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일반 인구에 있어 식사특성, 성격특징 및 기타 정신병리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영호,이민규,박세현,손창호,정영조,홍성국,이병관,장필립,윤애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한국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식사특성과 성격특징간의 상관관계와, 우울경향성 및 건간염려증 경향성과 식사특성 그리고 성격특징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1) 식사 장애의 문제가 와 마찬가지고 병리의 정도에 따라 연속성을 보이는 일련선사의 문제이며, 2) 성격의 특징 중 특정한 성격특징이 식사특성상의 문제 즉, 식사장애에 특이한 핵심 병리의 형성과 직접 관련이 있고, 3) 우울경향이나 건강염려증과 같은 비특이적인 일반 정신병리는 다른 성격 특징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식사문제를 장애 수준으로 들어내거나 발현시킨다는 가정을 검증하려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구학적 자료, 식사특성 및 성격특징과 일반 정신병리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설문지와 다단계 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전국 12개도 35개의 지역에서 18세 이상의 한국성인 4,400명의 목표 표집대상에서 일차 3,896명의 자료를 얻었고 이들중 60세 이상의 자료와 기타 자료를 제외한 3,062명의 자료를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결 과 : 1) 식사특성과 성격특징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전체군에 있어 각 식사특성과 골고루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성격특징은 정신병적 경향성으로 식습관이 나쁠수록(r=-0.3195), 식사태도검사상 점수가 높을수록(r=0.3657), 또한 야채 및 생선을 싫어하고 단음식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을수록(r=-0.2740) 정신병적 경향성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외에 성격특징중 허위성 척도는 간식과 즉석음식을 좋아할수록 허위성은 줄어드는 역상관을 보였다(r=-0.2117). 이러한 식사특성과 성격특성간에 상관관계는 성별에 따라 나누어 보아도 같은 결과를 보였고 여서의 경우에는 상기의 상관관계에 대해 한국의 전통음식을 싫어할수록 정신병적 경향성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였다.(r=-0.2103). 2) 우울경향성 및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은 식사특성, 성격특징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전체군 및 남녀 모두에서 우울경향성 및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은 식사특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전체군에서는 우울경향성은 외내향성(r=-0.2174) 및 신경증적 경향성(r=0,.4510)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이 높아지며 건강염려증적인 경향이 높을수록 신경증적인 경향이 높아짐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경우에는 우울 경향성이 4개의 모둔 인격차원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건강염려증적 경향성도 내외향성(r=-0.2265) 및 신경증적 경향성(r=0.3762)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반면 여성군은 전체군과 마찬가지로 우울경향성은 외내향성(r=-0.2114) 및 신경증적 경향성(r=0.4479)과, 건강염려증적 경향성은 신경증적 경향성(r=0.3286)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결 론 : 상기 결과는 식사특성과 상관을 보이는 성격특징은 정신병적 경향성이며 이 성격특징이 식사장애의 핵심병리를 구성하는 식사관련병리와 직접 연관이 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우울이나 건강염려증적 경향과 같은 일반 정신병리는 식사와 연관된 핵심병리와는 직접적인 상관이 없고 신경증적 경향성이나 내향성과 같은 다른 성격차원의 문제와 함께 작용하여 식사장애에 발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식사장애와 마찬가지로 연속성을 보이는 일련성상의 문제임을 지지하고 있다. 이외에도 상기 결과는 식사장애 환자의 병리의 형성에 있어 성별간의 차이는 핵심병리의 차이라기보다는 일반 병리의 형성에 있어 차이를 반영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the role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sychopathology, including depression and hypochondriasis, in individuals with eating disorders, and to test a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s. Methods : Using a multi-stage questionnaire sampling method including area sampling, proportionated stratified sampling, and quota sampling, we surveyed 3,062 subjects(1249 males and 1813 females) from a target of 4,400 Korean adults over the age of 18 in a nationwide area(9 ku's, 10 middle or small cities, and 17 kun's). We us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three parts : general information, scales for eating trait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other general psychopathology. Results : Psychoticism was the onl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hich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various eating traits including ‘eating habits’(r=-0,195), ‘the Easting Attitudes Test’(EAT, r=0.3657),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and fish, and dislike for sweet-tasting foods’(r=-0.2740). Lie scale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eference for snacks foods’(r=-0.2117).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cross genders. In female,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 for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psychoticism’(r=-0.2103) in addtion to above relationshi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ny of the eating traits and other psychopathology. Relativ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sycholopatholog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interoversion-extraversion’(r=-0.2174), ‘depression’ and ‘neuroticism’(r=0.4510), and ‘hypochondriasis’and ‘neuroticism’(r=-0.3432). These correlations in female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total group, while among males,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fou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hypochondriasis’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oversion-extraversion’(r=-0.2265) and ‘neuroticism’(r=0.3762).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ticism is the onl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ting-specific psychopathology, while general psychopathology, such as depression and hypochondriasis is not related to eating pathology but may influence eating disorders by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oversion-extraversion and neuroticism. Considering the results of pervious studies in the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d high risk groups, which are similar with are similar with our res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our results support a continuum hypothesis of eating disorders are the results not of difference in eating-specific pathology itself but through difference in influences of concurrent general psychopathology, such as depression and hypochondriasis.

      • KCI등재

        야스퍼스에 있어서 정신병리학과 현상학

        이진오(Lee Jin Oh)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0 No.-

        야스퍼스가 정신병리학에서 전개한 방법론은 일차적으로 설명(Erlaren)과 이해(Verstehen)의 구별 위에 성립한 것이다. 그리고 그가 정신병리학에 기여한 대부분의 업적은 설명으로서의 정신병리학에서가 아니라 이해로서의 정신병리학에서 이루어 졌다. “이해심리학” 혹은 “이해의 정신병리학”은 정신의학적 임상에서 이미 보완적 수단으로 쓰이고 있었지만, 하나의 고유한 방법으로 소개되지는 않았다. 정신의학분야에서 이것을 학문적으로 근거지우고 방법론적으로 확장한 것은 역사적으로 볼 때 순전히 야스퍼스의 공로이다. 야스퍼스는 이해로서의 정신병리학에 있어서 “이해”라는 방법을 “정적 이해(statisches Verstehen)와 “발생적 이해(genetisches Verstehen)”로 구분한다. 기술적 현상학은 정적이해라는 이름으로 전개된다. 정적 이해로서의 현상학은 모든 이론적 선입견들과 설명들을 최대한 괄호 친 채, 환자에 의해 체험된 것을 가능한 한 정확히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이런 현상학적 기술을 통해 “마치 무수한 색체들이 배색원판이나 배색원구 속에서 현상학적으로 만족스럽게 개관될 수 있게 만들어 지듯, 정신적 현상들을 그들의 현상학적 친족성에 따라 배치하는” 하나의 “계열(Ordnung)”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무한히 다양한 환자의 체험에서부터 일반적인 것을 찾아내는 일을 현상학은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적이해를 통해 정신적인 것의 횡단면을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일정한 정도로 이해하게 된다면, 발생적 이해를 통해서는 “정신적인 것의 시간적 종단면 을” 이해하게 된다. 정적 이해에서와 같이 발생적 이해에서도 환자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것이 중요하긴 하다. 그러나 여기서 핵심이 되는 것은 정신적 삶의 개별적 현상들을 살피거나 망상지각(Trugwahrnehmung)과 같은 고립된 정신적 체험들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것(Sichvergegenwartigung)이 아니라, 환자의 정신적 삶이 형성하고 있는 연결망 속으로까지 들어가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이해”란 정신적인 것이 어떤 다른 정신적인 것이나 특정한 상황에 대한 체험으로부터 어떻게 생겨난 것인지 밝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발생적 이해를 통해서는 사람이 무엇을 체험했느냐 뿐만 아니라, 그가 왜 어떤 것을 지금 여기서 그렇게 체험했느냐를 드러내야만 한다. 정신병리학 자체의 목적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이해”로는 정적 이해와 발생적 이해면 충분하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해가 수행되는 현장에서 모든 이해가 그 속에 근거하고 있는 보다 포괄인 어떤 것과 끊임없이 접촉한다. 그렇게 때문에 정신병리학자는 지금껏 설명한 정적 이해와 발생적 이해가 그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보다 포괄적인 중심공간들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야스퍼스는 보다 포괄적인 이해의 중심공간으로서 “실존적 이해”와 “형이상학적 이해”를 제시한다.

      • KCI등재

        문화 치료로서의 사이코드라마 -J. L. 모레노의 문화론과 문화 치료의 이해-

        손창선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1

        This paper aims to expound J. L. Moreno’s psychodrama as the cultural psychotherapy and to secure cultural therapeutic areas by informing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sychotherapy. It mainly takes a way to introduce concepts that help us understand psychodrama as cultural therapy through the study of Moreno's literature. Before Moreno, psychotherapy had treated individual inner psyche, and had approached this invisible psyche with a ‘language’ and treated it with the construct of ‘self’. Moreno has found that there is not only the inner psyche but also an area of ‘inter-psyche’, based on the view of ‘spontaneous human’. Inter-psyche can be visualized as ‘tele relation’ that represents preferences between the parties, and can be treated through ‘role relation’ that indicates what they actually act to each other. He diagnosed pathology as ‘social pathology’ or ‘cultural pathology’ in that pathology appears as a cultural factor among the parties, and devised a ‘psychodrama’ that introduced the parties and their role in psychotherapy. In other words, psychodrama is a ‘cultural psychotherapy’ for treating social or cultural pathology using the tele relations of the parties as a guide, analyzing their role relations, and consisting of spontaneity training for more appropriate role acting. Cultural pathology and cultural therapy may be applied to two people, a larger community, and even the entire human ra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rties concerned, which implies the significance that psychotherapy is possible for the entire human rac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ways to move from a pathological society to a therapeutic one by securing a sphere of cultural therapy. 이 논문은 J. L. 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를 문화 치료로 알리고, 그 정신치료사적 의의를 되살려 문화 치료의 영역을 확보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전까지 정신치료는 정신병리를 다룰 때 신체의 병리처럼 ‘개인’ 중심으로 접근하고, 개인 ‘내면’의 본능적 공격성이나 억압된 욕구에 초점을 두면서, 보이지 않는 이 내면의 심리에 ‘언어’로 접근하여 ‘자아’라는 구성개념을 중심으로 치료했다. 모레노는 내면만이 아니라 외부 상황에도 주목하여 상황에 적절히 반응함으로써 생존하는 ‘자발적 인간’이라는 인간관을 바탕으로, 내면의 정신만이 아닌 ‘사이 정신’ 또는 ‘상호 정신’의 영역이 있음을 발견했다. 상호 정신은 밀접한 관계의 당사자 간 선호를 나타내는 ‘텔레 관계’로 시각화할 수 있고, 그들이 서로에게 실제로 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역할 관계’를 통해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다. 모레노는 상호 정신 영역에서 당사자 사이에서 문화 요소인 역할 관계로 나타나는 병리를 ‘사회 병리’ 또는 ‘문화 병리’로 진단했고, 이 병리를 치료하기 위해 정신치료에 당사자와 그들의 역할을 도입한 ‘사이코드라마’를 고안했다. 다시 말해, 사이코드라마 자체가 문화 병리를 치료하는 ‘문화 치료’로 고안된 것으로, 당사자의 텔레 관계를 지침으로, 그들의 역할 관계를 분석하고, 더 적절한 역할을 훈련시키는 자발성 훈련으로 이루어진다. 문화 치료의 대상은 당사자의 범위에 따라 두 사람, 특정 소집단, 더 큰 공동체, 나아가 인류 전체가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인류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정신치료가 실제로 가능하다는 정신치료사적 의의를 함축한다. 사회 전체가 점점 더 병리화되는 오늘날, 병리적인 사회에서 치료적인 사회로 가는 지름길은 사회 병리 또는 문화 병리를 치료하는 문화 치료로서의 사이코드라마의 영역을 확보하는 일일 것이다.

      • KCI등재

        한 도시 지역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간의 정신병리에 대한 비교 연구

        이상수,김민걸,이영호,이상경,안동성,김정익,정청,심주철,김용관,김영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 목적 : 국내에서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들의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정신병리를 평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들을 인지기능의 손상정도에 따라 경증, 중증으로 나누고 이들에 대한 정신병적 증상,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정신병리를 평가함으로써 치매의 진행정도에 따른 정신병리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치료적 접근에 이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은 부산시 일정지역에 기거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1, 2차 선별조사를 통해여 MMSE-K 24점이하 Hachinski's Ischemic Scale상 4점이하이며 DSM-IV의 알츠하이머형 치매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노인들로 설정하였다 알츠하이머형 치매 군은 MMSE-K점수 21-24점을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N=16) 20점이하를 중중 알츠하이머형 치매군(N=18)으로 하였다.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의 정신병리는 정신과와사 2명이 BPRS. HAM-D, HAM-A, 수면양상 평가지 Overt Aggression Scal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이를 정상 대조군(N=40)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ANOVA,X²검사로 하였고. 사후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였다. 결 과: BPRS의 총점. thinking disturbance subscale, withdrawal retardation subscale은 대조군과 경증, 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p<0.05), anxious depression subscale은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이 다른 2군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그러나 hostile suspiciousness subscale은 3군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HAM-D, HAM-A의 총점은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얼었다. 수면양상 평가에서도 경증 알츠하이머형 치매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불면을 호소하는 빈도가 높게 나왔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그러나 경증치매군에서 수면제 사용빈도와 초기불면의 빈도는 다른 두 군에 비하여 높았다(p<0.05). Overt Aggession Scale에서는 인지기능의 저하에 따라 공격성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 론: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은 질병진행의 초기부터 정신병적인 증상. 우울. 불안 등의 정신증상을 많이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대하여 초기부터 각각의 정신병리에 따른 적절하고도 적극적인 약물치료 및 환경치료를 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도시 지역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정신병리에 대한 몇 가지 특성이 논의되었는데 향후 그 결정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 : There are lots of studies on the cognitive impairments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in our country, but those on the psychopathology in them are very scanty. We investigated the psychopathology such as psychotic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severity of cognitive impairments in our urban subjec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Methods : Our subjects(N= 34)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in an area of Pusan, aged over 65, are screened with MMSE-K(below 24) and Hachinski's Ischemic Scale(below 4) and enrolled in this study when they met with the criteria of dementia of DSM-IV. They were divided into the mild(N= 16) and severe dementic group(N= 18) according to their scores of MMSE-K(cut-off point 20/21). The severities of psychiatrir symptoms in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by using sets of clinical symptom rating scales such as BPRS, HAM-D, and HAM-A and the frequencies of aggressive behaviors and sleep disturbances in them were a1so rated at that time by two psychiatrists. Data of the two dementic group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healthy control subjects(N=40). Results : The mean total score of BPRS, scores of thinking disturbance and withdrawal retardation subscale were lowest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and highest in the severe dementic group(p<0.05). Mean score of anxious depression subscale of mild dementic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two groups(p <0.05). There were no ststistical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 of hostile suspiciousness subscale among the three groups. The mean total scores of HAM-D and HAM-A tended to be higher in mild dementic group than in other two group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reach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findings were thought to be identical with those of fo11owing. The total frequency of insomnia only tended to be higher, but the frequency of initial insomnia and that of using hypnotics were highest in mild dementia group(p <0.05). The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rs tended to be higher in mild dementic group than in other two group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reached to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 Conclusion :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suffered from several psychiatric problems such as psychotic symptoms, depression, anxiety, insomnia, and agressive behaviors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illness. Clinicians should be more aware of those symptoms which need proper pharmac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정신과 입원 환자에서 난폭 행동 예측 인자에 관한 연구

        김기현,이성동,최용성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정신과 입원 환자에서 난폭 행동의 발생을 예측하는데 있어 초기 치료동맹과 정신병리의 유용성을 전향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평가함으로써 정신과 입원 환자의 난폭 행동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 1일부터 1998년 11월 30일까지 성안드레아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알코올 의존 및 행동 장애 환자는 배제함) 중에서 10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입원 후 5일 이내에 대상 환자의 난폭 행동의 과거력, 초기 치료동맹 및 정신병리를 평가하였으며, 입원 기간 초기 2주 동안에 난폭 행동의 발생 여부를 추적 조사하였다. 난폭군(38명)과 비난폭군(67명)을 비교하여 사회 인구학적 변인, 난폭 행동의 과거력, 초기 치료동맹, 정신병리 등이 정신과 입원 환자의 난폭 행동을 예측하는데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결 과: 1) 난폭 행동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입원 후 난폭 행동의 발생 빈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2) 입원 후 초기 치료동맹이 약한 경우에는 입원 초기에 난폭 행동이 유의미하게 많이 나타 났다. 3) BPRS의 하위 척도 중에서 BPRS-철퇴-지체(withdrawal-retardation)의 점수가 낮고, BPRS-초조-흥분(agitation-excitement)과 BPRS-적개심-의심(hostile-suspicious)의 점수가 높을 수록 난폭 행동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 4) 변인들을 통제하는 다중로짓분석 결과, 입원 전 난폭 행동의 과거력, 초기 치료동맹, BPRS-초조-흥분(agitation-excitement) 척도의 점수 등이 정신과 입원 환자에서 난폭 행동의 발생을 예측하는 인자로서 의미가 있었다. 결 론: 특정 정신병리와 초기 치료동맹이 입원 초기에 정신과 입원 환자의 난폭 행동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factors related to psychiatric inpatients` violence in a mental hospital. This was follow-up study to assess the psychopathology of patients and the quality of the initial therapeutic alliance between the patient and the therapist, as a predictor of the risk of violent behavior. Methods: The subjects were 105 psychiatric inpatients admitted to St. Andrews` Neuropsychiatric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November 1998, but alcohol dependent patients and conduct disorder patients were excluded. Within the first five hospital days, we rated past history of violence, patients` psychopathology using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and quality of initial therapeutic alliance. We also evaluated violent behaviors using Overt Aggression Scales during the two weeks before admission and during the two weeks of hospital stay and compared the 67 non-violent ingatients with 38 violent ingatients on the utility of socio-demographics variables, past history of violence, utility of the initial therapeutic alliance and psychopathology in evaluating the risk of violent behaviors. Multiple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risk factors for violent behaviors. Results: 1) The violent inpatients significantly were more closely related with the previous history of violent behavior. 2) The weaker the initial therapeutic alliance were, the significantly higher violent behavior exhibited. 3) Violent behavior was related significantly with higher BPRS-agitation-excitement factor score and higher BPRS-hostile-suspicious factor score. Violent behavior also was related with lower BPRS-withdrawal-retardation factor score. 4) According to the multiple logistic analysis, the predictors of violent behavior were past history of violence and initial therapeutic alliance and BPRS-agitation-excitement factor.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initial therapeutic alliance and the specific psychopathology ane useful in evaluating patients` risk for violence.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과 정신병리: 주관 및 객관적 평가

        서호석,김찬형,이홍식,정영철,최영희,허시영,이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연구목적: 삶의 질은 정신분열병의 치료에서 임상 결과의 다원적인 평가, 재활 프로그램의 평가 등과 함께 최근 개발되 고 있는 새로운 항정신병 약물의 임상 평가에 중요하다. 이전 연구에서 삶의 질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 평가 및 객관적 평가 단독으로 각각 시행되어지긴 했으나, 함께 평가된 연구나 이들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기 평정이 의미 있고 신뢰적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객관적인 평가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혀 보고, 또한 삶의 질 평가와 정신병리 증 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영동세브란스병원과 서울백병원 정신과에 통원치료 중인 DSM-Ⅳ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정신분열 병으로 진단된 외래 환자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객관적인 삶의 질 측정은 Heinrichs 등 (1984)에 의해 고안된 Quality of Life Scale(QLS)을 송 욱 등(1999)이 표준화한 한국어판 척도(KQOLS) 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환자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 측정은 Naber 등(1994)에 의해 고안된,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자기 평정 척도(KmSWN)를 윤진상 등(2000)이 국내 표준화한 척도와 양옥경(1994)에 의해 개발된 삶의 만족 척도(SOL)를 사용하여 평가하 였다. 환자의 객관적인 정신 병리의 평가는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는 모두 협조가 되는 상태에서 모든 검사를 내원 1일 내에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서 얻어진 자료 각 척도간의 상관관계는 Spearman 상관 계수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본 연구 결과 정신분열병의 객관적인 삶의 질 척도인 K-QOLS 척도의 총점과 PANSS의 총점간에는 유 의하게 음의 상관이 있었으며, K-QOLS와 양성증상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나, 음성증상 및 일반적 정신병리 와 음의 상관이 있었다. 주관적인 삶의 질 척도인 KmSWN 척도의 총점과 PANSS의 총점 및 양성증상, 음 성증상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나, 일반적 정신병리와는 상관이 있었다. 객관적인 삶의 질 평가 척도인 KQOLS의 총점과 질병 특이적인 주관적인 삶의 질 평가 척도인 KmSWN 척도의 총점간에는 유의하게 양의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주관적인 삶의 질 평가로 함께 실시한 질병 특이적이 아닌 삶의 만족 척도(SOL)의 총점은 K-QOLS의 총점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K-QOLS의 각 하위 척도와 KmSWN 척도의 각 하위 척도간의 상관 분석에서, 주관적인 KmSWN 척도 의 총점과 객관적인 K-QOLS의 각 하위 척도와의 상관에서는 대인관계, 정신내적 요소와는 서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고, 직업과 관련된 항목 및 일상용품과 일상활동 항목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특히 KmSWN 척 도의 정서조절 하위 척도와 K-QOLS의 하위 척도들과는 서로 양의 상관이 있었다. 또한 주관적인 삶의 질 척도와 객관적인 삶의 질 척도 모두 질병의 유병 기간 및 약물 용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 결과는 외래에서 유지치료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신병리가 심할수록 객관적인 삶의 질이 저하됨을 시사하였으며, 일반적 정신병리가 심할수록 주관적인 삶의 질이 저하됨을 시사하였다. 주관적인 삶 의 질 평가와 객관적인 삶의 질 평가 사이에는 상호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이런 환자들의 자기 평정은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한편 질병의 유병 기간이 길수록, 약물 용량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저하됨을 보여주었다. Objectives:In previous researches the measure of quality of life was assessed either by the subjective experience only or by the objective assessment only,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one using both of these measur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id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experience and the objectiv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c patient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self-rating of these patients is reliable.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sychopathology of schizophrenia was investigated. Methods:The subjects are 48 out-patients, from either Yongdong Severance Hospital or Seoul Paik Hospital, whose diagnosis were schizophrenia according to DSM-IV. The standardized Korea version of Quality of Life Scale(K-QOLS) was used for evaluating the objective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while both the Korean modification of the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KmSWN, 2000) and the Satisfaction of Life Scale(SOL) was used in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experience of satisfaction of life. The psychopathology of each patient was assessed by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The patient underwent all the scales on the same da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cale were analysed by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The results came out that the total score of PAN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 of K-QOLS, especially the negative subscale score and the general psychopathology subscale score was correlated more significantly. The total score of KmSWN showed no correlations with neither the total score nor the positive/negative subscale score of PANSS, but the general psychopathology subscale scor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KmSWN significantly. The score of K-QOLS, reflecting the objective assessment, and the score of KmSWN, reflecting the subjective exper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But the total score of SOL, reflecting the subjective experience also, showed no correlations with K-QOLS. The score of KmSW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domains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trapsychic foundation of K-QOLS, but did not correlate with occuaptional role and daily acitivities. Especially the emotional regulation, the subdomain of KmSW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scales of K-QOLS. An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quality of life scale both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duration of illness and dosages of drugs. Conclusions: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more severe the psychopathology, the lower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in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the more severe the general psychopathology, the lower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jective measure and the objective measure in quality of life were also proved, suggesting that the self-rating of these patients is reliable. The longer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he higher the dosages of drugs,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미디어 기술의 정신병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병선(Byoung Su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4 언론과 사회 Vol.22 No.2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기술적 특성과 미디어 수용 행위의 감각적 특성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여러 인문학적 논의들을 중심으로 미디어 기술에 내재된 정신병리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핵심적으로는 19세기 이후부터, 사회적으로 만연하고 있다고 평가되어 온 세 가지 대표적인 정신병리현상, 즉, 편집증(paranoia),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우울증(depression)의 징후를 살피고자 한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정신병리적 징후에 대한 관찰을 기반으로 세 개의 시간적 지층을 탐색하면서, 우울증과 소진증, 자아의 파괴적 속성 등으로 대표되는 오늘날의 정신병리적 징후가 현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미디어가 지닌 기술적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미디어 기술 변이를 정신병리와 연관시키는 이 작업은, 미디어와 기술을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이론적 시도이다. 이를 통해 우리가 붙잡혀 있는 미디어 혹은 기술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근원적인 파급력을 또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psych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herent in media technologies. Typical symptom of psychopathological phenomenon in three different temporal strata have been evaluated from the 19th century to today; that is paranoia in 19th century, schizophrenia in 20th century, depression in 21th century. While exploring the temporal strata on the basis of an observation of symptoms, the psychopathological phenomenon of today, represented as emissions disease and depression and destruction of the ego is closely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n earlier era. These theoretical attempts to associate psychopathology with media technology suggest a new perspective to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technology. As a result, it can be possible to interpre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forces of fundamental technology and media in everyday life.

      • 병리적 정신구조의 형성과 치료적 변형에 관한 연구 : 정신분석학과 기독교 영성을 중심으로

        김경수 한국실천신학회 2021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21 No.05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죽음본능에 사로잡혀서 반복적으로 파괴성에 치닫고 있다. 그들에게는 생명의 힘을 찾아볼 수 없다. 그들에게서 생명의 힘을 찾아 볼 수 없다. 그들은 작은 희망이라도 발견되면, 곧 파괴해버리고 죽음이 이끄는 대로 자신의 삶을 병리적인 반복(pathological repetition)으로 가득 채워 넣는다. 그래서 희망 없음 상태로 방치하려고 한다. 무의식은 꿈, 실언, 실수에서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사는 곳이나 배우자 의 선택에서도 작용한다. 우리는 의식 상태에서 결정하는 대부분의 선택도 무의식의 영향을 받게 된다. “나는 반복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말과 “나는 내가 반복하 는 그것이다.”1)라는 명제가 있다. 전자는 정체성이란 나 자신으로 존재하는 느낌을 강 조하여 말한 것이다. 즉, 나 자신은 항상성을 가지고 계속 반복하는 존재라는 말이다. 후자의 명제에서 정체성이란 나의 삶을 채우는 존재들, 사물들, 그리고 이상들까지도 포함한다. 반복에는 정상적인 반복과 병리적인 반복이 있다. 정상적인 반복은 자기보 존과 자기성숙으로 이끌며, 시간이 흐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게 만드는 긍정적 인 효과가 있다. 반면에 병리적이고 강박적인 반복은 생애초기에 경험한 폐제(forclusif) 되고 억압된 외상성 주이상스(jouissance)2)에 의하여 그 경험을 계속해서 다시 재현하려는 강압적인 욕구를 말한다. 이는 마약이나 게임, 폭식, 성도착, 범죄 등의 중독 등 으로 빠져들게 한다. 그러므로 한 개인의 병리적인 증상들은 곧 그 자신을 드러내는 외향적 기표(signifiant)이기도 하다. 증상은 곧 나이고, 나는 증상들이 합쳐진 존재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병리적인 정신구조의 형성과 치료적 변형에 대하여 정신분석학 자들의 견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에 대한 통합된 개념의 이해와 치료적 방안을 탐 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대상의 그림자와 반복강박 개념, 존 스타이너(John Steiner)는 병리적 정신구조에 대하여 애도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클라인(Melanie Klein)의 이론에서 편집적 자리로 부터 우울적 자리로 가 는 여정에서 정상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인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윌프레 드 비온(Wilfred Bion)은 베타요소와 베타기능이 활성화되어서 정서적 접촉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병리적 반복에 대한 정신분석학과 기독교 영성적 접근

        김경수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많은 사람들은 죽음본능(thanatos)에 사로잡혀서 반복적으로 파괴성에 치닫고 있다. 그들에게서 생명의 힘은 찾아볼 수 없다. 그들은 작은 희망이라도 발견되면, 곧 파괴해버리고 죽음이 이끄는 되로 자신의 삶을 병리적인 반복(pathological repetition)으로 가득 채워 넣는다. 그래서 희망 없음 상태로 자신의 삶을 몰아간다. 무의식은 꿈, 실언, 실수에서만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사는 곳이나 배우자의 선택에서도 작용한다. 우리는 의식 상태에서 결정하는 대부분의 선택도 무의식의 영향을 받게 된다. 라깡 학파 나지오(J. David Nasio)는 “나는 반복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말과 “나는 내가 반복하는 그것이다.”라고 했다. 전자는 정체성이란 나 자신으로 존재하는 느낌을 강조하여 말한 것이다. 나 자신은 항상성을 가지고 계속 반복하는 존재라는 말이다. 후자의 명제에서 정체성이란 나의 삶을 채우는 존재들, 사물들, 그리고 이상들까지도 포함한다. 반복에는 정상적인 반복과 병리적인 반복이 있다. 정상적인 반복은 자기보존과 자기성숙으로 이끌며, 시간이 흐르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게 만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반면에 병리적이고 강박적인 반복은 생애초기에 경험한 폐제(forclusif)되고 억압된 외상성 주이상스(jouissance)에 의하여 그 경험을 계속해서 다시 재현하려는 강압적인 욕구를 말한다. 이는 갖가지 중독으로 빠져들게 한다. 그러므로 한 개인의 병리적인 증상들은 곧 그 자신을 드러내는 외향적 기표(signifiant)이기도 하다. 증상은 곧 나이고, 나는 증상들이 합쳐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병리적인 반복과 치료적 변형에 대하여 정신분석학자들의 견해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이에 대한 통합된 깨달음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대상의 그림자와 반복강박 개념, 칼 융(Carl Jung)의 콤플렉스 개념을 연구할 것이다. 윌프레드 비온(Wilfred Bion)은 베타요소와 베타기능이 활성화되어서 정서적 접촉에 장애가 있는 것으로 이를 설명하고 있다. 자크 라캉(J. Lacan)은 병리적인 반복은 상징계의 실패는 실재계에서 병리적인 현상으로 드러나게 된다고 주장한다.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become overwhelmed by thanatos so they repeatedly becoming destructive. So they don’t have the energy of life. When they find small hope, they destroy them quickly and fill their lives with a pathological repetition in their lives. And they want to leave their own lives in state of hopeless. Unconscious is not only found in dreams or mistakes, but also in select of living place or choice of spouse. Most of the choices we make in the conscious state are influenced by the unconscious. There is a proposition that “I repeat. Therefore I present.” and “I am what I repeat.” The former emphasizes that the identity is the feeling of being myself. I myself is being that repeating with homeostasis. The latter includes the things, object, and ideals that fill my life. In repetition there are normal repetition and pathological repetition. Normal repetition leads to self preservation and self grow-up,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ensuring the identity of myself over time. On the other hand, pathological and obsessive repetition refers to a coercive desire to reproduce the experience by the oppressed and traumatic jouissance experienced in early days in life. This leads to addictions as drugs, games, gluttony, sexual perversion, and crime. Thus, one person’s pathological symptom is also an outward manifestation of himself. Symptoms are myself, and myself is assembly of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chieve an integrated realization by comparing the views of psychoanalyst against pathological repetition and therapeutic transmuting. For this, we will study Sigmund Freud’s concept about shadow, concept of repetition compulsion, and Carl Jung’s concept about complex. John Steiner explains the pathological repetition by lament theory. Wilfred Bion describes it by beta elements and beta functions have been activated, and emotional contact is malfunction. J. Lacan says pathological repetition is exposure that fail of symbolic is revealed by pathological phenomenon in real.

      • KCI등재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과 현상학 논쟁

        이진오(Jin-Oh Lee) 한국현상학회 201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1 No.-

        본 논문에서 필자는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을 중심으로 후설 현상학이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밝히려 했다. 이런 목적에서 필자는 우선 후설의 현상학이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다룬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런 작업을 통해서 필자는 선행연구자들의 주장이나 야스퍼스 자신의 평가와는 달리 후설의 철학적인 현상학이 야스퍼스의 ‘정신병학적인 현상학’과 다양한 차원에서 접점을 지닌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론적 지식이나 개념에 대해서 일단 판단을 유보하고, 탐구대상 자체를 추적하여 그것의 본질적인 성격을 규정하는 것이 현상학적 방법의 핵심이다. 필자는 이 논문의 둘째 단계에서 기존의 연구들이 연구대상 자체의 내용보다는 그것에 대한 이론서들의 평가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필자는 이 연구의 셋째 단계에서 탐구대상인 『정신병리학 총론』의 내용 자체에 주목하면서, 현상학적 방법이 이 저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밝혔다. 여기서 필자는 야스퍼스의 소위 ‘정신병리학적 현상학’은 후설의 철학적 현상학과 방법론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인간론적 차원에서도 접점을 지닌다는 사실을 정신병리학적인 임상사례를 통해서 확인했다. 실존에 주목하는 현상학적 시선이 과학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인간존재의 고유성을 조명할 때, 그것을 ‘실존현상학’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실존현상학은 인간의 실존을 현상학적인 관점으로 탐구한다. 이때 현상학적 연구는 연구 대상이 되는 개인들이 무엇을 어떻게 경험했는지 경험한 그대로 기술한 후, 그들 경험이 지닌 공통성과 의미를 찾아내려한다. 이 실존현상학은 야스퍼스가 『정신병리학 총론』에서 사례를 다룰 때 사용하는 주요 관점인데, 이 관점은 실존철학뿐만 아니라 후설 현상학에도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마지막 단계에서 필자는 『정신병리학 총론』에 적용된 현상학적인 방법이 환자의 실존현상에 적용됨으로써 일종의 ‘실존현상학적 질병론’이라 부를 수 있는 결과물을 낳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find out how Husserl’s phenomenology influenced Jaspers’ Psychopathology, focusing on his work General Psychopathology. For this purpose, I first critically examine some previous studies on Husserl’s phenomenology and Jaspers’ psychopathology. And then I proceed to show that Husserl’s philosophical phenomenology, unlike the claims of recent researchers or Jaspers’ own assessment, has contacts with various aspects of Jaspers’ ‘psychopathological phenomenology’. It is at the core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o temporarily hold a judgment on theoretical knowledge or concepts, to trace the inquiry object itself and to define its essential nature. In the second stage of this paper, I try to confirm that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centered on the evaluation of the theoretical texts rather than the contents of the study itself. Based on these results, I note, in the third step of this study, how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re applied to this book,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content of General Psychopathology as a subject of inquiry. Here I find the fact that Jaspers’ so-called ‘psychopathological phenomenology’ has a point of contact not only with Husserl’s philosophical phenomenology and methodology, but also with the humanistic dimensions, via psychopathological clinical cases. When the phenomenological gaze paying attention to existence illuminates the uniqueness of a human existence that can not be grasped scientifically, it can be called “existence phenomenology”. Existentialism explores human existence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In this context, phenomenological research describes what individuals experience and what they experience as they have experiences, and then finds out the commonality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 Existentialism is the main point of view used by Jaspers in dealing with cases in General Psychopathology. This view confirms that it is heavily dependent on Husserl’s phenomenology as well as existential philosophy. In the final stage of this paper, I show that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pplied to General Psychopathology is also applied to the existential phenomenon of the patient, resulting in the outcome which can be termed ‘existential-phenomenological disease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