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절초점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목표달성에 대한 기대정서, 의지의 매개효과 검증

        오홍석,조한익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1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model concerning causal relations among regulatory focus, self-regulated learning, and mediators (e.g., Anticipated Emotions and Volition on Goal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29 college student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well. The casual model of the regulatory focus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dicated that the promotion focus positively influenced the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the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the volition,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respectively,. However, the prevention focus negatively influenced the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and the volition. The analysis of mediator effects revealed the promotion focus presente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the anticipated emotions. Likewise, the prevention focu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근거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조절초점의 두 차원(향상초점, 예방초점), 자기조절학습 그리고 관련 매개변인들인 기대정서(긍정기대정서, 부정기대정서)와 의지간의 복합적인 인과적 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그 모형이 적합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절초점 척도, 기대정서 척도, 의지 척도, 자기조절학습 척도를 사용하였다. 통계 결과 분석은 AMOS 18.0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절초점의 두 차원과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모형에서는 향상초점은 기대정서(긍정기대정서, 부정기대정서), 의지 및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예방초점은 부정기대정서, 의지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대정서는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의지 역시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간접 경로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향상초점은 긍정기대정서와 부정기대정서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방초점은 부정기대정서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화장품광고의 조절초점적합성효과에 대한 연구

        고성현(高娍,賢)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최근 마케팅의 소비자행동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자기조절초점을 바탕으로, 화장품의 판촉상황에서 개인의 조절초점성향과 광고메시지초점의 적합성효과에 대해 실증해보았다. 실험은 서울과 수도권지역의 20대 여대생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을 위한 디자인은 2(조절초점성향: 촉진성향/방어성향, between factor)⨯2(광고메시지초점: 촉진초점/방어초점, within factor)의 혼합디자인으로 설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T-test와 분산분석(ANOVA)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조절초점성향과 광고메시지초점이 서로 일치할 때 제품에 대한 평가가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조절초점적합성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F=16.75, p<.001). 따라서 촉진적 성향의 사람들은 방어초점메시지(M=4.92)에 비해 촉진초점 메시지(M=5.28)에서 제품에 대한 평가가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어적 성향의 사람들은 촉진초점메시지(M=4.64)에 비해 방어초점메시지(M=5.19)에서 더욱 긍정적인 평가가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조절초점적합성효과가 나타나는 상황에서는 개인의 조절초점성향과 광고메시지초점이 서로 일치하여 느끼는 감정의 적합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7.270, p<.01). 이런 이유에서 조절초점적합성효과의 메카니즘으로 감정의 적합성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인의 조절초점성향과 광고메시지초점이 서로 일치될 때 메시지에 대한 호의적인 감정을 이끌어 신제품에 대한 평가를 더욱 긍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조절초점적합성효과를 통해 향후 대인서비스산업분야의 커뮤니케이션연구는 물론 조절초점성향과 직무만족 등 개인의 성향에 따른 다양한 행정연구의 활용을 제안해 본다.

      • KCI등재후보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나준희(Na, June-Hee),이용기(Lee, Yong-K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 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 KCI등재후보

        아웃도어 의류를 이용한 소비 자기조절초점 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용,나준희,이용기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Self-regul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toward goal-achieving activities or it sometimes affects consumer satisfaction directly. Self-regulation scale for the most research studies reflects the asp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as persona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cale could be used in explaining the motivation mechanism for shopping environment or consumption. Self-regulation scale may explain some aspects but we can infer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dynamic aspects of shopping. Accordingly, we develop consumption-shopping related self-regulation scale for promotion-focused and prevention-focused regulation. In order to develop scale, we employ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which emphasizes pre-purchase, purchase, post-purchase process as well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 developed 47 items and refined those item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Furthermore, we considered the differences in scales in personality-based vs. consumption-based scale in which we developed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s. Outdoor cloth is us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scal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based and consumption-based scale to reflect the recent trend in cultur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nsumption-based scale ha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but it has a lower internal consistency than personality-based scale has. Personality-based scale and consumption-based scale has some relations in terms of correlation. Also, consumption-based scale using factor analysis to increase internal consistency produce rather fails to show clear differences between promotion and prevention, and it has multi-dimensional aspects too. 자기조절초점의 구성요인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조절요인 또는 직접적으로 소비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된다. 목표를 달성하려는 동기요인으로서 자기조절초점에 대한 많은 연구는 대부분 성격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웃도어의류의 선택과 같이, 소비선택과 관련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과연 성격적인 측면에서의 자기조절초점척도가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쇼핑 측면과 관련된 자기조절초점척도를 개발하여 성격조절초점 척도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관련 자기조절초점 척도 문항은 소비자구매행동과정이론을 이용하여 구매 전, 구매 시, 구매 후 과정과 소비관련 개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47 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판별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정제하여 내적일관성을 높이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성격적인 자기조절초점과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에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척도개발 및 관련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최근의 문화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아웃도어의류가 이용되었다. 연구 결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되지만, 이들의 신뢰도는 성격자기조절초점의 신뢰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성격자기조절초점과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관련성은 존재하지만 강한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사용한 소비자기조절초점의 개발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조절초점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완벽주의를 매개변인으로

        조한익,오홍석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and perfectionism on self regulated learning.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70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eoul. All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ntinuous variables measured using a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mpl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erfectionism, regulatory focu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sonal standard, not fear for failure significantly predicted self-regulated learning, and also that promotion focus, not prevention focus significantly predicted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a series of mediat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focu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personal standar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완벽주의와 조절초점이 자기조절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의 하위요인들인 개인적 기준과 실수에 대한 염려는 모두 자기조절학습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지만, 회귀분석에서는 개인적 기준만이 자기조절학습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둘째, 조절초점의 하위요인들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은 모두 자기조절학습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지만, 회귀분석에서는 향상초점만이 자기조절학습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또한, 완벽주의와 조절초점과의 관계에서 개인적 기준은 향상초점과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조절초점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완벽주의가 매개하는가에 대한 검증에서 향상초점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 기준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조절초점을 포함한 학습자의 성격 특성과 동기적 특성이 자기조절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힌 것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비자와 브랜드 간 조절초점의 일치성이 신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정언용,윤태섭,여준상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1

        This research investigated on the influence of regulatory consistency between consumer and brand on new product evaluations. Also we addressed the moderating role of brand-product distance on this regulatory consistency effects. Additionally the processing fluency was tested as a possible cognitive mechanism of those evaluations. As a result. we found that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product evaluations when both consumer and brand had congruent regulatory focus than when did not have. But this effect was moderated by brand-product distance(brand-product similarity). Specifically in the condition of close distance between brand and new product, regulatory consistency effects appeared like previous study, whereas consistency effect disappeared in the condition of far distance showing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 of evaluations regardless of consumer-brand regulatory consistency. Also we found the evidence of processing fluency’s mediating role on new product evaluations. Our research contribution could be explained as follows; We expanded measuring of chronic regulatory focus into brand not confined to consumers. Our study explored consumer-brand regulatory consistency effect beyond regulatory fit raised by many past literatures and discovered moderating role of brand-product distance on that effect. 본 연구는 소비자 자신이 지각하는 조절초점과 브랜드에 대해 지각하는 조절초점 간의 일치성이 신제품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일치성 효과가 브랜드-제품 간 거리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해보았다. 또한 이러한 제품 평가에 있어 그 인지적 메커니즘으로 정보처리 유창성이 작동하는지에 대해서도 검정해보았다. 연구 결과, 소비자 조절초점과 브랜드 조절초점이 서로 일치할 때가 일치하지 않을 때 보다 더 높은 신제품 평가를 보여주었다. 그런데 이러한 결과는 그 신제품이 브랜드와 어느 정도 거리에 있는지(브랜드와 제품 간 유사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근거리 브랜드확장 신제품의 경우 앞서 결과와 동일한 조절초점 일치성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원거리의 경우 일치, 불일치 사이에 평가 차이가 없음에 따라 조절초점 일치성 효과가 사라졌다. 한편, 이러한 신제품 평가에 있어 정보처리 유창성이 인지적 메커니즘, 즉 매개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초점 측정을 소비자에 국한하지 않고 그 대상을 브랜드로 확대하였다는 점, 기존의 조절적합성 개념을 뛰어넘어 소비자과 브랜드 사이의 조절초점 일치성 효과를 새롭게 제기한 점, 또 그 효과에 있어 브랜드-제품간 거리의 조절역할을 제시한 것을 연구 공헌점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양자관계에서 조절초점부합과 과제요구가 공동수행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덕웅,양모현,표승연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ough a laboratory experiment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fits among dyad and task demands upon partner choice in collective task.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higher the regulatory focus among self, partner, and task demands, the higher the choice as the participant's partner.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2 self-regulatory focus(promotion vs. prevention) × ⑵ regulatory focus-fits between self and partner(fit vs. nonfit) × 3 task demands(promotion vs. prevention vs. mixed strategy) randomized mixed factorial design. Self-regulatory focus was measured by two self-regulation scales and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or high-prevention focus were selected. Regulatory focus of two potential partners were manipulated by two questionnaires. The task demands were framed in terms of the task performance strategies. Ninety eight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6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in hypothesis of regulatory-fits were confirmed: ⑴Participants chose good-fit partners more than poor-fit partners. ⑵Higher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consistently observe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high-promotion focus in spite of differences in task demands. But choice of good-fit partners was differently appeared according to the task demands. ⑶Three way interaction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self-partner regulatory fits and task demands were also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gulatory focus-fit hypothese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dded. 본 연구에서는 두 사람이 짝을 이루어 공동으로 집합과제를 수행하는 상황에서 자기와 상대의 만성적 동기지향성인 조절초점과 아울러 과제에서 요구하는 전략이 서로 부합하는 수준에 따라서 상대의 선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실험을 통하여 알아내었다. 조절초점부합가설을 대인관계로 확장하여 양자관계에서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에 부합하는 상대일수록 많이 선택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먼저 자기의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고, 이들에게 향상조절초점과 예방조절초점이 각각 높은 사람들을 제시한 다음에 자신과 공동수행을 함께 할 상대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중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⑴자기와 과제요구의 조절초점이 부합하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사람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이 현상은 향상조절초점이나 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에서 모두 일관되게 나타났다. ⑵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부합하지 않는 상대보다 많이 선택하였다. ⑶과제수행의 전략으로 향상과제, 예방과제 및 복합과제의 세 과제요구에 따라서 자기와 조절초점이 부합하는 상대를 선택한 반응이 달라져서 3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향상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과제요구와 상관없이 자신과 부합하는 상대를 많이 선택한 바와 달리 자기예방조절초점이 높은 사람들은 예방과제에서만 이 현상을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들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폰 제품의 프리어나운싱 광고 효과 연구

        이명천(Myoung Chun Lee),진백림(Bai Lin Chen),김정현(Jung Hyun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광고연구 Vol.0 No.96

        이 연구는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광고에서 소구 유형, 조절초점 및 제품 혁신성이 광고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광고소구 유형(감성/이성), 조절초점(촉진/예방), 제품 혁신성(고/저)에 의한 2×2×2요인 설계방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광고에서 소구 유형과 조절초점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예방초점의 소비자는 감성적보다 이성적 광고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반해 촉진초점의 소비자는 감성적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지만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서는 두 유형 간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광고소구 유형과 제품 혁신성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고혁신 제품의 경우 이성적 광고가 효과적인 반면, 저혁신 제품의 경우 감성적 광고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초점과 제품 혁신성의 상호작용효과의 경우, 고혁신 제품에서 촉진초점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저혁신 제품에서는 조절초점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광고는 고혁신 제품의 프리어나운싱시 촉진초점 소비자에게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는 소비자의 조절초점과 제품 혁신성에 따라 어떤 광고소구 유형이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프리어나운싱 광고전략 수립에 유의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광고에서 소구 유형, 조절초점 및 제품 혁신성이 광고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광고소구 유형(감성/이성), 조절초점(촉진/예방), 제품 혁신성(고/저)에 의한 2×2×2요인 설계방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광고에서 소구 유형과 조절초점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예방초점의 소비자는 감성적보다 이성적 광고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에 반해 촉진초점의 소비자는 감성적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지만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서는 두 유형 간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광고소구 유형과 제품 혁신성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고혁신 제품의 경우 이성적 광고가 효과적인 반면, 저혁신 제품의 경우 감성적 광고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초점과 제품 혁신성의 상호작용효과의 경우, 고혁신 제품에서 촉진초점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저혁신 제품에서는 조절초점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광고는 고혁신 제품의 프리어나운싱시 촉진초점 소비자에게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는 소비자의 조절초점과 제품 혁신성에 따라 어떤 광고소구 유형이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프리어나운싱 광고전략 수립에 유의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판매원의 상품추천 메시지 유형에 따른소비자 반응에 관한 연구 : 조절초점과 사전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우현,전중옥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판매접점에서 판매원의 상품추천 메시지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반응을확인하는 데 있다. 그 과정에 있어 소비자의 조절초점 및 사전지식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실험 설계하였다. 조절초점 유형은 ‘향상’과 ‘예방’으로, 메시지 프레이밍은 ‘향상’, ‘예방’, ‘혼합’의 2×3 집단 간 요인설계방식을, 사전지식은 집단 내 요인설계방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향상메시지 및 혼합메시지 프레이밍은 예방메시지에 비해 보다 긍정적반응을 유발하였으나 향상메시지/혼합메시지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향상메시지는 향상초점 집단이, 예방메시지는 예방초점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각각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다만, 혼합메시지는 조절초점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제품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집단은 메시지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반응이 조절초점에 따라 달리나타났으나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집단은 조절초점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향상메시지는 향상초점집단이, 예방메시지는 예방초점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더 긍정적 반응을보이는 등의 조절 적합성 효과에도 불구하고 향상 및 혼합메시지가 예방메시지보다 더 긍정적 소비자 반응을 이끌었다. 이는 사전지식에 의한 조절효과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전지식수준이 낮은 사람의 경우 조절 적합성 효과가 나타난 반면,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사람의 경우 조절 적합성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판매접점에서 고객의조절초점(향상/예방)이나 사전지식수준(높음/낮음)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향상/예방이 혼합된 메시지가 보다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sumer’s response to the salesperson’s message type for production recommendation. And it was design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regulatory focus and prior knowledge in the process. We took 2x3 between group factorial design method with promotion and prevention for regulatory focus type, and promotion, prevention and mix for message framing, and took within group factorial design method for prior knowledge. The result showed that first, promotion and mixed message framing caused more positive response than prevention message, but there’s no difference between promotion and mixed message. Second, the promotion focus group in promotion message, and the prevention focus group in prevention message have the most positive response in each messages, however, mixed message has no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 regarding regulatory focus. Third, the group with low prior knowledge on product showed different consumer’s response for message type depending on regulatory focus as opposed to the group with high prior knowledge. In short, despite the regulatory fit effect in which promotion focus group in promotion message, prevention focus group in prevention message have the most positive response within each messages than others, promotion and mixed message draw more positive customer response than prevention message. It is due to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While there is obvious regulatory fit effect for those with low prior knowledge, the effect was not available for those with high prior knowledge. It is suggested that mixed message framing can draw the most positive consumer’s response at the sales encounter for the unidentified visitors.

      • KCI등재

        상호작용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 :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와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윤형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2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5 No.3

        “Positive voice,” that is, expressing change‐oriented ideas, opinions, and suggestions intended to improve the situation at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to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interpersonal justice, informational justice),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regulatory focus(promotion, prevention: Higgins, 1998) and voice behavior. The interactional justice based on Colquitt(2001). Interpersonal justice defined employee are treated by dignity, politeness, and respect by authorities. Informational justice defined that information about procedures were used. OBSE defined employee’s self-perceived value as a member of a specific organization reflects the extent to which an believes him/herself to be significant, capable and worth.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is concerned with advancement, growth, and accomplishment and the strategic inclination is to make progress by matches to the desired end-state. In contrast, prevention focus is concerned with security, safety, responsibility and the strategic inclination is to be prudent and precautionary and avoid mismatches to the desired end-state. This study focus on mediate effect of OBSE and moderate effect of regulator focus. Finally, examine the moderate mediation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of relationship. After literature review, set the theoretical variables relationship and proposed hypothesis of mediate, moderat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o examine the hypothesis, collected questionnaires and used SPSS and Process Macro. To avoid common method bias, using multi-source respond by supervisor and employees. Total 348 questionnaires a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of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have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Second, 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have positive impact on OBSE. Third, OBSE have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Fourth, OBSE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informa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Fifth, promotion focus moderate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OBSE. However, does not significantly modeate between informational justice and OBSE. prevention focus moderate between interpersonal, informational justice and OBSE. More sepecially, if high on prevention focus, informational justice and OBSE of positively relationship are greater than low on prevention focus. The result show that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enhance the employees’ voice behavior. Moerover, OBSE of mediation role reflected how to interactional justice lead to voice behavior and Regulatory focus of moderate role reflected context of interactional justice effect.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상호작용공정성은 대인관계 및 정보적공정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절초점은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으로 구분하였다. 문헌검토를 통해 매개, 조절 및 조절된 매개효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광주, 전남 및 수도권 소재 대기업과 중소 및 중견기업에서 근무하는 조직구성원들을 표본으로 설정하여 설문지를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동일방법편의 방지를 위해 응답원을 상사와 조직구성원들로 구분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348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인관계공정성은 발언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정보적공정성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대인관계 및 정보적 공정성은 조직기반자긍심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 및 정보적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초점 중 향상초점은 대인관계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과의 정(+)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즉, 향상초점이 높은 경우 대인관계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과의 정(+)의 관계가 더욱 확대되고 있었다. 반면에 정보적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예방초점은 대인관계 및 정보적공정성과 조직기반자긍심의 관계를 모두 조절하고 있었다. 조절의 방향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대인관계공정성이 조직기반자긍심에 미치는 정(+)의 관계에서 예방초점이 낮은 경우 더욱 강화되고 있는 반면에 정보적공정성이 조직기반자긍심에 미치는 정(+)의 관계에서는 예방초점이 높은 경우 더욱 강화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는 대인관계공정성과 발언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향상초점으로 조절된 조직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과 발언행동, 조직기반자긍심, 조절초점에 대한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