축과 ‘관계 및 인식’ 축의 2차원으로 구성되었고, 범주는 총 7개로 ‘학교상담자 역할수행능력 향상’, ‘전문성 발달에 대한 인식’, ‘소진을 극복하고 정체성 형성’, ‘태도및 가치관’, ‘자문’, ‘그룹 슈퍼비전을 통한 사례연구’, ‘관계’로 명명되었다. 각 범주에 대한 중요도 평가결과 ‘태도 및 가치관’이 학교상담사의 전문성 발달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사업은 학교상담(교)사의 학교적응과 발달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 of the school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e 「5-year counseling support project of Siheung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 Expert Group Supervision &Training」and to understand whether this project helped the counselors improve their expertise. To do this, the concept mapping also used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generate ideas, we interviewed five school counselor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project for at least 2 years and have worked for 5 years or more at a school and utilized the results of the Supervision Satisfaction Survey in the 「5-year project result report of Siheung Innovation Education District」. Eventually, we derived final 78 staterments. To the data analysis, we added ten school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for more than one year. A total of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evaluated the statements and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 multidimensional scale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derive a conceptual diagram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 of school counselors. As a resul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 of school counselors was composed of two dimensions of attitude, identity and role axis and relationship and recognition axis, and there were 7 categories - school counselor s role’, ‘awaren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 ‘exhaustion overcome, identity formation’, ‘attitude and value’, ‘advisory’, ‘A case study on group supervision’, and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attitude and value was the important category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ors. Also, the project helped their school adaptation and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초등학교 아동을 상담한 학교상담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장현희(Jang Hyeon Hee),정민자(Jeong Min Ja)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초등학교 아동이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 상담하였던 학교상담사의 경험을 통하여 대한 본질적 주제와 의미를 탐색하고 이해함으로써, 음란물 매체에 노출된 과정이나 가정환경에 직면하였을 때 상담사는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아동들의 특성은 어떠한지, 그들을 둘러싼 환경과 교우관계의 방식은 어떠한지 상담사의 언어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담사들은 상담과 교육, 돌봄 등 많은 역할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특수한 상황에서는 어떠한 전략적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학교상담사는 어떠한 대책을 원하는가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6명이며,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재확인의 작업을 거쳐 얻은 자료는 반복적으로 청취하여 전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상학적 연구결과를 통하여 나온 범주 4개와 15개의 주제군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 범주는 ‘음란물에 노출된 아동 발견과 실태’이며 검사에 의한 발견, 열악한 가정환경, 관심받기 위한 행동의 주제로 나타났고, 두 번째 범주는 ‘아동과 부모의 문제 인식 부재’로 문제없다는 부모, 타인에 전가하는 부모, 방어적 태도의 부모, 문제없다는 아동의 주제로 나타났다. 세 번째 범주는 ‘상담사 역할의 과부하’로 부모 역할, 교사역할, 중재자 역할, 역할소진으로 나타났으며 네 번째 범주는 ‘상담사의 전략적 자세’로 아동의 성장과 개입에 노력함, 상담사의 능력을 인정받음, 상담사의 자기 역할 인식, 상담현장에 관한 제언의 주제들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서 학교상담사가 제시한 정책적인 대안은 첫 번째, 조기에 음란물 매체에 노출을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성, 두 번째, 돌봄의 필요성, 세 번째, 상담사 인력 지원과 의무교육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counselors’ role when they faced the process or family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 were exposed to pornographic media,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method of peer relation through counselors’ language by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essential topics and meanings through the experience of school counselors who counsel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exposed to pornographic media. This study would understand counselors’ strategic attitudes towards special situations among their roles such as counseling, education, and care, figure out what measure school counselors want. With six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work of reconfirmation were listened repeatedly and transcrib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rough the results of a phenomenological study, four categories and 15 topic groups were found. The first category was “the discovery and status of children exposed to pornography” with topics of discovery by inspection, substandard family environment and behavior to be interested. The second category was “absence of problem recognition of children and parents” with topics, including parents who do not think it matters, those who shift responsibility on others, those who have a defensive attitude and children who do not think it matters. The third category was “overload of counselor role” with parent role, teacher role, mediator role, and role burnout. The fourth category was “counselor’s strategic attitude” with topics of effort for the growth and intervention of children, recognition of counselor’s ability, counselors’ awareness of their own role and suggestion about the counseling site. The policy solutions suggested by school counsel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d: first, the need for an examination of the exposure to pornographic media earlier; second, the need for care; and third, counselor manpower support and compulsory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협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수정,신효정 한국발달지원학회 2014 발달지원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상담에서 담임교사와 전문상담사의 역할과 협력에 대 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 사 총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활동에 대한 인식과 수행 실태를 비교하고,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상담활동에 대한 교사와 전문상담사의 역할책무성을 알아 보았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t-test로 실시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초등학교 교사는 상 담활동에 대해 인식이 높은 반면에 실제 상담활동의 수행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상담에 서 교사와 전문상담사의 역할책무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차이는 학업 및 대인관계, 비행, 가족문 제, 성문제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학업 및 진로 영역에서는 교사의 역할책무성을 높게 인식하 였고, 대인관계, 비행, 가족문제, 성문제 영역에서는 전문상담사의 역할책무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학 교상담에서 교사와 전문상담사의 협력적 관계 구축을 위한 각자의 역할과 초등학생의 학년에 따라 요구되 는 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학교상담에서의 담임교사와 전문 상담사의 역할과 협력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을 상담할 때, 교사와 전문상담 사가 협력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상호 협력하여 학생을 도울 수 있으며, 학년에 따라 학생들에게 적합한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교상담의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후속 연구를 위 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상담사의 정서․행동 장애 학생 상담 경험 연구

        김은혜,김건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4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school counselors who counsel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five Wee class counselors working in five schools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city B, who were interview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findings were, first, as the school counselors noted, that the students wanted to conceal their problems and did not speak frankly; second, that the cooperation of the parents was important for counseling; third, that the counselors experienced threatening situations from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and fourth, that they observed changes in students who were looked at for who they are. Finally, they experienced limitations to counseling at scho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appropriate school atmosphere, social support, and specific parental cooperation are needed for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ies to speak about their difficul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 장애 학생들을 상담한 학교 상담사들의 경험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B시에 위치한 중․고등학교 다섯 곳의 근무경력 5년 이상의 Wee클래스 상담사들이 연구대상이었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의 면담을 실시하고 여기서 얻어진 면담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상담사들은 상담이 진전되면서부터 소통이 진행되기는 하나 대부분의 경우에 상담 초기에는 학생과 부모들과의 소통에 어려움을 가진다고 하였다. 학교 상담사들은 또한 부모의 협조가 매우 중요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만 실제로는 부모들이 비협조적인 경우를 많이 경험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상담 초기의 여러 가지 애로사항과 학교 상담사의 심리적 불안으로 인해 상담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노력했을 때 그리고 편견을 가지지 않고 학생들이 변화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을 때 학생들의 긍정적인 행동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고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학생에게 문제가 나타날 때에 학교 방침에 따라 상담내용을 학교에 알려야 하기 때문에 비밀보장이 어렵고, 학교의 특수성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담하는 데 대한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상담을 통해서 정서․행동 장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학교의 상담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며, 정서․행동 장애 학생들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 주는 수용적인 태도, 학교의 협조 그리고 부모의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학교 장면에서의 위기대응 양상에 관한 사례 연구 : 자살 위기 상황에서 학교 상담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명소연,이동훈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crisis response in the context of school counselors and crisis management committee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school counselors about crisis response experience in suicide attempt. This study was analyzed case in case and case of case according to Creswell (2007).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 common theme of case in case was two dimensions: 1) crisis intervention by counselors and 2) crisis response by the crisis management committee. The common theme case of case was 12 common themes and 43 in-case topics in this study. The 12 common themes regarding the aspects of school crisis response were as followings; 1) Crisis intervention by skilled counselors 2) Crisis intervention of beginning counselors, and 3) Horizontal collaborative crisis management committeee and 4) Bureaucratic guided crisis management committe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risis response system to settle effectively in schools. Finally, contribu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살 위기상황에서 학교 위기대응이 학교 상담사와 위기관리위원회라는 맥락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 상담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학교 위기대응 경험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reswell(2007)의 연구방법에 따라 사례별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사례별 분석에서는 1) 상담사의 위기개입과2) 위기관리위원회의 위기대처라는 2가지 차원에 따라 사례 내 주제가 나타났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12개의 공통 주제와 43개의 사례 내 주제로 분석되었다. 12개의 공통주제는 상담사의 위기개입 차원에서는1) 숙련된 상담사 2) 초심 상담사 라는 주제묶음으로, 위기관리위원회의 위기 대처는 3) 수평적 협업형 과4) 관료적 지침형 이라는 주제묶음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위기대응체계가 학교에 효과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두 여성 학교상담사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최은주(Eun-Ju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인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학교상담사의 삶 속에서 자녀양육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자녀양육 경험의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8년 이상의 경력이 있고 학교상담사로 근무하며 자녀를 청소년 시기에 양육한 경험이 있는 두 명의 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인터뷰를 거쳐 다음과 같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공간이라고 지칭되는 시간성·사회성·장소에 집중하여 학교상담사들의 자녀양육 경험을 구성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상담사들은 원가족에게 양육 받은 경험이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통찰” 하였다. 상담공부 후 훈육과 강압적인 태도로 양육한 것에 대해 “반성과 사과”의 과정을 거쳐, 자녀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고자 노력하는 “충분히 좋은 양육자 되어가기”를 탐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체험적 통찰을 통해 “진정한 상담사로 거듭나기”로 변모해 가고 있었으며, 이는 “온전히 기능하는 나”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hild rearing in the life of school counselors and what this experience signified to them based on the narrativ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wo women who have at least eight year long experience, who work as school counselors and who have the experience of rearing their children during adolescenc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y were subjected to interview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out. School counselors’ child rearing experience was composed by focusing on the time, society and place, which are referred to as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vestigation space. School counselors “discerned” that the experience of getting reared by original family exerts effect on children. After counseling study, they wished to “become a sufficiently good rearer” who strives to cultivate ideal parent-child relations by understanding their children after undergoing the phase of “self-reflection and apology” for discipline and forced attitude. Moreover, they were transforming into “genuine counselor” through experience based insight, and this in turn includes the meaning of “I, who function intactly.”

      • KCI등재

        ‘학교 안’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주수산나,김종우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from inside to the outside of school among dropout adolescents and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counselors and practition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 workers in the institutions for school dropout adolescent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peer and participant review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main dimensions of the experience of dropout adolescents. As a result, there are four time-series phases of transition: 1) student period, 2) consideration period, 3) conversion period, 4) stabilization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ge, the experiences of the youth, and the experience of the workers were discovered. In the ‘student period,’ the main theme was ‘everyday learning at school,’ ‘boring and rigid school,’ and ‘invisible problems.’ In the ‘consideration period,’ the main topic was ‘resisting school system in their way,’ ‘complex problems,’ ‘exploring outside the school and encountering alternative systems,’ ‘taking negative social gaze alone’ and ‘a search for outsiders.’ In the ‘conversion period,’ the title of ‘out of school name tag,’ ‘coming out from school,’ ‘avoiding life outside of school and other people’s attention,’ ‘the weight of new freedom and uncertain future,’ ‘institutional and emotional support’ were derived. Finally, during ‘stabilization period’ is related to ‘the position and role of self that found again,’ ‘experiencing the possibility of new life and planning the future,’ ‘continuing anxiety about negative views of society,’ and ‘accepting alternative life as another way of life.’ as grand princi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for dropout adolescents needs to be integrated into a wide range an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t each stage of implementation need to be constructed.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학교에서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을 탐구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을 만나는 상담직무 종사자들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14명의 학교 밖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들을 눈덩이 표집을 통해서 모집하였고, 심층면접과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구술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해석하고 동료 및 참여자 검토를 거쳐 학교 밖 청소년의 전환 경험에 대한 주요 차원을 도출하였다. 유관기관 종사자들의 진술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 밖으로의 전환 과정에는 1) 학생기 2) 숙려기 3) 전환기 4) 안정기라는 네 가지 시계열적 단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단계별로 해당 단계의 특성, 청소년들의 경험, 종사자들의 경험이 탐색 되었다. ‘학생기’에서는 ‘학교에서의 일상적인 배움’, ‘지루하고 경직된 학교’, ‘보이지 않는 문제들’이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숙려기’에서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학교 제도에 저항하기’,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문제들’, ‘학교 밖 탐색 및 대안적 제도와 조우’, ‘부정적 시선과 홀로 감당하기’, ‘학교 밖 청소년을 찾아 나서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전환기’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이라는 이름표’, ‘학교 안에서 밖으로 나옴’, ‘학교 밖의 삶과 타인의 시선을 피하기’, ‘새로 얻게 된 자유의 무게와 막막한 미래’, ‘제도, 정서적 지지를 통해 손잡아주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안정기’에서는 ‘다시 찾은 자신의 자리와 역할’,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경험하고 미래를 기획’, ‘사회의 부정적 시선에 대한 염려 지속’, ‘대안적 삶을 또 다른 삶의 방식으로 인정해주기’라는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개입이 폭넓은 범위에서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과 각 전환 과정 단계별 예방․개입 전략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사의 직무와 소진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박경례,박재연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3

        This study investigate job conflicts and burnout, which professional counselors in school experienced as non-regular workers, and propose prevention methods against them. For this purpose, nine professional counselo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were chosen among the counselors whose working contracts were switched from temporary to indefinite positions after having worked with school for more than five years, while they experienced burn-out. They are classified by school level(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s a result, five topics, 14 sub-topics and 59 meaningful concepts were identified. The five topics consist of "experiencing self-respect through shared growth with adolescent clients”, "enduring relative deprivation, self-destruction and identity confusion”, "the situ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s standing on the cliff of burnout”, "the life of professional counselors getting diseased”, and "the way to go to the growth away from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per work and treatment improvement were needed to prevent and cope with burnout of school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 need to establish a base for school counselors' identity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counseling law. 본 연구는 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사들의 직무와 소진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전문상담사들이 학교 비정규직으로서 경험하는 직무갈등과 소진, 이에 대한 예방과 대처 방안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에서 5년 이상 근무하고 있고,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된 전문상담사 중 소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한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 참여자들을 초⦁중⦁고 학교 급별로 나눈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 59개의 의미 있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5개의 주제는 ‘청소년 내담자와의 동반성장을 통해 자긍심을 경험’, ‘상대적 박탈감과 자괴감, 정체감 혼란을 감내’, ‘소진이라는 절벽위에 선 전문상담자의 처지’, ‘소진으로 인해 병들어 가는 전문상담사의 삶’, ‘소진으로부터 벗어나 성장으로 가기 위한 길’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전문상담사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하여 적정한 직무와 처우개선이 필요하며, 상담법 제정 등을 통해 학교 전문상담사들에 대한 정체성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문제 해결을 위한 교원 및 학교지원인력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수정(Lee Soo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예방 대책의 일환으로 배치된 다양한 학교지원인력이 학 교폭력 예방 및 대처와 관련된 학교 내 역할이 무엇이며 이들의 역할이 교원의 직무 나 역할과는 어떤 관련성을 가지면서 수행되고 있는지 역할 수행의 과정을 탐구하 였다. 구체적으로, 교원과 다양한 학교지원인력에게 요구되고 있는 역할은 어떻게 규명되고 있으며, 각 인력 간에 역할 인식 및 역할 기대의 양상이 어떠한지, 그리고 이것이 역할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탐구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정부의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관련 정책을 조사하여 교원과 학교지원인력에 기대 하는 역할을 분석하고 학교장 및 교사, 그리고 학교상담(교)사, 스포츠강사, 지역사 회교육전문가 등의 학교지원인력을 대상으로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업무와 관련하여 학교 조직 내 교원 및 학교지원인력들 간에 역할 인식과 역할 기대가 상호 불일치하고 역할 모호성이 나타남으로써, 인력 상호 간에 학교폭력 업무의 불확실성으로 역할 갈등을 겪을 여지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역할 전달에 있어서 오류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학교폭력 대책과 관련 하여 교원 및 학교지원인력에 대한 역할 규정이 불분명한 상태가 그 원인으로 작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chool teachers and school staffs play their roles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Especially, the study focus on exploring how school teachers and school staffs such as school counselors, community welfare professionals, sports lecturers, who were assigned in schools by the policy for solving serious school violence problem in Korea, recognize and expect their roles related to the works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how it affect their role performance. A focus-group interview was applied for the study, and interviewees were comprised of principal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chool teachers including school-violence dedicated teachers, and school staffs such as school counselors and community welfare professionals.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s and school staffs did not recognize their own roles clearly nor the same expect their colleagues roles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at it was partially caused by unclear office regulations and inappropriate qualification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