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이상주(Sang Joo Lee),신원섭(Won Sop Shi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제도적 맥락과 제도변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한국 산림정책이 산림자원 보존에서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으로 전환하게 된 제도적 배경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방향과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 국가 정책과 관장기구, 산림계획 변화 분석은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제도적 맥락 관점으로 분석하고, 산림복지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경제·사회·외부환경 변화분석은 제도변화 결정 요인을 바탕으로 산림휴양·복지정책 발아기(T0)에서 산림휴양·복지정책 형성기(T1)를 거쳐 산림휴양·복지정책 확대기(T2)까지 제도가 변화해 가는 추이에 따라 향후 산림정책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산림수요 변화에 대처하는 산림제도의 변화가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2000년대부터 복지이념의 등장과 산림예산 확대, 산림행정기구의 규모 확대 등의 제도 영향으로 경제적 산림 개발에서 인간과 공존하는 산림, 건강하고 가치 있는 산림으로 산림의 효용을 극대화 한 산림제도 정책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background of Korea’s forestry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institutional changes and institutional contexts.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s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Among the research methods, analysis of changes in national policy, governing body, and forest planning is analyzed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o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changes in forest welfare policy paradigm and changes in economic, social and external environment are analyzed based on institutional change determinants. We will examine the direction of forest policy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ystem from the germination period of welfare policy (T0), through the formation period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1), and through the period of expansion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2). As a result of the study, changes in the forest system to respond to changes in forest demand were progressing very slowly, and since the 2000s, the emergence of welfare ideology, expansion of forest budgets, and expansion of fores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resulted in institutional influences such as coexistence with humans in economic forest develop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est system policy that maximizes the utility of forests is gradually changing into forests that are healthy and valuable.

      • KCI등재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객의 활동 경험, 인지도 및 만족도 분석: 연도별 및 이용객 특성별 차이 분석

        박정원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4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산림휴양·복지활동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산림휴양·복지활동 참여 양상, 만족도, 그리고 프로그램과 시설 인지도에 대한 연도별, 성별, 연령별, 가구소득별, 지역규모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일상형 활동 참여 목적이 “건강 증진”에서 “휴양 및 휴식”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당일형 활동 참여율은 연도별로 감소하고, 숙박형 활동 참여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둘째, 연령별 분석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산림휴양·복지활동 참여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산림휴양·복지 프로그램과 시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 경험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당일형 및 숙박형 활동 참여율이 높아지는 반면, 소득이 낮을수록 일상형 활동 참여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소득이 산림복지서비스 참여와 접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넷째, 읍면지역은 산림휴양·복지 프로그램과 시설의 인지도, 이용 경험, 이용 의향에서 대도시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별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히 고령층과 여성의 숙박형 활동 참여를 촉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저소득층의 산림복지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한 경제적 지원과 교통비 보조, 저렴한 숙박시설 제공 등의 방안이 필요하며, 읍면지역 주민의 접근성 개선과 홍보 전략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participation patterns,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rograms using data from the 2020–2023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Activity Survey.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year, gender, age, household income, and regional size. The results show a shift in daily activities from “health promotion” to “recreation and relaxation” as a primary purpose, with decreasing participation in day-long activities and consistently low participation in overnight activities. Participation increased with age but remained low among those aged 60 and older in terms of program awareness and usage. Higher income correlated with greater participation in both day-long and overnight activities, while lower-income groups favored daily activities, highlighting income as a key factor in accessibility. Rural residents reported lower awarenes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compared to urban areas. The study recommends developing tailored programs by age and gender, promoting overnight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and women, offering financial support for low-income groups, and enhancing accessibility and outreach in rural areas.

      • KCI등재

        괴산 산림복지단지조성에 따른 인식 및 요구분석에 대한 연구

        최순남,신창섭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1

        In recent years, the increase in income levels and leisure time has diversified recreational activities, and the level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demand analysis of the prospective applicants for the Gösan Forest Welfare Complex, which is actively addressing this demand and is created for the realization of forest welfare by life cycle, to create a failure-free composition. To this end, 800 members of the public were surveyed in the over-20sin three regions: Cheongju, Chungju, and Goesan County. The survey showed 43.3% awareness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Also conducted surveys on facilities that hope will be introduced into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forest campsite. An analysis of the introduced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ccommodation (22.8%) in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path (24.2%) in healing forest, indoor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ies (23.3%) in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cookroom (19.5%) in forest campsite. After the creation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it was found to be 75.6% willing to use it for the intention of use. The most family members(73.5%) wanted to use it together. The purpose of use was 34.0% health promotion. The use time was highest at 49.5% for 2 days or 3 days per night. 37.3% said they would use less than 50,000 won from 20,000 won. To date, there has been no cas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forest welfare complex has been completed in Korea, and related research is also lack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al research for the creation of forest welfare complex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increase in forest welfare services.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 증가로 휴양활동도 다양해지고,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이러한 수요에 적극 대처하고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실현을 위해 조성되는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하여 이용예정자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파악하여 실패 없는 조성에 있다. 이를 위해 청주시, 충주시, 괴산군 3개 지역 20대 이상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한 인지도는 43.3%로 나타났다. 또한 괴산 산림복지단지 내 조성예정인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에 도입되기를희망하는 시설에 대한 설문도 실시하였다. 도입시설물 설문 분석 결과 자연휴양림에는 숙박시설(22.8%), 치유의 숲에는 치유숲길(24.2%), 산림레포츠시설에는 실내 산림레포츠 체험시설(23.3%), 숲속야영장에는 취사장(19.5%)이가장 높게 나타났다. 괴산 산림복지단지 조성 이후 이용의향에 대하여는 이용할 의향이 있다가 75.6%로 나타났다. 함께 이용하고 싶은 사람은 가족(73.5%)이 가장 많았다. 이용목적은 건강증진이 34.0%로 나타났다. 이용시간은 1박2일이나 2박3일이 49.5%로 가장 높았다. 소요경비는 2만원에서 5만원 미만을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37.3%로 가장많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산림복지단지로 조성이 완료된 사례가 없으며, 관련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산림복지서비스 증대에 부합하는 산림복지단지 조성을 위한 실천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서울 · 경인 지역 중 ·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이니은(Lee, Nee Eun),연평식(Yeon, Poung Sik)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 경인 지역 중 · 고등학교 교사들의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 등을 파악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전인적 발달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혼합연구설계방법(mixed method)을 통해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필요성과 구성요소의 중요도, 기대효과 등에 대한 인식, 현재 학교산림복지서비스의 현황 및 요구,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의 설문 문항을 도출하여 서울 · 경인 지역 중 · 고등학교 현직 교사 2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교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게 평가하였고, 우울감 · 스트레스 감소 등 정신건강에 긍정적일 것이란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산림복지서비스 구성요소 중에서는 도시숲, 공원 등 지역 산림의 적극적 활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현재 중 · 고등학교 학교산림복지서비스 현황을 파악한 결과는 산림복지환경은 중 정도, 산림복지프로그램은 하 정도의 수준이었고 산림복지환경에 비해 산림복지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요구수준은 모두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산림복지프로그램 중 산림치유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학교산림복지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 내 녹지공간 조성, 정책 및 예산, 학교 교육과 연계한 산림복지프로그램, 학교장과 교사의 필요 인식과 의지 그리고 산림치유지도사나 숲해설가 등 산림복지전문가의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지만 향후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주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정부 · 학계 · 민간단체 등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우리의 청소년들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되는 학교산림복지서비스가 실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statistics on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which is design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to grow as a whole person an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by identifying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servic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45 incumben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rough the mixed method based on questions about the services such as how they evaluate the necessity; how they value the importance of each component; which effects they expect; what current status is like; what demands they have; and what they think is required to vitalize the servic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eeds for the services were generally high and the effect for mental health, such as the reduction of depression and stress, was most expecte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s, local resources such as urban forest and parks were valued the most. While teachers evaluated conditions for the services to be medium level, current programs were evaluated to be low level;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s were underdeveloped considering its conditions. The level of demand was all high, especially the demand for forest therapy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order for the service to be vitalized, many respondents said creating green zone in school area, policies and budgets for the service, forest welfare programs linked to regular curriculum, awareness and will of school principals and teachers, and support by experts such as forest healing instructors and forest interpreters were required.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to teachers, further studies to gather opinions from other stakeholders such as students, parents and policy makers and close cooperation among governments, academia,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ill make school forest welfare services help our youth grow happy and healthy.

      • KCI등재

        산림산업 특수분류에 따른 산림복지산업 업체수 현황 분석

        김기동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4

        Forestry, which is the primary industry, was only classified as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but in December 2020, the Statistic korea established a special classification of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food industry and classified the forest industry included 130 sub-class industries. The forest industry can accurately identify the size of the industry and the status of the company through special classification, but a lot of budget and time are needed because the entire forest industry needs to be investigated. Of the 130 classification industries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94 industries were not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94 industries wa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statistics that surveyed the detailed industries of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However, if the entire industry linked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is a forest industry, that is, wood and wood product manufacturing can be seen as 100% forest industry, but the classification mixed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seed and seed wholesale, is mixed with agri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much forest industry accounts for this classifi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5,000 sample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DB of the Statistic Korea, and the size of this sample is ±0.59%p at the 95% confidence level of the sample error. The sample distribution was distribut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workers by industry, and was investigated through a telephone surve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number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forest industry in 130 sub-class industries was estimated to be 134,447. The forest welfare industry has 4,364 companies,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number of forest industry companies. 산림산업은 1차 산업인 임업만 한국표준산업분류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통계청의 농림축산식품산업의 특수분류 제정으로 130개 산림산업의 세분류 산업이 특수분류로 제정되었다. 따라서 산림산업은 특수분류 제정으로 정확한 산업규모 및 업체 현황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산림산업 특수분류 130개 세분류 산업과 연계된 한국표준산업분류 산업 중 94개 산업은 분류 전체가 산림산업이 아닌 타산업이 혼재하여 산림산업만을 조사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94개 산업에 대한 모집단을 추정한 뒤 표본조사를 수행하여 산림산업 업체수를 추정하고 산림복지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94개 산업의 모집단 현황은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세세분류 산업을 전수조사하는 전국사업체조사 통계의 모집단을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조사는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총조사 Database를 기반으로 25,000개 표본으로 수행하였으며 이 표본의 크기는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0.59%p이다. 표본배분은 산업별 총 종사자수에 따라 제곱근 비례 배분하였으며 전화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130개 세분류 산업에서 산림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수는 134,447개로 추정되었으며 산림복지산업은 업체수는 4,364개 업체로 전체 산림산업 업체수의 3.2%를 차지하여 산림산업 특수분류내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생산업 다음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복지산업은 종사자수 4인 이하의 업체수 비율이 88.8%로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도소매, 운송 및 관련 서비스업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산림복지산업은 4인 이하의 영세 업체 비율이 타 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림복지산업 관련 정책은 영세업체 지원 정책과 산업발전을 위한 규모화 정책의 추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의 국가복지시스템 통합 방안 연구

        정재훈(Jung, Jae-Hoon),김기원(Kim, Ki-Won),문채영(Mun, Chae-Young),김재준(Kim, Jae-Jun),김통일(Kim, Tong-Il)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산림복지 개념을 재정립함으로써 사회서비스 분야로 등장하고 있는 산림복지서비스를 국가복지시스템에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림복지 개념 정립 관련 기존 연구 및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연구들은 산림복지에 대한 개념을 적립하고 이에 따른 산림복지서비스 내용을 구체화하였을 뿐 산림복지서비스 정책화 방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국가복지시스템 내 산림복지서비스가 어떤 의미를 두고 있는지,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비전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산림복지서비스가 국가복지시스템에 통합되는데 방해요인이 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기존 산림복지 패러다임을 재생가능·지속가능·환경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통해 산림복지 개념의 재정립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복지시스템 내 산림복지 통합 방안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service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forest welfare which appeared in the social services sector. This study analyze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s of welfare forest and litera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existing studies have accumulated a conception of forest welfare and have made concrete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But papers didn’t suggest the activating solution of forest welfare policy and also didn’t provide what is the meaning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in welfare policy system. In addition, it didn’t provide a vision how forest welfare service can develop. This situation is barriers that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service. For this reason, the forest welfare is able to be redefined as paradigm shift that is renewable·sustainable·environmental paradig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four plan that is the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 유형별 공공성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급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정학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공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을 정의하였으며, 전문가 조사를 통해 공공성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고 국내 9개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시설을 대상으로 공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9개 산림복지서비스 유형 중 ‘숲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산림레포츠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평가결과의 명확한 해석을 위해 수익성에 대한 평가를 추가로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연휴양림, 치유의숲, 수목원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경우 공공성과 수익성이 모두 높게 평가되었고, 숲길과 산림욕장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는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로, 수목장림, 숲속야영장, 산림레포츠 시설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공공성은 낮지만 수익성이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산림복지서비스의 유형별 공공성과 수익성을 종합해보았을 때, 향후 정부 차원에서는 서비스의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아 지속적인 운영이 어려운 숲길과 산림욕장을 중심으로 산림복지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목장림을 비롯한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 유아숲체험원 등은 서비스 제공으로 발생 가능한 사회적, 환경적 영향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규제 기준만 제공하고 민간주체의 참여 및 민간시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활발하게 운영 되고 있는 자연휴양림이나 치유의숲은 민간투자를 활성화시켜 운영관리에 대한 공적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upply strategies on forest welfare service.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with the concept of publicness mainly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y and social service field. Second, it presents assessment elements for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derived through experts’ survey and evaluates the publicness of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s in Korea. The evaluation shows that services on forest trails have the highest publicness, services on forest leisure sports have the lowest. In order to more clarify the outcomes, an additional survey for profitability among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 is conducted. It shows that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forest therapy and arboretum are high rated both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nd services on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area are high rated in publicness but are low rated in profitability. Services on woodland cemetery, forest camp site and forest leisure sports are low rated in publicness but are high rated in profi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experts’ evalu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have to expend forest welfare services like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which have high publicness but are difficult to continue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profitable services such as woodland cemetery, forest leisure sports, forest camp site and forest kindergarten, it has to be more open to private sector with expanding market, regulated only for minimizing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by services. Finally, as to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and forest therapy, government has to reduce public burdens on these services by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