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별지각,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민지,전진용,장혜인 한국여성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1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우울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통합적 영향을 규명할 목적으로 차별지각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문화적응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소재 국립정신건강센터 및 하나센터에서 모집한 북한이탈주민 여성 87명이 차별지각, 문화적응(남한문화지향, 북한문화지향), 문화적응 스트레스,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연령, 남한거주기간, 표집 기관 등은 공변인으로 분석에 포함하였다. PROCESS macro로 매개된 조절효과 모형을 분석한 결과, 차별지각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매개효과가 문화적응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더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지 않고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우울을 예측하는 직접경로가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차별지각과 남한문화지향의 주효과, 그리고 차별지각×북한문화지향×남한문화지향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정책적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주택수요는 투자심리에 반응하는가? 지역별, 점유형태별, 연령별 주택수요 실증분석

        이민지,정수연 한국감정평가학회 2024 감정평가학논집 Vol.23 No.1

        본 연구는 서울지역과 제주지역의 주택수요함수를 헤크만 2단계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경제주체는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주택을 구매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Case & Shiller(1988)는 주택가격이 상승하면 오히려 주택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이 서울과 제주지역에서 관찰되는 지 확인하고자 주택수요함수를 자가가구와 임차가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서울 자가가구의 가격탄력성 부호가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울 자가가구는 주택가격이 상승함에도 주택수요를 늘렸으며, 이러한 결과는 Case & Shiller(1988)의 연구결과와 같이 주택수요가 투자심리를 반영한다는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반면, 제주지역 자가가구의 경우 가격탄력성의 부호가 음(-)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가격이 상승하면 주택수요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stimated housing demand functions for the Seoul and Jeju regions using the Heckman two-step model.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Housing Survey from 2017 to 2021. Generally, economic agents tend not to purchase houses when housing prices increase. However, Case & Shiller (1988) pointed out that an increase in housing prices may lead to an increase in housing deman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ther such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in Seoul and Jeju regions by examining housing demand functions separately for owner-occupied households and rental househol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for owner-occupied households in Seoul showed a positive sign. That is, despite the increase in housing prices, owner-occupied households in Seoul increased their demand for housing. This result corroborates the findings of Case & Shiller (1988), suggesting that housing demand reflects investor sentiment. In contrast, for owner-occupied households in the Jeju region,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showed a negative sign. This indicates that an increase in prices leads to a decrease in housing demand in Jeju.

      • KCI등재

        이주돌봄노동자 고용에 관한 입법 필요성 및 방향에 관한 고찰

        이민지 법과사회이론학회 2023 법과 사회 Vol.- No.72

        COVID-19 is expected to prolong the gap in care work and gradually increase demand for care due to low birth rate and a rapid aging. However, it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for Koreans to meet the demand due to low wage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Therefore, the current legislation, which only recognizes migrant care workers for foreign nationals or married migrant women, is difficult to meet the ever-increasing demand and is expected to degrade the quality of services as well. However,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in the West, care labor has been paid as a means of economic activity for women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transnational migration, especially “Feminization of migration” has emerged since decades ago. In this process, care work, which had been regarded only as the work of women at home in the past, functioned only as a means of economic activity for low-skilled and low-income women under the neoliberal economic order before the perception that it was the value of labor and responsibility of both men and women was redefined. In addition, women from another low-income country filled the gap in caring for high-income women without exceeding the stereotype of gender roles on care, fixing the stratification between employer and worker women, and becoming a hotbed of exploit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of migrant women. As a result, at a time when the need to expand employment of migrant care workers is becoming more visible in the future, simply hiring cheap migrant care workers as a short-term solution to the current low birth rate and aging problem is a temporary measure that does not even grasp the nature of the problem. In order to establish a new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migrant care workers, legislation governing it must be prioritized, and related legislation such as the newly enacted law, especially 「Act On The Employment Improvement Of Domestic Workers」 and the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which is the basis fo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for foreign workers, should also be review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care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 value of care labor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urrent care labor market that deepen gender inequality while the value of care is distorted. In addition, by examining related laws regulating the special care labor market in Korea and reviewing related overseas legal system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it will be used as a cornerstone for preparing legislation for the employment of migrant care workers in the future. 코로나19로 인한 돌봄노동의 공백의 장기화 및 저출산 및 고령화로 인하여 돌봄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노동 강도 대비 낮은 임금과 열악한 노동환경에 내국인만으로는 그 수요를 충당하는 것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외국국적동포나 결혼이주여성에 한하여 이주돌봄노동자를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지금의 법제로는 지속해서 증가하는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서비스의 질도 저하될 우려가 예상된다. 하지만 이미 서구 선진국의 경우 수십 년 전부터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로 인한 돌봄 공백의 발생과 더불어 저개발국가 여성의 경제활동 수단으로 돌봄노동이 유급 노동화 되며, 돌봄노동 영역에서의 초국가적 이주, 특히 ‘이주의 여성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과거 가정 내 여성의 일로만 여겨져 왔던 돌봄노동은 노동으로서의 가치와 남녀 모두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재정립되기 전에 신자유주의적 경제질서 하에서 저숙련・저소득 여성의 경제활동 수단 정도로만 기능하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돌봄에 관한 성역할의 고정관념을 넘지 못한 채 고소득 여성의 돌봄 공백을 또 다른 저소득 국가의 여성이 채워나가게 되며 고용주 여성과 노동자 여성 사이의 계층화를 고착시키는 한편 이주여성 노동자의 착취 및 인권 침해의 온상이 되고 말았다. 이에 향후 이주돌봄노동자 확대 고용의 필요성이 점점 가시화되는 현 상황에서 단순히 현재의 저출산・고령화 문제의 단기적 해결 수단으로 값싼 이주돌봄노동자를 고용하고자 하는 것은 문제의 본질조차 파악하지 못한 미봉책에 불과하다. 아울러 이주돌봄노동자 고용을 위한 새로운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이를 규율하는 입법이 우선되어야 하는바, 현재 돌봄노동 중 특히 가사근로자에 관해 새로 제정되어 시행 중인 「가사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과 외국인근로자의 고용과 관련된 규정인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제의 검토 또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돌봄노동의 가치 제고를 목표로 돌봄의 개념을 살피고, 돌봄의 가치가 왜곡된 채 젠더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현 돌봄노동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한국의 특수한 돌봄노동 시장에 관하여 이를 규제하는 관련 법제를 알아보고, 관련된 해외의 법 제도와 국제적 기준을 검토함으로써 앞으로 이주돌봄노동자 고용을 위한 법제 마련을 위한 기준 마련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주거비부담 결정요인의 지역적 차이:서울, 부산, 제주를 중심으로*

        이민지,정수연 한국감정평가학회 2022 감정평가학논집 Vol.21 No.2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relieve the housing cost burden on households. Most housing programs are targeted at low-income households. However, policies should be more specific since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has been increasing and the average age of many populations is on the rise. In addition, issues such as the solitary death of the elderly, housing safety for women, and housing cost burdens for one-person households are garnering more attention. Therefore, the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impacting the housing cost burden of rental households in Seoul, Busan and Jeju Province in South Korea using Housing Survey 2019. While factors differ between cities, female-headed households have a higher burden than male-headed households, elderly people have a higher burden than young adults, and middle-aged people and one-person households have higher burdens than households with more than two individuals across the sample. 많은 나라에서 주거비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1인가구의 증가, 초고령사회 진입이 우리사회가 당면한 직접적 사회문제가 되면서 정책의 세분화가 요구되고 있다. 독거노인 고독사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여성의 주거안전이나 1인가구의 주거비부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9년 주거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부산시, 제주도 임차가구를 대상으로 소득대비 주택임대료 즉 주거비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주거비부담에 있어 남성보다는 여성이, 청장년층보다는 노년층이, 다인가구보다는 1인가구가 더 큰 주거비부담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떤 계층이 더 큰 주거비부담에 직면하고 있는가를 실증적 근거로 입증함으로서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여성, 노년층, 1인가구 특화 주거복지정책을 수립할 때 근거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적조생물의 성장단계에 따른 세포 내·외 Reactive Oxygen Species (ROS) 변화

        이민지,방단비,신성수,강윤자 한국수산과학회 202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7 No.4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by harmful algal blooms (HABs) exert detrimental effects on aquaculture systems. Fish gill cells deteriorate upon exposure to HABs, suggesting that internally generated ROS in HABs influences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ROS concentrations during growth using fluorescence staining of four representative HABs: Alexandrium affine, Chattonella marina, Karenia mikimotoi, and Margalefidinium polykrikoides. The concentrations of H2O2 and O2 - produced by A. affine were low; H2O2 from M. polykrikoides was primarily detected internally throughout the experiments, and O2 - was not detected. High H2O2 and O2 -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K. mikimotoi during the death phase, with weak external O2 - concentrations. Regarding C. marina, which produces large amounts of ROS, H2O2 was observed internally during the exponential phase, whereas weak O2 -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externally in the stationary phases. Collectively, our results highlight that ROS concentrations and internal/external distributions are functions of HABs and growth stage. These differences indicate the potential allelopathic mechanisms of proliferating HABs and suggest a possible impact of ROS on aquaculture organisms.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음악사 지도방안 연구 :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이민지,조대현,윤성원 한국음악응용학회 2016 음악응용연구 Vol.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음악사 지도방안을 연구하 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 지도방안을 연구하는 데 있 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국음악사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조선전기 사회·문화적 맥락을 통해 주요내용을 고찰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의 개요 및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스토 리텔링의 요소를 살펴보았다. 셋째, 조선전기 음악사의 주요내용과 스토리텔링의 요소를 접목하 여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조선전기의 음악사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세종 조에 정간보의 창안, 율관 및 악기제작과 아악정리, 세조 조 의 오음약보 창안, 성종 조에는 음악서인 악학궤범 편찬이다.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한국음악 사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접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acher is to study how to instruct korean music history of early Jo-Sun Dynasty using storytelling. For this I have focused on 3 things. Firstly, I checked the necessity of korean music history education considering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early Jo-Sun Dynasty. Secondly, I examined the summary of storytelling, educational effects and factors of storytelling. Thirdly, I invented an educational model combing crucial information of early Jo-Sun Dynasty and factors of storytelling. Based on them, I presented how to educate korean music history of Jo-Sun Dynasty using storytelling. I am sure that I can understand and approach to korean music history well suing storytelling.

      • KCI등재

        Complete chloroplast genomic sequence of Citrus platymamma determined by combined analysis of Sanger and NGS data

        이민지,박지혜,이혜연,손성한,이정호 한국원예학회 2015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6 No.5

        Citrus platymamma (Byeonggyul) of the family Rutaceas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tic resources of Korean Citrus. To characterize the chloroplast (cp) genetic makeup of this species, the cp genome was sequenced by both Sanger and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methods. The characterized cp genome is 160,121 bp in size: the large single copy (LSC) region is 87,732 bp, the inverted repeat (IR) is 26,998 bp, and the small single copy (SSC) region is 18,393 bp. The cp genome contains 114 genes and 21 introns, including 80 protein-coding genes, four RNA genes, 30 tRNA genes, 19 group II introns, and one group I intron.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with six known cp genomes from the Sapindales order, to which the Rutaceae belongs, the cp genome of C. platymamma is closest to that of Citrus sinensis. When directly comparing the cp genomes of C. platymamma and C. sinenesis, we detected size variation in the psbC and rps4 genes, four SNPs, and eight 1-bp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 cp genomic structures of C. platymamma and C. sinensis are identical in regards to the junction sequences of LSC-IRs and SSC-IRs, and provide evidence that the junction sequences of the SSC-IRs originated from the common ancestor of C. platymamma, C. sinensis, and C. aurantifolia. Further study of other species will provide enhanced understanding of cp genome evolution in the Citrus genus.

      • KCI등재

        A study on procedure for classifying male muscular lower body somatotype from general anthropometric database

        이민지,천종숙 복식문화학회 2013 服飾文化硏究 Vol.21 No.4

        The most researches developing pattern of compression style sportswear were targeted at the live model that has muscular body bui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a method for classifying men’s lower body types in terms of muscular body build. The 3D human body scan data and body measurements of 30s of Size Korea were analyzed. The subjects (n=203) were men between the ages of 30 and 39 years. Men’s muscular body build was classified with two key dimensions, thigh girth and calf girth.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From each group, average subjects (n=42) whose height and weight were close to the mean value (mean±1/2 S.D.) were selected. 42 subjects were divided up as four groups. Group Ⅰ (n=7) was thigh and calf developed body type. Group Ⅱ (n=9) was thigh developed body type. Group Ⅲ (n=11) was calf developed body type. Group Ⅳ (n=15) was thigh and calf undeveloped body type. Four groups had distinct different at widths (n=4), depths (n=4), and girths (n=9) dimen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scular men in their 30s could be defined by thigh and calf girths. The thigh developed muscular men had thigh girth over 60cm and the calf developed muscular men had calf girth over 38cm. From each group one representative was selected by 3D body scan figure.

      • KCI등재

        노년층에서 건성안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이민지,이군자 대한시과학회 2022 대한시과학회지 Vol.24 No.2

        Purpose : To evaluate the causes related to dry eye in the elderly Koreans. Methods : Dry eyes were screened using the SPEED questionnaire for the 36 elderly subjects (72 eyes, 17 males, 19 females, average age 62.11±4.84 years old). The amount of tear was evaluated by OCCUTUBE, and the stability of the tear film was evaluated by the tear film break-up time test. Tear lipid layer thickness (LLT), blinking counts and meibomian gland damage were measured by LIPIVIEW II® and analyzed with the Image J® program. Results : In the dry eyes, the score of SPEED questionnaire was 10.11±4.91 points, and the measured score of OCCUTUBE and the TBUT was 3.38±1.15 mm, 4.49±1.31 sec, respectively,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ormal eyes. However, LLT (80.36±20.78 nm)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that of the normal eyes (p=0.021). Meibomian gland (MG) damage grade (MG dropout, MG curling and, Gland thickness) was 1.17±0.70, 0.47±0.61 and, 0.61±0.60, respectively, which was more damaged than those of the normal eyes. LL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PEED score (p<0.009),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G loss. And the MG score was correlated with gland thickness and MG loss (p<0.050). Conclusion : In the elderly dry eyes screened with the SPEED questionnaire, the dry eye symptoms could be associated with LLT, and LLT is thought to be related to hypersecretory MG dysfunction. 목적 : 한국인 노년층을 대상으로 건성안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노년 36명(72안, 남 17명, 여 19명, 평균연령 62.11±4.84세)을 대상으로 SPEED 건성안 설문지를 이용하여 건성안을 판별하고, 눈물의 양은 OCCUTUBE로, 눈물막 안정성은 눈물막파괴시간검사(TBUT)로 평가하였으며, 눈물막 지방층 두께(LLT)와 눈깜박임 양상 및 마이봄샘 이상은 LIPIVIEW IIⓇ로 측정하고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건성안의 SPEED 설문값은 10.11±4.91점, OCCUTUBE 측정값 및 TBUT는 각각 3.38±1.15 mm, 4.49±1.31초로 정상안과 차이가 없었으나, 지질층 두께는 80.36±20.78 nm로 정상안보다 두꺼웠다(p=0.021). 마이봄샘이 손상된 grade(MG dropout, MG curling, Gland thickness)는 각각 1.17±0.70, 0.47±0.61, 0.61±0.60로 정상안보다 유의하게 손상이 심했다. 지질층 두께는 SPEED 설문값과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p<0.009), 마이봄샘 손실률과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마이봄샘 손상도는 마이봄샘 비대 및 손실과 상관성이 있었다(p<0.050). 결론 : SPEED 설문지로 감별한 노년층 건성안의 원인은 눈물막 지질층 두께와 관련이 있으며, 지질층 두께는과분비성 마이봄샘 기능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