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인식과 교수효능감 차이

        박주연 ( Ju Yeon Park ),이민정 ( Min Jung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부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285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χ2)을 시행한 결과,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 하위문항 중 음악개념에 대한 지식, 현대음악이론에 대한 지식, 영역별 내용에 대한 지식, 통합적 방법에 대한 지식, 개별화 교수에 대한 지식 모두 유아음악활동의 인식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 하위문항 중 음악활동의 개별화 교수에 대한 지식이 높은 교사가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개별 유아의 음악적 성장을 위해 교사의 음악활동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인식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지식하위문항 모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이 높은 교사는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음악개념에 대한 지식, 현대음악이론에 대한 지식, 음악활동 영역별 내용에 대한 지식, 음악활동 통합적 방법에 대한 지식, 음악활동 개별화 교수에 대한 지식은 유아음악활동에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주요항목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among teachers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nd relate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of these activitie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0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who resided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85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examin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knowledge of the activities, x2-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in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y knowledge that were knowledge on the concept of music, modern music theories, contents of each area, integrated methods and individualized teaching. Specifically, the teachers who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individualized teaching of music activities, one of the subfactors of knowledge, took the best view of the activities.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have a perfect understanding and good perception of music activities to accelerate the musical growth of individual preschooler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teachers varied with their knowledge or no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in music activities according to every subfactor of the knowledge. In other words, the teachers who were better knowledgeable about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had a better teaching efficacy in that regard. Therefore, knowledge on the concept of music, modern music theories, contents of each area, integrated methods of music activities, and individualized teaching were revealved as major factors to boost th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 KCI등재

        텃밭활동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 변화의 의미 탐색

        박선미(Park Sun-Mi),조희숙(Jo Hea-Soog),임부연(Lim Boo-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텃밭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예비유아교사의 지식의 변화와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교 교육괴정 내에서 유아교육과 학부 2, 3학년생 42명을 대상으로 7개월 간 텃밭활동을 실시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지식의 변화 및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개념도 작성, 현장일지, 개별면담 및 집단면담, 현장노트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텃밭활동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지식은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활동 전 개념도에 주로 나타난 지식은 텃밭활동에 대한 이론적이고 인지적인 지식 측면에 치우친 반면 활동 후 개념도에서는 텃밭활동을 통한 감정이나 기분의 개념이 특히 추가되었다. 텃밭활동의 시작과 전개, 마무리 단계에서 형성된 지식의 변화를 질적 분석한 결과, 학생둘의 텃밭활동에 관한 지식은 지식의 단순한 적용, 변형과정을 거쳐 역동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보였고 이 과정 속에서 점차적으로 체화된 지식, 감정적 지식, 생태적 지식, 실천적 지식의 다양한 지식 유형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형성해야 하는 지식의 의미를 재 고찰할 수 있었으며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대안으로서 텃밭활동이라는 자연 속 체험활동을 통한 경험적 지식구성의 중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knowledge chang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Forty-two students of P University who had been engaged in vegetable gardening for seven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re-and post-concept maps, student journal writings,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and researcher field not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prior concepts included mainly cognitive and theoretical knowledge expanded to contain broader concepts and emotions or feelings in post-concept maps. In addition, students reconstructed their knowledge related to vegetable gardening through active and dynamic process of application, transformation and construction. Four types of knowledge-embodied, emotional, ecological and practical knowledge- were revealed throughout this process of change. Consequently, we suggest that other aspects of knowledge construction need to be considered instead of focusing on the cognitive aspect of knowledge in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development. Also, programs and curriculum for teachers' knowledge acquisition need to be integrated with outdoor activity program such as hands-on vegetable gardening activity where teachers' authentic knowledge construction occurs.

      • KCI등재후보

        탐색 활동을 기반으로 한 영아 교육 활동에 나타난 영아들의 지식 구성 양상

        김유정,염지숙,손은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학논집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지식 활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탐색 활동을 기반으로 한 영아 교육 활동이 영아에게 적합한가를 알아보고, 영아의 물리적 지식 활동을 논리­수학적 지식 활동으로 변환시키는 요인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만 1세반 영아들을 대상으로 연구가들이 개발한 탐색 활동을 기반으로 한 교육 활동을 적용하였다. 교육 활동은 영아들이 물리적 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양과 양의 변화에 대한 활동, 힘과 운동과의 관계에 대한 활동, 바퀴와 경사를 이용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된 영아들의 교육 활동에 나타난 물리적 지식 활동 유형과 논리적 지식 활동 유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육 활동 적용 시 영아의 물리적 지식 활동을 논리­수학적 지식 활동으로 변환시키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 교육 활동 적용 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영아들의 물리적 지식 활동의 유형은 소리 만들기, 굴리기, 쌓기(세우기), 밀기, 담기 등이었으며, 논리­수학적 활동의 유형은 비교, 분류, 서열, 상호작용하는 힘의 역할 추론, 무게중심(균형) 등이었다. 물리적 지식 활동을 논리­수학적 지식 활동으로 변환시키는 요인은 성숙, 지속적인 탐색 기회, 같은 물리적 특성을 탐색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 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toddlers’ physical and logico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and to find the components that turned physical knowledge into logicomathematical knowledge. The subjects were ten one-year-old infants attending a child care center in Seoul, Korea.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sign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fants to explor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toddlers’ physical knowledge construction were making sounds, rolling, piling things up, pushing, and putting things in a container. ⑵ The characteristics of infants/toddlers’ logico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were comparing, classifying, ordering, inferring reciprocal power, and seeking the center of gravity. ⑶ The components which turned physical knowledge into logicomathematical knowledge were maturity, opportunities for exploration, and opportunities for exploring the same physical characteristics with different objects.

      • KCI등재

        원가기획 활동이 지식경영 활동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 관점에서

        최종민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회계정보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지식경영 관점에서 원가기획 활동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원가기획 활동이 지식경영 활동들을 활성화시켜서 기업의 지식경영 성과를 증대시키는데 기여하는지 여부를 분석, 규명하였다. 먼저, 원가기획 활동 도입에 대한 영향요인들로는 혁신적인 조직 문화, 기업이 채택한 유연 생산전략과 분권화된 조직구조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원가기획 활동은 지식의 창출, 이전, 저장과 활용(지식경영 활동들)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계획, 원가계획과 제품설계라는 3단계의 활동들을 통한 부서들 및 종업원들 간의 빈번한 접촉과 회합은 지식경영 활동들을 촉진시킨다는 것이다. 나아가, 원가기획 활동이나 지식경영 활동들은 지식경영 성과의 대리 측정치인 지식경영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혁신적 조직 문화, 유연 생산전략과 유기적 조직구조는 원가기획 활동의 도입을 촉진하고, 원가기획 활동은 기업의 지식경영 활동들을 활성화시켜 조직의 지식자원 확충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fluence factors on the adoption of target costing,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knowledge management(KM) systems. We also empirically examined the impact of target costing on the KM activities(i.e., knowledge creation, transfer, storage, and application), and their(i.e., target costing and KM activities) effects on organizational KM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innovative culture, customer-focused manufacturing strategy, and organizational decentralization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adoption degrees of target co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arget costing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s the activation of KM activities. It was also showed that both target costing and KM activitie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M performance that is measured by KM satisfaction.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target costing must be considered in the perspective of KM, and the conditions of contextual factors, such as culture, business strategy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have to be aligned with the adoption of target costing in advance.

      •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 지식경영전략 매개효과 중심으로 -

        김명수(Kim Myung So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지향문화(developmental culture), 관계지향문화(group culture)가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지식경영전략 및 지식경영활동과 관련된 문헌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우선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간의 관계와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리고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알아보며, 마지막으로 지식경영전략이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조직이나 지식경영을 도입한 81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관계가 기업들의 지식경영에 어떠한 요소로 작용하는지를 실증분석 함으로써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첫째,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에 있어서는 혁신지향문화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에서만 유의했고, 관계지향문화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codification strategy) 및 사람중심전략(personalization strategy)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에 있어서는 혁신지향문화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 유의했으며, 관계지향문화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경영활동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에 있어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모두에 유의했다. 넷째, 지식경영전략의 매개역할에 대한 검정은 혁신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에 대해서 시스템중심전략 및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나타났고, 혁신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도 시스템중심전략 및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에 대해서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 모두 매개역할을 하며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서는 시스템중심전략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나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에 대해 사람중심전략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여 매개효과가 없었다. 혁신지향문화에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이 유의하고, 지식경영활동의 지식활용이 유의함을 알 수 있고 시스템중심전략을 통해서는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활용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스템중심전략은 혁신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사람중심전략도 혁신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관계지향문화에서는 지식경영전략의 시스템중심전략과 사람중심전략이 모두 유의하고 지식경영활동의 지식창출과 지식활용과도 모두 유의하였으며, 혁신지향문화보다는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전략이나 지식경영활동에 대한 유의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중심전략은 관계지향문화와 지식창출 및 지식활용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사람중심전략도 관계지향문화와 지식창출 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지식활용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시스템중심전략보다는 사람중심전략이 더 지식경영활동의 폭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은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전략과의 관계,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과의 관계 및 지식경영전략과 지식경영활동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하였고, 특히 지식경영전략이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경영활동 간의 매개역할에 대해서도 지식경영전략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기업의 수준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이고, 실무적 시사점은 기업의 매출규모가 400억 미만의 중소기업과, 업력 10년 미만의 기업과 제조업에서는 혁신지향문화보다는 조직구성원들에게 대한 배려와 관심, 유대감과 친밀감 그리고 조직의 결속을 강조하는 관계지향문화가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조직에 더 유연하고 합리적인 것으로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지식경영을 진행하는 기업에게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와 유의한 지식경영전략 및 지식경영활동의 관계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Developmental culture and group culture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then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Finally,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 empirical research and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81 companies that introduced learning organizations or knowledge management to determine whether this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play a mediating role. By empirically analyzing what kind of factor this relationship acts on the knowledge management of companies, important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companies conducting knowledge management. First, in the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Developmental culture was significant only in the codific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in the group culture,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ere significant. Second, in Developmental culture,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Developmental culture paid attention to knowledge utiliz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group culture paid attention to both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ird,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personaliz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paid attention to both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i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Fourth,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showed that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for the knowledge creation of the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Regarding utilization,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so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knowledge creation in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both the codification strategy and the individualization strategy played a mediating role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r the knowledge utilization of group culture and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e codification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group culture and knowledge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with respect to the use of knowledge in management activities, so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In the Developmental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 codifica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as significant and the knowledg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was significant. However, the codification strateg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and the personalization strategy also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Developmental culture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In group culture, both codification strategy and personalization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were significant, and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were also significant. It can be seen that group culture has higher significance for knowledge management strategy or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than Developmental cultur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 KCI등재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이 지식재산활동을 매개로 하여 지식재산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상운,유왕진,이중환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5 지식재산연구 Vol.10 No.3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rect effect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targeting 298 venture enterprises which received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First, all variables of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affected the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Second,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mediated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Thir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ctivity among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enhanced the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in rela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quality. In conclusion, venture enterprises need to have arrangements for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methodology and work process to maximize the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nsulting services appropriate to them. In addition, they need to have omnidirectional efforts for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in order to establish more fundamental and more effective intellectual property infrastructure and enhance capacity. 본 연구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를 받은 벤처기업 298곳을 대상으로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과 지식재산성과 간의 직접효과와 지식재산활동의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의모든 변수는 지식재산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지식재산활동은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과 지식재산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특히, 서비스품질 중 부가적 혜택과 물리적 환경이 지식재산성과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지식재산활동 중 지식재산보호활동이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품질과의 관계를 통하여 지식재산성과에 효과를 높였다. 이것은 보호활동이 특허 출원 전 후 광범위한 분야에서 진행되므로, 향후 벤처기업에서 지식재산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특허 실무에 충실하고, 전담조직, 시스템 구축 등 꾸준한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벤처기업에 맞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서비스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식재산경영 컨설팅 방법론 및 업무프로세스 마련이 필요하며, 보다 근본적이고 효율적인 지식재산 인프라 구축 및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의 전 방위적인 지식재산활동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식재산경영컨설팅 역량이 지식재산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식재산 활동의 매개효과

        백상운,박종복 한국창업학회 2023 한국창업학회지 Vol.18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rect effect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business consulting competenc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mediating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business consulting competency and intellectual property performance, targeting 236 venture enterprises which had received intellectual property business consulting services. The consulting company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and performance, but the consultant competency had no effect. In addition, in the mediating effect on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y, consulting company competency partially mediated creation and utilization activities, and fully mediated protection activity. However, the consultant competency had no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nagement implication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or the purpose of maximizing the consulting capabilities suitable for the venture busin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property consulting methodology that meets the purposes of utilization by the company's growth stage, as well as securing and managing professional consultants with basic and job capabilities, such as converging customer requirements, performing consistent tasks, presenting alternatives through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active business posture. In addition, complementary efforts are urgently needed, including building its own work process system, proposing alternatives based on experience and expertise,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consulting firms, including driving forces, teamwork, and communication with companies when implementing their businesses. 글로벌 기술패권시대, 경쟁력을 갖춘 선진기업들은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서 후발기업들은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서 총성 없는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재산경영의 자문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이 기업의 지식재산 활동을 증대시키는 촉매 역할임을 검증하였고, 벤처기업이 컨설팅 결과뿐만 아니라, 컨설팅사의 역량 요인을 적극 수용하고 지식재산 활동으로 내재화(內在化)할 때 지식재산 성과가 제고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크게 4개 가설을 수립하고 지식재산경영컨설팅을 받은 236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컨설팅사 역량은 지식재산 활동과 지식재산 성과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컨설턴트 역량은 지식재산 활동과 지식재산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재산 활동에 대한 매개효과에서는 컨설팅사 역량은 창출활동과 활용활동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고, 보호활동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반면, 컨설턴트 역량은 아무런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을 이론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으로 나누어보면, 이론적 측면에서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분야에서도 컨설팅사(특허법인, 민간기술거래기관, 기술사업화기관) 역량의 중요성을 실제 입증하였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문 컨설턴트의 확보 및 관리뿐만 아니라, 고객사의 요구사항 수렴, 일관성 있는 업무 수행, 분야별 경험과 노하우 축적을 통한 대안 제시가 필요할 것이며, 기업 성장단계별 활용 목적에 맞는 지식재산경영컨설팅 방법론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컨설팅사는 자체적인 업무 프로세스 체계 구축,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대안을 제시하고 프로젝트 추진 시 추진력, 협업, 팀워크,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 구축 등의 컨설팅사 역량을 제고시키는 상호보완적인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할 것이다.

      • 중소기업정보통신업의 학습조직 활동이 지식공유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형철,김권필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4 기업경영리뷰 Vol.5 No.1

        Organizations and their members need to equip with abilities to prospect alteration of business environment in the future and to adjust themselves to the new environment. Learning is a decisive way todevelop their competence to react against and to survive in a drastic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Researches on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have been recently focusing on studying the causes which bring effects to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and estimating their contributions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carries out a posi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up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adopt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empirical research, it executed questionnaires of the workers, managers in manufacturing/service sector.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are selected from the manufacturing operation and service operations in Gwangju city area and Jonnambuk and the research is studied considering points as follow. Firstly, this study tries to finds ou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of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and management performance by carrying out the empirical analysis. Secon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it trie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activity process on management performance by verifying the intermediation effects of learning activity process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 and analysis empirically that there are some relation to make the learning more effective on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proposes some problem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is study carried out an analysis on the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for the past three years, however, for a more developed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rporate learning organizations up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long term case study needs to be done.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구축과 지식공유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서 선행연구와 특정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권한위임은 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나지 않아 차후 학습조직 구축활동 요인인 권한위임과 경영성과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중소기업의 학습활동을 통한 경영성과 측정에 있어 간접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 고려해 보아야 할 변수로 생각된다. 학습조직 구축활동 요인인 시스템사고는 학습활동 프로세스 요인인 지식공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조직 구축활동 요인인 시스템사고는 경영성과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습조직 구축활동 요인인 부서간의 협력은 학습활동 프로세스 요인인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영성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조직 구축활동 요인인 부서간의 협력은 경영성과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학습활동 프로세스 요인인 지식공유에도 매우 중요한 변수인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조직 구축활동 요인의 요소와 지식공유활동, 경영성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기업 경영자의 입장에서는 학습조직 구축활동 요인과 지식공유 활동, 경영성과의 실증 규명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학습조직 활동을 어떻게 진행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식경영의 일환인 학습조직 활동을 통해 중소기업 경영성과 향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지식경영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윤호 ( Yun Ho Park ),한경석 ( Kyeong Seok Han )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07 인터넷비지니스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활동에서 구축된 학습 활동을 통하여 습득된 지식경영 성과를 바탕으로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식경영의 핵심요인을 도출하면서 학습활동과 분임조활동의 개념을 구분하고 학습활동을 통한 지식경영과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을 규명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식경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습활동에 대한 기업경영 성과를 가설을 통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분석결과 가설로 설정된 요인들은 통계 분석을 통하여 검증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습조 활동을 통한 지식을 습득하는 데 있어 상호 신뢰하는 마음과 경영자의 학습 지원, 조직의 분권화 및 이러한 학습 활동을 통해 형성된 성과물을 토대로 보상 체제를 구축해 놓은 업체는 학습 활동을 하는 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리고 학습 활동을 하는 데 있어 업체 마다 구축된 정보 기술 지원체제 즉 Group Wear나, WEB, ERP 등은 학습 활동을 하는 구성원이 지식 활동을 하는 데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학습조 구축을 통한 지식 활동은 조직 구성원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는 노사 문화 건전에도 영향을 미친다. 학습조 활동을 통한 지식 활동은 신속한 의사 결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습득된 지식을 활용하고 재창조하므로 인해 조직 구성원은 스스로 만족할 것이며 이는 노사 문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A study on the effect of knowledge management on the business effectiveness through learning activity in the organization. Escape it does the core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It divides the concept of circle control and learning activity and the rel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which leads a learning activity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efficient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become accomplished with a research result and the business management result regarding a learning activity to lead and in order to verify. The core factors set hypothesis with analysis result is testable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learning support of CEO, system of the trust mind, organization decentralization helps knowledge learning. a compensation setup company through knowledge learning activity, It gives an affirmative effect for learning activity. The constructed information technical support system, namely Group Wear, web, erp etc will be a many help in a learning activity. knowledge activity leads a learning construction gives an affirmative effect to 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member and to labor and management culture health. and also the quick decision. as learning knowledges utilize and re-create, the system member oneself will be satisfactory and will cause an affirmative effect even in labor and management culture.

      • KCI등재후보

        지식창출활동의 공간적 집적과 지역간 격차요인 분석

        이희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0 지식재산연구 Vol.5 No.1

        In the last decade, there has been a widespread interest in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as a new engine of endogenous growth. Also there has been a growing importance of the patent as the index of knowledge production. Much literature suggests that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tend to be spatially concentrated and formed the clusters.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analyze spatial patterns of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a data set of patents from 1981-2008, and to analyze its determinants of regional disparity in 2008.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were unevenly distributed. The Knowledge production activity measured by patent counts is highly concentrated in a limited number of cities. The Capital region accounted for 75% of the total number of patents in the period of 1981-2008, suggesting the existence of a strong concentration of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in Korea. The locations of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by themselves represented a strong spatial positive autocorrelation. The location of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is not free from a spatial context and spillover of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are heavily bounded within geographic limits, forming a spatial cluster. This paper uses the spatial statistical model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regional disparity of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From the results of the spatial lag model,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as an input for knowledge production activities, and the ratio of large-scale establishments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specialization and the diversity of knowledge-based manufacturing industr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gional knowledge production. Such results give some implications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policies 지난 10여년 동안 새로이 내생적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지식창출활동에 대한관심이 크게 고조되면서, 지식창출활동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특허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지식창출활동은 공간상에 특정지역으로 집중되거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81~2008년 동안 국내 특허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지식창출활동의 성장에 따른 공간분포패턴을 분석하였으며, 그러한 분포패턴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식창출량의 약 75%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을 정도로 매우 불균등하게 지식창출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식창출활동의 공간분포패턴은 매우 높은 정적인 공간적 자기상관을 보이며, 해당 지역의 지식창출은 인접한 주변지역의 영향을 받는 공간적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공간계량모형을 사용하여 지역간 지식창출활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추출한 결과대학원 재학생수, 대기업의 비율, 지식기반제조업과 주력기반 제조업의 특화도 및지식기반제조업의 다양성 지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방의 우수 인력 양성과 대기업 유치를 위한 제반 생활환경을 구축하는 정책이 향후지방의 경제발전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시급함을 시사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