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객의 활동 경험, 인지도 및 만족도 분석: 연도별 및 이용객 특성별 차이 분석
박정원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4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산림휴양·복지활동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산림휴양·복지활동 참여 양상, 만족도, 그리고 프로그램과 시설 인지도에 대한 연도별, 성별, 연령별, 가구소득별, 지역규모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첫째, 일상형 활동 참여 목적이 “건강 증진”에서 “휴양 및 휴식”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당일형 활동 참여율은 연도별로 감소하고, 숙박형 활동 참여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둘째, 연령별 분석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산림휴양·복지활동 참여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산림휴양·복지 프로그램과 시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 경험은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당일형 및 숙박형 활동 참여율이 높아지는 반면, 소득이 낮을수록 일상형 활동 참여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소득이 산림복지서비스 참여와 접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넷째, 읍면지역은 산림휴양·복지 프로그램과 시설의 인지도, 이용 경험, 이용 의향에서 대도시보다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성별과 연령별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특히 고령층과 여성의 숙박형 활동 참여를 촉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저소득층의 산림복지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한 경제적 지원과 교통비 보조, 저렴한 숙박시설 제공 등의 방안이 필요하며, 읍면지역 주민의 접근성 개선과 홍보 전략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participation patterns,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rograms using data from the 2020–2023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Activity Survey. Differences were examined by year, gender, age, household income, and regional size. The results show a shift in daily activities from “health promotion” to “recreation and relaxation” as a primary purpose, with decreasing participation in day-long activities and consistently low participation in overnight activities. Participation increased with age but remained low among those aged 60 and older in terms of program awareness and usage. Higher income correlated with greater participation in both day-long and overnight activities, while lower-income groups favored daily activities, highlighting income as a key factor in accessibility. Rural residents reported lower awarenes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tentions compared to urban areas. The study recommends developing tailored programs by age and gender, promoting overnight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and women, offering financial support for low-income groups, and enhancing accessibility and outreach in rural areas.
이상주(Sang Joo Lee),신원섭(Won Sop Shi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제도적 맥락과 제도변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한국 산림정책이 산림자원 보존에서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으로 전환하게 된 제도적 배경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방향과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 국가 정책과 관장기구, 산림계획 변화 분석은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제도적 맥락 관점으로 분석하고, 산림복지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경제·사회·외부환경 변화분석은 제도변화 결정 요인을 바탕으로 산림휴양·복지정책 발아기(T0)에서 산림휴양·복지정책 형성기(T1)를 거쳐 산림휴양·복지정책 확대기(T2)까지 제도가 변화해 가는 추이에 따라 향후 산림정책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산림수요 변화에 대처하는 산림제도의 변화가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2000년대부터 복지이념의 등장과 산림예산 확대, 산림행정기구의 규모 확대 등의 제도 영향으로 경제적 산림 개발에서 인간과 공존하는 산림, 건강하고 가치 있는 산림으로 산림의 효용을 극대화 한 산림제도 정책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background of Korea’s forestry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institutional changes and institutional contexts.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s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Among the research methods, analysis of changes in national policy, governing body, and forest planning is analyzed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o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changes in forest welfare policy paradigm and changes in economic, social and external environment are analyzed based on institutional change determinants. We will examine the direction of forest policy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ystem from the germination period of welfare policy (T0), through the formation period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1), and through the period of expansion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2). As a result of the study, changes in the forest system to respond to changes in forest demand were progressing very slowly, and since the 2000s, the emergence of welfare ideology, expansion of forest budgets, and expansion of fores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resulted in institutional influences such as coexistence with humans in economic forest develop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est system policy that maximizes the utility of forests is gradually changing into forests that are healthy and valuable.
정재훈(Jung, Jae-Hoon),김기원(Kim, Ki-Won),문채영(Mun, Chae-Young),김재준(Kim, Jae-Jun),김통일(Kim, Tong-Il)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산림복지 개념을 재정립함으로써 사회서비스 분야로 등장하고 있는 산림복지서비스를 국가복지시스템에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림복지 개념 정립 관련 기존 연구 및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연구들은 산림복지에 대한 개념을 적립하고 이에 따른 산림복지서비스 내용을 구체화하였을 뿐 산림복지서비스 정책화 방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국가복지시스템 내 산림복지서비스가 어떤 의미를 두고 있는지,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비전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산림복지서비스가 국가복지시스템에 통합되는데 방해요인이 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기존 산림복지 패러다임을 재생가능·지속가능·환경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통해 산림복지 개념의 재정립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복지시스템 내 산림복지 통합 방안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service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forest welfare which appeared in the social services sector. This study analyze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s of welfare forest and litera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existing studies have accumulated a conception of forest welfare and have made concrete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But papers didn’t suggest the activating solution of forest welfare policy and also didn’t provide what is the meaning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in welfare policy system. In addition, it didn’t provide a vision how forest welfare service can develop. This situation is barriers that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service. For this reason, the forest welfare is able to be redefined as paradigm shift that is renewable·sustainable·environmental paradig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four plan that is the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산림산업 특수분류에 따른 산림복지산업 업체수 현황 분석
김기동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4
Forestry, which is the primary industry, was only classified as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but in December 2020, the Statistic korea established a special classification of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food industry and classified the forest industry included 130 sub-class industries. The forest industry can accurately identify the size of the industry and the status of the company through special classification, but a lot of budget and time are needed because the entire forest industry needs to be investigated. Of the 130 classification industries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94 industries were not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94 industries wa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statistics that surveyed the detailed industries of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However, if the entire industry linked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is a forest industry, that is, wood and wood product manufacturing can be seen as 100% forest industry, but the classification mixed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seed and seed wholesale, is mixed with agri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much forest industry accounts for this classifi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5,000 sample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DB of the Statistic Korea, and the size of this sample is ±0.59%p at the 95% confidence level of the sample error. The sample distribution was distribut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workers by industry, and was investigated through a telephone surve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number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forest industry in 130 sub-class industries was estimated to be 134,447. The forest welfare industry has 4,364 companies,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number of forest industry companies. 산림산업은 1차 산업인 임업만 한국표준산업분류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통계청의 농림축산식품산업의 특수분류 제정으로 130개 산림산업의 세분류 산업이 특수분류로 제정되었다. 따라서 산림산업은 특수분류 제정으로 정확한 산업규모 및 업체 현황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산림산업 특수분류 130개 세분류 산업과 연계된 한국표준산업분류 산업 중 94개 산업은 분류 전체가 산림산업이 아닌 타산업이 혼재하여 산림산업만을 조사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94개 산업에 대한 모집단을 추정한 뒤 표본조사를 수행하여 산림산업 업체수를 추정하고 산림복지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94개 산업의 모집단 현황은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세세분류 산업을 전수조사하는 전국사업체조사 통계의 모집단을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조사는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총조사 Database를 기반으로 25,000개 표본으로 수행하였으며 이 표본의 크기는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0.59%p이다. 표본배분은 산업별 총 종사자수에 따라 제곱근 비례 배분하였으며 전화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130개 세분류 산업에서 산림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수는 134,447개로 추정되었으며 산림복지산업은 업체수는 4,364개 업체로 전체 산림산업 업체수의 3.2%를 차지하여 산림산업 특수분류내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생산업 다음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복지산업은 종사자수 4인 이하의 업체수 비율이 88.8%로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도소매, 운송 및 관련 서비스업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산림복지산업은 4인 이하의 영세 업체 비율이 타 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림복지산업 관련 정책은 영세업체 지원 정책과 산업발전을 위한 규모화 정책의 추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PCSI모형에 기반한 방문객의 서비스 품질 만족 영향 요인 분석 - 자연휴양림 및 치유의 숲 비교를 중심으로 -
채진해,이정희,김성학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3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객 만족도 조사 실태를 통해 서비스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 산림복지시설·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조사는 2021년 9~11월에 자연휴양림과 치유의 숲을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대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는 자연휴양림 824명(63%), 치유의 숲 483명(37%) 총 1,307명이었다. 조사항목은 PCSI 모형에 기반한 서비스 품질 3개 유형(서비스 상품, 서비스 과정, 서비스 환경) 11개 척도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SPSS 24.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품질과 시설 이용에 대한 만족도 모두 자연휴양림과 치유의 숲 시설 간의 차이는 미비하였다. 서비스 품질 유형별로는 서비스 과정이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환경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자연휴양림은 서비스 환경이 통계적 유의수준(p<0.01)에서 높았으며,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비스 환경 > 서비스 상품 > 서비스 과정 순이었다. 그리고 서비스 환경 중 ‘심미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연휴양림은 ‘심미성’, 치유의 숲은 ‘안전성’이 각각 시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해보면 산림복지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서비스 환경의 질을 높이고, 시설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환경 조성에 보다 집중할 필요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OVID-19 펜데믹 전후 산림치유에 대한 SNS 이용자 인식의 변화 분석
신수연,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3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7 No.3
산림청은 2037년 모두가 누리는 복지산림을 비전으로 산림복지 수혜인구 5,000만 명을 목표로 두고 있다. 특히 산림 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률에 따라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와 사회임업의 활성화, 수목원, 자연휴양림 등 국민을 위한 산림복지시설의 지속적인 확충에 관한 부분을 언급하면서, 산림 휴양복지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의 흐름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해 코로나19를 기준으로 SNS 이용자 인식의 변화를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Textom 5.0을 이용하여 '산림치유'와 '산림욕'을 수집하였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처음 발생한 2020년 기준으로 코로나 이전은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이후 기간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로 설정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치유, 산림, 산림욕, 프로그램, 산림치유'가 공통으로 5순위에 포함되었으며, TF-IDF를 함께 분석했을 때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코스와 효과에 관해 관심이 증가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성분석 결과 코로나19 전후 모두 긍정 반응이 높았으나, 코로나19 이후 긍정 반응이 소폭 상승했다. 특히 CONCOR 분석 결과 코로나 전에는 국립 산림 치유원 조성과 같은 당시의 정책과 관련된 단어들로 이루어졌지만, 이후에는 ‘프로그램’, ‘피톤치드’, ‘코스’ 등과 같이 치유프로그램, 피톤치드의 효과와 관련된 세부적인 키워드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식을 토대로 한 코로나 전후 산림치유프로그램 등의 세부 사항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Korea Forest Service aims at 50 million people who benefit from forest welfare with the vision of welfare forests enjoyed by everyone in 2037.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Forest Culture and Recreation Act, the forest recreation welfare sector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referring to the activation of forest welfare and social forestry by life cycle, and the continuous expansion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for the people.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SNS user perception based on COVID-19 using big data to examine the flow of forest healing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For data collection, 'forest healing' and 'forest bathing' were collected using Textom 5.0. As of 2020, when the COVID-19 pandemic first occurred, the pre-COVID-19 period was set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9, and the subsequent period was set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2.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healing, forest, forest bathing, programs, and forest healing" were commonly included in the fifth place, and when TF-IDF was analyzed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interest in the course and effectivenes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increased. As a result of emotional analysis, positive responses were high before and after COVID-19, but positive responses rose slightly after COVID-19.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it consisted of words related to policies at the time before COVID-19, but later consisted of detailed keywords related to the effects of healing programs and phytoncide, such as "program," "phytoncide," and "course." Finally, details such as forest healing programs before and after COVID-19 based on awareness were suggested.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린 주안 탈카센(Lynn Juan Talkase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자연휴양림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조사·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립자연휴양림 이용객을 대상으로 62개 방문선택속성을 제시하고 각 속성에 대해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329명의 설문응답을 요인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운영관리’, ‘산림경관’, ‘서비스 이용편의성’, ‘편의서비스 제공’, ‘경영관리’, ‘환경관리’, ‘시설안전관리’, ‘숙박시설’, ‘생물종다양성’, ‘프로그램다양성’, ‘위생적인 편의시설’, ‘친환경 건축’의 1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산림경관’에 대한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이 공간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운영관리’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연휴양림 서비스 이용객 유형별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단체방문객이 가족이나 친구와 방문하는 이용객보다 자연휴양림의 ‘경영관리’영역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치유 및 산림휴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집단이 ‘위생적인 편의시설’을 자연휴양림 선택 시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일반 국민들은 주로 산림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할 때 산림환경 및 이용 편의와 연계되는 시설요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연휴양림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른 인식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강한 산림환경과 시설이용 편의성을 확보해야 하되, 이용자 유형 및 목적에 특화된 프로그램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이용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basic data needed to provide user-oriented forest welfare service of good quality by surveying visitors and examining service use attribut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 choice of forest welfare service. To this purpose, a survey of visitors to the National Recreation Forest, a presentative forest welfare service of Korea,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consisted of 62 service choice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329 responses, choice attributes can be categorized into 12 factors;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convenience of service use, providing convenience service, overall management for good service, environmental management, facility safety management, comfortable and clean accommodation, biodiversity, variety of programs,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t shows that‘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visitors to choose recreation forest. On the other hand, ‘variety of programs’ and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were less important attribute in service choice. When it comes to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hoice attributes by visitors’ groups, the group visitors place great importance on ‘management’ related to insurance and manual which can be used in emergency. Also, people who want to use forest therapy and forest recreation service place great importance on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To sum up, this study indicates that people primarily consider attributes of forest environment and facility related to use convenience when they choose and use forest welfare service. However, it also shows that attributes influencing visitors’ cho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of visi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 of much better quality in the future, recreational forest have to manage forest environment sustainable and prepare specific programs depending on users’ needs and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