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명소연,조진옥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6 청소년상담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학교밖 청소년들의 학교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자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Strauss & Corbin, 1998)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정규학업 과정을 그만둔 지 3년 이상이 지난 학교밖 청소년 7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 결과 총 151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중 심현상으로 ‘자포자기 심정의 학교중단’과 ‘피투된 삶’, 인과적 조건으로 ‘학교내 계속되 는 방황과 점층되는 부적응’, 맥락적 조건은 ‘역기능 가족 속 상흔’과 ‘가난의 굴레’, ‘애 어른의 힘겨운 성장기’, ‘상실된 삶의 조절력’ 으로 나타났다. 중재조건으로 ‘학교이탈 후 자각과 성찰의 시간’, ‘새로운 도약의 발판인 학교밖 지원체계와의 조우’, ‘새로운 관계 경험을 통한 치유’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살아나는 분투의지’, ‘학교 밖 어린청년의 고군분투’로 결과는 ‘어린 청년의 성장과 도전’ 그리고 ‘여전히 남아있는 삶의 미해결과제’로 나타났다. 둘째, 과정분석 결과는 ‘존재의 혼란기’로부터 시작하여 ‘고군분투저항기’, ‘새로운 존재와의 조우기’, ‘자각과 성찰을 위한 회복기’, ‘삶의 재구성 및 성장기’로 5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는 ‘학교밖 청소년의 성찰과 동행을 통한 삶의 적응’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밖 청 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밖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을 개인, 가족, 학교, 지역사회 차원까지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살펴 본 것에 있다. This study was explored an integrated look about the out-of-school youths from the school separation to the challenge and growth of life after their school separation and was analyzed by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Strauss & Corbin, 1998). As study participants, a total of 7 out-ofschool youths who had spent more than three year since dropping out of a regular high school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tegorization resulted in 151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Core phenomena were school dropout of feelings of self-abandonment and thrown life. The causal conditions were their continual wandering and increasing maladjustment in the school.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scar in the dysfunctional family, bands of poverty, hard growth of grownup baby, and lost control power of life. As intervention conditions, time of awareness and Reflection, encountered support system out of school as to hold to make a new leap forward, and healing from new relationship experience were present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will of a struggle recovery, and fight unsupported struggle of young man out of school. The consequences were challenge and growth of youth and remaining unsolved problem of life. Second, The results of processing analysis consisted of 5 stages; confusion stage of existence, resistance stage of unsupported fight, encounter stage with ‘new’ being, recovery stage of awareness and reflection, reconstruction of life and stages of growth. Lastly, The core category was the adaptation of life through the reflection and accompany for out-of-school youth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and precisely examined the challenge and growth in life and after seperation school out-of-school youths to experience person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level.

      • KCI우수등재

        학교 장면에서의 위기대응 양상에 관한 사례 연구 : 자살 위기 상황에서 학교 상담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명소연,이동훈 한국교육학회 2019 敎育學硏究 Vol.5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crisis response in the context of school counselors and crisis management committee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school counselors about crisis response experience in suicide attempt. This study was analyzed case in case and case of case according to Creswell (2007).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 common theme of case in case was two dimensions: 1) crisis intervention by counselors and 2) crisis response by the crisis management committee. The common theme case of case was 12 common themes and 43 in-case topics in this study. The 12 common themes regarding the aspects of school crisis response were as followings; 1) Crisis intervention by skilled counselors 2) Crisis intervention of beginning counselors, and 3) Horizontal collaborative crisis management committeee and 4) Bureaucratic guided crisis management committe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risis response system to settle effectively in schools. Finally, contribu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살 위기상황에서 학교 위기대응이 학교 상담사와 위기관리위원회라는 맥락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 상담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학교 위기대응 경험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Creswell(2007)의 연구방법에 따라 사례별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사례별 분석에서는 1) 상담사의 위기개입과2) 위기관리위원회의 위기대처라는 2가지 차원에 따라 사례 내 주제가 나타났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12개의 공통 주제와 43개의 사례 내 주제로 분석되었다. 12개의 공통주제는 상담사의 위기개입 차원에서는1) 숙련된 상담사 2) 초심 상담사 라는 주제묶음으로, 위기관리위원회의 위기 대처는 3) 수평적 협업형 과4) 관료적 지침형 이라는 주제묶음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위기대응체계가 학교에 효과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상담자의 대리외상 및 대처과정에 관한 질적연구-학대피해 상담을 중심으로-

        명소연,이동훈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ubstance theory that describes vicarious trauma and the coping process for it that youth counselors experienced when working with adolescent victims of abuse,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counselors who practiced trauma-focused counseling with adolescent victims of abuse for more than 5 years at the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 in eight different locations. Results showed 179 concepts, 62 sub-categories, and 26 categories emerging from open coding. The central phenomena of the coping process for vicarious trauma were ‘confusion about youth counseling identity' and 'baseline fluctuations on parental image'. The causal conditions were 'client's primary attachment impairment', 'extreme emotion beyond the threshold of the counselor', 'conflict between two worlds in the life of the counselor', 'abnormal symptoms due to psychological suddenness', and 'double risk of crisis intervention and counseling'.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heterogeneity of empath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buse and parental differences', 'recurrence of trauma within the family', and 'the gap between policies and reality'.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used to cope with vicarious trauma were 'changing intentional attention', 'regaining balance through purifying impurities', 'enjoying daily life within existential limits',' 'accepting contradictions dialectically', 'focusing here and now', 'building psychological strength in pain', 'growing with parental experience’, and 'discovering wisdom through the time of struggle and wrestling'. These strategies were found to be facilitated by mediating conditions such as 'support from a spiritual perspective', 'team-based counseling to push the limits', 'social support network', and 'forming social consensus for advocating clients'. Results that followed were 'expansion of perspective due to cognitive flexibility', 'growing up as a practical expert', 'social contribution through meaning-seeking', and 'the loss of balance between work and rest'. The coping process for vicarious trauma was found to have four phases - 'psychological awareness', 'internal cleansing', 'solidarity empathy', and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and informative data for follow-up studies by developing a practical theory on what vicarious trauma counselors experience and how they cope with it when working with adolescent victims of abuse. 본 연구는 학대피해 상담에서 청소년상담자의 대리외상 및 대처과정에 대해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하여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5년 이상 근무한 자 중 대리외상 경험이 있는 상담자 10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179개의 개념과 62개의 하위범주, 2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청소년상담 정체성에 대한 혼란’,‘부모상에 대한 기초선의 동요’이며, 인과적 조건은‘내담자의 일차적 애착 손상’, ‘상담자의 임계치를 초월한 극한 감정’, ‘상담사 삶에 공존하는 두 세계의 상충’, ‘심리적 급체로 인한 이상 증상’,‘위기개입과 상담의 이중적 이해관계’로 도출되었다. 맥락적 조건은‘학대 특성과 부모의 입장차이로 인한 공감의 이질감’, ‘가족 내 이어지는 외상의 대물림’, ‘제도와 현실의 괴리’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의도적 주의 전환하기’,‘정화 작업을 통한 균형 회복하기’, ‘실존적 한계 내 일상을 향유하기’,‘변증법적으로 모순을 수용하기’,‘지금-여기에 몰입하기’,‘고통 속에서 심리적 근력 기르기’,‘부모의 경험으로 동반 성장하기’,‘분투와 씨름의 시간을 통해 지혜 발견하기’이며, 중재적 조건은 ‘영적 관점을 통한 지지’, ‘한계를 버텨내기 위한 팀 기반 상담’, ‘사회적 지지망’, ‘내담자 옹호를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다. 결과는 ‘인지적 유연함으로 인한 부모상의 확장’, ‘실천적 전문가로 성장’. ‘의미추구를 통한 사회적 기여’, ‘업무와 쉼의 균형감 상실’로 나타났다. 과정분석 결과는 ‘심리적 자각’,‘내적 정화’, ‘연대적 공감’, ‘사회적 참여’의 4단계의 과정으로는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청소년상담자의 대리외상 및 대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실체이론 개발을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생 위기개입 과정에서의 교사경험에 대한 연구

        명소연,이동훈,정보영,강은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한 교사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학생 위기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1명의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Krippendorff의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한 교사들의 경험은 4가지 차원, 22개의 범주, 64개의 의미단위로 분류되었다. 교사가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하면서 경험한 4가지 차원은 ‘위기문제 접촉’, ‘위기개입 과정’, ‘위기개입 체계’, ‘위기개입 교육’ 으로 구분되어 각각 교사들이 위기문제를 개입하면서 경험한 어려운 점과 보완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교사들이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할 때 필요한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of student crisis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experience of teachers involved in student crisis problems. In this study, 11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Krippendorff 's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that the teachers' experiences of students' crisis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4 dimensions, 22 categories and 64 semantic units. The four dimensions of teachers' involvement in the student crisis were classified as ‘crisis problem contact', 'crisis intervention process', 'crisis intervention system', 'crisis intervention education'. Teachers could identify difficulties and supplement points by intervening crisis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for high school teachers to intervene in students' crisis.

      • KCI등재

        자살사건 외상대응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A고등학교 교사경험을 중심으로

        명소연,이동훈,정보영,강은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specific measures needed to cope with a school crisis by looking at a teacher’s response process of a traumatic suicide event. Five stages comprised the chronological trauma response process: panic, suppress, sudden reappearance, seeking cooperation, and building an altern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age-specific suggestions are discussed, such as: avoid abnormal psychological testing during the “panic” stage and instead,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 through observation. During the “suppress” stage, utiliz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such as group debriefing and psychological first aid treatment. During the “sudden reappearance” stage, recognize of the necessity of the mourning process. During the “seeking cooperation” and “building an alternative” stages, ensure the existence of a cooperative system structure within both the school and affiliated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본 연구는 한 해에 두 번의 자살사건이 발생한 경기지역 A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자살사건에 대한 학교의 외상대응과정을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게이트키퍼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8명의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으로 확인된 외상대응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5단계로 구성되었다. 먼저, 자살사건으로 학교 전체가 충격에 빠졌지만(공황기), 현실에 닥친 과제들로 이러한 충격이 해소되지 않은 채 슬픔은 수면 밑으로 가라앉았다(엄폐기). 하지만 자살한 학생의 추모영상이 인터넷에 배포되면서 애도의 글들이 올라왔고(돌발적 재현기), 교사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학교상담사, 외부전문기관과 협력적으로 대처하기 시작했다(협력모색기). 나아가 교사들은 학교상담사와 함께 고위기학생을 예방하고, 발굴하며 연계하면서 외상대응을 구축해나갔다(대안구축기).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자살사건으로 인한 외상대응과정에서 공황기에는 이상심리검사를 지양하고, 관찰과 기존 위기정보를 통한 위기선별, 위기선별에 따른 개별적인 심리지원, 엄폐기에는 위기선별에 따른 차별적 개입으로 집단 디브리핑, 심리적 응급처치 등의 심리개입, 돌발적 재현기에서는 공동체 내 집단 외상에 대한 애도과정의 필요성 인식 및 구성원들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한 애도과정과 지속적 개입, 협력모색기와 대안구축기에서는 학교와 외부전문기관의 협업체계구성 및 역할에 대한 구체적 명시, 법적지위보장, 위기대처교육 형식과 내용의 변화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대학교 내 교육대학원 상담 전공 지원 및 입학 동기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명소연 ( Myung Soyoen ),최준섭 ( Choi Joonsup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2 초등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상담 전공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대학교 내에 설치된 교육대학원 입학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입학 경험이 담긴 경험보고서 및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207개의 핵심개념, 33개의 범주, 6개의 영역이 도출되었는데, C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 전공 학생들의 입학 경험은 크게 대학원 진학 동기, 대학원 진학 결정과정에서의 고민/갈등, 교육대학원 내 교육대학원 선택 동기, 상담 전공 선택 동기, 전공 선택과정에서의 고민/갈등, 졸업 후 기대하는 나의 모습의 6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입학 및 상담 전공 선택의 전과정을 드러냄으로써 해당 경험에 내포된 의미와 시사점을 밝혔으며 더불어 초등학교 현장 및 교직문화에 기반한 교사의 직무 경험에 대한 이해, 상담 전공이 초등학교 현장에 기여하는 학문적 의의, 교육대학원생 모집/운영 및 상담 전공 커리큘럼의 내실화와 관련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stablished with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counseling major.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 report and interview data containing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CQ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07 core concepts, 33 categories, and 6 domains(Motivation for going to graduate school, Concerns/Conflicts in the Graduate School Admissions Decision Process, Motives for choos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th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otives for choosing a major in counseling, Concerns/Conflicts in the Major Selection Process, What I look forward to after graduation) were derived.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e experience were revealed by revealing the entir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he selection of a counseling major. In addition, we drew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job experience of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field and teaching culture,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e counseling major contributing to the elementary school field, the substantialization of the curriculum for counseling major, recruiting graduate students and opera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교육 인식 및 참여 실태

        명소연 ( Myeong So-yeon ),김두영 ( Kim Doo-yo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3

        이 연구는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과 참여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평생교육 참여율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 310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는 평생교육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나 평생학습 또는 평생교육이라는 용어를 접해 본 경험이 낮은 수준이었으며, 이는 공통적으로 부모의 성별, 최종학력, 가족의 전체수입, 그리고 자녀의 장애등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반해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도나 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의지는 상당히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둘째,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들의 평생교육 참여율에 대해 과거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은 36.1%, 현재 참여 여부는 10.3%으로 매우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부모의 경우, 본인이 자발적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였고, 참여 기간은 6개월 미만이며, 이용하는 기관은 사회복지관이나 장애인복지관이라는 응답이 절반 정도를 차지했다. 또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주된 목적은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알기 위해서나 장애자녀의 양육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and the state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the part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eeking ways to increase those parents` futur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examination and analysis. For this study, 310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rveyed, and the questionnaires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level of acquaintance with the term of lifelong learning, or lifelong education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low. Those indicators (the understanding degree and the level of acquaint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 gender of the parents, the highest level of schooling of the parents, total family income,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of the children.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was very high and the will to participate in it was shown to be very strong. Secondly, the participation rates in lifelong education both in the past and in the future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hown to be very low. In the case of the parents who had ever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the answer that they took part in it voluntarily, the answer that the duration of the participation was less than 6 months, and the answer that the institutions they attended were social welfare centers and rehabilitation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unted for about half of the total answers, respectively. Also, as for the main purposes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 order to get some help with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 answers. Based on the results above mentioned, we discussed some ways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서의 CISD와 CISM 집단 경험보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명소연(Myung, So-Yeon),이동훈(Lee, Dong-H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외상사건 이후 집단 경험보고로 활용된 CISD와 CISM의 내용을 소개하고 심리적응급처치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쟁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연구 및 문헌들을 고찰하여 CISD와 CISM의 형성배경 및 발전과정을 알아본 후, CISD와 CISM의 주요내용을 확인하였다. CISD와 CISM이 외상사건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 타당한지에 대한 효과성 쟁점은 적용 대상과 개입 시기, 효과성 측정에 대한 방법론적 문제와 절차 준수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CISD와 CISM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CISD와 CISM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신건강 증진 모델에 입각하여, 강점 기반 접근 방식으로 회복 탄력성을 증진하는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상 사건에서 동료의 죽음 또는 피해자의 죽음과 같이 사망을 목격할 때 애도 반응을 고려한 탄력적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논의를 통해 외상사건 경험 이후 심리적응급처치에 필요한 요소들을 외상 사건의 특성 및 조직 환경의 맥락에 따라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CISD and CISM used as a group debriefing after traumatic event were introduced, and issue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logical first aid were examined. First, by reviewing research and literature,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CISD and CISM group debriefing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main contents of CISD and CISM group debriefing were confirmed. Effectiveness issues regarding whether CISD and CISM are appropriate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were divided into application targets, intervention timing, methodological issues regarding effectiveness measurement, and compliance with procedures. Based on this, CISD and CISM searched for ways to effectively utilize in the field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for the CISD and CISM to be used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interventions to promote resilience through a strengths-based approach based on the mental health promotion model are need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 flexible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ourning response is necessary when witnessing death, such as the death of a colleague or the death of a victim in traumatic events. Besides, through the discussion, the elements necessary for CISD and CISM group debriefing as psychological first aid after traumatic event were additionally presen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umatic event and the context of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 분석 연구

        명소연 ( Myeong So-yeon ),한경근 ( Han Kyoung-gun ),장철승 ( Jang Chul-se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 분석을 통하여 각 지 자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례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체제 구축을 위한 제정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2곳 지자체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추진체제 필수 요소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지자체의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체제의 일반적인 구조는 지자체장이 장애인 평생교육 사업 추진의 책임자이고, 시·도 지자체인 경기도와 광주광역시에서는 전반적인 평생교육 계획 수립 및 의사결정의 협의·조정·자문 기구로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위원회’ 와 같은 협의체가 구성되어 있으며, 조례가 제정된 11개 시·도 및 시·군·구 지자체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센터나 학습장의 평생교육시설 설치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사천시와 군산시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시설 운영에 관한 사항의 협의·조정·자문 기구로 ‘운영위원회’와 같은 의사결정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평생교육 조례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첫째, 일반과 교육 행정부분의 역할이 상호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시·도평생교육협의회 구성은 지역사회 내 장애인 평생교육 주체의 대표성과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 추진 시설의 기능과 조직 구성, 담당인력 배치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명시화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관련 협의체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예산 확보와 지원 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each Korean municipality's ordinance on lifelong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through the analysis of it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analysis. To this end, 12 local governments' lifelong education ordinanc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ose ordin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romotion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the structure of the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system of each municipality is as follows: Above all,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are in charge of promoting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the disabled. And specifically in Gyeonggi-do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councils such as 'Lifelong Education Support Committee for Disabled Persons' are formed as consultation, coordination, and advisory bodies for planning and decision-making for overall lifelong education. And, in 11 cities, provinces and municipalities which have enacted such ordinance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learning centers for the disabled are installed. Lastly in Sacheon City and Gunsan City, decision-making mechanisms such as the 'Steering Committee' are established as consultation, coordination, and advisory bodies for dealing with the issu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First, the roles of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mutually strengthened. Second, the composition of the city / provincial education council should be structured so a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and professionalism of the main player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Third, the regulations on the functions, organization and staffing of the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specified.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lated councils for the smooth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ifth, the budget and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specified.

      • KCI등재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분노반추, 외현적·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김주영,명소연,이동훈 한국재활심리학회 2022 재활심리연구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분노반추와 외현적·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가 외현적·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노반추가 매개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00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2, 3학년 남학생 330명과 여학생 313명(총 64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분노반추 척도, 자기-보고형 또래 갈등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및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 분노반추, 외현적 공격성 및 관계적 공격성은 서로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공격성(전체), 외현적·관계적 공격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