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에 대한 교사의 실천과제

        김재천 ( Jae Cheon Kim ),조인수 ( In Soo Ch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진단·평가에 대한 교사의 실천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 9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진단·평가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을 조사·분석하였고,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10명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합의를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진단·평가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고 조사·분석한 결과 총 52개 문항을 도출하였고, 11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6개 영역 11개 하위요소로 재배치하였다. 둘째, 진단·평가에 대한 교사의 실천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54개의 항목이 타당성을 인정받았다. 제시된 실천과제는 6개 영역(진단·평가의 목적, 진단·평가의 공통검사, 발견 및 선별을 위한 검사, 선정 및 배치를 위한 진단·평가,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진단·평가, 진단·평가에 대한 이해와 지원), 10개 하위요소(진단·평가에 대한 인식, 기초자료 수집, 발달척도의 확인, 전문가 및 유관기관 활용, 지능과 적응행동 수준분석, 특수교사의 역할, 지원요구 파악, 검사도구의 활용, 목표 설정, 진단·평가에 대한 지원), 54개 항목으로 구조화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reby suggest teachers’ implementation tasks for performing diagnosis and evalu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We have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diagnosis and evaluation on 900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s, special classes, 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 have also used the delphi technique to derive a consensus from 10 expert opinions. Our first major result is that our survey consists of 52 questions with 11 factors, and that we have restructured these into 6 areas and 11 sub-items. Second, the delphi technique led us to 54 rational items for teachers’ implementation tasks for performing diagnosis and evaluation. The implementation tasks we suggest consist of 6 areas (purpose of diagnosis and evaluation, common test of diagnosis and evaluation, test for detection and screening,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selection and placement,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establish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s,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diagnosis and evaluation), 10 sub-areas (awarenes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collecting basis data, identifying development measures, utilizing experts and related institutions, analyzing intelligence and adaptation,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support demands, using test instruments, setting goals, supporting diagnosis and evaluation), and 54 items.

      • KCI등재

        서울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 절차의 문제와 개선방안

        박승희 ( Seung Hee Park ),이정은 ( Jung Eun Lee ),최혜리 ( Hye Li Choi ),윤성희 ( Sung Hee Yo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업무를「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2008년부터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로 규정하면서 진단·평가를 센터와 협력병원 및 타기관의 임상심리사가 실행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일선학교에서부터 특수교육지원센터로 진단·평가 업무가 이관된 이후로 진단·평가가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처음 점검하는 연구로서 그 실태와 문제를 밝히고 그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질문지 조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서울특별시 11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담당자와 임상심리사를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특수교육대상자 장애 판별 중 최다수를 이루는 ‘지적장애’의 진단·평가를 초점으로 2013년 1월부터 8월까지의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 실태와 개선요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센터의 진단·평가 절차 실태 파악을 위해 진단·평가 담당자와 임상심리사 배경정보, 센터의 진단·평가 행정 관련 사항, 진단·평가 실행 관련 사항, 임상심리사의 진단·평가 실시 전 대상학생 사전 정보, 임상심리사의 진단·평가 실시 및 결과서 작성에 대한 정보를 제시했고, 센터의 담당자와 임상심리사의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개선요구 결과를 밝혔다. 진단·평가를 교사에서 임상심리사로 전환한 후에의 주요 쟁점은 임상심리사들이 의뢰된 대상학생에 대한 사전 관찰이나 정보가 미흡한 가운데 검사당일 처음 만나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평가 결과서를 작성하는 문제를 드러냈고, 실제로 진단·평가에 대해 학교, 센터, 협력병원 및 타기관 사이의 긴밀한 협조 체계가 아직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대상자로 의뢰된 대상학생의 진단·평가의 실행이 센터별로 보다 공평하고 전문화되어 센터의 진단·평가의 질이 향상되고 그 결과의 신뢰도가 제고되기 위해 7가지 측면에서 진단·평가의 ‘최선의 실제’가 실행되기 위한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upporting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located in Seoul. Eleven personnel and clinical psychologists for diagnostic assessment from eleven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carried out with the staff and clinical psychologist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ried with eleven psychologists. The responses to the survey and transcribed data from the interviews of the psychologis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n how each Center implements the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for identifying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at Centers include: (1)backgrounds of staff and psychologists, (2)administrative matters on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3)administration of the diagnostic assessment, (4)information about the referred students given to the psychologists before testing, (5)testing performance and written reports of the test results by the psychologists, and (6)improvement need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at Centers. In conclusi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identified in seven aspects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ovid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진단ㆍ평가의 과제

        조광순 한국발달장애학회 2004 발달장애연구 Vol.8 No.2

        본 논문에서는 장애아동 진단ㆍ평가와 관련된 국내의 현 실태를 토대로 그 동안 국내외에서 제시된 연구결과와 관련 법규 및 정책을 중심으로 먼저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질적 기준과 이에 따른 현 국내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질적 기준에 비추어 볼 때, 국내 장애유아 진단ㆍ평가는 활용성과, 수용성, 사실성, 협력성, 수렴성, 일치성 등에서 극히 저한적 수준에서 발달장애유아의 진단ㆍ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발달장애유아 진단ㆍ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당면과제로, 진단ㆍ평가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기준제시, 적절한 진단ㆍ평가 절차와 방법의 제도화, 진단ㆍ평가도구의 개발, 특수교육교사 및 관련 전문가의 직전교육 및 연수 강화, 관련 부처 및 기관 간 협력체제 구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 신입생 대상 학문 목적 쓰기 진단평가 도입에 관한 고찰 - 해외 평가 시행 현황 조사를 중심으로 -

        한윤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대학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진단평가 도구 도입과 개발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전반적으로 살피고 국내 도입 시 쟁점이 될 수 있는 사항과 주요 논점을 다각도로 고찰했다. 먼저 이 연구는 국내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상황에서 언어 진단평가는 어떻게 개념화될 수 있을지 논했다. 둘째, 학문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 진단평가인 PELA의 해외 시행 현황을 구체적으로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MASUS, BELA, TALPS, DELNA, HDR PELA, PELA ST를 조사했고 Password tests, ELSA와 같이 사립 기관에서 개발된 평가 도구도 간략히 살폈다. 셋째, 외국인 대학원 신입생 대상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진단평가 도입을 위한 세 가지 쟁점 사항을 논의했다. 먼저 타깃 응시자에게 ‘쓰기’ 영역이 적절한지, 예상되는 어려움 등은 무엇이 있을지 논의했다. 대학원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쓰기 영역은 매우 적절하나 현실적으로 긴 쓰기를 진행할 경우 자원 집약적이라 유지와 관리가 어렵다는 것을 해외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진단평가 과제는 언어/글쓰기 전문가와 전공 분야별 전문가가 협업하여 각 전공의 학술 담화 공동체 혹은 전공 지식공동체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후속 학문적 문식성 개발 지원은 학문 목적 쓰기 진단평가 개발 단계에서부터 반드시 연계되어야 할 중요한 부분이다. 필요한 학생들에게 지속적으로 언어 능력, 학문적 문식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본 평가 도구 도입의 목적이라고 하겠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verall necessity and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introducing a Korean language writing diagnostic assessment tool for new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explored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introducing it. First, it discusses how language diagnosis evaluation can be conceptual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Second, the status of overseas implementation of Post-Entry Language Assessments(PELA), a representative diagnostic assessment used for academic purposes, was investigated. Specifically, MASUS, BELA, TALPS, DELNA, HDR PELA, and PELA ST were analyzed, and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individual institutions, such as Password tests and ELSA, were briefly examined. Third, three issue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Korean academic writing diagnostic assessment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First, the suitability of the writing area for target candidates was verified, and the potential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were reviewed. The writing area for graduate students is fairly appropriate, but overseas cases have confirmed that it is challenging to maintain and manage it as it is resource-intensive when long writing is conducted in reality. In addition, for the diagnostic assessment task, language/writing experts and experts in each major field should be able to collaborate to reflect the needs of each major's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or major knowledge community. Finally, support for subsequent academic literacy development is a crucial aspect that must be linked from the stage of developing the academic writing diagnostic assessment.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is assessment tool is to continuously support international students to develop language skills and provide academic literacy to students in need.

      • KCI등재

        대학생 글쓰기 기초능력 진단평가 방안 연구 - 사례 분석을 통한 진단평가의 개선 방안 고찰 -

        조남민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9 No.-

        This research clarifies why diagnostic assessment, is required given the situation around writing education at college level, and how we could rais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how diagnostic assessment can be practically implemented in real life cas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and diagnostic assessment, this research explores a way to develop a system to assess the basic writing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and a way to implement it, with a follow-up process for initial diagnostic assessment. By utilizing diagnostic assessment, teachers can objectively assess the writing abilities of their students, and, based on this, they can provide customized writing courses for the top 10% and bottom 10% of students. Also, by applying the equivalent test to preliminary 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the instructors and their students can assess improvement throughout the course. The students can recognize in detail where they have made improvements and where they have not among different components of writing abilities. Outside of classes, based on the analysis of diagnostic assessment’s preliminary 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teachers can improve writing education at college level in terms of the course structure, key contents, and teaching strategy. As a result of this cycle, the teachers can continuousl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and can adapt to various situations identified by diagnostic assessment. 본고는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 글쓰기 교육이 처한 여러 여건을 고려했을 때 진단평가의 필요성이 제기된다는 점을 밝히고, 진단평가의 개발 절차와 시행에 있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진단평가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실행되는지 사례를 통해 논의하였다. 더불어 대학생의 글쓰기 기초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절차와 이것의 실행 방안, 그리고 진단평가 시행 후 후속되어야 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진단평가의 효용성과 글쓰기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진단평가를 통해 글쓰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을 객관화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위 10% 학생과 하위 10% 학생에게 수준별 맞춤형 글쓰기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더불어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동형검사로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은 글쓰기 학업 성취도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생들은 글쓰기 능력을 구성하는 여러 항목 중 향상된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 수업 외적으로는 진단평가의 사전․사후 평가의 결과 분석을 통해 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교육과정 및 교육 내용, 그리고 교수 전략을 발전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으며, 수정․변경해야 할 영역에 대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교과목 담당자는 글쓰기 교과목을 [사전 진단평가] → [수준별 학습] → [사후 진단평가] → [진단평가 결과 분석] → [교과 내용 수정/강화] → [다음 학기 수업 반영] 등의 과정에서 발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여러 변화 요인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연구의 진단평가 내용 분석

        김정기 ( Kim Jung Gi ),전병운 ( Jeon Byung 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을 위해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중재를 실시한 국내 연구의 진단평가 내용을 분석하여 AAC 중재계획 수립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AAC 중재연구 103편을 선정하여 이 연구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AAC 진단평가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비도구적 상징 의사소통자의 참여 비율이 훨씬 높았으며, 중재 참여자를 선별하기 위해 언어성 검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중재 장소는 대부분 학교를 기반으로 실시하였고 그 중에서도 특수학교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AAC 진단평가를 실시한 연구는 총 20편이고, AAC 진단평가 결과를 중재계획에 반영한 연구는 총 8편으로 나타났다. AAC 진단평가 내용을 살펴보면 AAC 진단평가 도구로는 파라다이스 보완대체 의사소통기초능력평가(PAA)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진단평가 항목은 운동, 감각, 인지, 언어능력에 대한 평가를 고루 다루었지만 언어능력 평가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었다. AAC 진단평가 결과는 중재계획에서 상징, 도구, 전략, 자세에 대한 내용으로 반영되었다. AAC 도구 사용은 전체적으로 Low-tech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진단평가를 실시한 연구에서는 High-tech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AAC 진단평가를 실시하지 않았고, 진단평가를 실시하였더라도 중재계획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AAC 중재계획 수립의 타당성 확보 차원에서 AAC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중재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n AAC intervention plan by analyzing the assessment contents of a domestic study that conducted AAC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103 AAC intervention studies targeting mo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and the contents of the AAC assessment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ticipation rate of non-tool symbolic communicators was found to be much higher, and the verbality test was dominantly used to select participants. Furthermore, intervention sites were mostly conducted on a school-based setting with the most studies being conducted in special schools. There were a total of 20 studies that conducted AAC assessments and a total of 8 studies that reflected the results of AAC assessments in an intervention plan.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AAC assessment, the AAC assessment tool most commonly used was the Paradise AAC Assessment (PAA). The assessment items focused on language ability evaluation, and evaluated for exercise, sensory, cognitive, and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AAC assessment reflected the content of symbols, tools, strategies, and position. Low-tech was the most commonly used AAC tool, but High-tech was dominantly used in the studies that conducted the assessment. In most studies, the AAC assessment was not conducted, and even if the assessment was conducted, it was often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intervention plan.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an AAC intervention pla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AAC assessment and reflect the results in the intervention plan.

      • KCI등재

        부실 정밀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의 문제점과 평가제도의 개선방향

        하명호,박종섭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5

        성수대교·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을 계기로 유지관리 분야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1995년 시설물의안전관리에관한특별법이 제정되어 점검·진단이 실시되는 등 본격적인 유지관리체제가 시작됐다. 그러나 점검·진단의 역사가 일천한 관계로 점검·진단에 대한 기술수준이 낮았고 연구 성과 또한 미흡하여 부실 점검·진단에 대한 우려가 상존해 있었다. 이에 2002년 평가제도가 도입 되면서 부실 점검·진단 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져 왔다. 그러나 최근 점검·진단 실시결과 평가실적에 따르면 향후 부실 점검·진단비율이 더 이상 낮아지기 힘든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를 계기로 부실 점검·진단과 관련하여 관련기관의 설문조사와 메커니즘 측면에서 고찰하므로 서, 부실 점검·진단이 초래되는 근원적인 문제점을 나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평가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As importance of the field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me to the fore because of collapses of the Seongsu bridge and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Special Act for the Safety Control of Public Structures” was established in 1995 and the maj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began taking effec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However, a technical standard of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was low because its history was not long, and also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not enough so anxiety for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was continuously left. While its evaluation system introduced in 2002, the ratio of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has been getting lower. Howeve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after carrying ou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recently, it seems difficult to become lower for the ratio of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in future. Therefore, it is considered of questionary survey of the concerned organization and the mechanism side in connection with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So it is arranged the fundamental problems caused by an 「Insufficient Detailed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that is to show the improving direction of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 in a based on this.

      • KCI등재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제언

        김혜영,김인영,지현배,전경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Evaluation indicators of general education represent the value and identity of general education. University members can clearly understand general education through evaluation indicators. Evaluation indicators serve as standard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olicies. Universities support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diagnose problems with the general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7 universities that joined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51. The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70% of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reasonable to evaluate general education as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But about 50% of the respondents were negative about evaluating the general curriculum as ‘core competency’ as a diagnostic factor. Second, more than 70%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standard of the general education standard model of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which was established theoretically and academically, was not applied to te current evaluation indicator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clusiveness of general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Third, about 50% of the respondents were negative about the relevanc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s a driving for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Fourth, 70%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basis for applying core competencies as evaluation indicators for general education was not sufficient. Therefore, they think that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Finally,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include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operating system for improving general education, and the organization and manpower necessary for supporting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focusing on general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it provided clear evidence for developing and design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ractical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go through a public deliberation proces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results. Therefore, we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competency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n the validity of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should be reviewed.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는 교양교육의 가치와 정체성을 나타내며, 대학의 구성원은 평가지표를 통해서 교양교육을 분명하게 이해하게 된다. 평가지표는 각 대학이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기준이 되며, 대학 교육의 질은 평가지표로 결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에 가입한 127개 대학 중 36개 대학에서 교양교육 평가에 관여했던 담당자와 교양교육 담당 교수자 51명을 대상으로 교양교육 평가준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을 ‘교육과정의 운영과 개선’으로 평가하는 것은 응답자의 70%가 타당하다고 했지만, 진단요소로써 교양 교육과정을 ‘핵심역량’으로 평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50%가 부정적이다. 둘째, 평가지표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 모델을 충분히 포괄하는 지 조사하였고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지표가 교양교육 질 제고의 동인이 될 수 있는지 그 적합성을 조사한 결과는 응답자의 약 50%가 부정적이다. 넷째, 응답자의 70%는 교양교육의 평가지표로서 핵심역량의 적용 근거가 불충분하므로 교양교육 본질에 부합하는 평가기준 설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의 필수 구성요소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교양 교육과정개선을 위한 운영체계, 조직과 인력을 포함한 교양교육 지원체계 등 이 세 가지를 10명 중 8명이 선택하였다. 교양교육 현장에서 평가에 관여했던 담당자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실질적인 발전과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설계해야 한다는 분명한 양적 근거를 제시했다. 특히 평가결과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론화 과정을 통해 역량 개념을 먼저 정립한 후 역량기반교양교육의 타당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12~2014년 교과학습 진단평가의 기초미달률 변화 분석 및 국가수준 학업성취도의 기초미달률과의 관계 탐색

        김선(Sun Kim),반재천(Jae Chun Ba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2012~2014년 교과학습 진단평가(이하 진단평가)에 나타난 기초미달률의 연도별 변화를 지역규모간, 학년별, 교과별로 분석하고, 둘째, 2013년 중1, 2학년 진단평가의 기초미달률과 중3학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이하 학업성취도 평가)의 기초미달률간 관계를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 자료는 2012~2014년 진단평가를 치른 시ㆍ도교육청에서 학생들을 표집한 것이다. 진단평가는 2012년에 북마크방법으로 기준을 설정한 후, 이후 연도에는 진점수동등화 기법으로 동등화하였다. 2013년 중1, 2학년 진단평가의 학교단위 기초미달률과 동일학교의 중3학년 학업성취도 평가의 학교단위 기초미달률을 연계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교는 기초미달률이 2012년 대비 2013년에 평균적으로 증가했다가, 2014년에는 모든 학년에서 2013년 대비 평균적으로 감소했다. 다만, 읍면지역 초등학교에서 기초미달률이 2013년 대비 2014년에 증가한 교과가 다른 지역규모에 비해 많았다. 중학교는 2012년 대비 2013년에 기초미달률이 평균적으로 감소했으나, 2014년에는 2013년 대비 중학교 1학년은 감소했지만, 2학년은 증가했다. 둘째, 상관 및 GLM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중1, 2학년 진단평가의 학교단위 기초미달률과 중3학년 학업성취도 평가의 학교단위 기초미달률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그런데 지역별로 구분했을 때 읍면지역과 대도시에서는 관계가 유의했지만 중소도시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t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roportions of below basic on the Diagnostic Tests of Subject Learning (DTSL) from years 2012 to 2014. Second, it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portions of below basic on the 2013 DTSL and those on the 2013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t the school level for middle schools.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DTSL data was sampled with the stratified two-stage cluster sampling method over the three years from the 12 provinces that took the exam. The DTSL scores were equated with the true score IRT equating method.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middle schools took DTSL and NAEA in 2013 were sele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s of below basic in the elementary schools wer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creased in year 2013 and decreased in year 2014 for grades 4 to 6. The proportions in 7th grade were on average decreased for two consecutive years, while those in the 8th grade were decreased in 2013 and increased in 2014. The proportions of below basic on the 2013 DTSL in grades 7th and 8th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oportion of below basic on the 2013 NAEA in grade 9th.

      • 해상교통안전진단의 메타평가 모형설계에 관한 기초연구

        조경민,공길영,김부영,조익순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추계

        해상교통안전진단제도 도입(’09.5.27) 이후 합리적·효율적인 제도 시행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안전진단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 이에 의해 도출된 진단결과가 의미가 있는지 등 제도의 가치문제에 대한 논란이 이해당사자들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논의들은 진단에 대한 타당성 및 당위성을 찾지 못한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현 시점에서 제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바람직한 제도를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에 대한 평가, 즉, 메타평가에 관한 이론을 적용, 문헌연구와 전문가검토,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안전진단의 분석 틀로서의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검증을 통해 안전진단 평가에 적합한 메타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해상교통안전진단의 메타평가 지표로서 활용되어 진단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통해 제도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orts for improving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Scheme(MTSA scheme)’ have continued to the present since May 27th, 2009. But recently, there’s a controversy about whether it has been performed properly or the results is significant. These new discussions were arose from lack of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we had yet to find. At this point, it needs to establish sound MTSA scheme through the comprehensive review. This research developed a suitable meta-evaluation model for MSTA with applying theory of the teta-evaluation, that is the evaluation of evaluations and verified by using meta-evaluation methods like as literature studies, expert reviews, surveys and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MTSA activities and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MTSA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