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실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문제점과 평가제도의 개선방향

        하명호,박종섭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5

        성수대교·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을 계기로 유지관리 분야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1995년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이 제정되어 점검·진단이 실시되는 등 본격적인 유지관리체제가 시작됐다. 그러나 점검·진단의 역사가 일천한 관계로 점검·진단에 대한 기술수준이 낮았고 연구 성과 또한 미흡하여 부실 점검·진단에 대한 우려가 상존해 있었다. 이에 2002년 평가제도가 도입 되면서 부실 점검·진단 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져 왔다. 그러나 최근 점검·진단 실시결과 평가실적에 따르면 향후 부실 점검·진단비율이 더 이상 낮아지기 힘든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를 계기로 부실 점검·진단과 관련하여 관련기관의 설문조사와 메커니즘 측면에서 고찰하므로 서, 부실 점검·진단이 초래되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나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평가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As importance of the field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me to the fore because of collapses of the Seongsu bridge and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Special Act for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was established in 1995 and the maj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began taking effec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However, a technical standard of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was low because its history was not long, and also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not enough so anxiety for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was continuously left. While its evaluation system introduced in 2002, the ratio of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has been getting lower. Howeve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after carrying ou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recently, it seems difficult to become lower for the ratio of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in futu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of questionary survey of the concerned organization and the mechanism side in connection with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So it is arranged the fundamental problems caused by an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that is to show the improving direction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in a based on this.

      • KCI등재

        기초지자체 조직진단 프레임워크 개발에 대한 시론적 논의

        정홍상(鄭洪相),양승범(梁承汎),심준섭(沈俊燮)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1

        조직진단은 조직진단을 가이드 하는 진단 프레임워크가 있어야한다. 그래야 제대로 된 조직진단을 기대할 수 있다. 지방자치 · 지방분권시대에 지역주민에 대한 책임성 확보와 관련하여 기초지자체 차원의 조직진단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직진단에서 진단을 길잡이 할 진단 프레임워크가 마땅히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조직진단 매뉴얼 및 기초지자체 조직진단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초지자체 조직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진단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이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한 진단 프레임워크의 제시 뿐 아니라, 자료 분석과정을 현시하여 진단 프레임워크 도출과정을 독자와 공유한다.

      • KCI등재

        근로자 일반 검진과 개인별 종합검진의 일치도

        유선미,임민경,고경실,맹승희 대한보건협회 1998 대한보건연구 Vol.24 No.1

        산업안전보건법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근로자 일반건강진단은 근로자에게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실시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한 2차 예방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건강진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검진의 표적 질환 및 검사항목 선정, 검진실시 과정, 검진결과 및 사후관리 체계에 대하여 표적 질환 및 검사항목 선정에 대한 평가에 주목하여 검토하였다. 1996년 충남 소재 반도체 생산업체 생산직 근로자 581명을 대상으로 근로자 일반건강진단과 개인별 종합검진을 시행하고 건강진단 결과와 의무기록상의 의사의 진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건강진단의 표적질환군 중에서 한국인의 10대 사인,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상병자료에서 유병률이 높은 질환에 속하는 것은 호흡기 결핵, 간장질환, 당뇨, 고혈압 등이었다. 2. 일반건강진단은 개인별 종합겁진에 비해 검사 항목이 더 적고, 검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의사의 개별적인 상담을 받을 기회가 적었다. 집단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일반건강진단의 사후관리는 2차 검진 결과를 통보하고 난 뒤에는 개인에게 일임하고 있었다. 3. 일반건강진단 결과 유소견자(C)와 일반 질환자(D2) 중에는 소화기 질환이 가장 많았고, 순환기, 호흡기,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결핵 순이었으며, 고혈압과 호흡기 결핵을 제외하면 구체적인 진단을 얻을 수 없었다. 개인별 중합검진의 경우 일반검진을 이용해서 얻지 못하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진단으로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위암, 간경변, 폐암, 협심증, 요로감염, 신장암 등이 있었다. 일반건강진단과 종합검진에서 진단이 일치한 경우는 전체의 53.9%였고, kappa index는 0.249(p=0.000)였다. 일반건강진단 결과 가장 많았던 소화기 질환은 개인별 종합검진에서는 지방간, 정상, 간염 건강보균자, 간기능 이상, 알코올성 간염 등으로 구체적인 진단을 받았다 4. 1차 검진 이상자(절차구분 R)에게 시행한 2차 검진은 고지혈증의 경우 검사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으나, 간장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의 경우는 최종 진단을 결정하는데 크게 기여하지 않았다. 효과적인 일반건강진단을 통해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검진의 목표, 표적질환, 검사항목, 검진실시 과정, 결과 추구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secondary level preventive service which aims health promotion at work site. This study concerns the target diseases, clinical tests, the result, and the follow-up strategies to explore the effect of periodic health examination. 581 workers in semiconductor-manufacturing factor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1996. We analysed the result of examination and diagnosis by doctors in hospital medical records. The result is as follows, 1. Target diseases of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which belong to 10th common causes of death in Korea and rank as common diseases in medical insurance prevalence were respiratory tuberculosis, liver diseases,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2. The most common findings which showed abnormal result was disease of digestive system, followed by diseases of circulatory, respiratory, urogenital system and respiratory tuberculosis. But the diagnosis by periodic health examination was not concrete except hypertension and tuberculosis, and didn't cover important diagnoses such as peptic ulcer disease, gastric cancer, liver cirrhosis, angina pectoris, urinary tract infection and kidney cancer. 3. Most results of confirmatory health examination to make an valid diagnosis about hyperlipidemia revealed abnormal results. But confirmatory health examination about liver disease, urogenital disease seemed to contribute to confirmative diagnosis. In conclusion, we described some problems of target diseases, test items, confirmatory tests in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So we'd like lo suggest more extensive reconsideration about adequate target diseases, test items, and confirmatory health examina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to improve the efficacy of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KCI등재후보

        정부 조직진단의 추진전략과 관리방안

        김윤권(Yunkwon Kim) 한국공공관리학회 200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1 No.4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조직진단이 적실성과 타당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직진단과 관련된 주요 이론적 논점을 부각시키고, 바람직한 정부조직진단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조직진단 추진전략과 관리방안을 제시한다. 바람직한 조직진단 추진전략으로는 진단목적 공유, 진단의 정확한 인과성 확보, 상시적 진단체제 구축, 기관별 맞춤형 진단 구축, 협력형 진단체제 구축을 제시한다. 또한 타당성과 적실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조직진단 관리방안으로는 조직 리더의 적극적인 역할, 조직진단실무자의 전문적 역할, 진단모듈별 상호 연계된 진단관리, 조직진단 기법 및 지표 고도화, 조직진단 결과의 평가 및 활용을 제시한다. 정부 조직진단에 대한 이론적 검토, 추진전략, 관리방안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조직진단의 정체성 및 내용을 이해시키고 조직진단의 타당성, 적실성, 및 수용성을 제고시켜 줄 것이다. 일반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정부조직진단을 정교화시켜 향후 행정개혁이나 조직개편에 유용한 대안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행정서비스를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조직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제시한다. Under the research question that public organizational diagnosis needs relevance and validity, this paper focuses on theoretical issues on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it suggests the strategies and management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in order to induce the desirable results of government organizational diagnosis. The desirable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will be suggested as follows: sharing diagnosis goals, acquiring cause and effect of diagnosis, building persistent diagnosis, setting custom-made diagnosis for institutions, and building cooperative diagnosis system. The management method of diagnosis for persistent validity and relevance in government organizational will be recommended as follows: organizational leader's active role, diagnosis practitioner's professional role, organic diagnosis relationship among diagnosis modules, enhancing the manuel and index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the evaluation and usage of the diagnosis results. The review of theoretical diagnosis, the diagnosis strategies and the diagnosis management will clear the identity and contents of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it will improve the validity, relevance and acceptance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This paper will pave the way for usable alternatives for administrative reform or reorganization by elaborat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al diagnosis considering generalization and specificity. This paper will imply the legitimacy of organizational diagnosis by enhancing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and state competency.

      • KCI등재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과체중과 비만 진단기준 비교

        신윤아,신윤정,박진경,박형재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2

        연구배경: 다양한 비만진단 기준이 청소년들의 과체중과 비만진단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나, 청소년의 비만진단 기준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비만진단기준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의 차이를 비교하여 청소년의 비만진단에 적합한 진단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0년 신체검진을 받은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청소년 6,571명(남: 2,755/여: 3,816명)을 대상으로 비만도,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과 IOTF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WGOC (the Working Group for Obesity in China) 진단기준 및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의 백분위수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을 성별과 연령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비만 유병률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IOTF와 WGOC 진단기준, 체질량지수의백분위수를 이용한 진단기준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은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보다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으며, 체지방률 백분위수를 이용한 방법은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보다 낮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남학생의 경우, 과체중 유병률은 IOTF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비만 유병률은 WGOC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여학생의 경우,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은 WGOC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비만 유병률은 진단기준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WGOC 진단기준이 비만도에 따른 분류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상피 종양 진단을 위한 병리진단 프레임워크와 췌장선암의 적용 예

        송재원(Jae-Won Song),이주홍(Ju-Ho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9 No.6

        본 논문은 상피조직에서 발생하는 종양진단을 위한 자동화된 병리진단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병리적 지식을 기반으로 주어진 조직영상을 내강, 상피세포, 그리고 비-상피세포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객체들의 형태학적 특징들을 추출함으로써 상피조직에서 발생하는 종양에 대한 정량적인 병리진단의 기반을 제공한다. 우리는 제안된 프레임워크의 적용가능성을 보이기 위해 췌장암의 90%를 차지하는 췌장선암의 진단 문제에 적용하였다. 병리진단은 병의 발생 부위 및 병의 종류에 따라 진단 방법이 다르고 검토되는 특징들도 다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분할된 객체들에 대한 기본적인 형태학적 특징들과 함께 췌장선암을 진단하는데 필요한 특징들을 추출하고 그 특징들을 이용하여 췌장선암 진단을 수행하는 예를 보여준다. 제안된 진단 프레임워크는 상피조직을 포함하는 선암이나 낭성종양 등의진단을 위한 조직세포 영상 기반의 진단 프레임워크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for automated pathology diagnosis of neoplasm that occurs in epithelial tissues. The proposed system segment a tissue image into lumen, epithelial cell, and non-epithelial cell based on pathological knowledge and extracts morphological features from segmented objects. It provides a basis to quantitatively diagnose neoplasm occurring in epithelial tissue. In order to 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we conduct experiments for diagnosing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occurring in epithelial tissue. The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accounts for 90% of pancreatic cancer. There are various diagnostic methods and characteristics to be analyzed according to each lesion and tumor type. In this paper, we extract new morphological features for diagnosing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with classical morphological features from segmented objects and shows practical example to diagnose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that is the neoplasm occurring in epithelial tissue. The proposed framework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diagnosing the neoplasm occurring in epithelial tissue such as adenocarcinoma, cystic tumor, and so on.

      • KCI등재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설정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이 논문에서는 부모가르기서사로부터 자녀감싸기서사에 이르는 열여섯개 서사영역에서 각각 어느 수준의 어떠한 자기서사가 작동하고 있는지 알아낼 수 있는 자기서사진단검사도구의 문항들을 설정하였다. 문항설정은 피검자가 진단서사를 얼마나 저항 없이 잘 따라가는지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나의 진단서사에 대하여 세 지점에서 문항설정을 하였는데, 설정된 문항들은 대체로 네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였다. 첫째는 진단서사의 흐름을 그대로 따라가는 방향의 문항, 둘째는 진단서사의 흐름과 반대로 가는 방향의 문항, 셋째는 대립하는 앞의 두 방향을 무화시키거나 또는 무관심한 방향의 문항, 넷째는 제시된 세 개의 방향 모두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문항 등이 그것이다. 이번 논의의 가장 중요한 성과는 자기서사의 열여섯 개 서사영역 각각을 진단할 수 있는 문항들이 구체적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이다.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진단이론이 아무리 정교해도 실제로 진단검사를 실행하여 자기서사를 진단할 수 있는 문항들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그 진단이론은 그림의 떡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다음으로 중요한 성과는 진단서사의 세 지점에서 문항을 설정하여 서사의 갈림길을 열어 놓음으로써 진단서사가 안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의식을 다각도로 드러내었다는 것이다. 서사는 갈림길에서 당면한 문제를 논쟁적으로 성찰하고 선택을 결단한다는 당연한 사실을 구체적으로 실현한 셈이다. 또 하나 중요한 성과는 문항설정을 네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서사 전개의 논리를 개발하였다는 것이다. 서사는 서사 자체의 논리에 입각하여 전개되며, 논리의 방향을 바꾸면 다른 서사로 넘어가게 된다는 점을 분명하게 하면서, 장차 서사지도(敍事地圖)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발판 하나를 마련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problem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establishing problem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in sixteen epic realms in order to know how easily testee follow the diagnostic epics. The diagnostic epics are wholesome epics. < The Liver of Son and Stepmother >(the epic of dividing parents), < Sun and Moon, Brother and Sister >(the epic of pushing parents), < My Own Good Fortune >(the epic of recovering parents), < Bridge and Mother >(the epic of protecting parents), < Whip and Virgin >(the epic of dividing the opposite sex), < Fox Jewel >(the epic of pushing the opposite sex), < Woman's Beauty and King's Counselling >(the epic of recovering the opposite sex), < Bathing with Beautiful Woman >(the epic of protecting the opposite sex), < Tears of Husband' Soul >(the epic of dividing mate), < Tiger's Eyebrows >(the epic of pushing mate), < A Centipede Woman >(the epic of recovering mate), < Generous Husband >(the epic of protecting mate), < Cow and Roof >(the epic of dividing children), < Young Son and Old Father >(the epic of pushing children), < A Firewood Seller and Borrowing a Good Fortune >(the epic of recovering children), < A Daughter-in-law Becomes a Mother-in-law >(the epic of protecting children) are those. Second, another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opening the forked road of epic by establishing problem items at three points of diagnostic epic and revealing the central issues of the diagnostic epic. Third, another important fruit of this paper is developing the logic of epic and preparing foothold for epic map.

      • KCI등재

        진단용 방사선 관련 업무 종사자의 피폭관리에 관한 연구

        임창선 대한의료법학회 2021 의료법학 Vol.22 No.3

        의료기관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취급하는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있다. 그리고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방사선진료를 보조하거나 방사선 검사실로 환자이송 등을 하는 업무 보조자들이 있다. 방사선 관계 종사자는 「의료법」 등에 의해 방사선 피폭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방사선 진료업무 보조자 등은 이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진단용 방사선 피폭관리는 의료법령에 의해 규율되고 있고, 치료용 방사선과 핵의학검사에 의한 방사선 피폭관리는 「원자력안전법」의 규율을 받고 있다. 이에 진단용 방사선에 의한 피폭관리를 개선하기 위하여 「의료법」 상 진단용 방사선 피폭관리에 관한 규정과 「원자력안전법」 상 관련 규정들을 비교ㆍ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로 얻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용 방사선에 의한 피폭관리 대상으로 방사선 관계 종사자 외에 방사선 피폭 우려가 있는 간호사, 간호조무사, 임상실습 학생 등을 포함시켜 입법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원자력안전법」에서처럼 진단용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임신이 확인된 경우에는 피폭선량 한도를 명문으로 규정해야 한다. 셋째,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의 개인피폭선량계의 종류에 관한 규정을 현실에 맞게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방사선 관계 종사자, 방사선작업종사자와 수시출입자에 대한 건강진단의 검사항목은 동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의료기관에서 진단용 방사선뿐만 아니라 치료용 방사선과 핵의학을 포함한 의료용 방사선 전체를 하나의 법체계에서 통일하여 규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medical institutions, there are radiation-related workers such as radiological technologists, physicians,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who handle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s. Also, there are work assistants, such as nurses and assistant nurses, who assist in radiation treatment or transfer patients to the radiation examination room.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radiation-related workers is carried out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but there is no legal basis for work assistants, etc. And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for diagnosis is regulated by the 「Medical Service Act」, and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by therapeutic radiation and nuclear medical examination is governed by the 「Nuclear Safety Act」. Thu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radiation exposure for diagnosis, the regulations on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diagnosis under the 「Medical Service Act」 were compared and reviewed with those of the 「Nuclear Safety Act」. As a result,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o include nurses, assistant nurses, and clinical practice students who are likely to be exposed to radiation besides radiation- related workers as subjects of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diagnosis. Second, when a radiation-related worker for diagnosis is confirmed to be pregnant, the exposure dose limit should be defin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gulations on the types of personal exposure dosimeters in the 「Rules on the Safety Management of Radiation Generators for Diagnostics」. Fourth, it seems that health examination items for radiation-related workers, radiation workers, and frequent visitors should be the same. Fifth, It is necessary to unify and regulate diagnostic radiation and all medical radiation, including therapeutic radiation and nuclear medicine, in one legal system.

      • RISS 인기논문 KCI우수등재SCOPUS

        암 간호정보체계 개발 : 한국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

        이병숙,Brenda K. Zierler 대한간호학회 간호행정학회 2007 간호행정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암 간호정보체계에 사용될 한국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핵심간호진단은 6대 암, 각 환자 군의 간호를 위해 가장 자주 혹은 많이 사용되는 일정의 간호진단 세트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 6대 암 환자의 핵심간호진단을 결정하고자 하는 가장 큰 목적은 간호진단 과정에서의 편리성을 높임으로써 앞으로 개발될 암 간호정보체계의 유용성과 사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핵심간호진단은 조사연구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결정된 진단들은 문헌고찰과 환자기록 분석을 통해 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환자기록 분석은 특히 조사연구 결과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조사연구에 사용된 도구 및 환자기록에 나타난 간호진단 혹은 간호문제의 교차분석을 위해서는 NANDA Taxonomy Ⅱ에 포함된 간호진단이 사용되었다. 219명의 경력간호사가 조사연구에 참여하였으며, 72개의 환자기록이 분석되었다. 핵심간호진단은 암 간호정보체계의 언어개발을 위해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 의해 조사연구 참여자의 20% 이상이 선택한 NANDA 간호진단으로 정하였다. 연구결과: 16개 ~ 20개의 NANDA 간호진단이 한국 6대 암, 각 환자군의 핵심간호진단으로 선정되었다. 핵심간호진단 중 ‘급성통증’, ‘만성통증’, ‘불안’, ‘감염가능성’, ‘피로’, 등이 6대 암 환자 군에 모두 포함되었다. 결론: 핵심간호진단의 타당도는 환자기록 분석과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들 핵심진단은 암 간호정보체계에 사용되어 간호진단 적용을 촉진함으로써 암 환자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방진단함수개발에서 진단정확률과 진단성공율을 이용한 전문가 수의 결정 -형상의학을 중심으로-

        김규곤,이용태,김종원,김경철,지규용,이인선,전수형,강창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6

        When diagnosis functions of Oriental Medicine are developed, true values of diagnosis are made use of medical specialist' diagnosis and observed values are the data obtained in clinical trial. In this study, we seek for the number of medical specialist providing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functions.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3D facial data of clinical trial for 780 cases totally composed of 504 men and 276 women who visited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D and K University from 13 October 2009 to 14 December 2009. Five medical specialists are participated in the facial clinical diagnosis, and 3D data are collected as follows. Facial shapes are embodied by 3D facial scanner firstly, and 3D coordinates of 54 points are obtained by pointing the facial surface, then the number of analysis variables are 328 items totally composed of height, breadth, angle, area, oblique line length which are transformed by the converting program. In statistical analysis, we us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o select analysis variables, and us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to obtain the correct rate of diagnosis func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the maximum value of diagnosis correct rate, two medical specialists' diagnosis are recommended for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in all levels of category of facial shape. Based on the minimum value of diagnosis correct rate, four specialist' diagnosis in 2 levels of category, two specialist' diagnosis in 4 or 5 levels of category. Based on the maximum or minimum value of diagnosis success rate, four medical specialist' diagnosis are recommended for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in 2 or 5 levels of category of facial shape, three specialist' diagnosis in 4 levels of category. 한의학의 진단함수를 개발할 때 전문가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고 이에 대한 관측값으로 임상시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진단함수의 참값을 제공하는 전문가의 숫자를 결정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2009. 10. 13. - 2009. 12. 14 사이에 D대학교와 K대학교의 부속한방병원에서 시행한 임상시험에 참여한 남자 504명, 여자 276명, 합계 780명에 대하여 3차원 얼굴 전용 스캐너를 사용하여 구현된 얼굴형상 데이터이다.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는 전문가의 진단결과는 구현된 얼굴형상을 5명의 전문가가 관찰하여 진단한 결과이다. 관측값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는 구현된 얼굴형상 위에 54개의 특징점을 포인팅하여 3차원 좌표를 얻은 다음, 데이터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점들간의 수직거리, 수평거리, 각도, 면적, 사선길이 등을 계산한 총 328개의 3차원 얼굴형상 데이터이다. 3차원 얼굴형상 데이터에 대한 변수선택방법은 단계별판별분석을 이용하고, 형상진단의 진단정확률은 선형판별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진단정확률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할 때는 형상유형의 범주의 모든 수준에서 전문가 2명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고, 진단정확률의 최소값을 기준으로 할 때는 형상유형의 범주가 2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4명, 4수준 또는 5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2명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진단함수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성공율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거나 최소값을 기준으로 하거나 모두 형상유형의 범주가 2수준 또는 5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4명, 4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3명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진단함수를 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