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골 골절 및 치골결합 분리에서 골반 벨트를 이용한 비침습적인 정복-증례 보고-

        박정미,유문기,김성훈,정상훈,김주령,김현석 대한재활의학회 2008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2 No.2

        Early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pelvic bone after traumatic unstable pelvic bone fracture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trol life-threatening bleeding and reduce late complica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ect of the non-invasive pelvic belt on various positions, and studied the effects of weight bearing and shifting during walking on pelvic belt position. Case 1)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Case 2) fracture of the superior and inferior ramus of the right pubis; Case 3) fractures of the superior and inferior ramus of both pubis and separation of symphysis pubis. Pelvic belt was prescribed in all three cases. Pelvic belt reduction reduced the distance between fracture line by 40∼60% at all levels. Therefore, pelvic belt reduction is recommended as a non-invasive, safe and effective rehabilitative treatment for pelvic bone fracture patients to restore function without pain or secondary inju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목근육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

        신수정,박정미,이동욱,정민애,유은영,유문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뇌졸중 후 발생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목근육에 표면 전극을 이용한 전기 자극 치료가 삼킴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부속 원주기독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사람으로서 삼킴 장애가 비디오투시검사를 통해 확인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회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삼 킴 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 어떠한 처치도 받지 않았고, 그 후 전기 자극 치료를 하루 1시간, 일주일에 5회, 4주간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주 통제 기간 전후와 전기 자극 치료 2주후, 전기 자 극 치료 4주 후에 비디오투시검사를 실시하여 각 대상자별 4회의 검사가 실시되었다. 녹화된 동영상을 바탕으 로 연하 곤란 척도와 인두 통과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통제기간동안 삼킴 기능의 변화가 없었지만(p>.05), 2주간의 전기 자극 치료 후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p<.05), 4주 전기 자극 치료 후에도 2주 전기 자극 치료 후보다 유의한 삼킴 기능의 향 상이 있었다(p<.05). 그러나 인두통과시간은 2주 치료 후, 4주 치료 후 모두 유의하게 변하지 않았다(p>.05). 삼 킴 후 인두기의 잔여물은 양배꼴동, 후두개곡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2주 기간 동안 삼킴 기능의 자연 회복을 보이지 않았고 전기 자극 치료 후에 유의 한 기능 향상을 보여 전기 자극 치료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대상자들은 2주 전기 자극치료에서 뿐만 아니라 4주 치료 후에도 계속적인 기능 상승을 보였는데 앞으로는 본 연구보다 장기적인 치료의 효과와 이의 지속여부를 확 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두통과시간은 삼킴 기능의 변화를 민감하게 나타내지 못하였으 므로 인두 통과 시간만을 측정하는 삼킴 기능의 평가는 추후 연구에서도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neck muscles i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Methods : Eighteen stroke patients who are able to understand verbal commands and express themselve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video-fluoroscopic findings of their swallowing difficulties. After two weeks of an observational period for spontaneous recovery,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a one hour session each day, five days a week for four weeks was applied to the patients' neck muscles (digastic M., thyrohyoid M.). Their swallowing functions were evaluated using a functional dysphagia scale and pharyngeal transit time with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The author compared the above initial data with the every- two-week follow-up data using a paired t test and repeated ANOVA measure, of which a significant level is below p=.05. Results : There was no natural recovery during the control stage (p>.05). After terminating treatmen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dysphagia scale (p=.000) and had significantly reduced residue in their valleculae and piriform sinuses (p<.05). However, pharyngeal transit tim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s (p>.05).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wallowing disorders caused by brain injuries and can be clinically used as a safe treatment method for dysphagia. In future studies, a long-term treatment of more than four weeks with a follow up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