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쓰기 평가 구인과 채점 기준에 관한 연구 - 한국어 쓰기 평가 범주의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조남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언어와 문화 Vol.8 No.3

        Until recently, scoring in writing test of Korean language tended to depend on ‘subjective intuition’, and, except for a few evaluation organization, it relied on two or three evaluation criteria such as ‘content and accuracy’, ‘content, format, expression’, or ‘content, format, organization’. Also, evaluation criteria and standard had significant variance, and allocation of scores on criteria has been obscure and subjective. As a result, there have been some doubts regard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However, just like there is no right answer to ‘what is the good writing?’ which has been debated among philosophers and researchers, there has been little structured discussion regarding ‘how could we define good writing?’ while researches so far has been focusing on analytic scale, criteria description,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it is time to raise questions regarding which evaluation criteria have bigger impact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In summary, metacognitive competence mattered much more than overall knowledge in language through the process of writing evalua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enhance communication capabilities as a second language, to make this evaluation more meaningful, we need to first compare holistic score in writing from native speakers and score in knowledge level of language, and understand the correlation. This could be a theoretical rationale to differentiate importance of various evaluation criteria.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육과정에 반영된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성별언어와 관련하여

        조남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1 언어와 문화 Vol.7 No.1

        This research is on sexual identity in Korea in the context of Korean educ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examines male and female title. Title has not been the main subject in Korean education, and only family title has been studied in a limited way. In Korean, female title is more advanced and diversified compared to male title. Female title is diversified based on age, appearance, and marital status, and many of them have lost its original meaning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In Korean education material, male people are mostly identified by their social position or job title. On the contrary, most of female people are called clerk, employee, waitress, 아가씨 or 아주머니/아줌마. Also, in Korean education material, customary perception from traditional Korean society still exists with its 'title', 'occupation', 'behavior', and 'expression'. Although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has been diminished in Korea, dichotomy between male and female role has become more visible.

      • KCI등재

        한국어 화자의 음장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본어 장음절핵의 시간성과 관련하여

        조남민 배달말학회 2010 배달말 Vol.46 No.-

        This research discusses length among other suprasegmental phoneme and examines length acquisit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through productive and perceptive experiments, and discusses how length is realized. Existing as a suprasegmental phoneme on top of a vowel, the length not only independently differentiates the meaning, but also gets prolonged in case of a vowel contraction, glides, lexical derivation, and conveying speaker’s subjective intention.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ategorize the situation and context where lengthening mostly happens. The second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iming of long vowels in Korean. 음장은 현대 한국어에서 서울을 중심으로 한 방언 화자를 중심으로 일부 어휘에만 남아 있을 뿐이다. ‘눈ː’(雪), ‘길ː’(長), ‘밤ː’(栗), ‘배ː’(倍), ‘말ː’(言), ‘되ː다’(硬), ‘손ː’(孫), ‘발ː’(簾) 등이 그 예이며, 이외에 형태음소적 차원에서 활음화, 모음탈락, 모음축약 현상으로 인한 보상적 장음화 현상(Compensatory Lengthening)에 의해서 장모음화가 일어난다. 음장이 변별적 자질로 존재하는 일본어에서 ‘모라’(mora)라는 단위는 매우 유용한 운율 단위이다. ‘보상적 장음화’라는 음운현상의 경우 ‘모라’는 더욱 유용한 운율 단위가 된다. 이것은 한국어의 보상적 장모음화를 설명할 경우에도 그러하다. 한국어의 장모음에 대하여 대부분의 논의들은 상술한 활음화, 모음탈락, 모음축약에 의해 재구조화된 장모음에 두 개의 모라를, 단모음에는 하나의 모라를 할당하는데, 이러한 음운현상들은 음절수의 감소를 초래하며 이러한 음절수의 손실로 인한 모음의 시간성을 보충하기 위하여 보상적 장모음화가 일어난다. 본고는 두 개의 모라가 설정된 한국어 장모음이 현재 단모음과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음장을 갖는지를 발화실험과 지각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화 실험 결과 장모음과 단모음의 길이의 비율이 최소대립쌍의 경우 1.5~1,7:1, 보상적 장모음화의 환경에서는 1.3~1.7:1 등으로 나타났음을 밝혔으며, 모어 화자의 음장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활음화, 음운탈락, 음운축약에 의한 장모음이 단모음과 비교하여 음장의 변별성이 사라지고 있다면 그것은 어휘화와 수의성이 그 원인임을 추정하였다. 그것은 어휘화된 어휘 항목의 경우 본말에 대한 의식이 없어져 수의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각실험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보여 주었다. 첫째,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운소로서 존재하는 장음에 대해서는 어휘에 따라 인지율에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배ː’, ‘되ː다’, ‘발ː’ 등에 대해서는 뚜렷한 음장 인식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눈ː’, ‘밤ː’, ‘말ː’ 등에 대한 인지율이 높았다. 둘째, 보상적 장모음화가 일어나는 예들의 경우 음운론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들도 있었으나, 음성적으로는 그렇지 않은 예들도 발견되었다. 즉, 장음화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일본어의 장·단음의 시간성이 일관된 음장 비율로 나타나는 양상과는 달랐다. 특히, 음운현상에 따른 보상적 장음화에 의한 장모음의 경우도 음운현상의 수의성과 어휘화, 본말에 대한 의식 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았다.

      • KCI등재

        문헌 속 여성의 외양에 대한 표현 방식과 당대 여성성 인식과의 상관성 연구 - 『남원고사(南原古詞)』와 『열녀춘향수절가』의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

        조남민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0 No.-

        본 연구는 『춘향전』의 대표적 이본인 『남원고사』와 『열녀춘향수절가』에 나타난 여성 외양에 대한 언어 표현을 내용과 형식 측면에서, 그리고 진술자와 진술 대상인 여성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당시 여성성의 의미 영역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여성 외양을 묘사한 언어 표현을 4개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표현들은 ‘정절’과 ‘관능’이라고 하는 가치와 결부되어 나타는데, 외모에 대한 묘사가 성적 의미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특히, 『열녀춘향수절가』에서는 춘향의 외모 묘사에 있어서 당시 여성의 미덕인 정절, 정숙함 등과 관련한 표현이 다수 나타나면서도 동시에 춘향의 신체 일부를 대상으로 한 노골적인 성적 묘사가 함께 등장한다. 두 문헌의 언어 표현 분석을 통해 춘향이의 아름다움은 정신적인 면과 육체적인 면에서 묘사되고 있음과 동시에, 역설적이게도 ‘정절’과 ‘관능’이라고 하는 상반되는 가치가 동시에 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녀춘향수절가』는 춘향의 신분을 여염의 여인으로 설정하고 여성의 정숙미와 절제미를 강조하고 있으나 역설적이게도 『남원고사』에 비하여 오히려 춘향을 성적 대상화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동시에 당시 정숙과 정절이 강조된 외적인 미를 갖추었으면서도 적나라한 성적 행위를 할 수 있는 이상적인 신체를 가진 여인으로 춘향을 묘사하고 있다. 이는 춘향의 신분에 따라 외양의 형상화 방식이 달라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the changes in the semantic domain of ​​femininity in Namwongosa and Yeolnyeochunhyangsujeolga, which are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versions of the story of Chunhyang. I do this by analyzing the content and the style of writing from both the writer’s and the female characters’ perspectives. This study categorizes language expressions depicting female appearance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zes them. These expressions appear in conjunction with the values ​​of ‘fidelity’ and ’sensuality.’ Descriptions of appearance in these works often appear in connection with sexual meaning. In particular, in Yeolnyeochunhyangsujeolga, while many expressions describing Chunhyang’s appearance are related to what were considered the virtues of women at the time, such as fidelity and quietness, at the same time, it includes explicit sexual descriptions of her appearance. By analyzing the literary description and expressions of the two works, I found that the beauty of Chunhyang was depicted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and, paradoxically, the two works pursued two seemingly contradictory values, ‘fidelity’ and ‘sensuality.’ In Yeolnyeochunhyangsujeolga in which Chunhyang is set up as a noblewoman, part of the upper class of society, Chunhyang’s quietness and self-restraint is highlighted as a virtue of women. However, paradoxically, it describes Chunhyang as a sexual object even more than in Namwongosa. While Yeolnyeochunhyangsujeolga describes Chunhyang as a woman with fidelity and quietness, it also describes her as someone with a physical appearance ideal for explicit sexual behavior. Also, these two versions show that Chunhyang's status impacts the way her appearance is described.

      • KCI등재

        한국어의 발음 지각 능력 평가가 갖는 타당성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조남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1 언어와 문화 Vol.7 No.3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necessity to introduce and enhance the evaluation of pronunciation abilit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evaluation has not been suffici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nsufficient pronunciation education is that pronunciation test is not included in official Korean language tests or in-house tests, and, even when it is included, the methodology is not consistent and the portion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o develop pronunciation education in Korean, we need to include pronunciation test not only in a language institution but also in a representative Korean proficiency test like TOPIK. So far, pronunciation test in Korean language has been a part of speaking test, and has been dependent on speaking test. However, this research proves the possibility evaluating language learners’ pronunciation capability through the perception test. In this research, the survey of phonetic production and perception tests was conducted on Chinese native students who learn Korean. This research would show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pronunciation test as a pre-phase before introducing ‘pronunciation test as a part of speaking test'. Also, considering various factors including reliability, objectivity, validity, and economics of the tests, this would be a method with reasonable practicability and valid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