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부모의 자녀 중학교 선택 요인 분석

        윤성희(Youn, Sung Hee),박승희(Park, Seung 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지역 중학교 발달장애학생 부모의 자녀 중학교 선택 요인을 산출하고, 특수학급 혹은 특수학교를 선택한 부모집단 간에 그리고 자녀의 장애 정도에 따른 세 부모 집단 간 자녀 중학교 선택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도 중학교 1학년 발달장애학생의 부모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설치 일반중학교 및 특수학교에 500부 서면 및 온라인 질문지를 전달하여 총 305부(서울 중학교 1학년 발달장애학생 총수 533명의 57.2%)의 응답을 통계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교 선택의 6개 요인(Ⅰ요인: 중학교 진학 관련 정보, Ⅱ요인: 자녀의 현행수행수준 및 특성, Ⅲ요인: 특수교사의 태도 및 전문성, Ⅳ요인: 학교에서의 또래 관계, Ⅴ요인: 장애인 편의시설 및 자녀의 건강 문제, Ⅵ요인: 통학 편의성)이 산출되었다. 둘째,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 학생의 부모가 고려한 중학교 선택 요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녀의 장애 정도에 따라 부모가 고려한 중학교 선택 요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발달장애학생 부모의 자녀 중학교 선택 요인 6개 고려 순위와 자녀의 학교 배치와 장애정도에 따라 부모가 고려한 요인에서 차이를 나타낸 결과는 발달장애학생의 중학교로의 전환 시 중학교 진학 준비와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옵션 중 최선의 중학교 선택을 하는데 부모와 교사에게 주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considered by parents when selecting middle school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considered by a parent group with children in special classes and a parent group with children in special schools. Method: The responses to the survey with 52 items were collected from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middle school in 2018 in Seoul. A total of 305 parents’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First, six factors were named as Factor I: Information about Middle School Entrance, Factor Ⅱ: Children’s Present Level of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Factor Ⅲ: Special Teachers’ Attitudes and Expertise, Factor Ⅳ: Peer Relationship at School, Factor Ⅴ: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ealth Problems and Factor Ⅵ: Convenience in Commuting to School.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actors considered by the parent groups regarding the choice of a special class and a special school.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considered by parent subgroup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Conclusion: This study generated a set of useful data to be used for assisting parents who need to select the best middle school for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서울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 절차의 문제와 개선방안

        박승희 ( Seung Hee Park ),이정은 ( Jung Eun Lee ),최혜리 ( Hye Li Choi ),윤성희 ( Sung Hee Yo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1

        특수교육대상자 진단·평가 업무를「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2008년부터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로 규정하면서 진단·평가를 센터와 협력병원 및 타기관의 임상심리사가 실행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일선학교에서부터 특수교육지원센터로 진단·평가 업무가 이관된 이후로 진단·평가가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는지를 처음 점검하는 연구로서 그 실태와 문제를 밝히고 그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질문지 조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서울특별시 11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담당자와 임상심리사를 대상으로 초등학생의 특수교육대상자 장애 판별 중 최다수를 이루는 ‘지적장애’의 진단·평가를 초점으로 2013년 1월부터 8월까지의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 실태와 개선요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센터의 진단·평가 절차 실태 파악을 위해 진단·평가 담당자와 임상심리사 배경정보, 센터의 진단·평가 행정 관련 사항, 진단·평가 실행 관련 사항, 임상심리사의 진단·평가 실시 전 대상학생 사전 정보, 임상심리사의 진단·평가 실시 및 결과서 작성에 대한 정보를 제시했고, 센터의 담당자와 임상심리사의 지적장애학생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개선요구 결과를 밝혔다. 진단·평가를 교사에서 임상심리사로 전환한 후에의 주요 쟁점은 임상심리사들이 의뢰된 대상학생에 대한 사전 관찰이나 정보가 미흡한 가운데 검사당일 처음 만나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평가 결과서를 작성하는 문제를 드러냈고, 실제로 진단·평가에 대해 학교, 센터, 협력병원 및 타기관 사이의 긴밀한 협조 체계가 아직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육대상자로 의뢰된 대상학생의 진단·평가의 실행이 센터별로 보다 공평하고 전문화되어 센터의 진단·평가의 질이 향상되고 그 결과의 신뢰도가 제고되기 위해 7가지 측면에서 진단·평가의 ‘최선의 실제’가 실행되기 위한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upporting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located in Seoul. Eleven personnel and clinical psychologists for diagnostic assessment from eleven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carried out with the staff and clinical psychologist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arried with eleven psychologists. The responses to the survey and transcribed data from the interviews of the psychologis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n how each Center implements the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for identifying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at Centers include: (1)backgrounds of staff and psychologists, (2)administrative matters on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3)administration of the diagnostic assessment, (4)information about the referred students given to the psychologists before testing, (5)testing performance and written reports of the test results by the psychologists, and (6)improvement need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at Centers. In conclusi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identified in seven aspects of diagnostic assessment procedure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ovid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presented.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