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촌관광 서비스 지표개발 연구

        김지효 ( Kim Jihyo ),손호기 ( Son Hogi ),채혜성 ( Cha Hyesung ),김상범 ( Kim Songbu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7

        농촌의 지속가능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농촌사회가 유지되고 지속가능해질 수 있는 체제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농촌관광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농촌 관광 서비스 및 발전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3회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농촌관광 서비스 평가지표, 농촌관광 지속가능한 발전 평가지표를 2가지 유형의 대분류 지표로 명명하였다. 농촌관광 서비스 평가지표에서는 환경여건 지표(7항목), 공급시설 지표(4항목. 6세부시설항목), 체험활동 지표(6항목), 운영관리 지표(7항목)로 4개 유형, 세부지표 총 30항목을 도출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활용하여, 농촌관광 서비스 평가에 대한 중요도를 판단하였다. 또한, 농촌관광 지속가능한 발전 평가지표에서는 사업성 지표(4항목), 발전가능성 지표(4항목)로 2개 유형, 세부지표 총 8항목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향후 지속가능한 농촌관광을 발전시키고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As a basic research on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supply indicato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for sustainable rural tourism services and evaluation of sustainability in rural tourism, and to draw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As a result of the three delphi surveys,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and rural tourism sustainable development evaluation indicators have been named as two types of major classification indicators. The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indicators are divided and four types of subdivisions are derived. They are, environmental condition indicators (7 items), supply facility indicators (4 items, 6 sub-facility items), experience activity indicators (6 items), and operation management indicators (7 items). The importance of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has been decided by using 5-point Likert scale. The rural tourism sustainable development evaluation indicators are divided into two types as business value indicator (4 items) and development possibility indicator (4 items), and using 5 point Likert scale is used to assess the importance of rural tourism servic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basic data for developing future sustainable rural tourism.

      • KCI등재

        IPA를 활용한 대학생 진로적응성 프로그램의 교육요구도 분석

        김지효(Jihyo Kim),김주섭(Juseob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향후 진로적응성 프로그램 개발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충남소재 D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총 149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살펴보기 위하여 IPA(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으며, Borich계수를 산출하여 상대적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진로적응성의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현재 진로적응성에 대한 수행도보다 중요도가 더 높아 진로적응성의 교육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IPA분석에 따른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가 높은 진로적응성 요인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자원활용 능력’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적응성 교육내용으로 유지·강화해야 하는 영역으로는 진로목표조정능력, 사회적 책임행동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프로그램 개발 시 축소가 필요한 진로적응성 영역으로는 자기이해, 직업환경 탐색, 긍정진로신념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기존의 학습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nin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program.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49 students at D university. We were analy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impoartance and performance and were confirmed their educational needs using IPA. Results As a result for the study: first, we were confirmed the educational needs of career adaptability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career adaptability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of career adaptability. Second, According to the IPA, the career adaptability factors with the highest priority in the eucational needs we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cial resource utilization ability. Third, Factors in the maintained and strengthened area were career goal adjustment ability and social responsible behavior. Fourth, Factors career adaptability with relatively low educational needs were found self-understanding, work environment exploration, and positive career beliefs. Conclusions Those results will suggest basic directions to development of the career adaptability program at college.

      • KCI우수등재

        페미니스트‘들’의 인스타그램 : 디지털 평판과 SNS 페미니즘

        김지효(Kim, jihyo) 한국여성학회 2021 한국여성학 Vol.37 No.4

        그간 20대 여성은 페미니즘 대중화의 주역으로 불리며 많은 주목을 받았으나, 주로 페미니즘적 성격이 짙은 SNS 공론장 내 실천에 한정해 분석되며 제한된 방식으로 재현 되어왔다. 본 연구는 현재 청년 여성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SNS이자 셀카 전시 문화가 유행하고 있는 인스타그램에 주목해 SNS 페미니즘 실천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 온라인에 이미 게시된 글을 분석할 때 포착하기 어려운 고민의 과정을 드러내고자 했기에 연구방법으로 심층 면접을 택했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에게 인스타그램은 페미니즘에 대한 최종적 입장을 진지하게 밝히는 공간이기보다 타인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남기기 위해 자아 이미지를 연출하고 협상하는 평판관리 공간이었다. 인스타그램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 방식으로 구조화되어있었는데, 자신의 경쟁력을 증명해야 하는 청년이자 여성이며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로 인식하는 이들은 많은 내적 갈등을 경험했다. 이들은 나름의 방식대로 페미니즘을 주창하고자 했으나 평판과 직결된 방식으로 논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은 페미니즘의 정치성을 탈각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인스타그램에서의 페미니즘 전시는 그 내용이 성취하고자 하는 것보다 페미니스트임을 드러내는 개인의 용기에 이목이 쏠리거나, 타인을 납득시키기 위한 논리로 축소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여성들이 쓰는 글은 이들의 페미니즘 인식을 그대로 투영하는 것이라기보다 오히려 예상 독자의 수준에 맞춰 그들을 설득하기 위해 쓴 것에 가까웠다. 이 연구는 평판관리공간인 SNS에서 페미니즘이 전시될 때 어떤 효과와 한계가 나타나는지 드러내며, 페미니즘 공론장으로서 SNS의 가능성을 재사유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meaning of feminism practice in Instagram. For young women, Instagram was not a space to seriously reveal their stance on feminism, but rather a reputation management space to create a self-image in order to leave a positive impression on others. They tried to advocate feminism, but the situation in which they discussed it in a way directly related to their reputation resulted in the deprivation of feminism’s politics. Feminism exhibitions on Instagram had the effect of drawing attention to the individual who reveals that they are feminists rather than what they want to achieve, or reducing feminism politics to ‘logic’ to convince others. What women write on Instagram is not a reflection of their feminist thought but rather to persuade expected readers. This study reveals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feminism when it is displayed on Instagram, and shows the need to reconsider the role of SNS as a public sphere for feminism.

      •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미래의 괜찮은 일 및 학습성과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일의 심리학의 적용

        김지효(Jihyo Kim) 한국경영학회 2023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8

        본 연구에서는 일의 심리학(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을 적용하여 대학 신입생(N=251)을 대상으로 미래의 괜찮은 일과 학습참여 및 만족감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장벽과 미래의 괜찮은 일의 관계를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이 매개하는 경로를 설정하고 미래의 괜찮을 일에 대한 지각과 대학의 학습참여 및 만족의 관계를 포함하는 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고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모형의 적합도는 대학생들의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에서 진로적응성, 일의 자유의지에서 미래의 괜찮은 일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직접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미래의 괜찮은 일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은 대학의 학습참여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이 일의 자유의지를 매개하여 진로적응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장벽이 일의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을 매개하여 미래의 괜찮은 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방대학생의 괜찮은 일자리와 학습성과를 위한 진로지도 및 상담 개입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The relationships between future decent work and academic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N=251) were investigated based on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PW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future decent work was investigated, and the pathways mediated by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a model that includes the perception of future decent work and its relationship with college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 The fit of the research model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investigate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verall fit of the model adequately explained the data of college stud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path from work volition to future decent work, all direct paths were significant. Positive perception of future decent work was found to boost college learning participation. Furthermore, career barriers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work volition, and career barriers mediated the static effect on future decent work through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future decent job and academic performance for students in local universities were discussed.

      • 신재생에너지 전력의 지불의사액 추정모형 연구

        김지효(Kim, Jihyo),박주영(Park, Jooyoung),김해연(Kim, Haeyeon),허은녕(Heo, Eunny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우리나라는 제 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111.5조 원을 투자하여 전체 에너지의 11%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원자력이나 화석에너지에 비하여 생산비용이 높아 보조나 융자 등의 정부지원에 의존하여 보급이 이루어져왔다.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및 산업발전을 위한 보급정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2012년부터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신재생에너지 공급의 무화제도)를 도입키로 확정하였다. RPS의 도입은 일정규모 신재생에너지 시장수요를 창출함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원간 가격경쟁 구도 형성의 유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전력가격 일괄상승 및 녹색가격제도(Green Pricing) 등의 정책적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분석하여 RPS 시행제반의 정책적 논의의 기초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RPS는 신재생에너지원 간의 경쟁을 가능하게 하므로 개별 신재생에너지원에 따라 소비자 선호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재 혹은 비시장재화의 가치추정에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조건부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적용하여 풍력, 태양광, 수력으로 생산한 전력에 대한 소비자의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 WTP)을 분석하는 모형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Zografakis et al.(2010), Yoo and Kwak(2009), 이창훈 황석준(2009), Nomura and Akai(2004), Bately et al.(2001) 등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신재생에너지 전력 가치의 설문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문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각 요인들이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가능한 모형을 설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들이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일반적인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질문하는데 그쳤다면, 본 연구에서는 각 원별로 지불의사액의 차이를 도출할 수 있는 설문모형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설문수행을 통하여 신재생에너지원별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연구로 발전될 수 있으며, 이는 RPS 도입으로 인한 전력가격 정책 수립의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겠다.

      • RPS 도입 하의 신재생에너지 지불의사 연구

        김지효(Kim, Jihyo),김민지(Kim, Minji),김해연(Kim, Haeye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본 연구는 2012년 시행할 예정인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하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추가비용 발생 시 국민들이 RPS 제도의 목표 및 형태에 대하여 어떤 선호를 가지고 있으며, RPS 제도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소비자 선호를 조사하는 대표적인 연구방법론인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활용하여, RPS 제도 하에서 발생 가능한 소비자 선호, 구성요소 합산효과 및 지역별 선호의 차이의 3개 주제에 대한 연구를 3차례 설문을 통해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들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WTP는 가구당 1,456~1,560원/월 수준으로 이는 우리나라 가구당 월 평균 전기요금의 약 3.7~3.5% 수준에 해당한다. 이를 토대로 추산한 신재생에너지 전력 이용에 대한 국민들의 편익은 2011년 신재생에너지 보급 관련 예산의 42.4%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민들은 에너지원의 선택에 대한 비용 차이가 있을 시에는 개별 신재생에너지원을 대체재(substitutes)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에너지원의 선택에 대한 비용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특정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선호를 보이며, 특히 태양광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셋째,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따른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연 2,618~2,806 GWh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2010년도 우리나라 전체 전력 수요의 0.62~0.66% 정도로 RPS에서 목표로 하는 의무비율을 이행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선호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간 저항응답의 비율, 재생에너지 시설 인근 경험 및 재생에너지 시설 입지에 대한 찬반의사 등의 지역별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소비자 선호의 지역별 차이 연구

        김지효(Kim, Jihyo),김해연(Kim, Haeyeon),허은녕(Heo, Eunnyeo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의 도입을 확정하였다(지식경제부 고시 제2010-244호). RPS 제도는 기존의 발전사업자에게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토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RPS의 도입을 통해 일차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부차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확대의 비용의 소비자 귀착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RPS 제도로 인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의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된다는 가정 하에, 조건부가치평가법(Contingent valuation)을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 to pay)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분석하는 데 있어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서울, 울산, 강원도, 전라남도의 4개 지역을 설문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관련 시설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는 비교군에 해당하며, 강원도와 전라남도는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이 활발한 지역을 대표하는 대조군에 해당된다. 울산은 신재생에너지 이용이 활발하지는 않으나 굴지의 산업단지가 입지한 지역으로, 대형 에너지 관련 시설에 대해 특수한 선호를 보일 것이라 추측되어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4개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평가법을 적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을 도출한 후,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에 관련된 경험이 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도출된 신재생에너지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은 향후 RPS 정책 도입시 전기요금 산정 관련 논의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2차 실증사업의 효과 분석

        김지효 ( Jihyo Kim ),이수민 ( Soomin Lee ),장희선 ( Heesun Jang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2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2021년 5월부터 9월까지 시행된 주택용 계시별 요금제 2차 실증사업의 효과를 2단계 전력수요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이 실증사업은 전국 7개 지역의 아파트 및 단독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누진제, TOU-일반형 요금제, TOU-단순형 요금제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차 실증사업에 참여한 1,292가구의 계시별 요금제 적용기간(2021년5~9월) 및 전년 동기(2020년 5~9월)의 전력소비량 및 사회경제적 특성자료를 기초로, 계시별 요금제의 도입에 따라 (1) 요금단가가 높은 시간대의 상대전력수요가 가격 변화에 반응하여 감소하였는지, (2) 일일전력수요의 가격반응도에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차 실증사업에 적용된 두 종류 계시별 요금제 모두 상대전력수요와 일일전력수요의 가격반응도를 유의하게 변화시키지 않았다. 이는 실증사업에서 제시된 계시별 요금제의 전력량 요금 수준과 시간대별 구분이 참여자의 전력 수요 패턴 변화를 유인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2<sup>nd</sup> pilot test of Tiime of Use (TOU) pricing for Korean households using a two-level electricity demand model. The test, implemented from May to September 2021,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TOU pricing rates and the standard rates for households living in apartment and detached house in 7 provinces of Korea. Based on the data on electricity consumption during the test period and during the same period last year of the 1,292 participants and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s (1) whether the relative demand across periods has changed in response to hourly price changes and (2) whether the price responsiveness of daily consumption has chan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OU pricing. The results show that both types of TOU pricing affect neither the relative demand across periods nor the price responsiveness of daily consumption. The reason behind the results could be related to the level of TOU pricing rates and the periodical classification, which were not sufficient to induc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electricity demand patterns.

      • 스포츠 O2O 플랫폼의 개인 맞춤화 서비스 제안: 검색 필터 및 리뷰 기능을 중심으로

        김지효(Jihyo Kim),나희주(Heeju Na),서지우(Jiwoo Seo),이지원(Jiwon Lee),강효진(Hyojin Kang)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MZ 세대의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스포츠 센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스포츠 센터는 고객이 운동을 지속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며 스포츠 센터 이용 전 단계인 탐색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피로를 느끼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포츠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이 다수 개발되었으나, 고객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기에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O2O 플랫폼의 문제점과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보다 개인 맞춤화 된 스포츠 O2O 플랫폼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O2O 플랫폼 서비스의 장단점을 파악하였으며,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스포츠 O2O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들의 사용 행태와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사용자 맞춤형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사용자 취향 기반의 향상된 검색 필터와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키워드 리뷰 기능 중심의 스포츠 O2O 플랫폼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