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초・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역량과 지원요구 고찰 = A Study on Competencies and Support Nee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for Developing Inclusive Education Manu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49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etenci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in order to develop inclusive education manuals. A total of 1,7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inclusive schools p...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etenci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ettings in order to develop inclusive education manuals. A total of 1,737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inclusiv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had more than one student in the self-contained classroom were a total of 11.3% and those who taught students in full inclusion settings were 54.7%. Second, elementary special teachers scored higher than secondary teachers on the importance of special teachers’ roles in inclusion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levels in practices. However, there was the importance-performance gap of special teachers based on their school levels. In addition, all special teacher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levels commonly showed the low performance level of teaching supports in general classrooms. Third, the factors impacting on inclusive classroom supports included the perception on the special teachers’ roles in inclusion and their teaching experiences. Fourth, supports for problem behavior manageme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sexual education were commonly needed in all school levels to develop capac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fth, the most needed support areas for special teachers were related to the disability-awareness and teaching supports in inclusive classrooms. Considerations and recommendations related to developing inclusive education manual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also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해 초·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역량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해 초·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역량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전자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결측치 및 응답오류를 제외하고 최종 수합된 1,73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중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이 한 명 이상 있는 경우는 전체의 11.3%였으며, 전체 응답자의 54.7%가 완전통합 학생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초등 특수교사가 중등교사에 비해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중등 학교급에 따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할과 실제 실행하고 있는 역할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초·중·고 특수학급 교사가 공통적으로 낮은 실행 정도를 보인 역할은 통합학급에 대한 수업 지원이었다. 셋째, 통합학급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인식 정도와 교육경력이 모든 지원영역의 실행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요구로는 문제행동 대처와 학교폭력 예방 및 성교육에 대한 지원요구가 학교급별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지원은 장애이해/인식개선과 통합학급 수업지원에 대한 요구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등 통합교육 실행 매뉴얼 개발을 위한 고려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광순, "현장중심의 통합학급 교사 연수를 통한 통합교육의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99-218, 2003

      2 권현수,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263-282, 2016

      3 정주영, "통합학급내 정신지체 학생의 교수적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19-250, 2003

      4 한경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5 이효정,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성공적인 개별화교육계획 개발 및 실행요소 탐색: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2 (12): 23-44, 2012

      6 박은혜, "통합교육정책의 효과와 발전방안 연구" 교육부 2015

      7 최종근,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참여 의사결정 모델 개발"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57-77, 2015

      8 오원석,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와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215-241, 2012

      9 류영지,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29-250, 2016

      10 승윤희,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27 (27): 317-343, 2011

      1 조광순, "현장중심의 통합학급 교사 연수를 통한 통합교육의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99-218, 2003

      2 권현수,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263-282, 2016

      3 정주영, "통합학급내 정신지체 학생의 교수적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19-250, 2003

      4 한경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5 이효정, "통합된 자폐 범주성 장애학생을 위한 성공적인 개별화교육계획 개발 및 실행요소 탐색: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12 (12): 23-44, 2012

      6 박은혜, "통합교육정책의 효과와 발전방안 연구" 교육부 2015

      7 최종근,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참여 의사결정 모델 개발"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57-77, 2015

      8 오원석,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와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215-241, 2012

      9 류영지,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29-250, 2016

      10 승윤희,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27 (27): 317-343, 2011

      11 김경양,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법적 정책요소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71-199, 2016

      12 최성규, "통합교육 시대의 특수교육 교과교육 효율성을 전제한 특수교육적 지원 방안"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6 (6): 1-21, 2015

      13 김기흥, "통합교육 및 특수학급운영에 대한 특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부산지역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17-51, 2009

      14 황순영, "초임 특수교사의 교직생활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85-210, 2006

      15 이순자,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노력과 실행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9 (19): 75-127, 2016

      16 양승기, "초등 특수학급 신규 기간제 교사의 교직 적응 어려움 및 개선 요구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71-98, 2011

      17 임경원, "지역별 통합교육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특수교사의 견해"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523-544, 2015

      18 박미경, "중등 팀 기반 통합지원에 대한 팀원 간 인식: 질적 사례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229-252, 2010

      19 이숙향, "중등 통합교육의 현실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장애학생과 부모의 통합교육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203-235, 2011

      20 염지혜,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연구 동향 및 중재방법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5 (15): 111-140, 2016

      21 박승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실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7-62, 2015

      22 이숙향, "장애학생의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 지원 및 지원 요구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14 (14): 71-107, 2015

      23 김수현,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을 위한 중재요소 및 연구동향 고찰"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1-30, 2013

      24 김홍은, "장애이해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2012 (2012): 213-235, 2012

      25 강대옥, "장애유아통합교육 연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47 (47): 119-141, 2008

      26 김혜선,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 비교" 2 (2): 83-101, 2009

      27 이소현, "장애 유아 통합교육 실행요소:국내 연구에 나타난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27, 2007

      28 강경숙, "일반초등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07-132, 2007

      29 양명희, "일반유아교육기관 교사와 유아특수교육기관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 연수에 대한 요구조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17-137, 2009

      30 정희섭, "일반교사의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 수업참여 확대 및 수업효과 증진을 위한 수업요인별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1-23, 2011

      31 김명희,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의 통합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육연구소 15 (15): 151-179, 2016

      32 남혜진, "다양성 이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공감능력, 문화적 민감성 및 장애수용 태도에 미친 효과" 특수교육연구소 13 (13): 53-76, 2014

      33 한민경, "국내 유아통합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1)"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325-344, 2013

      34 류규태, "교수적합화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향후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45-566, 2016

      35 김의정,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교육과정적 통합교육 실시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교과교육연구소 15 (15): 991-1019, 2011

      36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Inc 2010

      37 Friend, M., "Includ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 practical guide for classroom teachers" Allyn & Bacon 2008

      38 Griffin, C. C., "First-year special educators : The influence of school and classroom context factors on their accomplishments and problems" 32 (32): 45-63, 2009

      39 교육부, "2016 특수교육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7 1.39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