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관지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임상적 효과 검토

        Suzuki Masao,Namura Kenji,Egawa Masato,Yano Tadashi 대한침구의학회 2007 대한침구의학회지 Vol.32 No.3

        목적 :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약을 포함한 약물치료에도 조절되지 않았던 기관지천식 환자 6 증례에 대하여 침구치료를 행하여, 연구방법의 하나인 조건반전법(N-of-1)을 이용하여 침치료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방법 : 연구디자인 : 조건반전법으로 침치료 기간(A기간)과 침치료 휴지기간(B기간)을 서로 반복하였다. A기간은 10주간으로 하고 1주간에 1회의 침치료를 행하였다. 실시장소 : 메이지 침구대학부속병원 내과와 부속침구센터 대상 : 기관지천식의 표준적인 약물치료를 행하여도 천식발작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았던 중등증에서 중증의 천식환자 6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 기관치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를 아래의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① 발작상태를 천식일지에 의해 평가 ② 호흡곤란감을 VAS(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해 평가 ③ 호흡기능검사 ④ 말초혈호산구수 ⑤ 스테로이드약의 투여량 ⑥ 중증도 효과 : A기간에 동시적으로 모든 예에서 천식발작과 호흡곤란감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한편 B기간에서는 6례중 중 5례에서 천식발작의 재연이 확인되었다. 또한 천식발작의 개선에 수반하여 모든 예에서 중증도의 개선도 인정되었으며, 6례 중 4례에서 스테로이드약의 감량이 가능하게 되었다. 결론 : 약물치료로 조절되지 않았던 기관지천식 환자에 대하여 침치료를 행한 결과, 환자의 천식발작, 자각증상, 호흡기능의 개선에 유효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에서 학교 중심의 소아천식관리사업의 적용가능성과 발전 방향 : 일부 학교의 시범사업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서혜진,이원영 韓國學校保健學會 2009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2 No.1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일부 초등학교에서 호주의 천식친화학교 프로그램에 기반한 시범사업의 실시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소아천식관리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 호주의 천식친화학교사업을 모델로 하여 초등학교에서 천식아동들을 위한 시범사업내용을 개발하였다. 시범사업의 내용은 천식아동발견사업, 학교 모든 교직원 및 천식아동 학부모 대상 교육사업, 교내 관리활동으로 구성된다. 시범사업은 도심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와 농촌지역의 두 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6개월 간 시범 적용하였다. 시범사업추진팀과 학교관계자들 간 그룹토의를 통해 사업과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 사업에 참여한 천식아동을 가진 144가구를 대상으로 사업과정과 만족도에 대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천식아동발견사업은 일차스크리닝과 확진검사로 구성하였으며 시행결과 신규환자의 조기발견 효과는 있었으나 확진검사를 포함할 경우 환자발견사업의 경제성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학교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한 4시간교육은 보건교사 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하였으나 일반교사 교육은 참석률이 45.0%로 학교장과 보건교사의 의지에 따라 학교별로 다소 편차가 있었다. 천식아동을 가진 학부모의 교육 참석률은 총 122 대상가구 중 24.1%이었으며 참석하지 못한 이유로 증상이 경미하여 교육의 필요성을 못 느끼거나 바쁜 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반면 참석한 34명의 부모 중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경우는 33명(97.1%)이었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122명의 학부모 중 92%가 학교에서 천식아동을 위한 관리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내 관리활동으로 천식아동 명부를 작성하여 보건교사와 담임교사가 공유하였는데 천식아동의 건강상태를 더 자세히 기록한 건강관리카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천식발작 시 대응요령을 위한 인쇄물과 천식조절제인 흡입제와 보조기구가 들어 있는 응급키트를 보건실에 비치하였으며 천식아동들의 안전을 위해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결론: 호주의 천식친화학교를 모델로 하여 초등학교에서 시범사업을 수행한 결과 이 사업에 참여한 각 학교의 학교장, 보건교사, 일반교사들, 그리고 천식아동의 학부모들은 천식아동들을 위한 학교 차원에서 관리활동에 긍정적이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향후 효과평가를 통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천식친화학교 모형을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nagement program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ffering from asthma, which would be based on the Australian Asthma-Friendly Schools (AFS) program. Methods: On the basis of the AFS program, we designed a 6-month pilot project for asthmatic students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a rural area and one elementary school in an urban area of Korea. The pilot project consisted of the following processes: identifying students with asthma in a school, educating school staffs and the parents of an asthmatic child, registering those with asthma, and installing emergency kits for asthma attacks in school health rooms. In order to evaluate these processes, group discussions were held between project team members and school staffs in each area. In addition, we conducted a postal survey of 144 households having an asthmatic child. Results: The screening process adopted in this program resulted in the early diagnosis in asthma; however, it needs to be evaluated economically due to expensive diagnostic test for asthma. For the school nurses, asthma lessons were evaluated as being very helpful for their tasks, while teachers tended to take less interest in the program with only 45% of all teachers attending these lessons. Almost all participating parents reported that such lessons would be beneficial for the care of their child, even though only 24.2% of the survey respondents (122 households) attended the lessons. Installing emergency kits in school health rooms was regarded as a key feature of this project. The introduction of a register card containing more specific health records of asthmatic students was considered necessary to replace the existing list of students with asthma. Conclusion: This study has merit in that a Korean asthma-friendly schools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despite the many obstacles to such programs becoming more common.

      • 국내 천식환자에서 천식 조절제 처방강도와 천식 악화와의 관계

        정성수,박동일,정재욱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

        목적: 우리나라 천식조절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 천식 조절제 사용률이 낮다는 보고는 있었으나 실제 약물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환자가 얼마나 천식 조절에 순응하는지를 살펴보지는 않았다. 따라서 낮은 조절제 사용률이 미치는 결과를 천식조절제 처방강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록 자료에서 2010-2016년 천식진단을 받은 성인 환자(ICD-10 진단코드: J45.X-J46.X)로서 1년이상 추적되고 천식진단이 반복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에서 천식 조절과 관계된 천식 처방을 조사하였고 다음과 같이 저자가 개발한 천식조절제 처방강도를 계산하였다. 이에 따라 천식조절제 처방강도와 입원이나 응급실 방문 같은 천식악화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천식 조절제 처방 강도(asthma controller prescription intensity)=관찰기간 동안 조절제 처방 총 개수/(1 + 속효성증상완화제 처방갯수)/관찰기간(년) 결과: 최종700,652명을 분석한 결과 2010년 이후의 천식 처방 패턴은 이전과 같이 조절제의 처방은 연평균 1개 이하(0.71개/인)로 미흡하고 속효성 완화제가 상대적으로 5배 이상(3.82개/인) 더 많이 처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일수록 증상완화제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였다. 고령일수록 천식의 중증도는 일반적으로 높아지는데 비해 오히려 천식 조절치료는 감소하고 있어서 노인 천식에서 상대적으로 잦은 악화를 유발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조절제 처방강도가 낮을수록 입원 및 응급실 방문 빈도는 증가하였다. 반면 속효성완화제 처방빈도가 높을수록 입원 및 응급실방문 빈도가 높았다. 결론: 낮은 천식 조절제 처방강도는 천식의 악화(입원 및 응급실방문)와 관련되어 있다. 조절제 처방강도를 높이고 속효성 완화제 처방을 줄이는 천식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기관지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임상적 효과 검토

        여목아웅,묘촌건치,강천아인,실야충,Masao, Suzuki,Kenji, Namura,Masato, Egawa,Tadashi, Yano 대한침구의학회 2007 대한침구의학회지 Vol.32 No.3

        목적 :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약을 포함한 약물치료에도 조절되지 않았던 기관지천식 환자 6 증례에 대하여 침구치료를 행하여,연구방법의 하나인 조건반전법(N-of-1)을 이용하여 침치료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방법 : 연구디자인 : 조건반전법으로 침치료 기간(A기간)과 침치료 휴지기간(B기간)을 서로 반복하였다. A기간은 10주간으로 하고 1주간에 1회의 침치료를행하였다. 실시장소 : 메이지 침구대학부속병원 내과와 부속침구센터 대상 : 기관지천식의 표준적인 약물치료를 행하여도 천식발작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았던 중등증에서 중증의 천식환자 6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기관치천식에 대한 침치료의 효과를 아래의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 발작상태를 천식일지에 의해 평가 (2) 호흡곤란감을 VAS(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해 평가 (3) 호흡기능검사 (4) 말초혈호산구수 (5) 스테로이드약의 투여량 (6) 중증도 효과 : A기간에 동시적으로 모든 예에서 천식발작과 호흡곤란감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한편 B기간에서는 6례 중 5례에서 천식발작의 재연이 확인되었다. 또한 천식발작의 개선에 수반하여 모든 예에서 중증도의 개선도 인정되었으며,6례 중 4례에서 스테로이드약의 감량이 가능하게 되었다. 결론 : 약물치료로 조절되지 않았던 기관지천식 환자에 대하여 침치료를 행한 결과, 환자의 천식발작, 자각증상, 호흡기능의 개선에 유효하였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알레르기 ; 천식증상으로 내원한 성인에서 운동유발성 천식과 아토피의 상관관계

        한진형 ( Jin Hyung Han ),권병운 ( Byung Woon Kwon ),현경희 ( Kyung Hee Hyun ),김용현 ( Young Hyun Kim ),이현숙 ( Hyun Suk Lee ),김도형 ( Do Hyung Kim ),김윤섭 ( Yon Seop Kim ),박재석 ( Jae Suk Park ),김경묵 ( Kyung Mook Kim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6

        목적: 아토피는 천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천식의 발생과 악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천식으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아토피와 운동유발성 천식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천식증상으로 단국 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를 방문하여 운동유발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적 검사로 피부단자시험, 메타콜린 기관지유발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다. 과거에 흡연을 하였거나 현재 흡연 중인 환자들은 모두 제외하였다. 결과: 총 40명의 성인 환자들을 분석하였다. 기도과민성을 보인 환자는 운동유발성 천식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더많았다(85.7 vs. 42.1%, p=0.007). 아토피는 운동유발성 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더 흔히 관찰되었고(85.7 vs. 47.4%, p=0.017), 아토피 점수(16.5±3.0 vs. 6.5±2.0, p=0.011) 및 아토피 지수(2.1±0.3 vs. 1.0±0.3, p=0.004)는 운동유발성 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총 40명의 환자들 중기도과민성이 있는 26명의 천식 환자들과 기도과민성이 없는 14명의 환자들 각각을 대상으로 운동유발성 천식 유무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다. 26명의 천식 환자들 중 운동유발성천식은 18명(69.2%)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들에서 아토피 빈도, 아토피 점수 및 아토피 지수가 높은 경향이 관찰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도과민성이 없는 14명의 환자들중 운동유발성 천식은 3명(21.4%)에서 관찰되었으며 아토피빈도는 운동유발성 천식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아토피 점수(22.3±3.3 vs. 5.9±2.3, p=0.007) 및 아토피 지수(2.3±0.3 vs. 1.0±0.4, p=0.028)는 운동유발성천식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D. pteronyssinus (76.2% vs. 42.1%, p=0.028)와 D. farinae (76.2% vs. 36.8%, p=0.012) 양성률은 운동유발성 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이분형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메타콜린에 대한기도과민성(위험비[OR]: 14.3, 95% 신뢰구간[CI]: 1.86-109.4)과 아토피(OR; 16.9, 95% CI; 2.04- 140.74)는 운동유발성 천식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아토피는 운동유발성 천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 생각된다. 운동유발성 천식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D. pteronyssinus와 D. farinae의 양성률이 높아 집먼지진드기 항원이운동유발성 천식의 발생과 악화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Aims: Atopy is closely related to asthma and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and exacerbation of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exercise-induced asthma (EIA) and atopy in adult patients with asthma-like symptoms. Methods: Forty young male patients with asthma-like symptoms were enrolled. Skin prick,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and exercise provocation tests were performed. Current and ex-smokers were excluded. Results: Exercise provocation tests were positive in 21 patients (52.5%).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to methacholine (85.7% vs. 42.1%, p=0.007) and atopy (85.7% vs. 47.4, p=0.017)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EIA than in those without EIA. EIA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opy score (16.5±3.0 vs. 6.5±2.0, p=0.011), atopy index (2.1±0.3 vs. 1.0±0.3, p=0.004), and positive responses to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76.2% vs. 42.1%, p=0.028) and Dermatophagoides farinae (76.2% vs. 36.8%, p=0.012), but not with positive responses to pollen allergens. AHR to methacholine (odds ratio [OR]: 14.3, 95% confidence interval [CI]: 1.86-109.4) and atopy (OR: 16.9, 95% CI: 2.04-140.74)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EIA. Conclusions: Atopy was a risk factor for EIA in young adult men, and sensitization to house dust mites was associated with EIA. (Korean J Med 2011;81:723-728)

      • KCI등재후보

        HRCT를 이용한 천식의 중증도에 따른 기도개형의 평가

        임성용 ( Seong Yong Lim ),김양수 ( Yang Soo Kim ),최병휘 ( Byoung Whui Choi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6

        목적: 기도 개형은 천식의 특징으로 최근 HRCT가 기도벽의 비후와 같은 기도 개형의 평가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기도벽의 비후는 천식의 중증도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지고 있지만 국내 연구는 드문 상태이다. 본 연구는 성인 천식 환자에서 중증도에 따른 기도벽의 비후도 차이를 비교하고 이와 폐기능 및 기관지 과민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37명의 성인 천식 환자(경증 천식 17명, 중등증천식 11명, 중증 천식 9명)를 대상으로 HRCT를 시행하여 기도벽의 두께(T), 기도 내경(d)를 측정한 후, 기도 외경(D)을 계산하여 구한 T/D 비를 기도벽의 비후도 지표로 이용하여 각 군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고 폐기능 및 기관지 과민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기도벽의 비후도(T/D 비)는 중등증과 중증 천식군에서 경증 천식군보다 전체 기도에서 크게 나타났다(0.278±0.014, 0.281±0.019 vs. 0.228±0.013; 각각 p=0.022, p=0.021). 소기도에서도 기도벽의 비후도는 중증 천식군에서 경증 천식군보다 컸다(0.313±0.018 vs. 0.253±0.013; p=0.009). 대기도에서는 세군간에 비후도 차이가 없었다. 기도벽의 비후도는 폐기능 상의 FEV1 절대값 및 % 예측치와 전체 기도(r=-0.519, p=0.001; r=-0.396, p=0.015), 소기도(r=-0.567, p<0.001; r=-0.450, p=0.008) 및 대기도(r=-0.395, p=0.015; r=-0.351, p=0.033)에서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기도벽의 비후도와 기관지 과민성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기도벽의 비후는 경증 천식보다 중등증과 중증천식에서 심해지고 기도벽의 비후도가 클수록 기도 폐쇄가 심해진다. Background: Airway remodeling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airway wall thickness. We aimed to compare the airway wall thickness among asthmatic subjects with different severity and to examine its relation to pulmonary function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Methods: Thirty-seven adult asthmatics were assigned to mild (MA, n=17), moderate (MoA, n=11), and severe (SA, n=9) groups according to the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classification. Patients with more than 10 pack-years of smoking history were excluded. We measured the airway wall thickness (T) and internal diameter (d) using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and then calculated the external diameter (D). The T/D ratio was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T/D ratio and pulmonary function (methacholine PC20) were assessed. Results: The mean T/D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A and the SA groups than in the MA group for the total airways (0.278±0.014, 0.281±0 .019 vs. 0.228±0.013; p=0.022, p=0.021, respectively). The mean T/D ratio was also higher in the SA group than the MA group for the small airways (0.313±0.018 vs. 0.253±0.013; p=0.009).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large airways. The mean T/D ratio negatively correlated with FEV1 (L) and FEV1 (% of predicted) in total airways (r=-0.519, p=0.001; r=-0.396, p=0.015), small airways (r=-0.567, p<0.001; r=-0.450, p=0.008) and large airways (r=-0.395, p=0.015; r=-0.351, p=0.033). The methacholine PC20 was not related to the T/D ratio.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sthma have greater airway remodeling than those with mild asthma, and the degree of airway wall thickening correlates to the severity of airflow obstruction. (Korean J Med 73:631-637, 2007)

      • KCI등재

        천식환자 발생의 생태학적 요인 분석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중심으로-

        김문년,이원기,박재용,Kim, Mun Nyeon,Lee, Won Kee,Park, Jae Yo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3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별 특성요인이 천식환자 발생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010년도 건강보험환자 중 천식 (J45~J46)으로 확진된 2,266,4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자치단체별로 천식환자 발생 차이를 비교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인자들이 천식환자 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전체 천식환자 발생은 영유아 비율, $SO_2$, 기온차, 분지인 지형, 댐 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유아 천식환자 발생은 주관적 건강수준 인지율, $SO_2$, 분지인 지형, 댐 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 천식환자 발생의 경우는 영유아 비율, $NO_2$, 기온차, 해안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별 다양한 특성요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켜 천식환자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취약계층인 영유아 및 노인은 천식 유해환경으로 부터 보호되고 예방될 수 있는 지역별 맞춤형 환경보건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igured out the influential factors of region-based characteristic factors in our country upon asthmatic occurrence. Research subjects were 2,266,451 people who were confirmed the diagnosis of asthma (J45~J46) among patients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the year in 2010. The influence in each of factors upon the asthmatic occurrence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fter comparing difference in asthmatic occurrence by basic local government.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the whole asthmatic occurre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ants ratio, $SO_2$,Temperature, basin and dam area. The asthmatic occurre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level, $SO_2$, basin and dam area. A case of asthmatic occurre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ants ratio, temperature, $NO_2$ and coastal area. Diverse characteristic factors by region were indicated to have influence upon the asthmatic occurrence by causing or weakening asthma through mutually complex action. Accordingly, a region-based customized environmental health measure will need to be arranged that infants and elderly people, who are vulnerable classes, can be protected and prevented from harmful environment of asthma.

      • KCI등재

        Increased Intraepithelial Mast Cells in Pulmonary Airways of Mouse Asthma Model

        강경화,이광소,채옥희,송창호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2

        Asthma is an increasingly prevalent, often severe disease and the common cause of significantrespiratory morbidity in the developed world. Mast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llergy diseases, but the role ofepithelial mast cells in the asthma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research, we assessed the number of the mast cells inthe lungs of the ovalbumin(OVA)-induced murine asthma model. BALB/C mice, 6-week age, were intraperitoneallyinjected with 10% OVA 200L with aluminum hydroxide on days 0 and 10 and challenged via the airways with 1%OVA for 20 min on days 17, 24, 31, 38, 45 by intra-tracheal inhalation, and assessed after 7 days of last challenges,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was assessed with sensitization only. The lung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Congo red, toluidine blue, and periodic acid Schiff-hematoxylin, respectively. The mast cells were observed by lightmicroscope and analyzed with image analysis system. There were no intraepithelial mast cells in the lungs of thethe epithelium of lungs. This result shows that the intraepithelial mast cells of lungs in the OVA-induced asthmamodel increased along with the challenge times. So the intraepithelial mast cells may play an impotent role in theOVA-induced asthma model. 천식(asthma)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질병들 중 하나이며 허파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비만세포(mast cell)가 천식의 병태생리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천식환자와 천식동물모델에서 기도의 점막밑조직과 근육층에서 비만세포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상피내 비만세포의 수적 변화는 잘 모른다. 이에 마우스 천식모델을 이용하여 허파기도의 상피내 비만세포의 수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Balb/c마우스의 복강 안으로 명반(alumn)이 포함된 10%의 오브알부민(ovalbumin) 200 µL를 10일 간격으로 2회 주사하여 감작(sensitization)시켰다. 감작 후 1% 오브알부민을 일주일 간격으로 각각 1회, 3회, 5회씩 기도내흡입(inhalation)으로 야기(challenge)시켰다. 대조군은 오브알브민 대신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고 실험군은 감작만 시킨군, 감작과 1회 야기군, 감작과 3회 야기군, 감작과 5회 야기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은 마지막 주입 후 7일이 경과한 다음 도살하여 허파를 얻었다. 통상적인 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허파의 천식유발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hematoxylin-eosin 염색을, 호산성백혈구의 침윤을 관찰하기 위하여 congo red 염색을, 기도 점막의 술잔세포와 점액분비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periodic acid Schiff-hematoxylin 염색을, 비만세포의 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toluidine blue염색을 시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비만세포의 수는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세었고 이미지분석시스템으로 조직학적 면적을 산출하였다. 감작과 야기를 시킨 천식유발 실험군에서는 야기 횟수에 비례하여 기도와 혈관 주위에서 호산성백혈구를 포함한 많은 염증세포들이 관찰되었고 기도 점막상피에서 술잔세포들은 비대해지고 그 수도 증가하였으며 기도의 내강은 점액들로 채워져 있었다. 이러한 천식 반응들은 대조군과 감작만 시킨 실험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과 감작만 시킨 실험군에서 허파의 기도와 혈관주위 결합조직에서 비만세포들이 소수 관찰되었으나 기도의 상피내 비만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감작과 야기를 시킨 천식유발 실험군에서는 야기 횟수에 비례하여 기도의 상피내 비만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모든 실험군에서 기도와 혈관 주위 결합조직에서 관찰되는 결합조직형 비만세포의 수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마우스 천식모델에서 반복적인 야기로 기도의 상피내 비만세포의 수가 증가한다는 결과로 미루어, 천식반응에서 상피의 비만세포들이 외부로부터 흡입된 알러젠 (allergen)과 일차적으로 반응하여 급성 천식반응 (acute asthmatic response)을 유발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천식아동의 행동장애와 임상요인과의 연관성

        최보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천식환아의 행동장애는 천식이라는 질병자체에 의한 생물학적 조건과 만성 질환을 앓는 데에 따라오는 이차적 환경조건이 그 발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천식환아의 행동특성을 조사할 때에는 단순한 역학조사보다는 임상적 요인, 생물학적 조건 및 심리적, 환경적 조건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식환아 28명을 대상으로 부모와 교사가 평가한 환아의 행동특성을 임사요인 및 이학적 검사소견관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임상요인으로는 천식의 유병기간, 천식의 심각도 및 알레르기의 가족력이, 이학적 검사소견으로는 혈중 호산구수, 혈청 면역글로블린 E 및 메타콜린 부하검사가 포함되었다. 환아의 행동특성의 평가는 부모와 학교 담임교사가 각각 부모용 및 교사용의 한국형 아동행동조사표를 작성하였고 환아의 집중력 검사는 T.O.V.A.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천식환아군이 성별과 나이를 맞춘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한국형 아동행동조사표상 의의있게 높은 행동장애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천식의 유병기간이 길수록, 혈중 호산구수가 많을수록, 메타콜린부하검사에서 적은 양에 반응할수록 행동조사표상의 점수가 높았다. 알레르기의 가족력과 혈청면역글로블린 E는 행동조사표의 점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천식의 심각도는 행동조사표의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일반적으로 중증의 천식을 가진 환아에서 높게 나타났다. 집중력검사상 정상대조군 아동과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천식을 오래 앓을수록, 그리고 천식의 이학적 검사결과상 기도의 과민반응이 심할수록 부모와 교사가 평가하는 아동의 행동상의 문제점이 많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Objects : The results of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in 28 children with asthma are reported. Methods : The children were classifi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asthma, the severity of asthma and the family history of allergy. Estimation of blood eosinophil count, level of serum Ig E, and th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were also carried out. Both parents and school teachers completed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T.O.V.A., one of the standardiz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s, and K-WISC were assessed to evaluate their attentional problem, and to rule out cognitive dysfunction. Results : Though the total scores of CBCL-parent and CBCL-teacher were higher than the age- and sex- matched normal controls, they were not much higher than the scores for psychiatric clinic groups. The results of CBCL rating by both parents and teachers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showing reliability of their ratings. Longer the duration of asthma, higher the blood eosinophil count. Less the amount of methacholine in MCT, higher the CBCL scores by both parents and teacher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longer duration of asthma and with more hypersensitive airway reaction may have more behavioral problems.

      • KCI등재

        천식진료지침에 따른 숙주인자와 환경인자를 고려한 천식취약지역 도출 연구 - 서울시 426개 행정동의 9개 취약요인 데이터를 중심으로

        배웅규,전림비 한국도시설계학회 202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4 No.6

        오늘날 이상기후로 직간접적인 피해가 누적되고 있으며, 특히, 미기후 악화에 따른 천식, 비염, 아토피피부염 등 환경성 질환자 수와 의료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21년 3월부터 23년 2월까지 총 9개 지표를 활용하여 천식과 다른 악화요인의 상관성 및 여러 지표 사이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며 서울시 천식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천식과 선정된 지표들 간에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노령인구가 제일 큰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회귀 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식에대한 노령인구 및 20년이상 노후건축물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서울시 천식 취약지역 도출결과, 미세먼지 및 온도의 영향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와경제특성 등 지표들이 높은 지역일수록 높은 취약성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천식 취약지역의행정동 단위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천호동, 당산동 등 10개 지역의 취약성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천식에 악화 인자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천식 취약지역 등급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시민의 건강을 고려하는 도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In recent years, direct and indirect damage is accumulating due to abnormal weather cau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tients with diseases such as asthma and the medical burden are increasing due to the worsening microclimate. This study uses a total of 9 indicators from March 2021 to February 2023 targe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sthma and other aggravating factors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indicators to derive asthma vulnerable areas in Seoul.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asthma and the selected indicators, with the largest effect in the elderly population.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elderly population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asthma. Third, as a result of deriving asthma vulnerable areas in Seoul, areas with higher indicators such as popul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have a higher vulnerability.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study on asthma vulnerable areas, 10 areas, including Cheonho-dong, showed the highest vulner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s urban management considering citizen’s health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aggravating factors in asthma and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sthma vulnerable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