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지용의 초기시와 장소의 근대성

        심재휘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2 No.-

        정지용의 첫 시집 『정지용시집(1935)에 나타난 장소를 살폈다. 공간과 달리 장소는 구체적인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므로 장소에는 경험을 감각적으로 주관하는 개인이 등장한다. 이런 점에서 시에 등장하는 장소의 양상은 근대성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20년대를 대표하는 시집으로 김소월의 『진달래꽃이 있고 30년대에는 『정지용시집이 있다. 두 시집에 등장하는 장소를 비교하면 지용 시의 근대성을더욱 잘 살필 수 있다. 지용은 매우 섬세하고 예민한 감각 표현을 활용하였다. 감각을 소유한 개인의 등장은 필연적이다. 주체적 개인의 시선에 의해확보되는 장소는 더욱 경험적일 수밖에 없다. 장소감이 선명한 것도 당연하다. 이점에서 지용은 소월의 20년대 시를 한 단계 끌어올렸다. 지용은 유학생활에서 습득한 서구의 문예이론을 본인의 창작에 적극 실험하였고 성공하였다. 이 와중에 그가 경험한 근대와 근대에 대한 자의식을 특정한 장소감으로 표출하였다. 장소에 투영한 경이감, 만족감도 초기시를 구성하는 정서이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우울의 표정이다.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젊은 나이에 근대문명과 제국의 도회를 경험한 유학생으로서, 지용이 연출한 근대적 장소에는 자주 우울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에서 유발하는 현실인식은 깊이 있는 문제의식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한개인의 낭만적인 우울로 수렴되고 말았다. 비록, 이것이 당대 조선 문인의어쩔 수 없는 선택 중의 하나라 해도 우울의 정체를 간파하지 못한 것은, 정지용 시의 한계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lace on Jeong Jiyong'searly poetry. The place in the poem reflects specific experiences of apoetic speaker. Therefore, a individual who has a sensory responseappears in the place. In this sense, a place in the poem is a standard foridentifying modernity. At first, Kim Sowol's poems are compared with Jeong Jiyong's poems. It is a kind of a way to understand the modernity of Jiyong’s poetry. Jiyong took advantage of very delicate sensory on writing poem. So, theappearance of a individual with a sense is inevitable. An empirical placeappears by the eyes of an independent individual. Jiyong took Sowol'spoetry to a new level. Jiyong learned western literary theories from his study abroad. Heactively experimented with creation and succeeded. He expressed hisexperience of modern times in a sense of place. A sense of wonder andsatisfaction are the emotions that make up the initial period, but the mostrepresentative is the melancholy. As a colonial intellectual, an internationalstudent who has experienced modern civilization, the place on Jiyong’poem often featured melancholy. However, it did not develop into a deepproblem-conscious mind. Although this was one of the inevitable choicesof Joseon writers of the time, it became a limit to Jeong Jiyong's poetry.

      • KCI등재

        여성시와 몸의 장소화 -나희덕, 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심재휘 돈암어문학회 2023 돈암어문학 Vol.43 No.-

        이 연구는 나희덕 김선우의 시를 장소로 읽어내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천 년대를 전후하여 두 시인이 보여준 시적 상상력이 동시대 한국 여성시의 특징을 잘 담아내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였다. 이들의 시는 자연과 여성을 연계하면서 올바른 여성성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서로 닮아있다. 이 글이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그들의 작품 속에 삽입되어 있는 몸의 상상력이다. 나아가 몸을 장소로 전환하여 자연과 여성을 동일시하려는 의도가 어떤 양상으로 펼쳐지는지, 그로인해 형성되는 사유의 정체는 무엇인지에 이 글은 관심을 갖는다. ‘몸의 장소화’는 ‘체화된 상호 주관주의(incarnate intersubjectivity)’라는 메를로-퐁티의 용어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메를르-퐁티의 논리를 발전시킨 에드몬드 케이시의 ‘체화된 몸(embodied body)’ 개념 역시 논증에 유효한 힘을 발휘한다. 이들의 논리에 의하면 특정 장소의 경험은 장소에 의해 습득된 특성을 몸의 기억으로 전환하는 것이고 나아가 몸을 그 장소로 전이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그러므로 장소 체험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몸과 장소를 연동하는 상상력이다. 장소를 여성의 몸으로 치환하거나 여성의 몸을 다시 장소에 덧입히는 연출 속에서 인간의 몸과 자연의 장소라는 두 대상의 일치가 가능해진다. 나희덕과 김선우는 이러한 ‘몸의 장소화’에 적극적이었다. 나희덕의 경우, 모성성의 핵심인 돌봄과 치유의 본성을 ‘젖 상상력’으로 전개했다. 그의 여러 시에서 ‘젖’은 생명을 돌보는 상징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사유는 곧 여성의 몸이 자연공간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더욱 선명해진다. 김선우의 경우, 생명을 잉태하고 출산하는 여성 존재의 의미를 ‘자궁’에 집중하여 형상화하였다. 특히, ‘자궁’을 다양하게 장소화하여 우주 자연의 순행이 신성하듯 ‘자궁’으로 대표되는 여성이 몸이 얼마나 신성한지를 보여주었다. 나희덕과 김선우는 몸을 장소로 전환하여 자연과의 혼연한 일치를 시도하였다. 마찬가지로 자연의 공간 역시 여성의 몸으로 치환되는 결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몸의 장소화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며 그들의 시가 지향하는 미학적 세계를 들여다보았다.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사교육 참여 격차 실태 분석: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심재휘 한국교육사회학회 2023 교육사회학연구 Vol.33 No.4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and disparities by socio-economic status among K-12 students, and drew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merged the data from the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Survey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2017 to 2022. To do so,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monthly shadow education expenditure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process, any changes i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before and after 2020, when lock-down measures were tightened due to COVID-19, were no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monthly cost of shadow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and the gap by socio-economic status has been widened. Meanwhile, there was a temporary decrease in the average and the gap of shadow education cos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020. In contrast to other school levels,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for child care purposes in addition to learning is common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when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was limited to knowledge-based subjects for learning purposes, the effect of lock-down measures due to COVID-19 was found to lose statistical significance also in elementary school. The need for a rigorous diagnosis of the widening gap in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and the need for different policy approach depending on the type of shadow education particip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황동규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 의 상상력

        심재휘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2 No.-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Hwang, Dongkyu's early poetry. Especially,an imagination of a house is applied for the reading texts. As a literary motif,a house connotes a space of happiness and protection. In some cases, it means even a hometown or a motherland. But, Hwang didn't make use of a house as a space of happiness and protection. An imagination of a house on Hwang's early poetry was a just symbol for representing tragedy of life. And it was symbolized for showing despair of a person who face a tragic world. As a result of that, all doors and windoors were closed in a text. This appearance was closely connected with an imagination of incarceration. On the other hand, an imagination of a house got change into another one. Hwang was getting realize that his country was just a weak and small nation,just a divided country after his studying abroad. So, trying to open the door was expressed many times on the poetry. Moreover, he knew that watching the other's house wa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e poet Hwang strived to reveal a significant of a community. He realized that a worry about a real world comes after everything else. 이 글은 황동규의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의 상상력을 통해 당대 그가 보여주었던 시 쓰기의 방법론을 해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문학적 주제어로서집 은 비호성(庇護性)의 행복한 공간이다. 대체로 집 은 가옥과 가족, 그리고가정의 의미를 내포하는 공간으로서 우리 시문학사에서는 마음의 본향인 고향과 조국의 의미로 외연을 넓히기도 한다. 그러나 황동규의 시에 등장하는 집 은 화자가 거처하는 공간 이상의 의미를지니지 않을뿐더러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나를 보호하는 구조물로 기능하지 않는다. 초기 시의 특징인 비극적 인간 혹은 쓰러지려는 의지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는 도구로써 집은 상징화된다. 그러한 연유로 시에 등장하는 집은 외부와내부를 구분하고 나아가 집안과 집밖의 소통을 불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나타난다. 집안과 집밖의 통로인 문 이 대부분 닫혀 있어서 그러한 느낌은 더욱 강하다. 이와같은 현상은 첫 시집 『어떤 개인날』과 두 번째 시집 『비가』에 만연한 유폐적 상상력의 소산이다. 한편, 세 번째 시집 『태평가』와 네 번째 시집 『열하일기』에서는 집의 상상력 이 변모한다. 젊은 시인의 열정이 생활인의 감각으로 바뀐 탓도 있지만 두번의 외국 생활에서 얻은 구체적 현실 경험이 변화를 이끈다. 우리나라가 분단국가이자 약소국가라는 뼈저린 체험은 그의 시적 인식을 좀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영역으로 밀고 간다. 집안과 집밖을 소통하려고 하는 태도는 문엶의 의지로 연결된다. 집 밖의 엄혹한 세계를 있는 그대로의 현실로 그려내는 경우가늘어난다. 자신의 집안밖에 머물러 있던 화자의 시선은 곤궁한 타인들의 집으로 향한다. 황동규의 초기 시에 나타나는 집은 대체로 시적 화자의 내면을 상징한다. 앞 선 두 시집에서 황동규는 닫힌 문 안쪽의 상황, 그러니까 유폐된 자의식을드러내는 데 주력하였다면 이후의 두 시집에서는 집안과 집밖의 소통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구성원인 집의 소중함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표현을 할애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박재삼의 시집 『춘향이 마음』에 나타난 상상력의 구조

        심재휘 상허학회 2010 상허학보 Vol.28 No.-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the structure of imagnation on Park, Jae-sam's early poetry. What are the essential elements that make up the imagnation on his poetry? How are those essential elements connecting each other? This study started with these two questions. The first collection Heart of Chun-Hyang is very important in a literary life of him. Because, Park's characteristic style on writing poetry established almost in that collection already. There are four strong-points based on unfolding some imagnation in that collection. Those four strong-points are an attitude that is orienting sorrow, naturalism and topophillia, water­image, and a leaning toward feminity. Through those imaginations, His poetry got reach a higher stage of korean traditional sentiment, that is to say 'Han'. As a result of that, he sublimate a traditional emotion of sorrow into a 'beautiful sorrow' as a esthetic purification. That is the most representative achievements of him. 이 글은 박재삼의 첫 시집 『춘향이 마음』에 나타난 상상력의 성격과 전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상상력의 내용을 구성하는 몇 가지 요소들이 무엇이며 그들이 어떤 구조를 이루며 하나의 시가 되는지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춘향이 마음』은 박재삼의 문학적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시집이다. 그의 시 세계의 특성으로 널리 알려진, 이른바 ‘전통 서정의 계승’, 혹은 ‘정한의 탐구’ 등이 이 시집에서 이미 대부분 구축되었다는 점, 이후의 시 쓰기가 큰 변화 없이 초기의 정서를 이어간다는 점 등을 염두에 둘 때, 첫 시집에서 형성된 정서의 정체와 파급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 시집에는 시적 상상력의 전개에 바탕이 되는 네 가지 거점이 있다. 슬픔을 지향하는 태도, 자연 친화적인 상상력과 특정 공간에 대한 집착, 양가적 감정의 표출 방법인 물 이미지, 그리고 여성 편향성 등이다. 박재삼은 한국인의 재래적 정서, 즉 ‘한’을 ‘밝고 건강한 미학적 정화장치’로 인식한다. '아름다운 슬픔'이라는 역설이 탄생하는 바탕이기도 하다. 슬픔을 지향하는 시인의 태도는 고향의 자연과 맞물리면서 시의 배경으로서 경험적 현실의 토대를 마련한다. 특히 강과 바다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장소애는 특별하다. 소멸하는 것, 사라지는 것에 대한 서러움이 반짝이며 빛나는 것에 투사되면서 양가적인 감정으로 발전하는 데에는 고향의 강과 바다에서 체득한 원형심상이 주효하다. 물의 이미지가 ‘아름다운 슬픔’이라는 주제를 형상하기 위해 핵심적인 상상력의 하나로 기능하는 이유이다. 장소애와 물의 이미지에 의해 견인되는 슬픔의 미학은 여성 편향성에 의해 완성된다. 슬픔을 간직한 세 명의 여성을 창조하여 극적 상황을 연출해 내는 것은 매우 독특한 상상력이다. 이는 시인 내면에 있는 여성성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50년대 한국 시사의 한 축을 담당하는 박재삼의 초기 시는 정교하게 조직된 상상력의 구조를 갖고 있다. 결국 슬픔의 상상력으로 수렴되는 그의 시가 한국인의 원형 심상을 재현할 수 있었던 데에는 이 상상력의 구조가 매우 효과적이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