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고 학생의 진로진학지도 요구분석 모델 구안 : 근거이론적 접근

        김현주,감혜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The pa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students in the 3 groups of students who had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in general high school.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 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is composed of paradigm model components through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based on grounded theory. The central category derived through selective coding was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choosing career, and major by self-guided career guidance'. In the story line of the reconstruction based on the central category,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and value of guidance for career guidance was recognized through career guidance, and that they could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guidance for career guidance that they faced themsel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earcher has several ways to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in order to establish career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in general high school. 본 연구는 일반고 학생의 진로진학지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학생들의 진로진학지도를위한 개념적 모델로서 ‘일반고 학생의 진로진학지도 요구분석 모델’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이는 고등학교 현장에서이루어지는 진로진학지도에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더불어 진로진학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이론적 모델로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일반고에서 진로진학지도를 경험한 학생 3개 그룹 12명이었으며,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에 근거한 개방코딩, 축코딩을 통해 패러다임모델 구성요소들을 구안하였다. 선택코딩을 통해 도출된 핵심범주는 ‘진로진학 선택의 불안을 적절한 진로진학 지도를통해 진로진학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하기’였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이야기 윤곽에서 ‘학생들은 진로진학지도를 통해 진로진학지도에 대한 중요성 및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고 자신들에게 당면한 진로진학지도상의 어려움들을진로진학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극복하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개념과 범주를 바탕으로 진로진학지도 요구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요구사항이반영된 진로진학지도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자는 일반고에서 진로교육을 안착시키기위하여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진로진학상담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박정아,문영주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4 No.1

        As the necessity of competence improvement was emphasized in career guidance counseling,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ingle case study with the purpose to clarify what were the experiences of supervisee as career guidance counseling teacher and supervisor, and what we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by applying the supervision method which wa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career guidance counsel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arried out 5 sessions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supervi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essential case study method(Stake, 2005) and 7 essential themes and 28 sub-topics were drawn. The themes that implied the essential meaning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supervision experienced by career guidance counseling teacher and supervisor were ‘impact of lack of supervision experience’, ‘difficult reason to conceptualize a case about career guidance counseling’, ‘feeling of effect of supervision’, ‘confirmation of problems about career guidance counseling’, ‘specific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in school’, ‘actual difficulties in supervision’, and ‘recognition of necess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super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oposed a suitable supervision method for career guidance counseling teachers and suggestions for case conceptualization of supervis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본 연구는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진로 및 진학상담 역량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필수적인 요건이 되는 수퍼비전 방식을 진로진학상담 장면에 적용하여 진로진학상담교사인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가 각자 어떤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지 밝히는 데 목적을 둔 질적 단일 사례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회기의 진로진학상담 수퍼비전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take(2005)가 구분한 질적 사례연구 중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7개의 본질적 주제와 2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가 경험한 진로진학상담 수퍼비전의 본질적 의미를 내포한 주제는 ‘수퍼비전 경험 부족의 영향’, ‘진로진학상담 사례개념화가 어려운 이유’, ‘진로진학상담 수퍼비전의 효과 느낌’, ‘진로진학상담의 문제점 확인’, ‘학교 진로진학상담의 특수성’, ‘수퍼비전에 대한 현실적 어려움’, 그리고 ‘진로진학상담 수퍼비전의 필요성 인식’ 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진학상담 수퍼비전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진로진학상담교사에게 적합한 수퍼비전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진로진학상담에 특화된 수퍼비전 사례개념화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요인

        김경근,변수용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급학교 진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가계소득과 같은 가정배 경 변인과 학생의 이전 학업성취도 및 교육포부수준과 같은 개인특성 변인이 고등학교 진학단계에서의 계열 선택과, 대학 진학단계에서의 진학 여부 및 진학하는 대학 유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계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학생의 이전 학업성취도와 교육포부수준이 높을수록 실업계보다는 일반 계 고등학교에 진학할 개연성이 크고, 대학 진학단계에서도 취업이나 미진학보다는 진학의 개연성이 크며, 진 학하는 대학의 위세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에서 교육계층화가 고등학교 진학 단계에서 일차적으로 일어나고, 이와 같은 과정이 대학 진학단계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한편 대학 진학단계에서는 학생의 이전 학업성취도와 교육포부수준이 높을수록 2-3년제 대학에 진학하기보다는 다 시 진학준비를 할 개연성이 크고, 학교 평균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이러한 선택이 더욱 촉진되는 것으 로 밝혀졌다. 또한 대학 진학단계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취업이나 미진학 대신 2-3년제 대학 진학을 선택할 개연성, 그리고 2-3년제 대학보다는 4년제 이상 대학에 진학할 개연성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children's transition from junior high school to high school and from high school to college in South Korea. Using the first and second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the authors found that both family background(parent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and children's characteristic variables(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choosing types of high schools(vocational high school vs. academic high school), pursuing higher education(whether continuing education at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or not), and choosing typ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junior college vs. four year college). More specifically,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family incom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 the more likely children are to choose general high school over vocational high school, to pursue higher education than to enter a labor market, and to enter four year college than junior college. Such result suggests that educational stratification in Korean society initially occurs at the transition period from junior high school to high school, and then is further reinforced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high school to college. The authors also found that the highe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spiration, the more likely children are to retry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 order to enter a better college than either to enter a labor market or to attend a junior college. Interestingly, school mean SES appears to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h a tendency. Final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ales are more likely than females to pursue higher education and to enter four year college than junior college.

      • 일반계고 진학/진로지도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김수원 직업과고용서비스연구학회 2018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Vol.13 No.1

        본고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의 4-7차 웨이브를 이용하여 진로지도 방식, 진 학지도 방식, 진로 성숙도 그리고 진학/진로지도 만족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진학 및 진로지도에 변화가 어떠한 특성을 지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진 학/진로지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지도 방식, 진학지도 방식, 진로 성숙도 그리고 진학/진로지도 만족도에 대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년도별, 학교 유형별, 학교 규모별 변화와 차이 등 특성을 분 석하였으며, 진로지도 방식, 진학지도 방식이 진로 성숙도와 진학/진로지도 만족도와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진로지도 방식에서 ‘외부인사 초청 강연’, ‘선배·직업인 멘토링 프로그램’ 등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부문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담임교사 개별지도’나 ‘진로담당교사 집단/개별지도’ 등 교사 활용부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학지도 방식에서 ‘진로 관련수험자료 제작·배포’, ‘지원 대학 정보 제공’ 등 정보나 자료 제공과 같은 단순한 방식이 많으면서 증가하고, 반면에 ‘진학전문가 초빙 진학설명회’, ‘학과 체험활동 제공’ 등 전문적이고 실질적 체험부문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 성숙도에서 전반적 으로 년도별로 U자 곡선형태로 변화하였는데, 학생 스스로 장래의 적성과 희망을 발견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나 ‘장래 희망에 필요한 내용 구상’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지도 방식, 진학지도 방식과 진로 성숙도의 관계에서 ‘별도 과목 편성.지도’, ‘진로담당교 사 집단/개별지도’,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 등은 진로 성숙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부인사 초청 공연’, ‘지역사회 및 자원 활용’, ‘학과 체험활동 제공’ 등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진학 사교육 참여배경, 서비스품질, 만족도가 비용 및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김대준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2 사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 참여배경, 서비스품질,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 인들이 사교육비용 및 지속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진학 사교육의 전망을 탐색하고, 진로·진학 사교육이 불가피하다면, 비용을 절감하면서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 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5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AS 9.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진로·진학 사교육은 사교육업체가 경영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는 시 장적 논리, 입시정책의 변화에 발맞추어 진학을 준비하고 미래의 이익을 추구하는 학생들의 대응, 공교육에서 진로·진학 지도의 미흡함이 연계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진로·진학 사교육은 기업(기업의 이익추구 마케팅), 가계(학생/학부모 의 자구책 마련), 정부(공교육의 공공재로써 평등성 가치추구)가 각 주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생되고, 이와 관련 된 여건이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진로·진학 사교육은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가 보통 이상이고, 서비스품질에 대한 확신성이 낮고, 진로선택 만족도가 낮은 경우에 비용이 높아진다. 이는 진로·진학 사 교육이 품질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리고 진로·진학 사교육의 지속성은 여학생, 대 부분의 고등학교 학생, 소득이 높은 가정의 학생, 참여배경(공교육 미흡, 입시정책 대응, 사교육마케팅)이 그 수준을 높이 고 있다. 결론적으로 진로·진학 사교육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그 비용을 절감하고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교 육업체, 정부, 학부모의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private tutoring for higher education and career path,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how these factors affect private tutoring cost and sustainability. Through this, the prospects of private tutoring for career path and higher education were explored, and it was sought to find a more effective way to reduce the cost, if the private tutoring is unavoidable.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576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were analyzed using the SAS 9.4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asons why they participate in private tutoring for career path and higher education were because of active marketing of private tutoring companies, because students want to respond to changes in entrance examination, and because counseling for career and higher education was insufficient in public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private tutoring for career and college education was in the order of reliability> certainty> empathy> responsiveness> tangibility, and in terms of satisfaction, the choice of higher edu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career choice, and th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online companies and consulting companies were higher than other type companies. Second, private tutoring for careers and higher education occurs while high school seniors have complicated and impatient mind because they should decide their university and major in the entrance exam (regular exam path or irregular school record path), when father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worry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and when private tutoring for career and college education is expanded both online and offline. Third, the price of private tutoring service for career and college education was high in the following cases: a) when fathers have a high educational background, b) when they use an online company, public education is insufficient, c) when they have low confidence in service quality, and d) when they have low satisfaction with career choice. The level of sustainability is increased by female students, most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from high-income families, and participation background (insufficient public education, response to entrance exam policies, and private education marketing). Private tutoring for career and higher educ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and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effectiveness private tutoring companies, the government, and parents should make more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private tutoring.

      • 대학 진학에 있어서 젠더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박지희 ( Ji Hee Park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09 地理敎育論集 Vol.53 No.-

        한국 사회에서 교육열은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만들어내며 이슈가 되어왔다. 2005년 현재 82.1%를 기록한 대학 진학률 통계는 우리 사회에서 고등교육의 외연적 성장과 함께 고학력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그런데 대학의 분포가 수도권에 집중된 탓에 대학 진학은 교육 기회를 찾아 발생하는 인구이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인구이동은 대체로 대학을 마친 지역에서 직업을 갖고 정착하게 되는 과정을 겪기 때문이다. 즉, 대학 진학 시점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인구의 유출과 유입은 지역의 인구구조를 비롯한 사회·경제적 측면에 포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대학 진학의 문제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들과 딸에 대한 교육투자의 차이가 있거나 있을 것이라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일반적인 통념이다. 즉, 아들은 집에서 멀더라도 서울로, 딸은 집 근처의 대학으로 보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젠더의 교육 불평등 문제가 공간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에 있어서, 공간성의 문제와 젠더의 공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주택 센서스 2% 표본 자료를 기본 데이터로 이용하여 현재 통학지와 5년전 거주지 간의 비교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진학 양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1980년, 1990년, 2000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성별에 따른 출신지역을 기준으로 유출·유입의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오즈비를 통해 타지역 진학률에 대한 젠더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한편, 수업연한에 따라서도 진학률의 공간적 패턴은 다를 것으로 가정하여, 사례수가 많은 2000년 자료를 대상으로 4년제 이상과 미만으로 대학을 구분하여 남녀의 오즈비를 구하고, 평균진학거리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전국적으로 대학진학은 출신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어 가며, 남녀 모두 타지역 진학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1980년에서 2000년까지 지역내 진학률은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절반이상을 차지할 만큼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오즈비 분석결과, 1980년에는 대체로 남자의 타지역 진학률이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2000년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나는 지역이 많았다. 한편, 남녀 모두 4년제 대학이 전문대학에 비해 이동거리가 길게 나타났는데, 이는 더 적극적인 공간 탐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또한 서울에서 멀어질수록 평균 진학 거리가 길게 나타난다는 사실은 대학 진학 기회에 있어 불평등한 공간 구조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In Korea, education fever makes a variety of social phenomena and has become a hot issue. The entrance ratio into a tertiary education is up to 82.1% in 2005. According to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Korea ranked first in entrance ratio into a tertiary education of 49 countries of investigation in 2001. This shows external growth of tertiary education and increase in highly educated people.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is related with migration for education opportunity because preferred universities or colleges are mostly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Migration for education includes that one gets a job after graduation in the place where a university or a college is located, marries and settles down there. This outmigration will have an effect o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cluding population structure in the long term. Furthermore, the outmigration that originates from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means brain drain. Therefore, entrance into a university or a college needs to be studied in terms of spatialty. This study uses 2% sample data from census to find out the spatialty of gender in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In addition, outmigration to enter into a university or a college is analyzed using odds ratio and mean distance.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patial pattern of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is expanding although entrance ratio into the neighborhood centering on its origin accounts for a majority. Second, the gap between man`s mean distance and women`s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last, mean distance of 4-year university is longer than that of junior college. The mean distance increases with the distance from Seoul.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is an inequality of spatial structure in the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 KCI우수등재

        중학생의 진학준비와 부모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 간 구조적 관계

        두예슬,심재휘,김경근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8

        Drawing on fifth wav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2013,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s, educational aspirations,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and middle school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Our SEM results showed that both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arents' social network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While parental education level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household income had little effect on it. Parents' social networks and educational aspirations exerted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Lastly, parents’ educational aspirations and knowledge of school inform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preparation for entry into high school.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horizon of educational gap research by empirically exploring how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can affect their children's educational outcomes through differentiated social networks and school information.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5차 연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과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은 모두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 교육열망, 진학정보 인지 수준에 정적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의 교육수준은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만, 진학준비 행동에 대한 가구소득의 직접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과 교육열망은 부모의 진학정보 인지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교육열망과 진학정보 인지 수준은 자녀의 진학준비 행동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떻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차별화된 사회적 연결망과 진학정보를 매개로 자녀의 교육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실증적으로 구명함으로써 교육격차 연구의 지평을 넓힐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일반고 3학년 진로진학지도에 대한 담임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 요구도와 우선순위 분석

        송은숙(Eun Sook Song),권정언(Jung Eon Kwo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4

        대학은 직업세계로의 이행이라는 진로실행에 결정적 시기이나 전공 불일치의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진학을 목전에 둔 일반고 3학년 학생들의 진로진학지도에 대해 담임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가 갖는 직무별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바탕으로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함으로써, 교사 간 합리적인 직무 조정을 통해 진로에 기반을 둔 진학이 이루어지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최우선순위의 진로진학직무는 대학진학과 관련된 것으로 3학년 담임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가 공히 동일하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대입 전반의 흐름 이해, 학생의 진학 희망대학의 모집요강 이해,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비한 자기소개서 작성 등이다. 둘째, 학생 맞춤형 진로진학서비스를 제공하는 직무는 담임교사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내신 성적, 학교생활기록부 내용, 대학입시의 전형요소를 연계시키고 이에 대한 준비를 지도하는 것이다. 셋째, 대입 전반의 흐름 이해, 자기소개서 작성 요령은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로 나타났다. 학생 개별의 입시 전략과 실행은 담임교사가 담당해야 하지만, 3학년 담임교사 역할을 처음 맡거나 입시 전형 변경 등의 내용이 있다면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연수를 담당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자기소개서 구성을 위한 사전 노력과 작성 안내는 진로진학상담교사가, 학급 내 개별학생의 자기소개서 첨삭 지도는 담임교사가 담당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부 종합전형 이해 및 면접 대비 요령은 3학년 담임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두 집단 모두의 공통 직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고 3학년 담임교사와 진로진학상담교사간 진로진학직무의 합리적 조정을 통해 학생의 진로개발에 실효성 있는 지도가 가능함을 시사점으로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wareness comparison between 3rd grade homeroom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in college admission guidance at general high schools. The reasonable adjustments of their duties in college admission guidance were to be set and be aimed at helping students’ career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groups’ prioriti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s were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rd grade homeroom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duties are largely concentrated on the college admission guidance of the students. Three important duties are understanding the overall college admission trends, understanding guidelines for applicants and preparation for a test based on a school report on student’s grades and conduct. Second, it is good for homeroom teachers to guide and help the homeroom students each by each, based on their interest and aptitude, through their school records. Third, it is much better for career teacher to understand the overall college admission trends, and instruct other teachers including 3rd grade homeroom teachers and students. Also, it is still more effective for career teacher’s to instruct their students how to make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from 1st grader. Then 3rd grade homeroom teachers would look over students’ letter of self-introduction each by each. Fourth, 3rd grade homeroom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should focus on the preparation for a test based on a school report on student’s grades and conduct and for interview on college admission. If they are prepared from 1st grader, good results are expected with time. In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good services of students’ career developments through the reasonable adjustments of their duties in college admission guidance.

      • KCI등재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2013년과 2016년 비교

        김지효(Kim jih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with their college entrance and how the decision making factors of these groups had changed between 2013 and 2016.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1st~6th year(2010~2015) data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and the Career College Attendance penal data.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decision according to yea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decision was parental supporting in 2013, and experiences of career program in 2016. Second,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were school type in 2013, 2016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yea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lege entrance was mothers’ education, achievement, class satisfaction in 2013, otherwise career program management, career counseling in 2016. Third,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d college entrance was self-concept, private tutoring participation in 2013, 2016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another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sired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year. Those results will suggest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college entrance education program in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영향요인들이 연도별(2013년, 2016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1~6차 년도 자료와 진로진학조사 1, 2차 자료를 이용하여 2013년과 2016년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및 만족도 영향요인을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부모학습지원이 2013년에 진학결 정에 영향을 미친 반면 2016년도에는 영향력이 사라졌으며, 2016년도의 경우 학생의 진로·진학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진학결정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진학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교유형은 두 시점 모두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로 진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차이를 보였는데 2013년의 경우 모의 최종학력,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가 2016년도의 경우는 진로프로그램 운영정도, 학생의 진로상담 경험이 진학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계고 졸업생의 희망대학 진학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학생특성의 자아개념, 사교육 참여는 두 시점 모두 희망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영향변수들은 연도별로 차이를 보였다. 본연구는 변화하는 진로교육 및 정책의 효과성 검증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진로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고교 유형별 진학에 대한 가정배경 및 개인특성의 영향

        전은정,임현정,성태제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1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admission to the various types of high schools(general, foreign language, science, international, autonomous private, and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and compare them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data of the 11th graders in the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Qualities of School Education" of 2012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nd conduct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tudents entering a general high school set as the reference group. The analysis results show differences in the kinds and influences of variables having significant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high schools. The study compared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effect size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found that the middle school grades recorded a big effect size across all the types of high schools except for autonomous public high school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recorded a big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gender, private education for Korean(-), private education for science, and student's educational aspiration recorded a huge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 science high school. The location of middle school(big city) from which the student graduated had big effects on admission to an international and autonomous high school. Gender and household income recorded a big effect size for admission to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family backgroun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have different patterns of effect on admission to high school by the types of high schools and suggest a need to take policy considerations so that students' inferior background characteristics will not have unfavorable effects on their admission to the type of high school they want. 본 연구는 다양한 고등학교 유형(일반고, 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사고, 자공고)에 진학하는 데 가정배경과 학생의 개인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고교유형별로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에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된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일반고 진학을 기준집단으로 설정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진학하는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종류와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 중에서 부모학력이 자공고를 제외한 나머지 유형의 고등학교 진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구소득(외고, 과학고, 자사고)과 맞벌이 여부(자사고) 역시 일부 유형의 고교 진학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이들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부모특성 변수의 투입으로 영향력이 감소되었으며, 부모-자녀 활동(과학고), 교육적 지원(외고, 과학고, 자사고), 교육기대수준(외고, 과학고, 국제고, 자공고)이 특정 유형의 고교 진학에 영향을 주었다. 학생의 개인적 특성인 성별, 중학교 성적, 교육포부 및 교과별 사교육 여부를 추가한 결과, 중학교 성적이 고교 진학에 비교적 큰 영향력이 있었으며, 앞서 투입되었던 가정 및 부모특성의 영향은 감소하였다. 고교 유형별로 각 독립변수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자공고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고교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수는 중학교 성적이었다. 이외에 외고 진학에는 어머니학력, 성별, 과학사교육여부(-) 변수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과학고 진학에는 부모의 교육기대, 성별, 국어사교육여부(-), 과학사교육여부, 학생교육포부의 효과가 컸다. 국제고와 자율고 진학에는 졸업한 중학교 소재지(대도시)의 효과가 컸으며, 자사고 진학에는 성별, 가구소득도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고교 유형별 진학에 가정배경과 개인특성이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학생의 열악한 배경적 특성이 희망하는 유형의 고등학교 진학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