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시간적 거리감(Temporal Distance)이 비교 광고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병관,안은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1 No.1
본 연구는 비교 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시간적 거리감과 속성정보유형의 조절적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적 거리감, 속성유형, 광고유형의 삼원요인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제품태도의 경우 가까운 미래와 먼 미래 조건 모두에서 광고유형과 속성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구매의도의 경우 가까운 미래에서는 속성유형이 비목적속성일 때 비교 광고 제품의 구매의도가 비비교 광고보다 더 높지만, 속성유형이 목적속성인 경우 비교 광고와 비비교 광고 제품의 구매의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먼 미래에서는 속성유형이 목적속성인 경우와 비목적속성인 경우 모두 비교 광고와 비비교 광고 제품의 구매의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본 연구는 비교 광고에서 어떤 속성 정보를 비교하는 것이 효과적인가는 시간적 거리감에 따라 다를 것임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까운 미래의 구매 상황에서는 목적속성의 비교 광고보다 비목적속성의 비교 광고에서 제품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먼 미래의 구매 상황에서는 속성유형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구매의도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비교 광고의 효과에 관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emporal distance and attribute type in moderating the effect of comparative advertising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employed a 2 (temporal distance) X 2 (attribute type) X 2 (ad type) between subjects design. Results indicate that, for product attitude,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attribute type and ad type in both near and far distance conditions. However,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in comparative ad was higher than that in non-comparative ad when temporal distance is near and attribute type is non-purposive and both purchase intentions were not different when temporal distance is near and attribute type is purposive. In contras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ribute type and ad type for purchase intention when temporal distance is far. This study also examined which type of attributes should be presented in comparative ads in order to induce better product attribut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temporal distance is considered. Results show that, when temporal distance is near, the comparative ad of non-purposive attributes induces better product attribut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that of purposive attributes. However, when temporal distance is far, two comparative ads did not make a differenc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comparative advertising.
모바일 컴퓨팅상에서 중복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재배치 전략
이병관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7 No.5
모바일 컴퓨팅의 급속한 발전과 무선 통신의 유용성은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사용자나 데이터의 위치에 상관없이 데이터 접근을 용이하게 제공해 주고있다. 기존 기법인 정적중복배치(SRA)는 서버상에서 중복 데이터 사용을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으며 이동 호스트가 셀에 이동하고 나서 복제서버에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복제 작업이 간단하고 쉽게 재배치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한 셀에 이동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데이터 일관성 문제로 인하여 데이터가 삭제된다. 그리고 이동호스트가 복제된 셀로부터 이동하게 되면 경로를 통한 데이터의 접근도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공유와 효율적 중복데이터 관리를 위해 데이터 일관성 유지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재배치 전략인 일관성 기반 사용자 선택 중복배치(USRAC)를 제안하며 이동사용자의 이동율, 이동 호스트의 접근율 그리고 이동사용자와 이동 호스트의 셀 수에 따른 접근 비용에 대해 기존방법과 비교 분석한다. Rapid advances in mobile computing and the availabi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s will soon provide mobile users with the ability to access data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user or of the data. SRA(Static Replica Allocation) that is traditional scheme has been used for the replication method on the server. This replicates the data on the replica server after a moving host has been transferred to the cell. This strategy is simple and can easily relocate data. However, if a mobile user does not exist in the cell, the replicated data can be deleted in order to maintain data consistency. In addition to, if the mobile host leaves from replicated cell, it is difficult to access data in terms of replication rout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of relocation based on data consistency strategy called USRAC(User Selection Replica Allocation based on Consistency) and also analyzes access cost according to the moving rate of mobile users, according to the access rate of mobile hosts, 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ells of mobile users and mobile hosts.
리조트 종사자의 직무재창조와 직무성과, 조직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이병관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9 관광레저연구 Vol.3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crafting activities of resort corporation employees 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o provide data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of resort corpor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employees of resort corporations were targeted. Data processing for hypothesis testing was mad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crafting of resort corporation employe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job crafting of resort corporation employee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job performance of resort corporation employe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he end, job crafting activities of resort corporation employees were a major factor in not only job performance but also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employees of the resort corporation to support volunteer job crafting as well as the organization.
리조트 기업의 조직비전과 종사자의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이병관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19 관광레저연구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vision of resort corporation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of employ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strategies of resort compan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ose who worked as full - time employees in resort compani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a meaningful conclusion was drawn. The following is the discussion based on the derived contents. First, the organizational vision of the resort corporation was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organizational vision of the resort corporation was not related to the turnover.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esort corporation employees was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a clear organizational vision strategy is needed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And we discussed based on these contents.
이병관,곽병관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1 산업과 경영 Vol.24 No.1
본 연구는 회사채 신용등급 공시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1995-2005년 기간 중 신용평가회사로부터 무보증 회사채의 신용평가를 받은 사건을 대상으로 무변경, 상향변경, 하향변경으로 구분하여 각 사건에 대해서 사건연구, 집단간 차이분석을 통해 초과수익률의 유의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용등급 상향변경에 따른 정(+)의 주가반응보다 하향변경에 따른 부(-)의 주가반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향변경의 경우 특히 -2월부터 공시월에 걸쳐 유의적인 부(-)의 주가반응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용등급 하향변경의 경우 등급간변경(투자등급에서 투기등급으로 하향변경)시 등급내변경(투자등급내 하향변경, 투기등급내하향변경) 보다 부(-)의 주가반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용등급 하향변경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부(-)의 주가반응이 외환위기 이전 기간보다 조기에 나타나며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기업 그룹 계열사에 속한 기업의 경우 신용등급 하향변경에 따른 주가반응이 다른 기업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용등급이 변경되지 않은 무변경 사건의 공시에 따른 주식시장 반응은 등급수준(투자등급 무변경, 투기등급 무변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투기등급 무변경의 경우 유의적인 부(-)의 주가반응이 관찰되어 시장에 악재(bad news)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신용등급 정보의 유용성을 확인한 것으로 상향변경보다 하향변경 사건의 정보효과가 더 크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재확인하였으며, 하향변경의 정보효과는 등급변경정도, 대기업 그룹 계열사 여부, 외환위기 전·후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무변경 사건 공시도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