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주요 쟁점 탐색

        성병창(Byung-chang Su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1 지방교육경영 Vol.15 No.3

        이 논문은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내용 중에서 2014년에 개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항목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지방교육자치제의 본질에 대해 우선 살펴보고, 현행 제도에서의 쟁점 사항을 중심으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그 결과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본질은 개념적 수준과 법률적 수준에서 살펴보았다.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본질에 근거해서 현행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문제점은 정치선거와의 동시선거로 인한 문제점, 교육감 자격 및 권한에 대한 문제점,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상의 문제점, 교육의결 기관으로써의 교육위원회 구성과 운영 등에서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교육선거와 정치선거의 분리 실시, 교육감 선출방식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 교육의원의 유지와 자격완화, 교육의원 선거구를 소선거구에서 중선거구로 전환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concept of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on the basis of the local autonomy and educational autonomy in order to search problems and reforms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in korea. Problems of this system were founded by a double election of educational and political, election methods and election boundary of a educational member of the city assembly, organization of a board of education, qualifications and authority of the superintendent. Improvement of local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basic premise of improvement is to meet the educational value of nature and autonomy of the unit based on wide area. First, educational election should consider separating the political parties election. Second, the superintendent in-depth review of how election is required. Third, the superintendent shall be maintained in the current eligibility requirements. Fourth, the school board should be independent organization. Fifth,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s members should be maintained. Sixth, educational member of city assembly shall be elected to switch middle-size in small-size.

      • KCI등재후보

        시·도교육청 지방채 발행 결정요인 분석

        고수주(Su Ju Go),우명숙(Myung Suk Woo)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3

        본 연구는 2014년도 이후 시·도교육청의 지방채 발행이 급격하게 확대되어 지방교육채무가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2008~17년 교육비특별회계 결산자료를 사용해 교육감이 발행하는 지방채의 발행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탐구했다. 분석 결과, 첫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이 감소하면 지방채 발행액 및 누적잔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채가 교부금의 부족분을 보전한다는 기능을 실증적으로 입증했다. 둘째, 교육재정수요 요인으로 교육복지지출수요는 지방채 발행액에 미미한 수준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방채 누적 잔액에 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시설투자지출수요는 지방채 발행액과 누적잔액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채는 명목상 시설투자를 원인으로 발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질적으로는 급격히 증가한 교육복지예산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실증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지방채 누적잔액이 증가하는 것은 규모의 불경제는 물론 공기질과 물관리, 학습까페, 동아리방, 홈베이스 등 질 높은 교육환경에 대한 요구와 선택을 다양화한 교육과정의 도입 등에 의한 교육비 증가 때문으로 보인다. 교부금 부족분을 계속해서 지방채로 충당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교부금은 기준재정수요액을 조정하여 당해 연도 예산의 범위에서만 교부하고, 교부금 차액보전 지방채는 발행을 지양할 필요가 있다. 교부금부담 지방채에도 지방채 발행 한도액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important factors for issuing local bonds issued by the Superintendents using the Special Account for Educational Expenses data of 2008-17 years. The study perceived that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ssuance of local bonds has been rapidly expanding since 2014, which might cause the financial crisi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 decrease in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Grant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issuance and cumulative balance of local bonds. It has been proven empirically that a reduction in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Subsidy was compensated by the issuance of local bonds. Second, both spending for education welfare and investment in school facilities were found to increase the amount of local bonds issued and the cumulated balance, which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ocal bonds were issued nominally by facility investments.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a rapidly increasing education welfare budget might be a substantial factor resulting in the issuance of local bonds. Third, even though the number of students declining, the demand for high 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 introduc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s likely to increase the cumulative balance of local bonds. Continuing to make up the shortfall in Local Education Financial Grant by local bonds should be limited.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Grant must be distributed only within the budget for the current year without no issuance of local bonds. The limit on the issuance of local bonds should also be applied to local bonds that are covered by the Local Education Financial Grant.

      • KCI등재후보

        지방 교육자치역량의 개념 및 평가체계 탐색

        박상완(Sang Wan Park),나민주(Min Joo Rah)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1 지방교육경영 Vol.24 No.3

        이 논문은 지방교육자치제 확대에 대응하여 지방의 교육자치역량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필요한 역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지방 교육자치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지방 교육자치역량을 평가하는 데 필요한 평가체계를 시론적으로 설계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방교육자치제, 지방자치역량 관련 선행연구 및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지방 교육자치역량의 개념은 지역교육의 특수성,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갖추어야 할 능력(전문적 지식, 기술, 행위)과 태도(의지, 노력)로 규정하였다. 또한 개인 수준에서 논의되는 역량 개념의 범위를 보다 확장하여 지방 교육자치역량의 구성 요소는 개인, 조직, 구조·시스템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아울러 지방 교육자치역량 평가를 위해 평가 목적, 주체, 대상과 항목, 결과 활용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systematically explores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local educational autonomous competency and systematically explores local educational autonomous competency in the problem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iagnose the local autonomous competency and secure the necessary competency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The purpose is to design the evaluation system necessary for evaluation. To this end, prior studies and data related to local education autonomy, local autonomy, and local government competency (evalu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xtens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cept of local education autonomy competency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ability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will and effort)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to secure the specificity of regional education,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The component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tructure/system levels. In addition, the purpose of evaluation, the subject of evaluation, the subject (level) and items, and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were presented for evaluation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advanc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 on local educational autonomous competency and to develop a plan to strengthen local autonomous competency.

      • KCI등재후보

        전남 초등 혁신 울림학교 교육과정 분석

        김우년(Woo Nyeon Ki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3

        학교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참여로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조성하고, 역량중심 교육을 위한 수업 혁신으로 창의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공교육 혁신의 모델 학교를 만들고자 전라남도 교육청에서는 2011년부터 혁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무지개학교’라는 이름으로 시작한 전라남도 혁신학교는 2019년부터 ‘전남혁신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혁신학교(교육지구)의 질적 도약을 통한 학교혁신 문화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전라남도에서 ‘전남혁신학교’라는 새로운 이름 아래 질적 성장을 꾀하고 있는 현재, 학교 운영 전반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혁신학교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남 도내 초등 혁신학교 중 운영성과가 뛰어나 울림학교로 지정된 5개교를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분석해 전남 혁신학교가 본래 취지대로 잘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혁신학교 정책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교육과정과 관련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육과정의 각 구성 요소를 추출하고, 선행연구 및 국가 교육과정과 전라남도 교육청 혁신학교 중점 추진 과제를 참고하여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준거에 따라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별로 각 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혁신학교 교육과정 문서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실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내용은 제시하지 못했다. 그러나 혁신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혁신학교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징 및 문제점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의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와 관련지어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된다면 앞으로의 혁신학교 발전에 더욱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creat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with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the school's education community, and to create a model school for public education innovation that enables creative education by innovating classes for capacity-based education, the South Jeolla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has been operating innovative schools since 2011. Starting with the name ‘Mujigae School’, Jeollanam-do Innovation School uses the name ‘innovation school’ from 2019 and is seeking to spread the school innovation culture by taking a leap in the quality of innovation schools. It is very important to look at how innovation schools operate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that provides insight into the overall operation of schools, as "innovation schools" in Jeollanam-do are seeking qualitative growth.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lected five elementary innovation schools designated as Woolim schools in Jeonnam Province and operated them for more than eight years to find out if Jeonnam Innovation School has been operating as intended for the past nine years and to give implications to future innovation school policies. For this study, each component of the curriculum was extracted by analyzing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the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ior study and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ask of promoting innovation schools in the South Jeolla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criteria, each school's curriculum was analyzed for each component of the curriculum. The study was conducted solely on educational curriculum documents of innovation schools and failed to provide information on actual curriculum operation. However,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developing future school curricula by identifying the various features and problems that innovative schools have in their curriculum. In relation to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the oper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curriculum could provide mor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School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NQF기반 대학 역량기반교육체계 설계 이슈 고찰

        김혜경,김윤영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3 지방교육경영 Vol.26 No.3

        본 연구는 국가역량체계(NQF;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를 시행하고 있는 국내외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대학의 역량기반교육체계에 연계할 수 있는 설계이슈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NQF의 교육체계설계 특성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국내 대학의 역량기반교육체계 설계에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NQF 교육체계설계는 5개 영역, 11개 특징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국내 대학의 역량기반교육과정 설계에 반영하기 위한 3가지 개선 이슈를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지역에서 요구하는 역량자격체계를 수립하고, 이와 연계하여 역량기반교육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자격 성취제’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이 학습목표를 성취하고 역량수준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이수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때, 학습목표 도달까지 필요한 학습시간을 학점으로 설계하고, 학교 밖 학습경험도 자격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이수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기업 간 산업인재 매칭을 위한 지역거버넌스’체계를 구축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즉, 대학은 지역과 기업간 다양한 파트너십을 형성할 수 있는 구심체로서, 지역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실질적인 거버넌스를 운영할 수 있는 중추적인 역할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역량기반교육체계 설계이슈를 반영하여 국내 대학의 역량기반교육체계를 지역 및 산업체와 연계한 역량자격체계(RQF)로 전환함으로써, 대학-기업간 인재 미스매칭을 해결할 수 있는 교육메커니즘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domestic and overseas cases implement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s Framework (NQF) and explored design issues that could be linked to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To this end, we suggested the educational system desig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overseas NQFs and suggest a way to link the results to the desig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s in domestic universit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that the NQF education system design was analyzed into 5 areas and 11 characteristics, and 3 improvement issues were presented to reflect this in the desig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domestic universities. Firs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ompetency qualification system required by the national-regional level and design a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in connection with it. Seco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urriculum completion system based on the 'competency qualification achievement system' so that learners can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and acquire competency level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ompletion system so that the learning time required to reach the learning goal is calculated as credits, and learning experiences outside of school can also be recognized as qualific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a system of 'regional governance' for matching industrial talents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university is a center that can form various partnerships between the region and companies, and it can nurture local talents. In short, by applying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design issue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n educational mechanism that can solve the mismatching of talents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by transforming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of domestic universities into a competency qualification system (RQF) linked to regions and industries.

      • KCI등재후보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최정희(Jeong Hee Choi),홍창남(Chang Nam H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교육실무원을 대상으로 어떤 직무를 경험하는지, 학교구성원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런 것들이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혁신학교에서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교육실무원의 직무 특성과 경험을 분석하였다. 제시된 연구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형 혁신학교인 다행복학교로 지정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 6개교를 선정하여 교육실무원 총 7명을 면담하였다. 첫째, 교육실무원의 직무는 고유 업무와 잡무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고유 업무는 명시성과 수동성의 특성을 나타낸다. 잡무는 일시성, 즉시성, 비전문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은 일반학교에 근무 할 때와는 달라진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교육청 차원의 교육은 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교육실무원은 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변화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에서의 직무 경험과 타 구성원과의 관계에서의 경험은 긍정적 변화, 부정적 변화 두 가지 모두를 가져왔다. 부정적 변화는 업무에서의 피로감과 조직에서의 소외감이다. 긍정적 변화는 학교 문화를 바꾸는 능동성, 전문가로서의 자존감, 업무에서의 자발성이다.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이 학교운영에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단위학교에서의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문화, 구성원 상호간 존중, 복무에서의 편안함 등 혁신학교가 교육실무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주요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권한 부여 둘째, 교육실무원 간의 정보를 교류하고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공식화 된 장마련을 제안하였다. Examined the job characteristic and experience of changing the education working employee, who is an important member of the innovation school. To invetigate the proposed reserch of problem six out of elementary schools designated as happiness schools. seven education working employee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First, Unique task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larity and passivity. Miscellaneous task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ity, immediacy, and nonspecificity. The education working employee of the innovation school was performing a different task from that of the general school. Education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office is not really helping them. Working employee were feeling a change in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ird, Third, experience in innovation school and experience with othe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as brought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to education working employees. Methods for the autonomou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education working employee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what an attractive element is for the innovation school to receive the choice of education working employe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innovation school education working employees and preparing a formalized chapter to improve professionalism.

      • KCI등재후보

        한국 교육리더십 연구동향의 재분석

        주현준(Hyun Jun 주현준)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리더십 연구동향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교육리더십 연구동향을 분석한 9편의 논문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통적으로 연구의 편향성과 연구활동에서 부정적 측면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교육리더십 유형의 다양화에 관해서는 서로 다른 해석이 있었고, 교육리더십 대상의 확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방적인 연구환경 조성, 부정적인 연구풍토 개선, 교육리더십 재개념화, 교육 리더십 연구대상 확대 및 주체와 대상의 조화를 발전 과제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교육리더십 연구가 ‘한국적인 것’과 ‘교육적인 것’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서 다시 시작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insight to the multiple ways that research on educational leadership reduce the diffusion and inconsistency of discourse and prompt a constructive discussion. This stud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the past stream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artial research perspectives, the ga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al field, 4) closed climate of educational research community.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a few agenda for the future reseach i.e.,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leadership, the networking of interactions beyond school boundaries, effective research environment, and constructive climate of research community. It it might be useful to develop and articulate the future research on educational leadership. The author conclude that educational research must address these primary questions if research is to help improve practice of education and Korean.

      • KCI등재후보

        초·중등교육법 연구 성과와 과제 -1995년~2016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권순형(Soon Hyoung Kwon)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9 지방교육경영 Vol.22 No.1

        이 연구는 초·중등교육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초·중등교육법 제정과 관련하여 의미가 있는 사건인 1995년 5.31 교육개혁 이후부터 2016년 8월까지 주요 교육법 학술지 117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교육법과 관련된 연구 주제로는 학교교육을 둘러싼 인적구성원의 법적지위, 권리·의무관계와 관련된 연구주제가 전체 117편의 연구 가운데 62편(53.0%)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관심이 있는 연구주제로 파악되었다. 둘째, 초·중등교육법 연구와 관련된 연구자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대학에 소속된 교원의 경우 전체 117편의 연구 가운데 81편(69.2%)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난 20년 동안 초·중등교육법 연구는 꾸준히 증가해 오고 있으며, 3년을 주기로 한 분석결과 당대 초·중등교육 분야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를 중심으로 교육법 연구주제가 선정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중등교육법 연구의 향후 과제로 초·중등교육법 연구의 필요성, 학교교육 내용 연구의 확대,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수행, 초·중등교육법 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achievement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and future task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117 major educational law journals were analyzed from the time of the educational reform of 5.31 in 1995 to August, 2016.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62 subjects (53.0%) of the 117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the legal status,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members around the school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topics relat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Korea. Second, the distribution of the researchers relat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research showed that the professor who belonged to the university had 80(68.3%) among the 117 researches. Third, the research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have been increasing steadily over the past 20 years. As a result of three - year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al law research is selected mainly on the social issues related to the current file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유·초·중등교육 권한 배분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양항룡(Hang-ryong Yang),김혜란(Hye-ran Kim),이승일(Seng-il Lee)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8 지방교육경영 Vol.21 No.3

        김대중 정부의 출범과 함께 시작된 지방교육분권은 교육부 중심의 유·초·중등 교육에 관한 권한을 시·도교육감에게 배분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지난 정부까지 권한 배분은 하향식 방식 등으로 실질적인 권한이 배분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교육부 중심의 유·초·중등 교육권한 배분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중앙정부가 아니라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유·초·중등교육 권한 배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를 중심으로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영역별 전문가로 구성된 TF를 운영하여 교육부의 사무를 전수 조사하고, 보충성의 원칙을 기본 방향으로 하여 교육과정, 진로, 인성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 배분 사무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현재 지방과 학교에서 추진되어야 할 390건의 사무가 교육부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중 337건을 시·도교육청 배분 사무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권한 배분 사무들이 교육부에서 시·도교육청으로 더 실효성 있고 안정적으로 배분되기 위해서는 「유·초·중등교육 권한 포괄적·일괄 배분 특별법」(가칭)이 제정되어야 하며, 권한 배분으로 인한 학교 업무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육부 사무가 단위학교로 배분되기 전에 시·도교육청 차원에서의 과감한 폐지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Since Kim Dae-jung government, the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authority has distributed the authority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the superintendents of the city/provincial education offices. However, the distribution has not been successful so far and the process is still considered top-down. The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and problems regarding the distribution and suggest measures for distributing the authority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the superintendents of the city/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ver all affai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 special task force team consisting of experts from 17 city/provincial education offices has been formed. With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he affai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re divided into 13 sectors; curriculum development, career education, and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etc. The findings show that 390 educational affairs which belong to the city/provincial education offices or individual schools were assign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mong them, 337 educational affairs were chosen as the candidates for affairs of the city/provincial education offices. For more substantial and successful distribution of education authority, [Special Act on Comprehensive Distribu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entative) should be legislated. In order to minimize the burden on individual schools from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unnecessary educational affai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drastically abolished before they are distributed to individual schools by the city/provincial education offices.

      • KCI등재후보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의 직무 특성과 경험

        최정희(Jeong Hee Choi),홍창남(Chang Nam H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18 지방교육경영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학교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교육실무원을 대상으로 어떤 직무를 경험하는지, 학교구성원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런 것들이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혁신학교에서 중요한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교육실무원의 직무 특성과 경험을 분석하였다. 부산형 혁신학교인 다행복학교로 지정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 6개교를 선정하여 교육실무원 총 7명을 면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무원의 직무는 고유 업무와 잡무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고유 업무는 명시성과 수동성의 특성을 나타낸다. 잡무는 일시성, 즉시성, 비전문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은 일반학교에 근무 할 때와는 달라진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교육청 차원의 교육은 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교육실무원은 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새로운 변화를 느끼고 있었다. 셋째, 혁신학교에서의 직무 경험과 타 구성원과의 관계에서의 경험은 긍정적 변화, 부정적 변화 두 가지 모두를 가져왔다. 부정적 변화는 업무에서의 피로감과 조직에서의 소외감이다. 긍정적 변화는 학교 문화를 바꾸는 능동성, 전문가로서의 자존감, 업무에서의 자발성이다. 혁신학교 교육실무원이 학교 운영에 자율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단위학교에서의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문화, 구성원 상호간 존중, 복무에서의 편안함 등 혁신학교가 교육실무원들의 선택을 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주요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 부여 둘째, 교육실무원 간의 정보를 교류하고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공식화 된 장 마련을 제안하였다. Examined the job characteristic and experience of changing the education working employee, who is an important member of the innovation school. To invetigate the proposed reserch of problem six out of elementary schools designated as happiness schools. seven education working employee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First, Unique tasks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clarity and passivity. Miscellaneous task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ity, immediacy, and nonspecificity. The education working employee of the innovation school was performing a different task from that of the general school. Education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office is not really helping them. Working employee were feeling a change in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Third, Third, experience in innovation school and experience with othe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as brought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to education working employees. Methods for the autonomou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education working employee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what an attractive element is for the innovation school to receive the choice of education working employee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innovation school education working employees and preparing a formalized chapter to improve profess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