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omoTherapy: 치료 소요시간 및 영향 요인 분석

        손종기,강현성,황철환,서세정,최민호,Son, Jong Gi,Kang, Hyun Sung,Hwang, Chul Hwan,Se, Seung Jeong,Choi, Min H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2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TomoTherapy 치료시에 평균 실제 치료시간을 측정하고, 치료과정에서 실제 치료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절차들의 소요시간을 조사하고자 한다. 환자 및 방법: TomoTherapy치료를 받은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과정에서 절차에 의한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Beam-on time, Image registration time, 그리고 Set-up with scan time, Actual treatment time을 측정하고 단계적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 치료부위 당 평균 실제 치료시간은 21.44 - 23.92분 이었다. Beam-on time, Image registration time, 그리고 Set-up with Scan time들이 실제치료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가장 큰 영향요인은 Beam-on time이었고, 그 다음으로 Set-up with Scan time이었다. 그리고 Image registration time은 영향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TomoTherapy 치료환자 1명당 실제 치료시간은 평균 $22.68{\pm}3.37$분이었다. 정규시간 8시간 이내에 약 21명의 환자가 치료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치료가 중단되거나 치료과정에서 절차의 진행시간이 달라지면, 일일 치료환자들의 스케줄에 영향을 미치며, 업무 부하량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average actual treatment time at the time of Tomotherapy treatment. We want to investigate the time required for the procedure in the treatment process that affects the actual treatment time. Patients and Methods: We measured the time required by the procedure in 31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omography therapy. Beam-on time, Image registration time, Set-up with scan time and Actual treatment time were measured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 The average treatment time per a patient was 21.44 - 23.92 minutes. Beam-on time, Image registration time, and Set-up with Scan time were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actual treatment time. The biggest influence was Beam-on time and Registration time was less affected by analysing. Conclusion: The average treatment time per a patient in tomotherapy treatment was $22.68{\pm}3.37$ minutes. The Approximately 21 patients are expected to be treated within 8 hours of regular work time. However, if the treatment is interrupted or the time of the procedure is changed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it affects the schedule of the daily treatment patients and the workload is expected to increase.

      • 외래환자를 위한 시간제한 집단정신치료

        이후경,차정화,윤성철,김정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최근 외래집단정신치료는 전통적인 장기치료에서 단기치료나 시간제한치료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다. 단기는 보통 10∼40회 걸쳐 실시되는 것에 비해 시간제한(time-limited)은 시작부터 종결시기 및 횟수를 미리 정해놓고 실시한다. 이는 치료자와 환자간에 가능성 있는 구체적인 치료목표를 설정하고 적극적인 공동작업을 통하여 정해진 기간에 효과적인 치료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점차 부상되는 있는 양식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정신과의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시간제한 집단정신치료를 시행하여 치료효과와 치료요인을 조사한다. ② 집단정신치료 시행과정에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본다. ③ 본 집단정신치료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여, 현재 한국 의료상황에 맞는 저비용, 고효율적인 모델로서 정착시켜 외래치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다. 방 법 : 본 연구는 2000년 4월부터 동년 7월까지 매주 1회, 한번에 70∼80분씩, 총 12회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군은 정신과의원 외래환자중 기능수준이 높은 정신병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비슷한 나이, 성별, 진단군, 유병기간을 일대일 짝을 지어 선정하였다. 각각8명이 참여하였다. 평가도구는 BDI, STAI,MMPI, 이화방어기제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고, 매회 마다 13가지 치료요인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총평가 설문지를 마지막에 실시하였다. 결 과 : BDI는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STAI-S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고, STAI-T는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MMPI는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사전-사후 변화량에 대한 집단간 검사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두 군에 동일하게 노출된 약물치료와 지지치료의 영향으로 추측된다. 이화방어기제는 실험군에서만 미성숙 방어기제와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치료요인은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전 회기에 걸쳐 실존적 인자가 1위를 차지하였고, 카타르시스, 치료자동일시, 보편성, 집단응집력이 내내 상위를 차지하였다. 초기, 중기에 중하위를 차지하였던 대인관계학습은 말기에 2위를 기록하였다. 총평가 설문에서 참여자의 100%에서 도움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고, 75%에서 생활의 변화를 보고하였으며, 75%에서 재참여 의사를 밝혔다. 결 론 : 외래환자들에게 단순히 약물치료와 지지치료만을 시행하는 것에 덧붙여 시간제한 집단정신치료를 시행할 때 증상호전뿐만 아니라 성격변화의 효과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자들의 집단정신치료에 대한 만족도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정신치료는 정신치료에 뿌리를 두면서 이에 필적하는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공인된 치료양식이다. 의약분업 및 의료비 감축 등의 급변하는 현 의료환경에서 집단정신치료와 시간제한치료가 정신치료와 장기치료만큼 효과 있으면서 저비용, 고효율적인 양식으로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Recently, the outpatient group psychotherapy has been changed from traditional long-term therapy to short-term or time-limited therapy. The termination time and session numbers are given from start line in the time-limited therapy while 10 to 40 sessions are needed in the short-term therapy. And therapist and patients come to an agreement of the accomplishable therapeutic goal and work together actively. The time-limited group psychotherapy is being accepted newly as an efficient therapeutic modality because effective therapeutic outcomes within given time have been repor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we examine the therapeutic outcomes and the therapeutic factors after performing the time-limited group psychotherapy for outpatients in the psychiatric clinic ; secondly,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showed in the process of study ; lastly, we verify the feasibility and the validity of this group psychotherapy and then establish the basis of the effective outpatient therapy that would be settled down as an applicable treatment modality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in the current medical environment of Korea.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weekly in total 12 sessions from July 1999, April 2000 to and each session took 70-80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mposed of the highly-functioning psychotic patients among outpatients in the psychiatric clinic. The control group were composed of the similar patients through one-to-one matching of age, sex, diagnosis, and duration of illness. The participants were 8 patients each.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STAI(Spielberg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and EDMT(Ewha Defence Mechanism Test)as the evaluation scale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13-therapeutic factors scale was performed just after each session and the self-report total assessment questionnaire was performed only in experimental group at the end of this study. Results : The mean score of BDI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mean score of STAI-S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 and the mean score of STAI-T was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The mean score of MMPI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 but the comparison of difference scores(post-treatment score-pre-treatment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result may come from psychopharmacotherapy and individual supportive psychotherapy given equally to both group. The mean scores of immature defence and neurotic defence in EDM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mparing the therapeutic factors to divide into the first, middle, and the last stage, existential factor was ranked first, and catharsis,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 universality, and group cohesiveness were ranked high in all stages. Interpersonal learning was ranked first in the last stage altinough being ranked low in the first and middle stage. The total assessment questionnaires about group psychotherapy were reported that 100% of participants were helped, 75% of participants were changed in their lives, and 75% of participants had minds to join this kind of program again if given for them.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s that not only symptom relief but also personality change was achieved when the time-limited group psychotherapy was practiced in addition to simple psychophamarcotherapy and individual supportive psychotherapy for outpatien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group psychotherapy of participants were evaluated highly. Group psychotherapy has been accepted in public as therapeutic modality that must be as equally effective as psychotherapy although group psychotherapy derives from individual psychotherapy. In out current medical environment that has been changed suddenly by the separation of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and the decrease of medical fee, group psychotherapy or time-limited therapy would be settled down as low-expense and high-efficiency therapeutic modalities that were as equally effective as individual psychotherapy or long-term therapy

      • 척추 전이암 환자의 정위적방사선치료 시 시간 경과에 따른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조용완,김주호,안승권,이상규,조정희,Cho, Yong Wan,Kim, Joo Ho,Ahn, Seung Kwon,Lee, Sang Kyoo,Cho, Jeong 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7 No.1

        목 적 : 치료 중에도 지속적으로 X-ray 영상을 획득하여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CyberKnife(Accuray Incorporated, USA) 치료 방식의 특성을 이용하여,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 척추 전이암 정위적방사선치료의 적절한 치료 시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yberKnife를 이용하여 정위적방사선치료를 받은 척추 전이암 환자 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경추 환자는 8명, 흉추는 26명, 그리고 요추는 23 명이었다. 치료 중 획득한 X-ray 영상을 종합하여 치료 부위 별로 분류한 후, 치료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5 분마다 구간을 나누어 시간에 따른 환자의 움직임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 경추의 경우, 회전 방향으로 15 분 이후부터 움직임의 증가폭이 커지기 시작하였다. 흉추에서는 특별히 움직임이 증가하는 구간은 없었으나 시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기 때문에 대략 40 분 이후 의미 있는 값이 나올 것이라 추정된다. 요추의 경우, 치료 시작 20 분 이후 수직 이동 방향과 회전 방향으로 움직임이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치료 중 환자의 움직임을 보정할 수 없는 치료 시스템의 경우, 치료 시간은 경추의 경우 15 분, 흉추의 경우 40 분, 요추의 경우 20 분 이내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만약 치료 시간이 이보다 긴 경우, 치료 중간에 추가적인 환자 정렬을 실시하거나 추가적인 PTV margin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per treatment time of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spine metastasis cancer by using the image guidance system of CyberKnife(Accuray Incorporated, USA) which is able to correct movements of patients during th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 Fifty seven spine metastasis cancer patients who have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of CyberKnife participate, 8 of them with cervical spine cancer, 26 of them with thoracic spine cancer, and 23 of them with lumbar spine cancer. X-ray images acquired during the treatment were classified by treatment sit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reatment, motion tendency of patients is analyzed in each section which is divided into every 5 minutes. Results : In case of cervical spine, there is sudden increase of variation in 15 minutes after the treatment starts in rotational direction. In case of thoracic spine, there is no significantly variable section. However, variation increases gradually with the passage of time so that it is assumed that noticeable value comes up in approximately 40 minutes. In case of lumbar spine, sharp increase of variation is seen in 20 minutes in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direction. Conclusion : Without having corrections during the treatment, proper treatment time is considered as less than 15 minutes for cervical spine, 40 minutes for thoracic spine, and 20 minutes for lumbar spine. If treatment time is longer than these duration, additional patient alignments are required or PTV margin should be enlarged.

      • KCI등재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목근육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

        신수정,박정미,이동욱,정민애,유은영,유문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발생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목근육에 표면 전극을 이용한 전기 자극 치료가 삼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기독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사람으로서 삼킴 장애가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해 확인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회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삼 킴 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고, 그 후 전기 자극 치료를 하루 1시간, 일주일에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주 통제 기간 전후와 전기 자극 치료 2주후, 전기 자 극 치료 4주 후에 비디오투시검사를 실시하여 각 대상자별 4회의 검사가 실시되었다. 녹화된 동영상을 바탕으 로 연하 곤란 척도와 인두 통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통제기간동안 삼킴 기능의 변화가 없었지만(p>.05), 2주간의 전기 자극 치료 후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p<.05), 4주 전기 자극 치료 후에도 2주 전기 자극 치료 후보다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 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인두통과시간은 2주 치료 후, 4주 치료 후 모두 유의하게 변하지 않았다(p>.05). 삼 킴 후 인두기의 잔여물은 양배꼴동, 후두개곡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2주 기간 동안 삼킴 기능의 자연 회복을 보이지 않았고 전기 자극 치료 후에 유의 한 기능 향상을 보여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대상자들은 2주 전기 자극치료에서 뿐만 아니라 4주 치료 후에도 계속적인 기능 상승을 보였는데 앞으로는 본 연구보다 장기적인 치료의 효과와 이의 지속여부를 확 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두통과시간은 삼킴 기능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지 못하였으 므로 인두 통과 시간만을 측정하는 삼킴 기능의 평가는 추후 연구에서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neck muscles i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Methods : Eighteen stroke patients who are able to understand verbal commands and express themselve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video-fluoroscopic findings of their swallowing difficulties. After two weeks of an observational period for spontaneous recovery,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a one hour session each day, five days a week for four weeks was applied to the patients' neck muscles (digastic M., thyrohyoid M.). Their swallowing functions were evaluated using a functional dysphagia scale and pharyngeal transit time with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The author compared the above initial data with the every- two-week follow-up data using a paired t test and repeated ANOVA measure, of which a significant level is below p=.05. Results : There was no natural recovery during the control stage (p>.05). After terminating treatmen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p=.000) and had significantly reduced residue in their valleculae and piriform sinuses (p<.05). However, pharyngeal transit tim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s (p>.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brain injuries and can be clinically used as a safe treatment method for dysphagia. In future studies, a long-term treatment of more than four weeks with a follow up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한국인의 연령별 작업시간 변화 추이 분석 : 2004, 2009, 2014년도 생활시간조사를 바탕으로

        김연주,홍승표,박혜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3

        목적: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시행한 2004, 2009, 2014년 ‘생활시간조사’의 행동분류를 작업영역에 따라 분류한 후, 연령 및 년도 별로 한국인의 각 작업영역에 따른 시간사용량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 2009, 2014년 생활시간조사’의 원자료 중 10세 이상인 대상자 각각 31,634, 20,263, 26,988명의 시간사용량을 이용하였다. 연령은 10대에서부터 80대까지 10년 주기로 구분하였고 작업치료 실행체계(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의 작업영역에 따라 원자료의 행동을 재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2004년부터 2014년 동안 시간사용량의 변화를 연령대 별로 살펴보면 10대에서는 ‘놀이’, ‘사회참 여’, ‘휴식’이 증가하였고 20대에서는 ‘교육’시간이 증가한 반면, ‘일’과 ‘여가’시간은 감소했다. 40대와 50 대에서는 주중 ‘일’시간은 증가했고, 주말 ‘여가’시간은 증가했다. 60대 이상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가’시 간이 증가하였으나 TV시청과 같은 정적인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결론: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연령대 별 작업영역에서의 시간사용량에 차이가 있었다는 것과 2004년부터 2014년에 이르는 동안 시간사용량의 변화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치료에서 클라이언 트의 작업수행시간을 재배치할 때 비교자료로 활용이 가능하고 최근의 동향을 분석하여 주기적으로 반 영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ime use changing on ages and each year after categorizing occupations based on the data of '2004, 2009, 2014 Time Use Survey'. Methods: The sample over 10 years old consisted of 31,634 in 2004, 20,263 in 2009, and 26,988 in 2014 time use data. We classified life cycle from 10s to 89 years old and behaviors were classified by areas of occupation in OTPF (3rd Edit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play', 'social participation' and 'rest' time at teenagers are increasing. At 20s, 'education' was increasing and 'work' and 'leisure' were decreasing. Adults with over 60 are spending their much time on leisure, but the most activities are static like watching television. Conclusion: Researchers found that there was occupational time use changing based on ages. Therefore, we suggest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reflect change trend of time use for occupational balance when they provide OT service.

      • KCI등재

        도시 거주 일반노인들의 시간 사용 실태조사

        이주현,박수현,유은영,정민예,조덕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일반 노인들을 대상으로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 참여시간을 통계청(2009)에서 사용하는 일상생활시간 조사 분류표를 통해 알아보고,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시간상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도시지역 거주 일반노인 155명으로 하였으며, 2009년 통계청에서 사용한 일상생활시간조사표 및 일반적 특성이 포함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설문지가 배포된 후 48시간 동안의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를 완성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들이 완성한 일상생활 활동기록지는 통계청에서 제시한 9가지의 행동분류표에 나온 행동들로 분류하여 각각의 행동에 따른 이틀간의 총 시간사용량을 분으로 계산하였다. 결과 : 도시거주 노인들의 개인유지 활동 참여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그리고 남성 노인들이 일과 학습활동 참여시간이 많았고, 여성 노인들은 가정관리, 참여 및 봉사활동,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또한 65세 이하의 노인들은 일하는 시간이 많았으며, 66세 이상의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중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개인유지에,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이동 및 일에, 소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종합적으로 76~80세 여성 노인들이 참여 및 봉사활동 참여시간이 많았고, 대도시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들이 일에, 소도시에 거주하는 남성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기능적인 독립성, 사회적 참여유지, 자원봉사 및 여가활동을 노인들의 성별, 연령, 학력, 지역별 특성에 맞게 계획하고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실시간 원격 수업에서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적용한 자기소개 스피치에 관한 연구: ‘내용 생성’과 ‘친밀감 형성’을 중심으로

        정효진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적용한 자기소개 스피 치를 설계 및 운영하고, 획일적인 스피치 교육에서 탈피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D대학 교양 선택 교과목인 ‘실전 스피치 기초’ 수강생 78명을 대상으 로 2021년 3월 9일부터 3월 17일까지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적용해 사진을 매개로 한 자 기소개 스피치를 진행하였다. 녹화된 스피치 동영상을 내용 분석한 결과, 4개의 상위 주 제와 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상위 주제는 ‘과거 경험을 통한 자기 발견’, ‘내가 좋아하는 것’, ‘외면적 측면과 내면적 측면’, ‘인생 가치 설정’으로 나타났다. 이렇 게 자기소개 스피치에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처음으로 적용함으로써 스피치 소재의 다 양성 확보, 활발한 상호작용, 정서적 유대감 형성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를 통 해 본 연구는 서로 간의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스피치 접근법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아환자에서 치료 전 수면 시간이 chloral hydrate 진정 효과에 미치는 영향

        맹유진,오소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소아치과 분야에서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를 이용한 진정 요법은 가장 보편화된 방법이지만 진정 효과는 약물의 용량, 연령, 체중, 술 전 환아의 수면 시간, 술 전 공복유지 유무, 환아의 건강 상태에 따라 좌우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험적 으로 chloral hydrate 진정 요법 시행 전날 수면 시간이 짧을수록 진정 효과가 더 크다는 점에 착안하여 협조전 단계 환아에 서 chloral hydrate/hydroxyzine을 이용한 진정 치료 시 치료 전 수면 시간과 진정 효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 하 였다. 한림대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사전 조사에서 1일 평균 수면 시간이 비슷한 만 2-5세 아이들 37명을 대상으로 chloral hydrate/hydroxyzine 진정 요법 하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수 치료를 포함하여 수복치료를 요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치수치료를 한 환자는 총 11명이었다. 진정 효과는 동일한 평가자에 의해 Houpt 등의 rating scal에 따라 점수를 산정 하여 단순회귀 분석법으로 평가하였고 치수 치료 유무에 따라 진정 효과가 달라지는지 여부를 t-test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Houpt 등의 rating scale 중 sleep, crying 항목은 전날 수면 시간에 따라 유의하지는 않지만 반비례 상관관계를 지닌 다(p>0.05). 2. Movement, overall behavior는 전날 수면 시간에 따라 유의하게 반비례하는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3. 치료 내용에 따른 진정 요법 효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실험 결과 진정 전 수면 시간이 짧을수록 진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edative method and its effect are affected by diverse variables: dosage and intake method of drug, weight, gender, patient compliance, sleeping hours prior to procedure, treatment hours, health status, type of used drugs are the factor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empirical observation that shorter the sleeping hours before the day of chloral hydrate sedation, the effectiveness is larger; and therefore to actually recognize the correlation between chloral hydrate/hydroxyzine sedation and sleeping hours of child patient prior to sedation. The subjects were those children whose sleeping hours were similar to each other at the ages ranging from 2 to 5 years old totaling 37 children. Total 11 of them received pulp treatment. Sedative effect was evaluated by the same assessor with Houpt’s rating scale. Sedative effect in relation with prior day’s sleeping hours evaluated wi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Sedative effect in relation with pulp treatment was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Sleeping hours prior to sedation and sedation effect have negative correlation. No significant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pulp treatment and sedation effect(p>0.05).

      • KCI등재후보

        고감도 형광판을 이용한 실시간 선량측정 가능성 연구

        임상욱,이병용,고영은,지영훈,김종훈,안승도,이상욱,신성수,권수일,최은경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1

        목 적: 고감도형광판을 이용하여 2차원적인 선량분포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quality assurance (QA) 장치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고감도형광판을 삽입한 직경 25 cm의 물 팬톰을 제작하였으며 여기에 charge-coupled device (CCD) 카메라를 부착하여 방사선조사 시 형광판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선에 의한 영상을 얻었고 영상이 가지고 있는 세기정보를 계산하여 픽셀값에 따른 선량분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였다. 회전치료 및 세기조절방사선치료를 각각 수행하여 형광판으로부터 얻은 등선량곡선을 치료계획장치에서 계산된 등선량곡선과 비교하였다. 결 과: 선량당 빛의 세기의 관계그래프를 이용하여 형광판과 CCD의 감도 보정을 위한 커널(kernel)을 구하였는데 두 개의 에러함수 곱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회전치료(Arc Therapy)와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에서 형광판으로 측정한 등선량곡선과 치료계획장치에서 계산된 등선량분포 비교에서 고선량에서 최대 8 mm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2차원 선량계를 이용하여 물팬톰에서 선량과 빛의 세기와의 관계 및 방사선 조사시간과 빛의 양의 관계를 찾을 수가 있었고 세기조절방사선치료 QA를 위한 실시간 평면선량계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였다. Purpose: To study the feasibility of verifying real-time 2-D dose distribution measurement system with the scintillation screen for the quality assurance. Materials and Methods: The water phantom consisted of a scintillation screen (LANEX fast screen, Kodak, USA) that was axially located in the middle of an acrylic cylinder with a diameter of 25 cm. The charge-coupled device (CCD) camera was attached to the phantom in order to capture the visible light from the scintillation screen. To observe the dose distribution in real time, the intensity of the light from the scintillator was converted to a dosage. The isodose contours of the calculations from RTP and those of the measurements using the scintillation screen were compared for the arc therapy and the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Results: The kernel, expressed as a multiplication of two error functions, was obtained in order to correct the sensitivity of the CCD of the camera and the scintillation screen. When comparing the calculated isodose and measured isodose, a discrepancy of less than 8 mm in the high dose region was observed. Conclusion: Using the 2-D dosimetry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and the dosage could be found, and real-time verification of the dose distribution was feasible.

      • KCI등재

        일반 노인들의 시간사용 실태 분석 : 체계적 고찰

        강재원,박지혁,박혜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2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들의 시간사용 실태 조사에 사용된 자료에서 제시되고 있는 작업 영역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작업영역 별로 노인들의 시간사용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Embase, PubMed, Cochrane, Web of Science, KISS, NDSL, KMbase, RISS를 사용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 “elderly” OR “older adult” OR “senior” AND “time use” OR “use of time” OR “time allocation” OR “time usage” OR “time management”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포함기준에 적합한 11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11개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간사용 측정도구들은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여가를 측정하였지만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에 의한 작업영역 8가지를 모두 평가한 도구는 없었다. 휴식 및 수면을 제외하고 노인들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과 여가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또한 국내 노인들은 국외 노인들에 비해 여가시간이 적었으며 무급노동일을 하며 보내는 시간이 많았다. 결론 : 노인들은 주로 집에서 정적인 활동을 하며 하루를 보냈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들에게 다양한 신체적 활동 프로그램과 사회참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에서 사용 하고 있는 작업영역 개념을 사용하여 활동들을 분류한 후 시간사용량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노인의 시간 사용을 이해하는데 있어 작업치료사에게 유용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examining time use in healthy elderly and to provide evidence to aid the elderly to find the meaning of their lives. Methods : Using research databases(Embase, PubMed, Cochrane, Web of Science, KISS, NDSL, KMbase, RISS), the main keyword search terms were “elderly” OR “older adult” OR “senior” AND “time use” OR “use of time” OR “time allocation” OR “time usage” OR “time management”. We have collected a data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6. Results : The study showed that domains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leisure were the most used to assess the time use of healthy elderly. Also, the elderly in Korea had less time for the leisure and spent more time on unpaid works than the elderly in other countries. Conclusion : Elderly spent their time at home and did static activity, so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provide them with a variety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could be useful evidence to occupational therapists to understand time use in healthy elderly because we analyzed data after categorizing in occupation domains which are a concept used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