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rogesterone과 TGF-${\beta}1$에 의해 탈락막화가 유도된 인간 자궁내막세포의 삼차원 공배양이 2-세포기 생쥐배아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권욱현,김휘곤,이동형,고경래,이규섭,Kwon, Wook-Hyun,Kim, Hwi-Gon,Lee, Dong-Hyung,Ko, Kyung-Rae,Lee, Kyu-Sup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1

        목 적: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삼차원 공배양을 통한 탈락막화 유도에서 성호르몬과 TGF-${\beta}1$의 역할을 알아보고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가 유도된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와 영양막세포수 및 부착율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인간 자궁내막조직에서 분리된 기질세포와 상피세포의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vimentin에 대한 면역조직 화학염색을 실시하여 분리를 확인하였으며, 성호르몬 우세환경 (progesterone, estrogen)에서 분리된 세포를 단일배양 혹은 3차원 공배양을 통하여 RT-PCR법으로 TGF-${\beta}1$, 수용체-1, -2, integrin-${\beta}3$, prolactin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배양액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2-세포기 생쥐배아와 탈락막화 유도와 유도하지 않은 인간 자궁내막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하여 포배형성율, 부화율, 부착율과 부화된 포배의 영양막세포와 내세포괴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상피세포 표지인자인 cytokeratin과 기질세포 표지인자인 vimentin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한 결과 각각 95% 이상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자궁내막조직으로부터 상피세포와 기질세포가 성공적으로 분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단일배양에서는 성호르몬의 조건에 관계없이 TGF-${\beta}1$과 수용체 type-1, type-2, integrin-${\beta}3$, prolactin mRNA가 발현되지 않았다. 공배양에서는 progesterone 우세환경일 경우 TGF-${\beta}1$ 수용체 type-2를 제외한 모든 mRNA가 발현하였으나 estrogen 우세환경에서는 TGF-${\beta}1$ 수용체 type-2와 prolactin이 발현되지 않았다. 2-세포기 생쥐배아를 배양액군, 비탈락막군 및 탈락막군으로 나누어 공배양하였을 때 포배기 발달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부화율 (92%)과 부착율 (82%)은 탈락막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비탈락막군의 공배양에서 다수의 영양막세포가 투명대를 완전히 빠져나오지 않은 상태로 부착한 비정상형태를 보였다. 부화된 생쥐 포배기배아의 내세포괴수는 탈락막화에 관계없이 공배양한 포배의 내세포괴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5), 영양막세포수는 탈락막군에서 배양액군과 비탈락막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조직에서 상피세포와 기질세포를 분리하여 다시 삼차원적 공배양을 통하여 progesterone (100 nM), estrogen (1 nM)과 TGF-${\beta}1$ (10 ng/ml)을 첨가하면 체외에서 탈락막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탈락막화를 유도한 자궁내막 세포와 2-세포기 생쥐배아를 공배양하였을 때 탈락막화가 부화율, 부착율 및 영양막세포수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3-dimensional co-culture of human endometrial cells decidualized with progesterone and TGF-${\beta}1$ on the development of 2-cell mouse embryos. Methods: Stromal and epithelial cells isolated from human endometrial tissue were immunostained for cytokeratin and vimentin. Expression of TGF-${\beta}1$, its receptor-1, -2, integrin-${\beta}3$ and prolactin in mono or co-culture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hormone conditions was investigated by RT-PCR. Differential stain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umber of ICM and trophectoderm of hatched mouse blastocysts in different three conditions. Results: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ositive for cytokeratin or vimentin and confirmed that epithelial and stromal cells were isolated from endometrial tissue successfully. In co-culture, TGF-${\beta}1$, its receptor-1, integrin-${\beta}3$ and prolactin except TGF-${\beta}1$-r2 were expressed in progesterone dominant condition. The hatching and attaching rate were higher in the co-culture with decidualized cells (p<0.05). However, we observed that lots of the incomplete hatched blactocysts attached on non-decidualized cells. The ICM number of hatched mouse blastocysts was higher in co-culture with decidualized and non decidualized cells than media only culture (p<0.05). The trophectoderm number of hatched blastocyst was higher in the co-culture with decidualized cells than non-decidualized cells or media only culture (p<0.05). Conclusion: The administration of progesterone, estrogen and TGF-$\beta$ could induce decidualization of stromal and epithelial cells isolated from human endometrial tissue using 3-dimensional co-culture, and the decidualization of human endometrial cells could increase the hatching and attaching rate of 2-cell mouse embryos.

      • KCI등재

        인간 영양세포막과 탈락막에서의 표피성장인자, 변형성장인자-α와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

        권동진(Dong Jin Kwon),류순원(Sun Won Yoo),김미란(Mee Ran Kim),정기욱(Gi Wook Chung),김진홍(Jin Hong Kim),김수평(Soo Py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저자는 각 5예의 임신 초기와 말기 태반의 파라핀포배 조직을 이용하여 영양막세포막과 탈락막에서 EGF, TGF-a와 EGFR 발현의 변화를 면역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EGF의 발현은 임신 초기와 말기 조직에서 영양막세포막과 탈락막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영양막세포막중 세포영양막은 임신 초기에서 말기로 갈수록 경증도에서 중간 정도로 발현이 강해졌으며 합포영양막은 임신 초기에서 말기로 갈수록 경증도에서 중간 정도의 유사한 발현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탈락막은 임신 초기에서 말기로 갈수록 중간 정도에서 경증도로 발현의 정도가 약해졌다. TGF-a의 발현은 임신 초기와 말기 조직에서 영양막세포막과 탈락막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영양막세포막의 경우 임신 초기에서 말기로 갈수록 중간 정도에서 발현의 정도가 강해졌으며, 탈락막의 경우도 임신 초기에서 말기로 갈수록 경증도에서 가장 강한 정도로 발현의 정도가 강해졌다. EGFR의 발현은 임신 초기와 말기 조직에서 영양막세포막과 탈락막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영양막세포막의 경우 임신 초기에서 말기로 갈수록 중간 정도에서 경증도로 발현의 정도가 약해 진 반면, 탈락막의 경우 임신 초기에서 말기까지 중간 정도로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임신주기에 따른 영양세포막과 탈락막에서의 EGF, TGF-a와 EGFR는 영양세포막과 탈락막의 분화와 발달뿐 아니라 배아 발달에 자가분비 또는 측분비 형태로 중요한 작용을 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h factor(EGF)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a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EGFR) in human trophoblast and decidua at the first and third trimester. Methods: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EGF, TGF-a and EGFR immunohisochemically in human trophoblast and decidua, we used monoclonal antibodies to EGF, TGF-a and EGFR. Result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using anti-EGF, anti-TGF- a and anti-EGFR antibodies showed a specific stainings in human trophoblast and decidua at the first and third trimester. The staining intensity of EGF in the trophoblast was light to moderate at the first trimester and moderate at the third trimester, and that in the decidua was light to moderate at the first trimester and light at the third trimester. The patterns of expression of TGF- a in the trophoblast and decidua were similar to that seen with EGF in the trophoblast and that of EGFR in trophoblast and decidua were similar to that seen with EGF in decidua.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GF, TGF-a and EGFR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human trophoblast and decidua during gestation.

      • KCI등재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의 탈락막자연살해세포의 발현

        연명진,양광문,박찬우,송인옥,강인수,홍성란,조동희,조용균,Yeon, Myeong-Jin,Yang, Kwang-Moon,Park, Chan-Woo,Song, In-Ok,Kang, Inn-Soo,Hong, Sung-Ran,Cho, Dong-Hee,Cho, Yong-Kyoon 대한생식의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5 No.2

        목 적: 말초혈액 $CD56^+$ 자연살해세포 (natural killer cell)이 증가되어 있는 반복유산 환자들의 탈락막 $CD56^+/CD16^+$ 자연살해세포의 분포를 확인하고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의 발현양상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반복유산 환자 중 계류유산이 되어 자궁경부확장배출술과 배아 염색체검사를 시행하였던 환자 가운데 배아 염색체검사가 정상이고 말초혈액에서 자연살해세포 중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환자들 29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배아 염색체검사가 비정상인 32명을 선택하였다. 이 환자들의 검체에서 착상부위를 포함한 자궁 탈락막세포를 확인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CD56^+$와 $CD16^+$ 자연살해세포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은 score와 백분율을 구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연구군과 대조군의 탈락막조직 $CD56^+$ 자연살해세포 score ($43.6{\pm}24.5$ vs. $23.9{\pm}16.3$ P =0.001)와 $CD56^+$ NK cell percentage ($42.1{\pm}11.7$ vs. $33.9{\pm}15.8$ P =0.027)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탈락막조직 $CD16^+$ NK cell score ($18.7{\pm}9.5$ vs. $13.2{\pm}39.4$ P =0.108)와 $CD16^+$ 자연살해세포 percentage ($24.7{\pm}5.9$ vs. $23.4{\pm}11.7$ P =0.599)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는 환자군에서 탈락막자연살해세포의 score와 말초혈액자연살해 세포의 백분율간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 (peripheral $CD56^+$ NK cell percentage vs. decidual $CD56^+$ NK cell score, r=-0.016, P =0.932, peripheral $CD16^+$ NK cell percentage vs. decidual $CD16^+$ NK cell score, r=0.008, P =0.968).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말초혈액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는 반복유산 환자의 계류유산된 조직에서 탈락막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탈락막자연살해세포와 말초혈액자연살해세포의 증가 양상에서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없었다. 이는 탈락막자연살해세포가 반복유산의 면역학적인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준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decidual $CD56^+$ and $CD16^+$ NK cell subtype population an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decidual NK cell expression and peripheral $CD56^+$ NK cell expression in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and increased peripheral NK cells. Methods: Twenty-nine women with recurrent abortion and elevated peripheral $CD56^+$ NK cell percentage who had chromosomally normal conceptu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irty-two women with recurrent abortion who had chromosomally abnormal conceptus were used as controls. Distribution of $CD56^+$ and $CD16^+$ NK cells in decidual tissues including implantation sites was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degree of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interpreted by score and percentag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ual $CD56^+$ NK cell score ($43.6{\pm}24.5$ vs. $23.9{\pm}16.3$ P =0.001) and $CD56^+$ NK cell percentage ($42.1{\pm}11.7$ vs. $33.9{\pm}15.8$ P =0.027) between increased peripheral NK cell group and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ual $CD16^+$ NK cell score ($18.7{\pm}9.5$ vs. $13.2{\pm}39.4$ P =0.108) and $CD16^+$ NK cell percentage ($24.7{\pm}5.9$ vs. $23.4{\pm}11.7$ P =0.599).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cidual NK cell score and peripheral NK cell percentage in increase peripheral NK cell group (peripheral $CD56^+$ NK cell percentage vs. decidual $CD56^+$ NK cell score, r=-0.016, P =0.932, peripheral $CD16^+$ NK cell percentage vs. decidual $CD16^+$ NK cell score, r=0.008, P =0.968).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D56^+$ decidual NK cells are increased in decidua of women exhibiting a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with increased $CD56^+$ peripheral NK cell.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cidual and peripheral NK cell increment in increase peripheral NK cell group.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decidual NK cell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immune mechanism of recurrent abortion.

      • KCI등재

        인간 자궁내막의 탈락막화에서 HOXA10 유전자의 역할

        이창세,박동욱,박찬우,김태진,Lee, Chang-Se,Park, Dong-Wook,Park, Chan-Woo,Kim, Tae-Jin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3

        목 적: Small interfering RNA (siRNA)를 이용하여 homeobox (HOXA) 10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된 일차배양 자궁내막 세포를 이용하여 자궁내막 탈락막화 (decidualization)에 HOXA유전자를 포함한 세포 내 신호전달기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내막 질환 이외의 이유로 전자궁 적출술을 받은 환자의 자궁내막 조직을 채취한다. $37^{\circ}C$에서 20분간 Trypsin-EDTA를 처리하여 단일세포로 분리한 후 10% fetal bovine serum이 첨가된 DMEM/F12 배지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37^{\circ}C$ 5% $CO_2$ 배양기 안에서 배양한다. 배양된 자궁내막 세포를 HOXA10 siRNA로 첨가한 후 TGF-${\beta}1$을 10 ng/mL 농도로 48시간 첨가하여 탈락막화를 유도한다. 배양된 자궁내막 세포에서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HOXA10, prolactin, cyclooxygenase (COX)-2,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및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Wnt)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 과: HOXA10의 경우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ata}1$과 HOXA10 siRN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TGF-${\beta}1$을 처리한 군에서 약 1.8배 가량 발현양의 증가를 보였다. 자궁내막 탈락막 표지인자로 알려져 있는 prolactin의 경우 TGF-${\beta}1$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발현의 증가를 보였으며 HOXA10 siRNA를 처리한 군에 있어서는 TGF-${\beta}1$을 첨가하더라도 prolactin mRNA의 발현양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한 자궁내막 세포의 분화인자로 알려져 있는 COX-2의 발현 역시 HOXA10 siRNA를 처리한 군에 있어서 mRNA 발현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GF-${\beta}1$을 처리하여도 발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Wnt4의 경우 HOXA10 siRNA를 이용하여 HOXA10의 발현을 억제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mRNA의 발현양이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발현양의 감소는 TGF-${\beta}1$을 처리하여도 증가됨을 관찰할 수 없었다. PPAR$\gamma$의 발현은 HOXA10 siRNA의 처리와 관계없이 TGF-${\beta}1$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Progesterone에 의하여 자궁내막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TGF-${\beta}1$에 의한 자궁내막 기질세포의 분화 (탈락막화)는 HOXA10 및 Wnt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ole of HomeoboxA (HOXA) and its related signaling molecules in the decidualization of primary cultured endometrial cells. Methods: Human endometrial tissues were obtained by curettage of hysterectomy specimens from patients with conditions other than endometrial diseases. Tissues were minced and digested with Trypsin-EDTA for 20 min, $37^{\circ}C$. Cells were cultured with DMEM/F12 medium in $37^{\circ}C$, 5% $CO_2$ incubator for 24 hrs. Cells were treated with HOXA10 siRNA and adde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1$ (10 ng/mL) for 48 hrs to induces decidualization in vitro.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observe the expression of HOXA10, prolactin, cyclooxygenase (COX)-2,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and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Wnt). Results: HOXA10 expression was increased (1.8 fold vs. non-treated control) in TGF-${\beta}1$ treated cells. Decidualization marker, prolact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GF-${\beta}1$ treated cells compared with HOXA10 siRNA treated cells. Endometrial cell differentiation marker, COX-2 was down-regulated by HOXA10 siRNA even if cells were treated with TGF-${\beta}1$. Wnt4 was down-regulated by treated with HOXA10 siRNA, this expression patters was not changed by TGF-${\beta}1$. Expression of PPAR-$\gamma$ was down regulated by TGF-${\beta}1$ in regardless of HOXA10 siRNA treatment. Conclusion: TGF-${\beta}1$ which is induced by progesterone in endometrial epithelial cells may induces stromal cell decidualization via HOXA10 and Wnt signaling cascade.

      • KCI등재

        양막 및 탈락막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분리 및 특성 규명

        윤영선 ( Young Sun Yoon ),정현철 ( Hyun Chul Jeong ),황종하 ( Jong Ha Hwang ),지현준 ( Hyun Jun Jee ),석예선 ( Oye Sun Seok ),조정윤 ( Jung Youn Jo ),김윤정 ( Yun Joung Kim ),이재관 ( Jae Kwa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목적: 사람의 양막과 탈락막으로부터 각각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줄기세포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경질식분만을 하거나 혹은 제왕절개술을 시행받은 산모로부터 사람태반 (임신 주수, 30~42주)을 얻었다. 기계적인 방법으로 양막과 탈락막에서 세포를 분리한 후 각각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액을 제거하고 세척, 분리, 침전과정을 거친 세포를 직접 또는 간접 측정법을 이용하여 면역표현형을 조사하고, 지방세포, 골모세포, 근육모세포 및 신경모세포로의 분화능을 시험하고, 세포증식 능력을 평가하였다. 결과: 123개의 사람태반 중 각각 123개의 양막과 탈락막에서 단핵의 방추상의 균일한 세포양상을 보이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의 면역표현형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CD29, CD34, CD44, CD73, CD90 항원을 발현하고 CD31, CD45, HLA-DR 항원은 발현되지 않았다. 양막에서 유래한 세포에서만 CD105항원이 발현하였다. 세포증식 능력은 비슷하였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성장배양액과 분화배양액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골모세포, 근육모세포, 신경모세포로 분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사람의 양막과 탈락막은 중간엽 줄기세포를 추출 분리가 용이하고, 분리한 세포의 증식력이 높으며, 특정 조직으로 분화를 유도할 수 있어 향후 태반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주요한 원천이 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solate a population of multipotent cells from human amnion and decidua, respectively. Methods: Human placentas (gestational age, 30~42 weeks) were obtained after vaginal or cesarean deliveries. Amnions and deciduas were divided mechanically. The collected cells from the amnion and decidua were cultured. Cultured cells were immunophenotypically characterized. The adipogenic, osteogenic and neurogenic differentiation capacities were tested, and their growth kinetics were analyzed. Results: We successfully isolated MSCs from both the amnion and decidua. The phenotype of MSCs cultured from different fetal and maternal parts of the placenta was comparable. The growth kinetics of MSCs derived from amnions and deciduas were similar. Isolated MSCs were differentiated into various cell lines such as adipogenic, osteogenic, myogenic and neurogenic cells. Conclusions: The human amnion and decidua could be an excellent source of MSC because they are easily obtainable after delivery and showed a higher expansion capacity than that of MSCs from adult bone marrow.

      • KCI등재

        자궁내막 탈락막화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가 미치는 영향

        권종희 ( Jong Hee Kwon ),이재훈 ( Jae Hoon Lee ),장혜진 ( Hye Jin Chang ),박동욱 ( Dong Wook Park ),김영아 ( Young Ah Kim ),김미란 ( Mi Ran Kim ),황경주 ( Kyung Joo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정상 생리 주기에서 자궁내막에서의 TGF-β수용체의 발현과 배양된 인간의 자궁내막을 이용하여 자궁내막의 탈락막화 과정에서 TGF-β와 PPAR-gamma의 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인간의 자궁내막조직에서 TGF-β와 Smad 발현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자궁내막의 기질세포를 배양하여 TGF-β(10ng/mL)와 PPAR-gamma agonist (Rosiglitazone(R) 50 nM)를 처리하여 Western blotting과 동초점 현미경, 생활성 세포의 수를 관찰하여 자궁내막의 탈락막화 과정에서 Smad, prolactin, 세포증식에 미치는 이들의 작용을 비교하였다. 결과: 인간자궁내막조직에서 분비기에 TGF-β수용체 I, II형의 발현은 상피세포보다 기질세포에서 두 수용체가 모두 높게 발현되었다. 인산화된 Smad2/3의 발현과 세포핵 내로의 이동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더 높게 발현되었다. 기질세포 배양시 TGF-β의 pSmad를 통한 탈락막화 현상은 PPAR-gamma agonist에 의해 상쇄되었으며 PPAR-gamma agonist와 달리 TGF-β는 세포 수의 증식을 억제시켜 세포분화 즉, 탈락막 현상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TGF-β는 Smad의 과정을 통해 자궁내막 기질세포의 탈락막화에 관여하고 PPAR-gamma는 TGF-β/Smad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TGF-β의 작용을 억제한다. Objective: To ascertain the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 receptors in normal human endometrium during the menstrual cycle, and the action of TGF-β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during endometrial decidualization using cultured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Methods: Human endometrial tissues wer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for the expression of TGF-β receptors and Smad. Western blotting, confocal microscopy and viable cell counting were performed on cultured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which were treated with TGF-β(10ng/mL) and PPAR-gamma agonists (Rosiglitazone(R) 50 nM). Thereafter we compared the effect of TGF-β and PPAR-gamma on the Smad phosphorylation, prolactin express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in vitro human endometrial decidualization.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both TGF-β receptor-I and -II proteins in the secretory stromal cells compared to the epithelial cells of human endometrium. The degree of expression and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of the phosphorylated Smad2/3 was also increased in the secretory endometrium compared to the proliferative endometrium. In the stromal cell culture, the decidualization process associated with TGF-β and pSmad is inhibited by the PPAR-gamma agonist. In contrast to the PPAR-gamma agonist, TGF-β inhibits cellular proliferation. Conclusion: TGF-β /Smad signaling pathway is essential for endometrial decidualization and closely related to cellular differentiation. PPAR-gamma plays a conflicting role by directly acting on the Smad protein and blocking the TGF-β /Smad signaling pathway.

      • KCI등재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의 탈락막 자연살해세포의 발현

        이현주,김선행,양광문,박동욱,박찬우,홍성란,조동희,송인옥,궁미경,강인수,Lee, Hyun-Joo,Kim, Sun-Haeng,Yang, Kwang-Moon,Park, Dong-Wook,Park, Chan-Woo,Hong, Sung-Ran,Cho, Dong-Hee,Song, In-Ok,Koong, Mi-Kyoung,Kang, Inn-Soo 대한생식의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6 No.3

        목 적: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군과 증가되지 않은 반복유산 환자군에서 다음 번 유산 시탈락막의 자연살해세포의 발현양상을 관찰하여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15% 이상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군 14명을 실험군으로, 15% 이하인 군 12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환자들에게서 다음 번 유산 시 착상부위를 포함한 자궁 탈락막 세포를 확인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해 $CD56^+$와 $CD16^+$ 자연살해세포의 수를 세어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결 과: 실험군과 대조군은 탈락막 내 $CD56^+$ 자연살해세포의 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170.1{\pm}132.1$ vs. $68.3{\pm}66.1$, p=0.02)를 보였으나 둘 간의 상관관계 (r=0.229, p=0.261)는 없었다. 또한 두 군간에 $CD16^+$ 자연살해세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25.70{\pm}11.72$ vs. $31.17{\pm}22.67$)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는 말초혈액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된 반복유산 환자군에서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탈락막의 $CD56^+$ 자연살해세포가 증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탈락막 자연살해세포가 반복유산의 면역학적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연구 결과이며 또한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의 측정이 반복유산 환자에서 다음 번 유산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임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cidual NK cell populations between increased pre-conceptional peripheral NK cell population and normal pre-conceptional peripheral NK cell population in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Methods: Fourteen women with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and elevated pre-conceptional peripheral NK cell, above 15% of peripheral lymphocyte popul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a control, twelve women with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and their peripheral NK cell percentage showed below 15% were included. Distribution of $CD56^+$ and $CD16^+$ NK cells in paraffin embedded decidual tissues including implantation sites were exa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nti-CD56, 16 monoclonal antibodies. After immuohistochemical staining, the numbers of decidual NK cells were counted and compared these results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dual $CD56^+$ NK cell count ($170.1{\pm}132.1$ vs. $68.3{\pm}66.1$, p=0.02) between increased peripheral $CD56^+$ NK cell group and control group. But, ther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ecidual $CD56^+$ NK cell count and peripheral $CD56^+$ NK cell percentage (r=0.229, p=0.261). Also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decidual $CD16^+$ NK cell count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 ($25.70{\pm}11.72$ vs. $31.17{\pm}22.67$), and no correlation between decidual $CD16^+$ NK cell and peripheral $CD16^+$ NK cell percentage (r=-1.40, p=0.535).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decidual $CD56^+$ NK cell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ecidua of women exhibiting a history of recurrent abortion with increased $CD56^+$ peripheral NK cel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centage of peripheral NK cell reflect the expression of decidual NK cell. Consequently, pre-conceptional peripheral blood NK cell population can be the useful marker for detecting the risk of subsequent miscarriage.

      • SCOPUSKCI등재

        TGF-β1에 의하여 유도된 인간자궁내막의 탈락막화(Decidualization)에 있어서 ERK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와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의 역할

        장혜진,이재훈,김미란,황경주,박동욱,민철기,Chang, Hye Jin,Lee, Jae Hoon,Kim, Mi Ran,Hwang, Kyung Joo,Park, Dong Wook,Min, Churl K.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2

        목 적: 본 연구를 통해 $TGF-{\beta}1$에 의해 유도된 인간자궁내막의 탈락막화 과정에서 ERK와 $PPAR{\gamma}$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 기질세포는 DMEM/F12 (10% FBS, 1 nM E2 and 100 nM P4)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TGF-{\beta}1$ (5 ng/ml), Rosiglitazone (50 nM)와 PD98059 ($20{\mu}M$)를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Trypan-Blue와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현미경하에서 세포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와 western blotting 방법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및 결론: 배양액에 $TGF-{\beta}1$을 첨가하여 세포의 증식 정도를 측정한 결과 $TGF-{\beta}1$이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양된 세포로부터 PGE2 및 prolactin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TGF-{\beta}1$의 작용은 Smad 및 ERK의 활성화를 통하여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PPAR{\gamma}$의 기질인 rosiglitazone을 배양액에 첨가한 결과 $TGF-{\beta}1$에 의한 세포 증식의 억제가 역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세포 내 ERK의 활성 역시 억제 시켰으며 이 결과 PGE2와 prolactin의 발현이 억제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TGF-{\beta}1$에 의한 자궁내막 기질세포의 탈락막화는 Smad와 ERK의 활성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은 $PPAR{\gamma}$에 의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ole of ERK and $PPAR{\gamma}$ on the $TGF-{\beta}1$ induced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 decidualization in vitro. Method: Endometrial stromal cells are cult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 DMEM/F12 (10% FBS, 1 nM E2 and 100 nM P4). $TGF-{\beta}1$ (5 ng/ml), Rosiglitazone (50 nM), and PD98059 ($20{\mu}M$) were added according to experimental purposes. Trypan-Blue and hematocytometer were utilized to count cell number.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western blotting were utilized to detect proteins. Result: $TGF-{\beta}1$ inhibited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and induced expression of PGE2 and prolactin. This effect was mediated by Smad and ERK activation. Administration of rosiglitazone, $PPAR{\gamma}$ agonist, prevented $TGF-{\beta}1$ effect on cell proliferation. Furthermore, Rosiglitazone inhibited $TGF-{\beta}1$ induced activation of ERK, consequently reduced PGE2 and prolactin production. Conclusion: $TGF-{\beta}1$ induced decidualization of endometrial stromal cell through Smad and ERK phosphorylation. $PPAR{\gamma}$ acts as a negative regulator of human ndometrial cell decidualization in vitro.

      • KCI등재

        초기 임신 탈락막에서의 TGF - β1 , β2 의 발현 ; 기저탈락막과 주변탈락막에서의 비교

        황정혜(Jung Hye Hwang),고승희(Seung Hee Koh),한동익(Dong Ik Han),정성로(Sung Ro Chung),박문일(Moon Il Park),황윤영(Youn Young Hwang),장세진(Se Jin Ja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6

        N/A Objective: Implantation is a complex process between developing embryo and maternal endometrium, especially decidua. Decidua is a specialized endometrium during pregnancy and decidua basalis is the real implantation site infiltrated directly by trophoblast cells. The decidua parietalis lines the uterine cavity away from the implantation site, not real implantation site. TGF- β1 and TGF-β2 have known as multipotential cytokines and expression of TGF- p and TGF-/3. increased in decidua during pregnancy than secretory phase of endometrium. However, there is little known about their expression in decidua parietalis, compared with decidua basal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xpression of TGF-β1 and TGF-β2 in the decidua basalis and decidua parietalis during early pregnancy. Methods: The early pregnant 26 samples were obtained at hysterectomy, which underwent surgery for cervical carcinoma, ovarian cancer, etc.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TGF- β1 and TGF-β2 was performed and staining intensity was semiquantified by using HSCORE. Results: TGF-β1 was slight]y expressed in the decidua basalis and decidua parietali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m. But the expressions of TGF-β2 of stroma and glandular cells were higher in the decidua basalis than parietalis (p < 0.005). And the expressions of TGF-β2 were stronger than that of TGF-β1 in the both decidua of ear]y pregnancy (p < 0.005). Conclusion: In decidua basalis, especially stromal cells, the expression of TGF-β2 was increased than in the decidua parietalis. This suggests that TGF-β2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idua basalis that is directly invasion site by embryo and can be regulated by embryonic derived local factor. TGF- 2, compared with TGF- β1, was increased in both implantation site and suggest it may regulate implantation process during early pregnancy.

      • KCI등재

        인간 자궁내막 기질세포의 탈락막화 과정에서 백혈병억제인자의 역할

        주명희 ( Myung Hee Joo ),배은경 ( Eun Kyung Bae ),황정혜 ( Jung Hye Hwang ),이정한 ( Jung Han Lee ),김승룡 ( Seung Ryong Kim ),황윤영 ( Youn Young Hw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8

        자궁 내막 기질 세포의 탈락막화 (decidualization)은 배아의 성공적인 착상과 임신의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 사이토카인에 의해서 조절이 된다. 자궁내막 기질세포의 탈락막화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화 즉 기다란 모양에서 둥글고 다면체 모양으로 변하는 것과 여러 종류의 단백질 즉 프로락틴, 인슐린 성장인자 결합단백-1 등을 분비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Objective: Decidualization of endometrial stromal cells is essential for a successful implantation of the embryo. The process of decidualization can be modulated by sex steroids,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is a pleiotr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