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1920년대 ‘조선인’ 도시금융조합의 경영권 문제와 임원선출 분규
문영주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49 No.-
Management Right Problem and Official Election Complication of the ‘Korean’ Urban Financial Associations in 1920’sMun, Young Joo 1920년대 ‘조선인’ 도시금융조합의 경영권 문제와 임원선출 분규문영주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역경 관련 학술 연구의 주제 구조와 연구동향 분석
문영주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5 안전문화연구 Vol.- No.43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역경 관련 학술연구의 주제 구조와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방향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역경 관련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토픽모델링을 통해 주요 연구주제를 도출하고,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2000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역경 관련 국내 학술논문을 전수 수집한 결과, 총 90편의 서지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역경 관련 학술연구의 상위 주제어는 역경후성장, 역경, 역경지수, 레질리언스, ACEs, 중년기, 아동기, 긍정심리, 역경경험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7개의 토픽 비중을 살펴본 결과, ‘중년기 사별경험과 우울에 대한 심리적 재구성 과정’, ‘운동선수의 역경극복을 위한 심리·사회적 적응 요인’, ‘아동기 역경경험에 따른 역기능적 행동 및 위험요인 체계’, ‘직장인의 역경경험과 조직 내 적응행동 간의 관계’, ‘가정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레질리언스’, ‘관계상실 상황에서의 긍정심리자원 탐색’, ‘생애주기별 역경 상황에 대한 대처전략과 질적 탐색’ 순으로 연구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상승 추이를 보이는 토픽은 ‘아동기 역경경험에 따른 역기능적 행동 및 위험요인 체계’이었으며, 연도별 하강 추이를 보이는 토픽은 ‘가정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레질리언스’ 토픽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안전문화 조성 관련 학술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topic structure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n academic studies on adversity. In particular, topic modeling was used to derive major research topics and analyze time-series change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survey of domestic academic papers related to adversity from January 1, 2000 to December 31, 2024, a total of 90 bibliographic information was collect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 keywords in adversity research were post-adversity growth, adversity, Adversity Quotient(AQ), resilienc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s), middle age, childhood, positive psychology, and adversity experienc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oportion of seven topics,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proportions were high in the following order: ‘Psychological restructuring process for bereavement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middle age’, ‘Psychosocial adaptation factors for athletes to overcome adversity’, ‘Dysfunctional behavior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adversity’, ‘Relationship between adversity experience of office workers and adaptive behavior within the organization’, ‘Resilience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family environment-related stress’, ‘Explor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in situations of loss of relationships’, and ‘Coping strategies and qualitative exploration for adversity situations by life cycle’. Finally, the hot topic was ‘Dysfunctional behavior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adversity’, while the cold topic was ‘Resilience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family environment-related stress’’Based on these results, academic implications for fostering a safety culture were suggested.
지역사회복지관 일자리 질에 대한 남녀 사회복지사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문영주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2 사회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일자리 질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로, 일자리 질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 지표로 직무 특성(직무자율성, 직무 권한), 고용안정(객관적ㆍ주관적 고용안정성), 발전가능성(숙련향상 가능성, 승진 가능성), 금전적 보상(급여, 부가급여), 관계(참여ㆍ발언, 인간관계)를 설정한 후, 이들 영역 각각에서 사회복지사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9월 27일부터 10월 15일까지 p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체 52개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기관 당 10부씩 배포하여 배포된 520부 설문지 중 회수된 424부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420부를 최종 잠재평균분석에 포함시켰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참여ㆍ발언, 인간관계와 같은 관계, 그리고 직무자율성, 직무 권한과 같은 직무 특성 면에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급여, 부가급여와 같은 보상 면에서는 다소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자리 질의 각 하위 영역에서 성별 차이가 나는지 살펴본 결과, 여성 사회복지사들은 남성에 비해 숙련 향상 가능성, 승진 가능성 등의 발전가능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일자리 질을 높이고,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문영주,강기정 한국부모교육학회 2011 부모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손가족에게 사례관리를 실시한 가족코치사의 사례관리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써 가족코치사의 역할과 사례관리 필요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C시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조손가족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가족코치사 1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을 위하여 의도적인 표집방법, 사례관리일지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6가지 구성요소와 22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6가지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새로운 도전>, <가슴으로 끌어안음>, <변화에 대한 뿌듯함>, <나의 성장함을 느낌>, <기억되고 싶은 이미지>, <필요를 채워주는 서비스의 정착> 이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는 조손가족 가족코치사의 사례관리가 전문사례관리자의 역할을 보완하고 가족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조모의 양육부담을 경감하고자 한다. 또한 손자녀의 학습의욕을 높이고 조손가족의 심리․정서적 안정에 도움을 주며 조손가족 사례관리를 위한 가족코치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한다.
협력적 거버넌스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 평가: Bifactor 모형의 적용
문영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2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researchers have chosen between the total and individual score approaches to analyze the mult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of a scale. These two approaches have, however, inherent limitations in that they cause a decrease in the conceptual clarity of latent variables. Based on this aspect, this study set out to apply the Bifactor model, which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 multidimensional factor structure and metric attributes of a scale in recent years, an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 collaborative governance scale.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mail survey with social workers at total social welfare center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otal 1,23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randomly assigned to Samples 1 and 2. While Sample 1(n=618) was subjected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ample 2(n=618) was subjected to ML CFA, second-order CFA, and Bifactor model analysis. Major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collaborative governance scale had seven factors including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dual identity, collective profit, complementarity, discriminating profit, reciprocality, and trust. Secondly, the Bifactor model recorded higher model fitness than ML CFA and second-order CFA models and was better at explaining general factors, domain-specific factors, and individual items. Finally, given ω, ωH, ωS, ωHS and Explained Common Variance(ECV), the size of general factors was not as overwhelming as that of group factors, which means that a collaborative governance scale should be understood in an seven-factor multidimensional structure rather than in a single dimen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the usefulness of the Bifactor model and the applicability of a collaborative governance scale. 사회과학 연구에서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총합점수방법 혹은 개별점수방법을 선택해 왔다. 그러나 이 두 방법은 잠재변수의 개념적 명확성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기반을 두어 이 연구에서는 최근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와 측정학적 속성을 탐색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Bifactor 모형을 적용하여 협력적 거버넌스 척도의 다차원 요인구조를 평가하고,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종합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 1,236부를 무작위로 2개 표본으로 분할한 뒤, 표본 1(n=618)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표본 2(n=618)로 ML CFA, Second-order CFA, Bifactor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협력적 거버넌스 척도는 참여적 의사결정, 의사소통, 이중적 정체성, 집합적 이익, 상호보완성, 차별적 이익, 호혜성 및 신뢰의 7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Bifactor 모형이 ML CFA, Second-order CFA 모형에 비해 모형적합도가 높으며, 일반요인, 영역특성요인, 개별 문항들 간 관계를 더 잘 설명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오메가 계수(ω), 오메가 위계계수(ωH), 하위척도의 오메가 계수(ωS), 하위척도의 오메가 위계계수(ωHS), 일차원 검정 지수(ECV) 값을 고려할 때, 일반요인의 크기가 집단요인에 비해 지배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협력적 거버넌스 척도는 단일차원이 아닌 7요인의 다차원 구조로 이해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Bifactor 모형의 유용성과 협력적 거버넌스 척도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뢰와 정보시스템 품질 중심으로
문영주,이종호 한국경영교육학회 2005 경영교육연구 Vol.40 No.-
The number of domestic internet users and the scale of Electronic Commerce are on the increase rapidly due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Nowadays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at is a representative type of B2C, is growing explosively. but online purchases aren't activated. that failure reason in that consumers aren't willing to join Electronic commerce by lack of trust i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As the research emphasized that trust in Electronic commerce. TAM posits that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ffect the reuse of information system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it suggests that the trust factor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factors, through the mediation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eventual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 in online shopping mall. 오늘날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로 인터넷을 이용한 상거래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수익창출의 도구로 사용되는 인터넷은 기업의 수익창출을 위해 매우 중요한 채널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각도의 전략개발에 많은 시간과 자본을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의 쇼핑몰 방문이 실제 구매행위로 이어지는 경우는 불과 1.3~3.2%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Boston Consulting Group, Shop.org, 2000). 이러한 연구결과를 유추해 볼 때 전자상거래환경에서의 쇼핑몰 특성과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가상공간에서의 비대면 거래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소비자들이 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쇼핑몰에 대한 신뢰와 품질수준이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을 내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들이 제품 구매 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쇼핑몰에 대한 사용자들의 신뢰와 정보시스템 품질(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정보품질)이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바탕으로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품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쇼핑몰 운영자들에게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기업의 수익창출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