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각된 규제/질병 · 재난 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지 간 관계에서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 검증: 아시아시장 진출 한국기업들을 대상으로

        장유진(JANG, YU-JIN),이재은(LEE, JAE-EUN) 한국경영학회 2021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8

        본 연구는 해외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지각된 규제 위험과 질병 · 재난 위험이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한다.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 106개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인지하는 규제 위험은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규제 위험이 강화될수록 기업들이 현지시장에서 더 이상 사업을 유지할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인지하는 질병·재난 위험 또한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병 · 재난 위험 발생 시 공급망 붕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험감수성은 기업들이 인지하는 규제 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지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에게 현지시장 내 규제 위험은 기업들이 현지시장에서의 사업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위험감수성은 기업들이 인지하는 질병 · 재난 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지 간 관계를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에게 질병 · 재난 위험의 발생은 기업들의 현지시장 철수의지를 강화시키지만, 위험을 감수하려고 하면 향후 기대되는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재무적 성과, 고용창출등)로 인해 철수의지가 약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들이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규제 위험과 질병 · 재난 위험을 지각된 위험의 주요한 하위차원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위험감수성이 질병 · 재난 위험이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약화시킨다는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perceived regulatory risks and disease · disaster risks on the exit intention of Korean firms from the local market, focusing on the regulatory effects of risk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106 Korean firms entering in the Asian market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ory risks recognized by Korean firms entering in the Asian market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This can be interpreted as firms no longer feel the need to maintain their businesses in the local market as regulatory risks are tightened. Second, the risk of disease · disaster recognized by Korean firms entering the Asian market also affects the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This seems to have had negative effects such as supply chain collapse in the event of disease · disaster risk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risk-taking propensity. First, risk-taking propensity does no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risks perceived by firms and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factor that makes it difficult for firms to maintain their business in the local market anymore, which does not affect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Second, risk-taking propensity has been shown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 disaster risks perceived by firms and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in the direction of wealth. This means that for firms the occurrence of disease · disaster risks strengthens their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but trying to take risks could weaken their exit intention due to the positive effects of future projects (financial performance, job creation, etc). This study could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in that prior studies consider regulatory risks and disease · disaster risks as major sub-dimensions of perceived risks, and that risk-taking propensity weakens the impact of disease · disaster risks on local market exit intention.

      • KCI등재

        지각된 질병·재난위험 및 규제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도 간 관계에서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 검증: 아시아 국가에 진출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한가록,장유진,이재은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3 국제경영리뷰 Vol.27 No.3

        본 연구는 사회적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아시아 국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지각된 질병·재난위험과 규제위험이 현지시장 철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한다. 아시아 국가에 진출한 한국기업 106개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시아 국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인지하는 질병·재난위험은 현지시장 철수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질병·재난위험이 현지시장에서의 사업연속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재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현지시장 철수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아시아 국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인지한 규제위험은 현지시장 철수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지국 시장에서 규제위험을 높게 인지할수록 규제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사업비용을 지불하게 하고 이는 곧 현지시장에서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현지시장 철수의도가 높아지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위험감수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위험감수성은 기업들이 인지하는 질병·재난위험과 철수의도 간 유의한 정(+)의 관계를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위험을 감수할수록 현지시장에서 앞으로의 수익창출을 기대하고, 현지에서 사업을 수행하려는 의지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기업이 인지한 질병·재난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도에 미치는 유의한 정(+)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넷째, 위험감수성은 규제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도 간 관계에는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일반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때 사전조사를 하거나, 이미 진출한 현지기업일 경우 현지시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현지국 특성을 학습했을 가능성이 높아 이들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나오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들이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사회적 인지이론을 바탕으로 기업이 지각한 위험의 하위요인을 환경적 장벽인 질병·재난위험과 제도적 장벽인 규제위험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위험감수성과의 상호작용이 철수의도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erceived disease·disaster, and regulatory risks on Korean firms’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in Asian countri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isk-taking propensity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of 106 Korean firms operating in Asian countrie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ease·disaster risks perceived by Korean firms in Asian countr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Second, the regulatory risk perceived by Korean firms in Asian countr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Third, risk-taking propensity weakens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disaster risk and risk-taking propensity by firms and the exit intention. However, fourth, risk-taking propensity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risk and the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which previous studie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is study is considered as a regulation that is an institutional barrier to diseases and disasters perceived by companies. In addition, it presents meaningful implications as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ating effects of risk-taking propensity.

      • KCI등재

        COVID-19 질병위험지각과 관광객의 힐링 관광 동기, 관광 만족 및 삶의 질과의 구조적 관계

        강동익,홍정민,허용덕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3

        The COVID-19 Pendermic, which began in 2020, has changed many of our daily lives with a global spread and influence that no one expected. In this study, among the various risk perceptions of tourists, the need for research on risk perception and tourism behavior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is raised.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find a way to revitalize tourism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effect of tourists’ perception of disease risk on healing tourism motivation, tourism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500 tourists who visited 7 cities and regions in Gangwon-do, and 442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dow Version 21.0 & AMOS 21.0.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ourists’ perception of disease risk was analyzed as risk severity and risk possibility, and healing tourism motivation was analyzed as four factors: psychological healing, sympathetic healing, physical healing, and leisure healing, and tourism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in a single dimen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ossibility of risk, which is the perception of disease risk of tourists, had a negative (–) effect on the healing tourism motivation, and the risk sever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healing tourism motiva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risk poss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ease risk perception, tourism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nd risk severity had a negative (–)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ing tourism motivation, tourism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had a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there isa ne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domestic tourism, which is revitalized by identifying tourists’ safety and healing needs, preparing for post-COVID-19,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leisure use. 2020년에 시작된 코로나19 펜더믹은 아무도 예상치 못한 수준의 전지구적 확산과 영향력으로 우리 사회의 많은 일상을 변화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들의 다양한 위험지각 중 COVID-19와 같은 전염병의 위험지각과 관광 행동의 연구 필요성에 따른 관광객의 질병 위험지각이 힐링 관광 동기, 관광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분석을 통해 관광 활성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내 7개 시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442매의 설문지를 통계패키지 SPSS Window Version 21.0 & AMOS 21.0을 이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관광객의 질병 위험지각은 COVID-19 위험지각 2개 요인인 위험 심각성과 위험 가능성으로 분석하였고, 힐링 관광 동기는 심리적 힐링, 교감적 힐링, 신체적 힐링, 여가적 힐링 등 4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관광 만족과 삶의 질은 단일차원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관광객의 질병 위험지각인 위험 가능성은 힐링 관광 동기에 부(–)의 영향을, 위험 심각성은 힐링 관광 동기에 정(+)의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질병 위험지각과 관광 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위험 가능성은 관광 만족과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위험 심각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힐링 관광 동기와 관광 만족, 삶의 질과의 관계 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광객의 안전 및 힐링 욕구를 파악하고 포스트 코로나 19를 준비하며 재활성화되는 국내관광의 만족도 향상과 여가선용에 따른 삶의 질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기업이 인지하는 지각된 위험 및 현지시장 몰입도가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진출 한국기업들을 대상으로

        장유진,이재은,송윤아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5

        본 연구는 해외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지각된 위험과 현지시장 몰입도가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아시아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 106개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이 인지하는 역량손실 위험은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 지 못하지만, 질병/재난 위험은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인지하는 역량손실 위험의 경우 일정부분 역량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기업 자체의 준비와 노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철수의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COVID-19와 같은 질병/ 재난 위험의 경우에는 예측과 통제가 어려운 부분으로 공급망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현지시장 철수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해외시장에 진출한 기업들의 현지시장 몰입도는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이 강조하는 바와 같이, 퇴출장벽이 높거 나 시장에서의 잠재적 성장성을 높게 판단해 현지시장에 몰입하려는 경향이 강한 기업들의 경우 현지시장에서 철수하려는 의지가 낮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연구들이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질병/재난 위험을 지각된 위험의 주요한 하위차원으로 고려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지각된 위험과 현지시장 철수의지 간 연관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기업들이 지각하는 위험의 경우 그 특성에 따라 현지시장 철수의지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다는 것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risks and local market commitment perceived by the firms entering the Asian market on the exit intention from the local market. In this study, Korean firms operating their business in the Asian market were categorized into perceived risks of capability loss(internal factors) and disease/disaster risks(external factors) and local market commitment affecting the exit intention.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risks of capability los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it intention of Korean firms. Secondly, the perceived disease/disaster risks of firm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xit intention of Korean firms. Thirdly, the local market commitment of firm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exit intention of Korean firms. This study h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n that it has resulted in the fact that disease/disaster risks affect the exit intention of firms from the local market with the perspective of contingency theory. It also has a practical implication in that the effect on the exit intention depends on the type of risk faced by firms. Lastly, it has a methodological implication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Korean firms entering the Asian market.

      • KCI등재

        식이섭취상태가 사망과 질병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

        김혜련 ( Kim Hye-r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3

        사망원인에서 이들 만성질환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의료비가 급증하면서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해 이들 질환의 발병과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적 식생활 요인의 파악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서구에서는 식사의 질이나 영양섭취와 사망과 질병 발생과의 연관성을 제시한 종단적 연구나 코호트 연구들을 통해 영양과 식이섭취가 질병에 미치는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들이 많이 제시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영양과 식이섭취와 질병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가 그동안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 는 대표성이 확보된 1998년과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계청 사망통계와 건강보험자료와 연계하여 코호트 형태의 종단적 자료로 구축하여 영양섭취와 식사 질이 사망과 질병발생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한국인에서 식이섭취 요인과 사망 및 주요 질병발생 위험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영양섭취 수준과 사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영양섭취수준과 식사의 질이 낮을 경우 사망위험과 주요 질병 발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사의 질을 나타내는 영양소 섭취의 적정비(MAR), 영양밀도지수(INQ)가 가장 높은 1분위에 비하여 가장 낮은 5분위에 속한 영양섭취수준이 열악한 그룹에서 전체 사망위험이 2배 이상 높은 결과를 보였다. 기저건강수준, 사회경제적 위치, 임상적 위험요인, 건강행태 요인을 모두 보정한 후에는 영양섭취수준이 낮은 군에서 사망위험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향후 이러한 기초자료에 기반한(evidence-based) 중재프로그램이 영양과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of mortality and morbidity of major chronic diseases and the nutritional intake status/diet quality using a national longitudinal data from Korean population. Data of 8,941 men and women aged 30+ from 1998 and 2001 Korea National Hela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collected from a stratified multistage probability sample of South Korean households, were individually linked to national death certificate data and national insurance hospitalization data during 4~7 year follow up through 2005. K-NHANES linked data have strong advantage of including a variety of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nutritional risk factors and baseline health status as well as health behaviors, biological risk factors.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in this study to estimate relative risk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of mortality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bidity (selected diseases) according to status of nutrional intake and diet quality indexes. Since studi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diet quality and death and diseases in Western counties, until now, a few studies have used longitudinal data with representativeness for Korean population. The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diet quality and mortality and morbidity of major chronic diseases showed that nutritional factor and diet quality could contribute to the lower risk mort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s in Korean population. The low-quality die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mortality compared with high-quality diet group. The risks of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cancer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low-energy intake group. Also, the low-quality diet group had more episodes of hospitalization of selected diseases.

      • KCI등재

        한국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유병률 추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우,김진흠,윤간우,이민지 한국조사연구학회 2023 조사연구 Vol.24 No.4

        한국의 농업은 농업인구의 고령화, 농기계 및 농약 사용의 증가, 장시간 노동 등의 이유로 인해 업무상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큰 직업 분야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우리나라 농업인들의 농작업으로 인한 질병과 손상의 규모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및 손상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진흥청의 2022년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농업인의 질병 실태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농작업 안전과 예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부적으로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질병률의 차이를 검토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질병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전체 농업인의 업무상 질병 유병률은 5.3%로 추정되었고, 여성농업인이 남성농업인보다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유병률이 더 높아지고, 먼지가 많은 작업을 하는 농민은 그렇지 않은 농민에 비해 질병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목에 부담을 가는 작업을 하는 농민들은 그렇지 않은 농민에 비해 질병 위험이 더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Agriculture in Korea is an occupational field with a relatively high risk of harming occupational health due to reasons such as the aging agricultural population, increased use of agricultural machinery and pesticides, and long working hours. The Korea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gularly conducts surveys of occupational diseases and injuries among Korean farmers to determine the scale of diseases and injuries caused by agricultural work and to identify the ca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ease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Korean farmers, thereb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agricultural safety and prevention strategies, by using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2022 Farmers' Occupational Disease Survey data.We investigated in detail the differences in prevalence rat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examined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prevalence rate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valence of occupational diseases among all farmers was estimated at 5.3%, and the prevalence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female farmers than among male farmers. In addition, the prevalence rate increases with age, farmers who do dusty work have a higher risk of disease than farmers who do not, and farmers who do work that puts a strain on their necks have a higher risk of disease than farmers who do not do this. The result was that this was high.

      • KCI등재

        신 국제보건규칙(IHR 2005)제정에 따른 국제보건법의 발전

        張信(Shin Chang) 대한국제법학회 2007 國際法學會論叢 Vol.52 No.2

        세계보건기구는 2005년 5월 새로운 국제보건규정(IHR)을 채택하였는데, 그것은 19세기 중반이래 공중보건에 관한 국제법이 형성된 이후 가장 혁신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를 수용한 것이다. 개정 IHR은 과거 관련 국제법규와 획기적으로 다른 범세계적 질병감시와 대처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즉 새로운 보건규정은 세계적인 공중보건문제를 지역에서부터 지구적 차원까지 통일적다루는 근본적 지배구조(가버넌스)를 마련한 것이다. IHR은 새로운 질병통제에 관해 5가지의 사항을 도입하였다. 즉 (ⅰ) 적용범위의 확대, (ⅱ) 체약국 의무로서 최소핵심감시 및 대응능력, (ⅲ) 비정부기구 출처 감시정보에 대한 접근과 사용권한의 WHO 보유, (ⅳ) 국제관심사로서 공중보건긴급사태의 발생을 선언할 권한과 그러한 위기 및 통상적인 공중보건 위험에 대하여 당사국이 취해야할 조치를 권고할 권한, (ⅴ) 당사국이 IHR을 이행함에 있어 인권개념을 포섭하도록 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 중에서 그 적용범위의 확대에 관한 것이다. 즉 적용대상이 되는 질병을 과거에는 콜레라, 페스트, 황열 만을 의미하였는데, 이제는 그렇게 한정된 전염성 질병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그 대상을 질병, 사태, 공중보건위험, 국제관심사로서 공중보건긴급사태라는 4가지 단계적 개념으로 대체하여 그 잠재적 위험성에 따른 탄력적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보건규정이 적용되는 시점에서 당사국의 의무가 확대되었다는 점이다. 즉 각 당사국은 보건대책을 수립하고, 적용함에 있어서 무역, 인권에 대한 부당한 침해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이렇게 세계적인 질병통제를 함에 있어서 국가이외에도 비정부기관(NGO)의 참여, 즉 그들이 갖고 있는 정보와 감시능력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IHR은 다음과 같은 제약을 아직도 갖고 있다. 첫째, 세계공중보건위험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을 두기보다는 수비적이고 응급대응책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아직도 WHO의 권고는 구속력이 없으며, 지침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물론 국제기구의 일반적 성격에 비추어 보면 당연하지만, 국제공중보건을 위협하는 질병과 그로인한 긴급사태를 적절하게 대처하려면 WHO의 지위가 좀 더 강화되어야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dopted the new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IHR) in May 2005, which constitute one of the most innovative and far-reaching changes to international law on public health since the beginning of the international concern to the sanitary and health of human in mid-nineteenth century. The revised IHR contain an approach to global disease surveillance and response radically different from anything previously seen in international law on public health. The new Regulations perceive a new world forming, in which global health security is a fundamental governance challenge for all humanity from the local to the global level. The IHR revision proposals embody a new strategy-global health security-implemented through a new approach-global health governance. There is two radical aspects. First, it break dramatically with the classical regime. Secondly, it contain a vision of integrated governance for global public health because the proposals connect public health objectives with principles and norms found in international law on trade, human right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ecurity. In short, WHO turned international health legal developments to the other areas of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helped the pursuit of global health security. This articles analyses the new IHR by examining the expanded scope of the disease application. It has replaced the static and closed disease of the classical regime with one built on the concepts of disease, event, public health risks, 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And new IHR als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cope of the obligations State Parties must undertake. They are the task of balancing public health protections and trade concern and human rights. But the IHR still has some problem in its effectiveness. First, it do not address directly the many underlying factors, but the strategy of global health security is essentially a defensive and reactive one. Second, WHO’s authority to issue temporary and standing recommendations may have more impact to the State Parties, but it still has non-binding force.

      • KCI등재

        언론에서 나타난 한국 사회의 미래 질병 위험 이슈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김태종,백주하,이수빈,신지영,채수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는 언론에서 나타난 한국 사회의 미래 질병 위험 이슈를 분석함으로써, 국내에서 주목받았던 미래 질병 위험과 시간에 따른 위험 요인의 변화를 파악하여, 향후 중점적으로 대응해야 할 미래 질병 위험을 식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3년 2월까지 보도된 54,096건의 미래 질병 위험 관련 뉴스 기사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15개의 토픽과 5개 차원의 이슈를 도출하여, 예방 중심의 보건 정책 강화, 정신 건강 지원 체계 구축, 취약 계층 복지 확대, 환경 보건 위험 관리 강화, 국제협력을 통한 글로벌 건강 문제 해결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to identify future disease risks that require a focused response, considering the future disease risk issues reported in the media of the Korean society. By understanding the future disease risks garnering domestic attention and their time series changes, this research aims to pinpoint the disease risks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future. The study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on 54,096 news articles related to future disease risks reported from 2010 to February 2023, thereby identifying a total of 15 topics and five issue dimensions, which led to several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strengthening preventive health policies, building mental health support systems, expanding welfare for vulnerable populations, enhancing management of environmental health risks, and addressing global health issues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 가축질병 발생개체 집단 분석 및 표준정보 활용 시뮬레이션 개발

        이승헌 ( Seung-hun Lee ),김락우 ( Rack-woo Kim ),석희웅 ( Hee-woong Seo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국내의 경우 축산업 생산액은 19조 8천억원(39.4%)으로 연평균 12.2%가 증가하였다. 축산업이 증가는 높은 가축 사육 밀집도 등 가축 질병 발생률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시킨다. 실제로 국내 사회재회로 발생한 손실액 중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피해액은 7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에는 가축질병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발생농가의 특성을 바탕으로 차후 감염 가능농장의 지리적 위치와 밀집도를 예측하였다. 하지만 가축질병 역학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들의 누락 가능성과, 예찰 및 방역에 투입 가능한 행정인력의 한계로 우리나라 농가들 중 전염병 추가 발생 농가, 가축사육두수, 살처분 두수 등 누락된 자료가 있으며 발생농장에 대한 방역활동은 물론이고, 농장을 방문한 사람 및 차량과 같은 전파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방역대책을 지원할 수 있는 분석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질병 발생개체 집단 분석 및 표준정보 활용기술 개발을 위해 가축전염병 발생 주요 원인들을 수집하였다. 축종별 가축질병 (조류 인플루엔자,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관련 내부요인, 외부요인을 수집하기 위해 발생농장에 대한 역학조사, 감염사례 분석, 국가별 추정 바이러스 유입원 또는 전파 경로 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몬테카를로 기반의 가축 질병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축질병 발생 시 농장방역사항, 전파경로 등 역학 조사 및 분석하여 수집자료의 위험정도를 도출하고 이를 가축질병 행동절차에 반영하여 향후 전염병 방역 핵심 교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가축질병 발생개체 집단 분석 및 표준정보 활용 기술 개발

        석희웅 ( Hee-woong Seok ),김락우 ( Rack-woo Kim ),이승헌,김우주,문준섭,김찬민,안수빈,이선형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유엔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사육 가축 두수는 2015년 41억마리에서 2050년 58억 마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국내의 경우 축산업 생산액은 19조 8천억원(39.4%)으로 연평균 12.2%가 증가하였다. 축산업이 증가는 높은 가축 사육 밀집도 등 가축 질병 발생률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야기시킨다. 실제로 국내 사회재회로 발생한 손실액 중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피해액은 7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기존에는 가축질병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발생농가의 특성을 바탕으로 차후 감염 가능농장의 지리적 위치와 밀집도를 예측하였다. 하지만 가축질병 역학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요인들의 누락 가능성과, 예찰 및 방역에 투입 가능한 행정인력의 한계로 우리나라 농가들 중 전염병 추가 발생 농가, 가축사육두수, 살처분 두수 등 누락된 자료가 있으며 발생농장에 대한 방역활동은 물론이고, 농장을 방문한 사람 및 차량과 같은 전파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방역대책을 지원할 수 있는 분석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질병 발생개체 집단 분석 및 표준정보 활용기술 개발을 위해 가축전염병 발생 주요 원인들을 수집하였다. 네팉워크 이론을 축종별 가축질병(조류 인플루엔자, 구제역,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관련 내부요인, 외부요인을 수집하기 위해 발생농장에 대한 역학조사, 감염사례 분석, 국가별 추정 바이러스 유입원 또는 전파 경로 등을 조사하였으며, 네트워크 이론을 활용하여 조사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가축질병 확산도 변화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축질병 발생 시 농장방역사항, 전파경로 등 역학 조사 및 분석하여 수집자료의 위험정도를 도출하고 이를 가축질병 행동절차에 반영하여 향후 전염병 방역 핵심 교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