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시형의 퍼실리테이션 지향점

        임상욱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9

        Das Ziel des vorliegenden Aufsatzes ist eine Betrachtung der Besonderheiten zur persönlichen Identität Ch’oe Si-hyŏngs und dessen Zielsetzungen. Die hauptsächlichen Inhalte dieser Betrachtung gliedern sich wie folgt. Erstens sollen die Führungsqualitäten und der Führungsstil von Ch’oe erläutert werden um aufzuzeigen, dass er weniger als „Führer(leader), sondern vielmehr als „Hilfeleister(facilitator)“ angesehen werden sollte. Zweitens soll diskutiert werden, was eigentlich seine Hilfestellung ausmachte und wo die Besonderheiten in seiner Art der Hilfestellung lagen. Ch’oe Si-hyŏng forderte Veränderungen in den Bereichen wie Menschen, ihre Art und Einstellung sich ändern wenn sie sich gegenseitig begegnen, und auch wie Art und Einstellung der Menschen sich bei Begegnungen mit der Natur verändern. Dabei war es weniger seine Methode die vertikalen Beziehungen zwischen „Führer(leader)“ und „Gefolge(follower)“ nachzuzeichnen, als vielmehr jedem Menschen zu helfen die ihm innewohnenden Wertevorstellungen von Sublimität und Ehre zum Vorschein zu bringen. Kurzum war er ein hilfestellender Führer(fascilitating leader)“ der die Menschen zum Gegenstand seiner Hilfestellung machte, bis diese den natürlichen Kosmos(han’ul) erreichen konnten. Diese Art der Hilfestellung war eine allumfassende, die Körper und Geist gleichsam betraf. So half Ch’oe Si-hyŏngs Art der Hilfestellung letztendlich, die Bedeutsamkeit des Alltäglichen und des Lebens in diesem Alltag wieder zu entdecken. Es sind zwei grundsätzliche Standpunkte aus Beispielen der Hilfestellung Ch’oe Si-hyŏngs zu deduzieren: Erstens, das Menschen- verständnis von Partnerschaft: Da es zwischen zwei Menschen kein hoch und niedrig geben kann, wird der Horizont der zwischenmenschlichen Beziehungen nun als der von Partnern, die gegenseitig auf sich einwirken, verstanden. Zweitens, das Naturverständnis von Part- nerschaft: Die Natur ist nicht weiter eine den Menschen umgebende „Umwelt”, sondern Mensch und Umwelt sind Partner, die beide für Leben und Gedeihen zusammenwirken. Dieses Verständnis war möglich, da Ch’oe Si-hyŏng die Realität direkt sehen konnte, als die Natur aus der Sicht des alltäglichen Lebens. 본 연구의 목적은 최시형에게 보이는 인물 정체성의 특성과 그 지향점의 고찰에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핵심 내용은, 첫째, 최시형의 리더 유형과 리더십 스타일을 탐색함으로써 그의 인물 정체성이 왜 리더보다는 퍼실리테이터로 자리매김 하는 것이 더 합당한지에 대해 밝히고, 둘째, 최시형 식 퍼실리테이션의 고유 특성과 그 지향점은 과연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최시형은 사람이 사람을 대하는 태도와 방식, 그리고 사람이 자연을 대하는 태도와 방식에 일대 변혁을 요구한 인물이다. 하지만 그가 취한 방법론은 ‘리더-팔로워’의 수직관계라기보다는 모든 사람에게 내재한 숭고하고 고귀한 가치가 스스로 발현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형태의 것이었다. 요컨대 최시형은 사람을 퍼실리테이션의 대상으로 둔 퍼실리테이형 리더이자, 자연의 한울됨까지 퍼실리테이션의 대상으로 삼은 전일적 퍼실리테이터였다. 이를 통해 최시형의 퍼실리테이션이 궁극적으로 지향한 바는 바로 일상을 소중하게 살아갈 수 있는 일상의 재발견에 있었다. 최시형의 퍼실리테이션 사례로부터 두 가지 의미 있는 원리적 관점이 도출된다. 하나는, 파트너십으로서의 인간관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높낮이가 있을 수 없으므로, 이제 인간관계의 지평은 서로 역할이 다를 뿐인 파트너로 인식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파트너십으로서의 자연관이다. 자연은 더 이상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아니며, 양자는 서로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협력해야 할 상생의 파트너인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은 자기 자신과 타인, 그리고 자연을 일상의 눈으로 관찰하여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직시한 최시형의 자각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 1인가구의 형성과 사회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장애인 1인가구를 중심으로 -

        임상욱,전지혜 서울연구원 2021 서울도시연구 Vol.22 No.4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a single-person household with a disability and to suggest a social support plan. This study used the subject analysis method as a qualitative study, and nine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who lived in a single household for more than two yea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In some cases, the formation of a single-person household with a disability appeared as a voluntary choice or inevitable choices due to family relations and circumstances such a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and lack of proper care. They were found to b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independent living due to lack of social awareness, accessibility problems, and economic difficulties. Ironically,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high in enjoying freedom from the family, and even if there were difficulties in independent liv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olicy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and a comprehensive housing and support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xpansion of pensions for the disabled, improvement of awareness in the region, reconstruction of family roles, and the need for countermeasures in an emergency.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 속에서 장애인 1인가구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장애인 정책이 탈시설·자립생활 지원으로 전환되면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장애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인 1인가구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사회적 지원방안은 무엇인지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로 주제어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로는 서울에서 2년 이상 1인가구 생활을 하는 장애인 9명을 선정하여 개별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4개의 상위범주, 1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 장애인 1인가구는 자발적 선택으로 형성된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가족의 장애인 이해 부족, 적절한 돌봄의 부재 등 가족관계와 상황에 따른 선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1인가구 형성 이후 이들은 사회적 인식 부족, 접근성 문제,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자립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시에 가족에게서 벗어나 자유를 누린다는 점에서 삶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자립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더라도 1인가구를 유지할 계획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 내 장애인을 위한 종합주거와 지원체계, 장애인 연금 확대, 지역 내 인식개선, 가족 역할의 재구성, 긴급상황 시 대응책 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타락시아의 행복과 일상의 행복

        임상욱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최시형이 제안하는 동학적 행복, 즉 일상의 행복은 현대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일원적 존재론의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일상의 의미가 행복의 문제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검토하고, 둘째, 아타락시아의 행복과 일상의 행복은 과연 행복의 보편적 원리로 기능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한다. 동학의 일원적 존재론에서 일상은 존재 전체를 가리킨다. 동학적 행복이란 곧 일상의 행복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모든 생명체는 자신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한다. 즉, 쾌락은 에피쿠로스의 존재론적 구도로부터 필연적으로 도출된다. 이와 달리, 일상으로부터 행복의 필연성은 도출되지 않는다. 일상은 너무 포괄적이고 애매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비록 보편적 원리로 기능할 수 있는 동학적 행복의 실현 가능성은 아직 미비하지만, 그럼에도 동학적 행복의 현대적 의미는 다음 지점에서 찾을 수 있어 보인다. 즉, 우리 인간은 욕심을 덜 부리고, 현재의 상황에 좀 더 만족하고, 또 win만이 아닌 win-win을 생각할 때 이전보다 더욱 행복해질 수 있다 Der vorliegende Aufsatz macht es sich zum Ziel, die Glücksvorstellungen des “alltäglichen” Glücks nach der Tonghak-Lehre des Ch‘oe Si-hyŏng, auf deren Bedeutung für die gegenwärtige Gesellschaft hin zu untersuchen. Dabei soll zuerst untersucht werden, wie die Bedeutung des Alltäglichen, die sich aus den Besonderheiten der monistischen Ontologie der Tonghak-Lehre ableiten lässt, mit den Fragestellungen von Glück in Verbindung gebracht werden kann. Zweitens wird untersucht, ob und wie das atraxsiche, “gelassene” Glück und das “alltägliche” Glück als universelle Prinzipien des Glücks funktionieren können. In der monistischen Ontologie der Tonghak-Lehre ist jede Existenz Gegenstand des Alltäglichen. Glück nach der Auffassung der Tonghak-Lehre bedeutet immer “alltägliches” Glück. Andererseites verfolgt jedweder Lebewesen den eigenen biologischen Besonderheiten folgend dem Bedürfnis nach Genuss und Vergnügen und versucht gleichzeitig Leid und Schmerz zu vermeiden. Sprich, während sich Genuss und Vergnügen zwangsläufig aus Epikurs ontologischer Komposition ableiten lassen, steht davon abweichend das Alltägliche nicht unvermeidlich für ein Hervorkommen des Glücks. Das liegt daran, das das Alltägliche ein zu allgemein-umfangreiches, vages Konzept ist. Obwohl das Glück nach der Tonghak-Lehre als universelles Prinzip funktionieren kann, ist die realistische Wahrscheinlichkeit, eine solche Funktion übernehmen zu können, noch sehr unausgeprägt. Denoch lässt sich die Bedeutung des Glückes nach der Tonghak-Lehre im folgenden Punkt아타락시아의 행복과 일상의 행복 | 223deutlich erkennen: Wir Menschen sollten unsere Gier zügeln und mit unseren gegenwärtigen Verhältnissen etwas zufriedener sein. Wir sollten auch nicht nur an den eigenen Gewinn denken, sondern auch das Ziel verfolgen, dass alle Beteiigten und Betroffenen einen Nutzen und somit Gewinn erzielen. Auf diese Weise können wir alle etwas mehr Glück empfinden.

      • KCI등재

        이필제와 최시형 : 영해 동학 '혁명'의 선도적 근대성

        임상욱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Das Ziel des vorliegenden Aufsatzes ist es, über die modernen Elemente im Aufstand der Volksmasse in Yŏnghae nachzudenken. Dementsprechend ist der Hauptinhalt dieser Arbeit wie folgt: Erstens soll das Handeln von Yi Pil-je, der diesen Aufstand anführte, und seine Identität als Tonghak(Östliche Lehre) - Anhänger nachgezeichnet werden. Zum Zweiten soll abgewägt werden, inwiefern dieser Aufstand den revolutionären Charakter der Tonghak wiedergibt. Auf Grundlage dessen soll erörtert werden, inwiefern dieser Aufstand zur Moderne beigetragen hat. Die Betrachtungsweise des Aufstands von Yŏnghae wird generell von zwei sich diametral gegenüberstehenden Kriterien beeinflusst. Das eine Kriterium ist die Auswahl des Quellenmaterials. Sprich, der Blickwinkel auf den Sachverhalt verändert sich je nachdem, ob der Betrachter Quellen der Regierungsseite mit einbezieht, oder ob er sich auf die Darstellungen von Tonghak – Anhängern stützt. Das andere Kriterium ist die Frage nach dem Ausmaß des Aufstands. Wird der Aufstand als eine Stufe in einem Geflecht von Ereignissen gesehen, die einem insgesamt größeren Ziel dienten, oder wird der Aufstand von Yŏnghae gesondert und unabhängig von den anderen Ereignissen der Zeit betrachtet? Wird nun versucht, diese verschiedenen Sichtweisen auf den gleichen Sachverhalt zu kontrastieren, offenbaren sich widersprüchliche und sogar in sich selbst gegensätzliche Bilder. Es scheint vorerst die beste Lösung zu sein, ein abschließendes Urteil über die Frage nach dem revolutionären Charakter des Yŏnghae-Aufstandes und dessen Verbindung zur Tonghak ausstehen zu lassen, solange keine neutraleren Quellen ans Tageslicht kommen. Dennoch ist dieser Aufstand, den Yi Pil-je anführte und dem sich Ch'oe Si-hong anschloss, als eine Vorstufe zu betrachten, die 1894 die Tonghak-Revolution ermöglichte. Denn es lässt sich hierin ein erster Schritt hin zu Elementen der Moderne erkennen, nämlich die Erweiterung der persönlichen Rechte des Individuums im Hinblick auf den Gesellschaftsvertrag. Allerdings muß das große Ausmaß an körperlicher Gewalt betont werden, welche das Recht auf Leben missachtete und somit den Geist des Tonghak bis auf die Grundgedanken tief erschütterte. Egal ob nun Aufstand oder Revolution, ein solch gewalttätiges Verhalten entsprach in keinster Weise den Grundsätzen der Tonghak. 본 연구의 목적은 영해 민중 봉기의 근대성 여부를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핵심 내용은, 첫째, 이 봉기를 주도한 핵심 인물인 이필제의 행적을 추적하여 그의 동학 관련 정체성을 살피고, 둘째, 이 봉기는 과연 동학적·혁명적 특성을 수반하는지를 검토하여, 그로부터 도출 가능한 근대성의 단초는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에 있다. 영해 민중 봉기를 바라보는 시각은 다음의 두 가지 서로 다른 척도에 의해 교차적인 영향을 받는다. 하나는, 자료의 선택이다. 즉, 연구자가 활용한 자료가 관변 측의 것인지, 아니면 동학 측의 것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각이 가능하다. 다른 한 척도는, 봉기의 범위 설정이다. 즉, 영해 봉기를 좀 더 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중간 단계 중의 하나로 간주하는지, 아니면 그것 자체를 목적으로 파악하는 지에 의해서도 시각은 달라질 수 있다. 더구나 동일한 사안에 대해서조차 양측의 기록은 각각 서로 상충하여 자가당착적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로부터 영해 봉기의 동학 및 혁명 관련성 여부는 좀 더 중립적인 자료가 발굴될 때가지 그 판단을 유보해두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그럼에도 이필제가 주도하고 최시형이 참여한 영해 봉기에는 1894년의 동학혁명을 가능하게 만든 전단계로서의 역할을 분명히 수행했다. 그로부터는 개인 권리의 신장과, 사회계약을 통한 성장이라는 초보적 형태의 근대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기엔 동학정신을 뿌리까지 흔들어놓을 반생명적 폭력이 자행되었고, 이는 봉기나 혁명에 상관없이 가장 반동학적 행위라는 점에 반드시 주목해야 한다.

      • KCI등재

        동학사상의 관점에서 바라본 ‘올바름’의 정당성 검토

        임상욱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본 연구는 우리 사회를 향한 다양한 의견들 중에서 과연 무엇을 올바르다고 판단할 수 있는지를 동학사상의 관점에서 논의해보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동학사상 자체로부터 도출해낼 수 있는 동학적 ‘올바름’의 기준은 무엇인지를 살피겠다. 다음으로, 그 원리가 우리의 사회적 담론에 기능할 수 있는 가능한 적용 방법론들은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동학사상에서 모든 올바른 판단의 시금석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천도이다. 천도란 다름 아닌 존재 긍정의 원리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는 적용 방법론으로는, 첫째, 독선적 리더십이 아닌, 상생의 파트너십이다. 둘째, 인간중심주의가 아닌, 만물존중사상이다. 그리고, 셋째, 수동적 팔로워가 아닌, 주체적 개인의 등장을 촉진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 이 같은 원리와 방법론이 수용될 수 있다면, 사회 구성원들 간 의견이나 입장의 대립은 오히려 서로의 상생을 위한 기회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천도를 거스르는 가장 경계해야 할 존재 부정은 바로 폭력이다. 동학정신에 위배되는 반생명적 폭력은 그것이 어떤 형태이든, 혹은 어느 누구에 의한 것이든 반드시 지양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at we make sense what is the right opinions among various social opinions in our society from the Donghak perspective. For this, we, first of all, study the ‘righteous’ criteria which can be induced from the principles of Donghak. Then, we look into the adaptable methodologies which are able to play a role as our social discourse referring to these principles. In Donghak principles, the touchstone of all right judgements is Cheondo, the way of Heaven. Cheondo is the principle of Donghak because it is the fundamental of affirmative existence. As adaptable methodologies following the aforementioned principles, first, there is the Win-Win partnership rather than self-righteous leadership. Second, there is the idea of respecting all living things rather than anthropocentricism. And the third, it is to promote the appearance of self-reliance individual rather than a passive follower. If such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are acceptable in our society, either opinions or conflicts among the members of society rather provide them with the chances for Win-Win-existence in the mutual relationships. At this moment, the violence is the most prohibited act to disobey Cheondo. Therefore, the life-threatening violence against the principle of Donghak should be sublated whether it is done by any kind of action or it is violated by anyone.

      • KCI등재

        동학의 아모아 파티(Amor fati)

        임상욱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40

        Das Ziel dieses Aufsatzes ist es, die Logik und Methode des Amor fati zu beschreiben und zu erörtern. Die hauptsächliche Untersuchungsmethode ist dabei eine Analyse der vorliegenden Literatur. Der Inhalt dieser Arbeit gliedert sich wie folgt. Zuerst wird das Für- und Wider erörtert, ob es überhaupt möglich ist, eine Legitimierung eines Amor fati der Tonghak festzustellen. Dann werden die inneren und äußeren Faktoren, die dem Amor fati des Tonghak hinderlich sind, herausgestellt und eine Methode zu deren Abschwächung gesucht. Als Resultate lasssen sich folgende Punkte festhalten. Zuerst lässt sich das Zutreffen des Amor fati auf Tonghak im Prozess des Wandels von Sicheonju hin zu Yangcheonju herausstellen. Zweitens kann festgestellt werden, dass die Reform des Amor fati des Tonghak bei der Anpassung der ‘Heiligen Schriften’ des Tonghak an die Ansprüche der Gegenwart beginnen muss.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적 아모아 파티의 원리와 방법은 과연 무엇인지를 살피려는 데에 있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동학적 아포아 파티를 위한 원리적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살핀다. 둘째, 동학적 아모아 파티를 저해하는 내·외부적 요소와 이의 개선을 위한 방법을 탐색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동학적 아모아 파티의 당위성은 시천주에서 양천주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 도출된다. 둘째, 동학적 아모아 파티를 위한 개혁은 동학 ‘경전’의 현대화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