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 그러면 종우는 맨날 맨 마지막에 밥을 먹게 돼서요: 통합학급의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에게 제공한 또래지원

        박승희 ( Seung Hee Park ),홍정아 ( Jung A H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 내에서 비장애학생들이 장애학생에게 제공하는 또래지원의 유형들과 이러한 또래지원을 제공하는데 영향을 미친 요소들을 실제 교실 맥락 내에서 밝히는 것이다. 서울특별시 소재 일반 초등학교의 4학년 한 통합학급에 대해 관찰과 5명 비장애학생과 담임교사에 대한 개별면담의 질적연구 방법이 적용되었다. 통합학급 내에서 관찰되고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분석을 기초로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또래지원 유형은: (1)학습을 위한 지원; (2)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지원; (3)사회적 관계 형성 및 유지를 위한 지원으로 나타났다.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또래지원 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1)장애학생과의 물리적 인접성; (2)장애학생의 개인적 특성; (3)비장애학생들의 모델링과 내적강화; (4)교사의 역할 및 영향력; (5)학부모의 영향력으로 추출되었다. 통합학급 내의 비장애학생은 장애학생에게 다양한 유형의 또래지원을 제공하는 지원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학급 내에서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또래지원은 교실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한 통합학급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연구참여 학급이 속한 학교의 문화, 학급 구성원, 교사 및 학생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어 다른 학급들에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 통합학급 사례를 통해 일반 초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한가지 자원으로서 또래지원에 대한 질적 탐구의 진전과 통합학급 내 또래지원 이해의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통합학급 내의 또래지원의 개발과 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질적연구의 한 시각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er supports amo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a 4th-grad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where one child with disabilities was included with other 41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 observed a 4th-grade inclusive classroom for one week and interviewed five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classroom teacher for collecting qualitative data on the peer supports occurred in the inclusive classroom.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types of peer supports which were rendered to one child with disabilities by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1)supports for learning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2)supports for school adaptation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and (3)supports for making and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There were five factors which were influential to the amount and types of peer supports: (1)the physical proximity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2)individual characters of the child with disabilities; (3)modeling and intrinsic reinforcemen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4)the teacher`s roles and impacts; and (5)the parents` roles and impacts. Since this study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from a single inclusive classroom,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other inclusive classrooms. However, it could present the possibilities to sophisticate the view on peer supports among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and to make full use of peer supports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fully included and to participate in curricular and non-curricular activities occurred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dvance and elaborate the qualitative inquiry on peer supports among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schools.

      • KCI등재

        공립 유치원 완전 통합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실태 및 지원요구

        류명옥,노진아,전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완전 통합학급 교사들의 학급운영 실태와 지원요구를 알아보고 앞으로 공립 유치원에서의 완전통합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현재 완전통합교육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공립 유치원 완전 통합학급에서 근무했던 경험이 있는 현직 유아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고,설문조사의 계량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완전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6명의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완전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특히 개별화 교육계획 작성과 실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완전 통합학급 운영을 도울 인적자원과 교사연수가 필요하다고 나타났고,특수교육 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완전 통합학급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과 향후 연구 방향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full inclusive classroom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teachers' support needs as well as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exploring activation plans for full inclusive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teachers at full inclusive classrooms in public kindergartens. That is, survey data from 139 teachers with full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6 interview data were us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 of a survey research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at full inclusive classrooms in public kindergarten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and they needed the support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related staff and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provided, and func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enhanced.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bout various support plans for full inclusive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이 경험한 또래지원: 국가 간 및 학년별 비교

        박승희 ( Seung Hee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일반 초등학교 통합학급 고학년 학생들이 경험한 또래지원을 요인분석하여 두 국가 학생들이 각 요인을 경험한 정도의 순위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또래지원 각 요인에서 국가와 학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 학생은 특수교육대상 학생이 통합된 한국의 통합학급 학생 572명, 일본의 통합학급 학생 693명을 합하여, 총 1,265명이다. 본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가 여러 단계를 거쳐 개발한 질문지로서 최종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또래지원의 5개 요인을 추출하여 명명은: 요인1은 ‘문제해결 지원’; 요인2는 ‘공동체 의식’; 요인3은 ‘사회적 수용 및 관계 증진’; 요인4는 ‘옹호와 권고’; 요인5는 ‘학업참여 지원’으로 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또래지원 요인의 1위부터 5위까지 순위는 동일하였다. 통합학급의 또래지원 총점에 대해 국가에 따른 차이와 학년에 따른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또래지원 총점에서 국가와 학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별로 국가와 학년에 따른 차이는 요인3에서만 국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요인1에서는 일본이 한국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요인2, 4, 5에서는 한국이 일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별로 또래지원 차이는 요인 4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5학년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4학년과 6학년 순이었다. 각 요인별로 국가와 학년 간 상호작용 효과는 요인1, 3, 5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 고학년 통합학급에서 어떠한 또래지원이 나타나고 있는지 요인을 추출하였고, 국가 간 및 학년별 또래지원 양상에 대해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힌 첫 연구로서 두 국가의 통합학급 또래지원의 성격을 이해하고 비교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통합교육의 진전을 위해 통합학교의 자연적 지원의 하나인 또래지원의 활용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The three purposes of this study include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peer supports at inclusive classrooms in Korea and Japan, ranking factors, and examination of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er supports based on nationality and students` grade levels. A survey developed through four steps was used to collect data. A total of 1,265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572 Korean, 693 Japanese). All students were in elementary 4th, 5th, and 6th grade inclusive classrooms. These classrooms were recommended by the special education directors from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okyo Metropolitan Board of Education. All inclusive classrooms in this study included at least one special education student.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OVA were employed to analyze date collected by 22 survey items.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5 factors of peer supports were drawn and named including factor 1, supporting problem solving; factor 2, community spirit; factor 3, social acceptance and relationship improvement; factor 4, advocating and advice and factor 5, supporting academic involvement. Second, rank of five factors in both Korea and Japan was exactly the same as follows: top priority was factor 2; and factor 5 was the bottom. Third, results from a 2-way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er supports total scor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among 4th, 5th, and 6th classrooms. However, interaction effects between nationality and grade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otal scores of peer supports. Results from data analysis based on the each score of five factors, Japanese students ear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factor 1, Korean students got higher scores on factors 2, 4, and 5. In the only one factor, factor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 level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nationality and grade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actors 1, 3, and 5. Discussion of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ovided.

      • KCI등재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초・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역량과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이효정 한국통합교육학회 2017 통합교육연구 Vol.12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etenci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in order to develop inclusive education manuals. A total of 1,7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inclusiv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had more than one student in the self-contained classroom were a total of 11.3% and those who taught students in full inclusion settings were 54.7%. Second, elementary special teachers scored higher than secondary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special teachers’ roles in inclusion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levels in practices. However, there was the importance-performance gap of special teachers based on their school levels. In addition, all special teacher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levels commonly showed the low performance level of teaching supports in general classrooms. Third, the factors impacting on inclusive classroom supports included the perception on the special teachers’ roles in inclusion and their teaching experiences. Fourth, supports for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sexual education were commonly needed in all school levels to develop capac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fth, the most needed support areas for special teachers were related to the disability-awareness and teaching supports in inclusive classrooms.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related to developing inclusive education manual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해 초·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역량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전자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결측치 및 응답오류를 제외하고 최종 수합된 1,73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중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이 한 명 이상 있는 경우는 전체의 11.3%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54.7%가 완전통합 학생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초등 특수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중등 학교급에 따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할과 실제 실행하고 있는 역할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초·중·고 특수학급 교사가 공통적으로 낮은 실행 정도를 보인 역할은 통합학급에 대한 수업 지원이었다. 셋째, 통합학급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인식 정도와 교육경력이 모든 지원영역의 실행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요구로는 문제행동 대처와 학교폭력 예방 및 성교육에 대한 지원요구가 학교급별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지원은 장애이해/인식개선과 통합학급 수업지원에 대한 요구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등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 고려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및 직무만족도와 장애수용태도와의 상관연구

        장윤주(Yunju Jang),이기정(Kijyung Lee)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7 지방교육경영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및 통합학급 직무만족도와 장애수용태도의 상관유무를 분석하는데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과 교사의 장애수용태도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2) 통합학급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의 장애수용태도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해 대구·경북 지역 초등학교 교사 16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회수한 설문지중 155부를 최종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대상자의 배경정보, 통합학급교사의 행·재정적 지원 현황, 통합학급운영 직무만족도, 통합교사의 장애수용태도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합교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및 통합학급운영 직무만족도와 장애수용태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과 장애수용태도 중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났으나 장애학생의 능력을 인식하는 영역과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통합학급운영 직무만족도와 장애수용태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만족도 중 전문성 신장 영역은 장애학생의 능력을 인지하는 것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and administrating-financial supports,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 teacher. For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and administrating-financial supports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 teacher? Second,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and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 teacher? For this study 160 survey were distributed in Daegu & GyungBuk and 155 were analyzed. For developing this survey, previous studies and questionnaire were reviewed. This survey was constructed with 4 sub-questionnaires : teacher’s background information, administrating-financial supports, job satisfaction,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Every item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 information and correlation scor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and administrating-financial supports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 teacher. The result means that higher administrating-financial supports, teacher will have the higher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Second,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of inclusive teacher and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The result means that higher job satisfaction, teacher will have the higher attitude toward the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incentive system and various forms of service-training programs for elementary inclusive class teacher.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인식하는 교사 지원요소 연구

        최정미,변찬석,이성환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학습장애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the inclusive education on the first-line educational field by surveying a demand for support in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questionnaire with totally 25 items by 5 support types was conducted to 120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at elementary school where i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questionnaire research, The teacher group was classified by gender, age, career in charg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nd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he support demand by item and by support type, which each teacher group indicated, was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support demand, the support demand for human resources, teacher training &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climate was high. By item, the support demand was high for a support for peers in the inclusive classroom, for emotional consideration and positive mind in institutional director, for the behavioral guidance and technical training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or cooperation in a special-class teacher. Second, by teacher group, the support demand had great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in charge of the inclusive classroom and on appearance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conclusion, aiming at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re is necessity for the cooperative support in the relevant human resources and for a change in climate of school organization including a school principal. Training and study for homeroom teachers of the inclusive classroom should be continuously offer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들의 지원요구를 조사함으로써 일선 교육현장에서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담임교사 120명에게 5개의 지원유형별로 총25개 문항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설문 조사에 따라 교사 집단을 성별, 연령, 통합학급 담당경력,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 등에 따라 분류하고, 각 교사 집단이 나타낸 문항별, 지원유형별 지원요구에 대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유형별로 인적자원, 교사 훈련 및 교육, 조직풍토에 대한 지원요구 등이 높았으며, 문항별로는 통합학급 또래의 지원, 기관장의 정서적 배려 및 긍정적인 마인드, 장애아동 행동지도 기술 훈련, 특수학급 교사의 협력 등의 지원요구가 높았다. 둘째, 교사집단별로 통합학급 담당 경력과 특수교육 관련 연수 및 자격 여부에 따라 지원요구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컸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관련 인적자원들의 협력적 지원과 교장을 비롯한 학교 조직 풍토의 변화가 필요하며, 통합학급 담임교사를 위한 훈련 및 연수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과 특수교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과 특수교사에 대한 태 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 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이 일반학생의 특 수교사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가 통합학급을 지원한 실험집단이 지원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조사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 장애학생에 대 한 실험집단의 태도가 통제집단보다 더욱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 사의 통합학급 지원은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특수교사가 통합학급을 지원한 실험집단이 지원을 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해 특수교사에 대한 태도검사의 사후검사 점수가 사전검사 점수보다 높은 점수를 보 여, 특수교사에 대한 실험집단의 태도가 비교집단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은 일반학생의 특수교사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특수교사의 통합학급 지원은 일반학생의 장 애학생 및 특수교사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과 특수교사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는 통합교육을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통합학급운영에 필요한 교사지원유형에 관한 고찰

        강대옥 ( Dae Ok Kang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학자들이 제안한 성공적인 통합교육실천요건을 살펴보고, 통합학급교사에게 지원할 수 있는 요소를 조직풍토, 인적자원, 교육과정, 훈련 및 교육, 편의시설 및 교재교구, 시간 등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련 내용을 고찰하였다. 첫째, 조직풍토는 통합장면에 대한 행정적 지원 및 협조분위기, 학급규모 및 자원의 적합성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며 둘째, 인적자원은 초학문적 차원에서 통합장면에서 이루어지는 교직원 및 전문가 등의 지원체계를 포함한다. 셋째, 교육과정은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교육목표 수립,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평가 등에 관한 내용으로 이들에 대한 적합화 및 수정에 대한 지원이 포함된다. 넷째, 훈련 및 교육은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적인 지원으로서 통합학급 운영과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 향상을 위한 연수 등이 포함된다. 다섯째, 편의시설 및 교재교구는 통합학급운영에 필요한 물적 지원으로 시설 및 설비, 보장구 및 교구, 공간 및 배치 등에 대한 지원을 포함하며, 여섯째, 시간은 통합학급을 운영하기 위하여 교사가 계획하거나 준비, 연수 등에 필요한 시간 및 기회지원을 포함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실천에 필요한 통합학급교사의 지원을 위하여 앞에서 분류된 유형 중심으로 실태조사가 필요하여, 이를 근거로 한 지원이 추후 필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successful inclusion conditions which was suggested by various scholars and to classify into some types according to common factors. These inclusion conditions could be categorized 6 factors; organizational climate, curriculum, personnel resources, training and education, equipment and supplementary materials, and time. First, in organizational climate, we could include administrative support, support climate, class size, and adaptiveness of resources. Second, in personnel resources, we could include cooperation system among school staffs and experts at inclusive settings. Third, in curriculum, we could include support such as setting of educational objective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evaluation, and adaptation and modification about these. Forth, in training and education, we could include teachers` study and training about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which teachers needed at inclusive setting for successful inclusion. Fifth, in equipment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we could include physical resources such as facilities and equipments, educational materials, space and arrangement, which teachers needed at inclusive setting for successful inclusion. Sixth, in time, we could include opportunity support which teachers needed for plan and preparation of inclusive classes and study. Thus future research in the area of inclusion may be proceeded to survey the actual support conditions for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based on these support types, and we can support them various resources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 KCI등재후보

        학급 차원의 또래 지원망 프로그램이 일반아동의 장애아동과의 친구관계와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혜,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8 특수교육 Vol.7 No.1

        The friendship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social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mproving the friendship, sup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 variety of ways in everyday life is more effective than supporting them in teacher-led program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integrated 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2 disabled children and 28 general children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 disabled child and 29 general childre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 4-week-long classwide peer network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lasswide peer network program, children are divided into small groups of seven to eight depending on their intimacy level among themselves, and then each group is guided to spend time with disabled children in and after school. The four main factors of this program are self-determined supporting plan and practice, the teacher's support to interaction among children, adaptation of classroom rules for the supportive and caring classroom environment, and facilitation of after-school interaction through schedule readjust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y the friendship scale and the adjective scale for the perception on disabled peopl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built a more constructive relationship with disabled people and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m. This paper also discussed the change of the children during the study. 통합교육 환경에서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친구관계는 장애아동의 사회적 통합 수준을 말해주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이다. 친구관계를 증진시켜주는 방법 중에서 정해진 시간에 교사 주도로 행해지는 프로그램보다는 일상에서 장애아동을 다각적으로 지원해주는 또래 지원망을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인천시 A초등학교의 2개 통합학급으로, 실험집단은 장애아동 2명이 속해있는 통합학급의 일반아동 28명이고, 통제집단은 장애아동 1명이 속해있는 통합학급의 일반아동 29명이다. 독립변인은 학급 차원의 또래 지원망 프로그램으로 실험집단에 4주 동안 실시하였다. 학급 차원의 또래 지원망 프로그램이란 한 학급의 구성원들을 친분 관계를 중심으로 7~8명씩 소그룹으로 나눈 다음, 학교생활과 방과 후 시간에 장애아동과 그룹원들이 함께 할 수 있도록 지원 계획을 세우고 활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의 주요 요소는 네 가지로, 소그룹 내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지원계획 수립 및 실천, 담임교사의 상호작용 지원, 지원적이고 배려적인 학급문화 조성을 위한 학급 규칙의 수정, 그리고 스케줄 조정을 통한 방과 후 상호작용의 촉진이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친구관계 척도와 장애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형용사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일반아동의 장애아동과의 친구관계와 장애인식 모두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와 실험과정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허수연(SuYeon Heo),이소현(SoHyun Lee)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급차원에서 실시한 보편적 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 학급은 두 개의 만 5세 완전통합학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각각 23명의 유아가 참여하였다. 중재 효과 검증을 위해 통합학급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속한 장애 유아 4명의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이야기 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활동 참여율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통합학급 유아는 통제집단의 통합학급 유아보다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는 활동 유형과 개별 유아의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야기나누기와 자유선택활동에서 각각 3명의 유아가 활동 참여율의 증가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일과와 활동을 기반으로 실행하여 학급 전체 유아의 사회성 기술과 활동 참여율의 증가시키고 학급 분위기의 수용적인 변화로 인해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여 통합학급에서의 지속적인 실행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