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 소득수준에 따른 분석

        주수산나,전혜정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g among married elderly couples. In particular, the research focused on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under different economic context. Data from the first (2006) to third (2010)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as used. Research sample (N=1,052) were couples aged 65 years and older at the first wave, and married throughout the three waves. APIM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based on multileve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LM 7.0. Results indicated that successful aging was explained by marriage context about 50% and individual context about 50%. The acto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for the upper and middle classes while the partner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for all economic classes. 본 연구는 본인이 보고한 부부관계만족도가 개인의 성공적 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자기효과(actor effect)’와 배우자가 보고한 부부관계만족도가 개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대방효과(partner effect)’를 소득수준을 상, 중, 하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에 부부 모두 65세 이상이고, 적어도 패널 응답기간인 6년 내내 혼인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성인 자녀가 생존해 있는 노인 부부(N=1,052, 526쌍)이다. 부부를 분석의 단위로 삼기 위해 APIM(Actor-Partner Interaction Model) 모형을 적용하여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 노화는 개인맥락에 의해 50%, 부부맥락에 의해 50% 정도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공적 노화에 대한 부부관계만족도의 자기효과는 소득 상위 집단과 중위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부부관계만족도의 상대방효과는 모든 소득 집단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중년부부의 문제해결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주수산나,강미선,정인혜,조서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3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8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examines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problem solving patterns among married couples in midlife. It would be useful to discuss helpful strategies for promoting marital quality in practical areas. Method: Sample was 336 married couples in midlife aged 40-59 (husbands’ mean age = 47.75; wives’ mean age = 45.76) and collected by online communities. Both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responsed three subcomponents of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confidence, approach-avoidance, sense of control) and marital satisfaction. Result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husbands and wiv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problem solving confidence, approachavoidance, sense of control, and marital satisfaction.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at three patterns in problem solving of midlife married couples: 1) avoidance 5%, 2) mixed 72%, 3) initiative 22%. Marital satisfaction differed by problem solving patterns. Initiative couples reported higher husband’s, wife’s, and couple mean marital satisfaction  than anothers, and mixed type of couples had lower husband’s, wife’s, and couple mean marital satisfaction compared to avoidance couple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initiative for problem solving and coaching ac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for partners can help married couples in midlife, especially those who are avoiding or mixed type of problem solving, to have better marital quality.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년부부를 대상으로 문제해결 유형을 파악하고, 부부의 문제해결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년부부를 만나는 실천 현장에서 부부관계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는 전략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온라인을 통해 모집된 40-59세 사이의 중년부부 336쌍이다(남편 평균연령 47.75세, 아내 평균연령 45.76세). 남편과 아내 각각을 대상으로 총 3개의 하위요인(문제해결자신감, 접근-회피 양식, 개인 통제감)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제해결과 결혼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상관분석 결과, 문제해결자신감, 접근-회피 양식, 개인 통제감, 결혼만족도에 있어서 남편과 아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년부부의 문제해결 유형은 총 3가지로 도출되었다: 회피형(5%), 혼합형(72%), 주도형(22%). 중년부부의 문제해결 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 수준을 비교한 결과, 주도형에 속한 경우가 다른 두 유형에 비하여 남편의 결혼만족도, 아내의 결혼만족도, 부부의 평균적인 결혼만족도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형보다 혼합형에 속한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 부부의 평균적인 결혼만족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문제해결 양식이 회피형이거나 혼합형에 해당하는 중년부부를 대상으로 서로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성을 기르고, 문제해결 성공 경험을 누적시켜 문제해결자신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악력 궤적의 매개효과

        주수산나,전혜정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dependence of Korean middle and old-aged coupl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xercise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grip strength trajectory. Data were drawn from the nationally representativ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collected from 2006 to 2016. The sample included couples over 45 years of age in the first wave and participated in all six waves of the survey (Ncouple=1,997). There were three steps for analyses: correlation, parallel latent growth curve model, tests of indirect effects of the mediation paths. Covariates included in the models were husbands and wives’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 work status, chronic diseases, marital satisfaction, contact frequency with friends or neighbors) and couple’s household income. Results showed husbands’ and wives’ life satisfaction and grip strength were interdependent upon each other. Also, exercise participation of both husbands and wives was associated with both husbands’ and wives’ life satisfaction via the initial level of grip strength of husbands. Moreover, exercise participation of only husbands was associated with wives’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initial grip strength of husbands. These results suggest the aging processes of middle and old-aged couples need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gender dynamics and couple interdependence. 본 연구는 45세 이상 중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의 운동참여가 악력의 종단적 변화 궤적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편과 아내의 상호의존성에 기반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단위의 자료수집을 실시한 한국고령화연구패널의 1차 (2006년)에서 6차(2016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차년도에 45세 이상인 중노년기 부부 1,997쌍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남편과 아내 각각의 삶의 만족도이며, 매개변수는 남편과 아내 각각의 악력의 초기값과 변화량, 독립변수는 부부의 운동참여 이다. 분석과정은 상관분석, 평행잠재성장모형의 기초모형과 연구모형 분석, 매개경로에 관한 간접효과 검증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중노년기 부부인 남편과 아내는 동일 시점에서의 악력, 삶의 만족도와 관련하여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행잠재성장모형의 기초모8형 분석결과에 따르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평균적으로 중노년기 남편과 아내의 악력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악력의 초기값에 대해서는 부부인 남편과 아내의 상관성이 발견되었지만 악력의 종단적 변화량에 대해서는 상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모형 분석결과에서 발견된 유의한 직접효과들을 토대로 매개경로에 관한 간접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부의 운동참여가 남편의 악력 초기값을 매개로 남편의 삶의 만족도와 아내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두 개의 종단적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남편만 운동에 참여하는 것 역시 남편의 악력 초기값을 매개로 아내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중노년기 부부의 노화 과정이 부부의 젠더관계와 상호의존성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는 것과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를 증진시키고, 신체적 기능 감퇴를 예방하여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부부단위의 접근이 필요하다 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

        주수산나,전혜정,최봄이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 5차(2014년)자료와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 수에 대한 보건복지부 현황 자료(2014년)를 결합하여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4,139명이다. 종속변수는 우울감이며, 개인수준 독립변수는 ADL과 IADL이다. 지역수준의 조절변수는 시․도의 노인인구 1만 명당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수(재가노인복지시시설 비율)이다. 연구결과, ADL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재가노인복지시설의 비율에 따라서 달라진다. 즉, 노인인구 1만 명당 재가노인복지시설의 수가 많은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일수록 ADL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IADL에 관해서는 제한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이 더 우울해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IADL과 재가노인복지시설 비율의 상호작용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일상생활수행과 관련된 개입 서비스를 지역사회 재가노인복지시설을 통해 전달하는 것이 노인의 우울감 완화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재가노인복지시설이 지역사회 노인 수요에 맞추어 충분히 제공될 때 복지제도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home-based welfare facilities for older adults on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the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s in later life. Multileve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5th data and the public report about welfare facilities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amples were 4,139 older adults over 65 years old.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pressive symptoms, and individual level independent variables were ADL and IADL. The ratio of home-based welfare facilities out of 10,000 older adults in each city and province was the moderator. As a result, the effects of ADL on depressive symptoms vary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out of the old population in the community. In specific, the older adults who live in the place where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rate was higher were less affected by ADL. Also, the more IADL people had, the more depressive symptoms they had.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ADL and the proportion of home-based welfare facilities was not significant. It suggests that delivering welfare services helping ADL through the home-based welfare facilities may be useful for decreasing depressive symptoms. Moreover,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facilities and older population will be helpful to make the welfare facilities efficiently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