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정보사회와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지능정보화 기본법」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김상태,박영현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20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20 No.4

        In Korea, IC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d with the recent integration with AI, various services required by citizens are provided currently. In particular, the service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using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drawing attention because these services are directly related to local residents. However, the central government takes the lead in policies tha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regional intelligence information, hindering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an active policy that reflec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emand of local residents. Further, there are difficulties in achieving policy outcomes due to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does not specify unique affairs of a local government that can be handled under its responsibility because the affairs that can be handled by a local government are carried out jointly (commonly) by government ag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local government’s affairs related to intelligence information in the region so that such affairs can be l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such reason, legal and institutional tasks to guarantee the affairs of a local government in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have been reviewed and such task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ffairs provided in Article 9, Paragraph (2) of the Local Autonomy Act do not need to be handled by a local governm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incipal agent for new affairs such as an affair related to intelligence information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previously. Nevertheless, affair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gion should be allocated as an autonomous affair in principle. Second, it is necessary to newly establish affair allocation standard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re-allocate affairs provided as a joint affair (common affair) under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ewly established affair allocation standard as a national affair or an autonomous affair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ffairs, the principal agent, and financial burden required for the execution of such affairs. Third, even if preferential authority for an intelligence information-related affair is granted to a local governmen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rovide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technical support to such local governments that perform such autonomous affairs in terms of bearing ultimate responsibility for the realization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Fourth, a joint affair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cknowledged within a limited range, regardless of its necessity. For such purpose, affairs provided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ce Information should be re-allocated into a national affair and an autonomous affair, and a joint affair should be acknowledged only when there is a significant need of joint execution as an exception. 우리나라는 그 동안 어느 나라보다도 빠르게 ICT 기술이 양적・질적으로 발전하여 왔고 여기에 최근에는 AI를 접목하면서 국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서비스는 주민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지역의 지능정보화와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정책조차 국가가 주도하면서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수요를 반영하는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할 수가 없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상호 이해 및 정보 공유 부족으로 인하여 정책의 성과 달성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지능정보화 기본법」은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할 수 있는 사무를 국가기관 등과 공동(공통)으로 수행하고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업무로서 자기 책임 하에 처리할 수 있는 사무는 명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지역에서의 지능정보화 관련 사무만큼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보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지능정보사회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를 보장할 수 있는 법제도적 과제를 검토하였고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법」 제9조 제2항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는 사무라고 하여 반드시 그러한 사무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지능정보화와 관련된 사무와 같이 그 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새로운 사무에 대해서는 사무의 귀속 주체를 정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사무라면, 원칙적으로 자치사무로 배분해야 한다. 둘째, 「지능정보화 기본법」에 사무배분 기준을 신설하고 이렇게 신설된 사무배분 기준에 따라 「지능정보화 기본법」상 공동사무(공통사무)로 규정되어 있는 사무를 사무의 성격, 사무의 귀속책임자, 사무수행에 필요한 재정부담 등을 고려하여 국가사무 또는 자치사무로 재배분하여야 한다. 셋째, 지능정보화 관련 사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우선적 권한을 부여하더라도 국가는 지능정보사회의 구현에 대해 궁극적인 책임을 부담한다는 점에서 자치사무를 수행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행정적・재정적・기술적 지원을 해야 한다. 넷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공동사무는 그 필요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인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은 「지능정보화 기본법」상의 사무를 국가사무와 자치사무로 재배분하고, 예외적으로 공동수행의 필요성이 현저한 경우에 한하여 공동사무로 인정해야 한다.

      • 인공지능의 편향성 완화를 위한 저작권법의 역할

        백승혜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1 Law & technology Vol.17 No.1

        우리는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오늘날 인공지능은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요소로서 이제 우리 삶의 일부분이자 미래의 최대 성장 동력이 되었다. 그런데 인공지능의 개발과 상용화로 우리의 삶이 더욱 풍요롭고 편리하게 되었지만 그와 관련된 문제점도 나타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인공지능 시스템의 편향성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이 편향되는 원인 중 하나로 저작권법상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 이용에 대한 제한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인공 지능의 편향성 완화를 위한 저작권법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인공지능 개발자들이 머신 러닝과 같은 인공지능 학습 과정에서 양질의 저작물을 저작권 침해 위험 없이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도록 이러한 이용행위에 저작권법 규정 중 제28조 또는 제35조의5가 적용될 수 있는지 살 펴본다. 인공지능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관련 어문 저작물, 음악 저작물, 영상 저작물 등 다량의 저작물을 복제하여 분석하고 학습하는 경우, 인공지능 시스템에 의한 저작물 이용은 그 저작물의 본래의 가치인 문학적⋅예술적 가치를 감상하거나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된 문자, 음성, 영상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는 등 새로운 가치를 찾아내서 이용하는 변형적 이용인 점, 저작물의 표현 그 자체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된 데이터나 정보 등 비표현적 가치를 이용하는 것인 점, 그 저작물에 대한 수요를 대체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are integrated into existing industries and services, resulting in innovative changes. AI today is a key ele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now part of our lives and the biggest growth engine of the future. Howeve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I have made our lives more abundant and convenient, but related problems are also emerging. One of them is the bias of the AI system. One of the causes of bias in the AI system is the restriction on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by copyright law.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copyright law in mitigating bias in AI system.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if Article 28 or Article 35-5 of the current copyright law can be applied to the AI developers‘ use so that they can freely use quality works in the course of AI learning, such as machine learning, without the risk of copyright infringement. The fact that AI replicates, analyzes, and learns a large amount of related works, such as language works, music works, and video works, in order to provide a specific service, is a transformative use of new values, such as recognizing patterns of character, voice, and video data, rather than appreciating or using the original cultural or artistic value of the works. It is not to use the expression of the works itself, but to use the non-expressive value of the data or information in the works.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demand for the works will not be replaced. Given these points, this AI’s use can be consider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above-mentioned Articles of the copyright law and should therefore be permitted.

      • KCI등재

        한국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김성원,이영준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2

        지능정보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지만, 선행 연구에서 연구 대상은 편중되어 있고,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인공지능 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검사 도구를 통하여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였다.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하여 예비 검사 도구를 고등학생 229명에게 적용하고, 검사 결과를 탐색적 요인 분석으로 분석하였 다.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검사 도구를 고등학생 481명에게 실시하고, 검사 결과를 요인 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공지능 관련 경험에 따라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인공지능의 직, 간접 경험, 프로그래밍 경험, 인공지능 활용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은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반면에 인공지능 교육 경험은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advent of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research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as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the subject of research is biased, and studies that analyze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insufficient. So, in this study developed a test tool to measu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ir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velop the test tool, 229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a preliminary test, of which the results were analyzed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analyze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ulting test tool was applied to 481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test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actors. From the study’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er grad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according to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experiences: the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ming, and more frequently used it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an students without this experience. Howeve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experience negatively influenced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Overall, the higher their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more positive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인공지능 의료행위와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유주선(Yoo, Juseon)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비교사법 Vol.27 No.4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is approaching more and more as beings friendly to humans, and furthermore, beings that coexist with humans.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lgorithms continues to develop in many areas, not only in the general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in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of things in which objects and objects communicate, unmanned autonomous vehicles, and treatment or surgery on behalf of patients. An artificial intelligence doctor is a representative example. Corona 19, which started in China in February 2020, came unexpectedly to us. The Krona 19 pandemic has an unprecedented impact on business, economy and our society. Due to Corona 19, face-to-face business is rapidly changing centering on non-face-to-face transactions through the Internet, mobile, and platforms. You are asking for distance.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has continued to develop while establishing itself as the nucleu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doubling its speed due to an unexpected variable called Corona 19. Of course, it is true that advances in mobile and internet are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aper examines the social impa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rona 19 on us, and suggests our legal countermeasures accordingly.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not only enriches our quality of life, but also requires us to think differently about the framework of thinking that has been adapted to the past. From the controversial telemedicine debate in the medical field, to the treatment of patient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octors, the imagination of human life is once again awakened. In the case of a doctor s treatment practice, which is based on face-to-face, it is based on the safety of the patient. However, if the patient s safety is more and more secured by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argument against telemedicine with the patient s life as security would be a concern. If there is a set of selfishness that will not let go of the benefits that come from face to face, then that intention must be put down. If the intelligence of humans and animals is called natur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that realizes such natural intelligence in computers. The emergence of weak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be a period of peace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an pursue the coexistence of both. However, just like humans,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has an autonomous consciousness and makes independent judgments on its own cannot be seen as a simple instrumental function of humans. Now,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develop into the question of whether it can coexist with humans or maintain peace. Such an appearance has already recognized its true nature in the movie “Terminator” that shocked us in the early 1980s. Can a just society be realized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edical field related to do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unlikely to be very large. However, if you think about it a bit beyond the medical field, the adv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hurt jobs in our labor market. Now,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focus on the problem of how to solve the human jobs disappearing along with the employment problem and the resulting income and distribution. At this time, as an alternative from the standpoint of justice, the imposition of a robot tax or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will face us.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인공지능은 인간에게 친근한 존재, 더 나아가 인간과 공존하는 존재로 점점 더 다가오고 있다. 알고리즘을 통한 인공지능은 여러 영역에서 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일반 제조업의 영역뿐만이 아니라 심층학습 인공지능, 사물과 사물이 대화를 하는 사물인터넷, 무인 자율주행자동차, 환자들을 대신하여 진료나 수술을 하는 인공지능 의사 등이 그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2020년 2월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19는 우리에게 예기치 않게 다가왔다. 크로나19 팬데믹은 비즈니스와 경제 그리고 우리 사회에 유례없는 충격을 주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하여 대면의 비즈니스 방식은 인터넷이나 모바일, 플랫폼 등을 통한 비대면거래 중심으로 급속하게 변모하고 있고, 밀착된 거리에서 친밀도를 유지하는 것을 당연시 하였던 인간관계는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생활해야 하는 사회적 거리를 요구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의 핵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발전을 계속하고 있던 인공지능은 코로나19라고 하는 돌발적인 변수로 인하여 그 속도를 배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물론, 모바일이나 인터넷 등의 발전이 인공지능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인공지능의 출현과 발전은 우리의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해 줄 뿐더러 기존에 적응하였던 사고의 틀을 달리 생각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의료분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원격의료의 논쟁에서부터 인공지능을 통한 환자에 대한 진료, 더 나아가 인공지능 의사의 출현 등의 상상은 다시 한 번 인간의 생명을 일깨워주고 있다. 대면을 원칙으로 하는 의사의 진료행위 주장에는 환자의 안전성에 토대를 두고 있다. 하지만 기술의 진보로 환자의 안전성 보장을 담보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원격의료를 반대하는 주장은 하나의 우려사항일 뿐이다. 인간과 동물이 가지고 있는 지능을 자연지능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자연지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는 정보처리 메카니즘이 바로 인공지능이다. 약한 인공지능의 출현은 인간과 인공지능이 공존하는 평화의 시대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인간과 마찬가지로 자율적인 의식을 가지고 프로그램 스스로 독립적인 판단을 하는 인공지능이라면, 인공지능은 인간의 단순한 도구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다. 이제 인공지능은 인간과의 공존이나 평화를 유지할 수 있을까의 문제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이미 1980년 초반 등장했던 “터미네이터”라는 기계인간을 통해서 우리는 기계와 인간이 공존할 수 없는 간접경험을 한 바 있다. 인공지능시대에도 정의로운 사회가 구현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이 있다. 인공지능의 출현은 우리의 노동시장에서 일자리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이다. 인공지능은 고용의 문제와 함께 사라지는 인간의 일자리와 그로 인한 소득과 분배를 어떻게 해소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로 집중하게 될 것이다. 이때 정의의 관점에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로봇세의 부과나 기본소득의 도입 등이 우리와 마주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지능형 로봇에 대한 안전관리 발전방안

        주일엽 한국경호경비학회 2011 시큐리티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지능형 로봇에 대한 이해, 지능형 로봇의 위해성 분석, 지능형 로봇 안전관리 주요현황, 지능형 로봇 안전관리 추진방안 등을 통한 지능형 로봇 안전관리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 관련법규에 지능형 로봇의 안전관리를 실질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조항을 신설하거나 별도의 법규를 제정하고, 나아가 윤리 및 안전 관련법규에도 지능형 로봇에 대한 안전관리 관련조항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지능형 로봇에 대한 안전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국가적, 국제적인 합의를 통한 ‘로봇윤리헌장’의 제정이 필요하다. 이와 병행해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로봇윤리헌장의 대국민 홍보를 통해 일반인들의 지능형 로봇에 대한 안전관리 의식을 유도하고 지능형 로봇의 권리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여야 한다. 셋째, 경호경비 관련 업계 및 학계는 지능형 로봇이 경호경비산업에 미치는 중대한 영향을 인식하고 지능형 로봇에 대한 안전관리 및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군사 로봇, 보안 로봇 등 지능형 로봇의 운용, 관리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인간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도 경호경비의 한 분야로 부각될 전망이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와 대응이 필요하다.

      • KCI등재

        SW교육 학습자 중심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교육의 평가 방향 고찰

        신희남,안성훈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5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를 대비하면서 우리 교육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넘어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한 AI 교육의 시대로 새로운 배움의 장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평가 사 례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의 평가 방향을 고찰해 보려 한다. 컴퓨터 교과를 포함한 비컴퓨터 교과에 학습자 중심 평가를 적용한 사례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와 학습자 중심 평가의 환경 여건 및 평가 모형 등을 모색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에 학습자 중심 평가 모형을 적용한 사례를 통해 인공지능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 평가가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자 중심 평가는 학습 자의 학습 목표 도달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며, 지능정보기술에 따른 디지털 환경 여건의 구축, 학습자의 평 가를 도울 수 있는 객관적 평가 시스템과 객관적 평가 모형이 고안되어질 때 인공지능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rona-19, our education is expanding a new chapter of learning to the era of AI education that incorporates software technology beyond software education.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ase of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software education and examine the assessment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its effectiveness. Through the case of applying learner-centered assessment to non-computer subjects including computer subjects, we sought the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assessment models of learner-centered evaluation, and through the case of applying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model to software education, we wanted to find out what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ggests to the educational s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er's achievement goal, and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er-centered assessment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smoothly when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and objective evaluation model are designed to help the learner's assessment, building digital environment conditions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서 공공연구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시론적 연구

        이재훈 ( Lee Jae-hoo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0 法과 政策 Vol.26 No.2

        다양한 현대 기술 분야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처음과 마지막은 우수한 인공지능 기술의 확보라고 할 수 있다. 우수한 인공지능 기술 확보가 중요한 현시점에서 인공지능 기술혁신을 위한 국가적 지원과 이를 규범적으로 구체화하고 있는 법제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법제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지능형로봇법과 초고성능컴퓨터법이 인공지능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확보가 인공지능 기술 개발의 핵심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지능형로봇법과 초고성능컴퓨터법에는 학습데이터 확보와 관련된 지원 방식이 규정되어 있지 않아 제도적 지원의 한계가 발생한다. 해외 주요 국가의 인공지능 전략과 우리나라의 인공지능 전략을 살펴보면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위한 학습데이터 제공이라는 관점에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는 정책이 검토되고 있다. 그리고 유럽연합의 경우 오픈데이터 및 공공분야 정보의 이용에 대한 지침을 통해 고품질의 공공데이터를 통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 촉진을 지원하려고 노력 중이다. 오픈데이터 및 공공분야 정보의 이용에 대한 지침에서 특히 눈여겨 볼 사항은 고품질의 데이터인 공공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를 공공데이터로 규정하고 이를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과 이를 위한 원칙과 조건을 규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도 공공데이터로서 성격을 갖고 있는 다양한 연구데이터를 갖고 있다. 다만 공공데이터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는 연구데이터가 현행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개방되어 활용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는 법적으로 공공기관의 연구데이터가 공공데이터임이 명확하게 명시되고 있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공공기관의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제도가 충분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점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제도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유럽연합의 오픈데이터 및 공공분야 정보의 이용에 대한 지침과 우리나라의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등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로서 공공기관의 연구데이터를 적극적으로 개방 및 활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떠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지 검토한다. The core of modern technology i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refore, national support for AI innovation and legal framework for supporting AI innovation are needed. There are some legislation in Korea that can actually be us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example, the Intelligent Robot Act and Ultra High Performance Computer Act could be used to support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owever, although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ata is the core of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Intelligent Robot Act and the Ultra High Performance Computer Act do not have any support method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ata. Looking at artificial intelligence strategies in foreign countr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trategies in Korea, policies to open public data for re-use are being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providing learning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in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it is trying to support the promo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rough high-quality public data. What should be noted in the PSI-Directive is that research data from public research institutes, which are of high quality, are defined as public data and are open to the public for re-use. The PSI-Directive stipulate principles and conditions for opening public research data and its re-use. Korea also has various research data that have characteristics as public data. However, research data, which has a character as public data, is not actively being opened and re-us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not clearly stated that research data from public institutions are public data. And the lack of sufficient systems to systematically manage research data from public institutions is another reason.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s the PSI-Directive of European Union, the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and the regulations on the management of national R&D projects, and examines legal system under which research data of public institutions can be opened as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data.

      • KCI등재

        지능형제품디자인 방법에 기초한 지능형 종이접기의 개발과 평가

        곽소나 ( Sonya Kwa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기술 및 로봇기술을 기존 제품에 접목하여 지능화하는 지능형제품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존의 종이접기를 지능화한 지능형 종이접기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지능형제품디자인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지능형제품디자인 방법을 모체제품 분석, 모체제품의 지능화, 지능형제품에 대한 평가의 세 단계로 제안하고, 제안한 지능형제품디자인 방법을 기초로 지능형 종이접기를 개발하였다. 지능형 종이접기는 지능형 종이접기 키트와 종이접기용 색종이로 구성된다. 지능형 종이접기 키트는 광센서, 소리센서, 자기센서 등의 입력 모듈과 LED, 스피커 등의출력 모듈, 그리고 메인보드 모듈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다양한 입력 모듈과 출력 모듈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상호작용을디자인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자기센서 모듈과 스피커 모듈을 이용하여, 자석을 부착한 파리 종이접기 모형을 가까이접근시키면 “개굴 개굴” 소리를 재생하는 지능형 개구리 종이접기 모형을 제작하였다. 일반 종이접기와 지능형 종이접기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소비자 수용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피험자들은 지능형 종이접기를 일반 종이접기보다 흥미롭고 교육 도구로서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일반 종이접기보다 지능형 종이접기를 제품으로서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일반 종이접기보다 지능형 종이접기에 대해 보다 높은 구매의사를 보이며, 구매의사 금액에 있어서도 2 배 이상 높은 금액을 나타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the intelligent product design method which intelligentizes an existing common product by applying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robotic technologies and to develop the intelligent origami by intelligentizing a common origami. In this study, the intelligent product design method was proposed as three steps including analysis of a mother product, intelligentization of the mother product, and evaluation of the intelligent product.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the intelligent origami was developed. The intelligent origami is composed of intelligent origami kit and colored papers for origami. The intelligent origami kit consists of input modules, such as light sensors, sound sensors, magnetic sensors, and output modules including LED, speakers, and a main board module. Users can design diverse interaction using various input and output modules. In this study, by using a magnetic sensor module and a speaker module, an intelligent frog origami was developed. The intelligent frog origami detects a fly origami which a magnet is embedded in and generates the croaking sound of a frog. An experiment was executed to investigate users` perception and customers` acceptance of the common origami and the intelligent origami.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 intelligent origami more enjoyable and useful as an educational tool than the common origami, and they evaluated the intelligent origami more positively than the common origami as a product.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 the intelligent origami condition showed higher purchase intention than those in the common origami condition, and their willingness to pay for the intelligent origami was more than double that for the common origami.

      • KCI등재

        웩슬러 유아지능검사의 수행분석 : 형제관계 중심으로

        박혜원,곽금주,박광배 한국인간발달학회 1995 人間發達硏究 Vol.- No.2

        본 연구에서는 3세-7세사이의 유아를 대상으로 웩슬러 유아지능검사에서 나타난 성별 수행을 비교하며 형제 수와 출생 순위에 따른 지능분포 및 형제간의 지능의 상관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1989년에 미국에서 수정 제작된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WPPSI -R :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Revised)를 번안하여 제작한 한국형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를 1236명의 유아에게 실시하였다. 원 점수를 사용하여 성별수행을 비교한 결과 남아는 동작성 검사인 토막짜기에서 여아는 동작성 검사인 도형과 언어성 검사인 문장검사에서 우월한 수행을 나타냈다. 형제 수와 지능간의 상관은 동작성 지능에서 -.07(p<.05), 언어성 지능에서는 -.09(p<.01)의 상관을 보였다. 출생순위에 따른 지능의 분포를 살펴볼 때 출생순위 와 지능간에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고 있다. 80쌍의 형제간 각 소검사의 상관은 토막짜기(.30, p(<.01), 빠진 곳 찾기(.49, p<.001), 상식(,24, p<.05), 이해(.23, p<.05)에서 유의하였으며 동작성 지능에서는 .27(p<.05), 언어성 지능에서는 .25(p<.05), 그리고 전체 지능에서는 .32(p<.01)의 상관을 보였다. 앞으로 종단 연구를 통하여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수행 및 형제간 지능상관의 안정성 등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규제의 법체계

        김광수(Kim, Kwang-Soo) 한국토지공법학회 2021 土地公法硏究 Vol.93 No.-

        인공지능은 사람의 인식과 계산능력을 대체하는 점에서 다른 기계와는 분명 질적인 차이를 보일 중요한 수단이다. 현재 거대기업과 몇몇의 국가들은 인공지능 기술을 산업경쟁 력의 핵심으로 보고 대규모의 투자를 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활용분야에는 한계가 없으며 앞으로의 발전에 따른 능력은 무궁할 것으로 예측된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바둑 경기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토대로 나아가 사회 및 공동체에 미칠 영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첫째로 인공지능이 발전하더라도 당분간 현재의 사회 제도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지능은 기계이기 때문에 사람이 이용할수 있는 도구이며 사람과 경쟁 상대는 아니다. 둘째로 인공지능의 계산력은 바둑의 기술 발전에 영향을 준다. 셋째로 인공지능의 발전은 새로운 행위규범을 요구한다. 바둑 기사들은 상대방 몰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경기에 이기려는 유혹을 받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예방 하고 통제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인공지능의 규제에 관하여 그 필요성과 법적 구조 그리고 규제와 관련된 중요한 쟁점을 검토하였다. 인공지능은 기계에 의하여 인간의 인지능력과 계산능력을 대체 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그 응용분야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점에서 그 파급력이 매우 크다. 인공지능이 담고 있는 유용성을 증대시 키고 잠재하는 해악을 축소하기 위하여 행정의 역할은 중요하다. 행정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위한 촉진자로서의 기능도 하여야 하지만 국민의 권익에 대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감시자로서의 활동에도 부족함이 없어야 한다. 인공지능에 관련된 법은 거대기업을 중심으로 한 자율법이 중요하고, 국가의 규제도 법령보다는 가이드라인과 같은 연성법의 활용 공간이 크다. 인공지능의 작동방식인 알고리즘은 나름의 규칙에 의하는데 이를 조직하는 코드가 법령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그 은닉된 성격과 익명성 때문에 법적 절차에 의해서 형성되고 일반에 공포되는 국가법과는 다르다. 법률에 의한 지배가 코드에 의한 지배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한편 행정은 도로교통, 조세, 행형 그리고 교육과 보건복지의 부문에서 인공지능을 활용 하는 조사, 진단과 규제를 이미 상당 부분 수행하고 있으며, 앞으로 인공지능 적용 분야가 점점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사생활의 보호와 차별금지는 거대 인공지능 기업에 대해 국가가 요구하고 감시한다. 그러나 국가가 직접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행정을 펼칠 때에는 스스로 국민의 권익 침해를 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인공지능에 관련된 업무와 분쟁이 늘어나면 이를 전담하여 처리해야 하는 국가의 기관이 설치되어야 한다. 현재 조직되어 있는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인공지능의 개발과 적용에 주력하고 있어서 국민의 기본권 보호와 알고리즘의 투명성 보장 등 규제를 위한 기관으로는 부족하다고 평가된다. 향후 인공 지능에 관한 독립적이고 효율적인 규제기관이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Artificial intelligence is an important means to show a qualitative difference from other machines in that it replaces human perception and computational abilities. Currently, large corporations and several countries are making large-scale investments, seeing AI technology as the core of their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re is no limit to the field of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capabilities are expected to be endless in the future. Based on the impact of AI on the game of Go, we can predict the futur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society and communities. First, even i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s, the current social system is not expected to be greatly affected for the time being. Becaus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machine, it is a tool that can be used by humans and is not a competitor to humans. Second, the computational pow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ffects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Baduk. Third,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quires a new code of conduct. Because Go players are tempted to win the game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thout their opponents knowledge, policies to properly prevent and control this are necessary. In this article, the necessity, legal structure, and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reviewe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great impact in that it replaces human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bilities by machines, and in that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fields are rapidly sprea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role of administration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useful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duce potential harm. The administration should also function as a facilitator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there should be no shortages in its activity as a monitor to prevent infringement on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As for law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utonomous laws centered on large corporations are important, and national regulations also have a larger space for use of soft laws such as guidelines rather than acts. Algorithms, which are the methods of ope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based on their own rules. The codes that organize them are similar to laws, but because of their concealed nature and anonymity, they are different from national laws formed by congressional procedures and promulgated to the public. Care should be taken to ensure that ruled by law is not ruled by code. The administration has already carried out a significant part of the investigation, diagnosis and regul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areas of road traffic, taxation, punishment, education and health,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and more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uture. The protection of privacy and non-discrimination are required and monitored by the state against large AI companies. However, when the state directly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o conduct administration, care must be taken not to infringe on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themselves. When the number of tasks and disput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crease, a national organization that is responsible for dealing with them should be establish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ttee, which is currently organized,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o it is evaluated that it is not enough as an institution for regulation such as protecting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ensuring transparency of algorithms. In the future, an independent and efficient agency on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