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대학축제의 기억과 기록화 작업

        유춘동,신성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40

        This article was written to systematize and record the history of University festivals and related events held together during university festivals at universities in Chuncheon, Gangwon-do. The covered period and universities in this article were limited to Sungsim Women's University,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hich grew based in Chuncheon after the Korean War, and related contents were studied using various newspapers, magazines, historical materials and interviews. University festivals and university cultural events have now become festivals only for students. However, until the 1990s, when college students were fewer, university festivals and university cultural events were "community festivals" involving not only college students but also local residents. Now, university festivals and university cultural events have changed their status compared to the past, and only a few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are interested in. At this point, it is important to systematize and record university festivals and university cultural events in Chuncheon. This work means not only reminisce the past but also reflect on the culture of the university festival and give implications for how to organize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local universities can coexist with local residents and contribute to reflecting on the existence of local universities through this work. 이 글은 강원도 춘천 소재 대학에서 진행되었던 대학축제, 대학축제 때 함께 진행되었던 관련 문화행사의 기록을 체계화하고 정리한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룬 대상 시기는 한국전쟁 이후이며, 연구의 대상 대학은 춘천에 기반을 두고 성장했던 성심여대, 춘천교대, 강원대로 한정하였다. 그리고 해당 내용은 각종 신문, 잡지, 사료(史料) 등을 활용하며 살펴보았다. 대학축제나 대학의 문화행사는 이제 대학 재학생들만 참여하는 축제가 되었다. 그러나 대학생이 희소했던 19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대학축제와 대학의 문화행사는 지역민 모두가 참여하는 ‘지역 공동의 축제’였다. 이제 과거와 비교해 볼 때, 대학축제와 대학의 문화행사에 관심을 갖는 일반인은 거의 없고, 심지어 재학생들에게조차 외면받고 있다. 이 시점에서 대학축제와 대학 문화행사를 체계화하고 기록화하는 작업은 비단 춘천만의 일이 아니다. 이 작업은 단순히 과거를 추억하고 기억하는 것에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그간의 대학축제 문화를 성찰하고 동시에 향후 대학축제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지역 대학이 지역민들과 상생하며, 지역 대학의 존재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증산 강일순의 신선사상

        김영주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문화 Vol.0 No.10

        본 논문이 목적하는 바는 증산의 신선사상에 대한 해석을 통해 도교의 신선관념을 넘어서는 증산만의 독창적인 신선관을 밝히는데 있다.증산은 그의 사상에서 도교적 요소를 다양하게 수용하고 있다. 특히 많은 교화(敎化)에서 신선을 등장시키고 있다. 그러나 신선관념을 수용하고 있으면서도 신선실재(神仙實在)에 대해서 회의(懷疑)하는 이중적 신선관을 견지한다. 증산의 이러한 독특한 신선관은 단순히 도교에 대한 부정이 아니라 증산이 지녔던 선․후천(先後天)의 세계인식에 기인한다. 선천을 ‘상극지리(相剋之理)’에 의해 ‘진멸지경(盡滅之境)’에 처한 세상으로 인식한 증산은 ‘해원(解冤)’이념이 내재되어 있는 ‘천지공사(天地公事, 1901-1909)’를 통해 ‘상생지리(相生之理)’의 후천선경(後天仙境)이 도래할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후천선경의 세상에서 요구되는 인간상 즉, 새로운 후천신선을 증산은 ‘인존(人尊)’이라 명명하고 있다. 이러한 인존은 자기각성을 통한 수도를 바탕으로 참된 삶을 체현하기 위한 스스로의 진지한 노력이 전제될 때 성취되는 자기완성의 길이다. 이것이 증산이 표현하고자 하였던 새로운 후천의 신선관념이자 후천의 이상적 인간상인 것이다.

      • KCI등재

        청년들이 살아갈 사회와 대학의 공공성

        최인숙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문화 Vol.0 No.21

        Comparing the present age with the past one, the future of the youth appears to be very uncertain; and the forthcoming society will have, and should have, quite a different social structure than the present one has. The features that have sustained our society in the last decades are characterized as the modern and the industrial communities; but the society in which we currently reside is no longer considered to be modern or industrial. We are not sure what form of society will be primary in the future. What matters is that the mission that pins down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cannot be, and should not be, given to those people who have already some ready-made hegemony in the present community. They cannot design an ideal society in the future because they are bound to their own way of thinking. In this regard the future society should be created to live a life in which all the people are, on the basis of the same equal rights, able to maintain human dignity. And that society should be founded on the principle of ‘publicity’. So here we reflect on the nature of publicity as clearly as possible, and attempt to see what it is like to be a society based upon such publicity. The publicity at issue can be most perspicuously identified by way of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a university society. Meanwhile, Kant, exploring in his writin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society to which it belongs, already argues that the university has to defeat the old structure of vested powers and should be operated in light of publicity and justness. He emphasizes that in order for the university to be managed in that way, the philosophy faculty has to play its own roles and fulfill its duties. Kant acknowledges that philosophy is the fundamentally important discipline not only playing the peculiar role in the university but also warranting the genuine development of society wherein the university exists. I take the aforementioned ideas of Kant to be pivotal in laying out ‘society for the youth and the publicity of a university’ because Kant’s vi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society can be, as a seminal argumentation concerning the issue, seriously adopted, especially in viewing the character of the society that we idealize. 지난 수십 년 간에 비해 볼 때 청년들의 미래가 매우 불확실해 보이며, 앞으로의 사회는 지난 수십 년과는 현격히 다른 사회 구조일 수밖에 없고 또 다른 구조여야 한다. 지난 수십 년간 우리사회를 지탱해온 사회의 성격은 근대사회, 산업사회로 규정할 수 있는데,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이미 근대사회, 산업사회의 틀을 벗어나 있다. 하지만 앞으로 어떤 사회 형태가 주도적일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하다. 그런데 이러한 불확실함을 밝히는 일을 더 이상 기성사회에서 주도적 세력을 담당하고 있는 이들에게만 맡길 수도 없고, 또 그래서도 안 된다. 왜냐하면 그들이 현재 갖고 있는 생각에 근거해서 미래의 바람직한 사회를 설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앞으로의 사회는 모든 사람들이 동등한 권리의 바탕 위에서 인간의 품격을 유지할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회는 ‘공공성’의 원칙에 중심을 두고 형성되어야 한다. ‘공공성’의 성격에 대해 명확히 성찰하고, ‘공공성’에 바탕을 둔 사회는 어떠한 사회인지에 대해 천착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공공성’은 대학사회의 성격을 통해 가장 명료하게 검토할 수 있다. 그런데 칸트는 이미 자신의 글을 통해 대학과 그 대학이 속하는 사회의 관계를 검토하면서, 대학 또한 현재의 기득권적 세력의 구도를 타파하고, 공공성, 정당성 등의 의미를 중심에 두고 운영되어야 함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대학이 이러한 의미에 따라 운영될 수 있기 위해서는 철학부가 그 소임을 제대로 해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칸트는 철학을 단지 대학 안에서의 역할에서만이 아니라, 나아가 대학이 귀속하는 사회의 참다운 발전을 담보하는 역할에서도 근본적으로 중요한 분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칸트가 논한 대학과 사회의 관계를, 현재 우리가 나아갈 사회의 성격을 전망하는 데에도 여전히 중요한 근본적 논의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논자는 “청년들이 살아갈 사회와 대학의 공공성”에서 칸트의 논의를 매우 중요한 논거로 사용한다.

      • KCI등재후보

        영지주의의 구원관 연구

        유승종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문화 Vol.0 No.14

        The Gnostic’s view of Christianity was in many ways the mirror image of that of the Literalist Christians who eventually become the Roman Catholic Church. Literalists were rigidly authoritarian. Gnostics were mystic individualists. Literalists wanted to enforce a common creed on all Christians. Gnostics tolorated various different beliefs and practics. Literalists selected four gospels as holy scripture and had the rest consigned to the flames as heretical works of the Devil. The Gnostic’s view of man was different with the Roman Catholic. The Gnostics maintained a completely mystical and transcendent understanding of the man. This was not the picture of man held by Literalist Christians. The Greek philosopher Heraclitus writes, "Human opinions are toys for children. " The sage of the Pagan Mysteries were disparaging about mere beliefs or opinions; they were interested in knowledge. Gnostics argued that belief is connected only with the appearances of things, while knowledge penetrates to the underlying reality and the nature of man. The highest level of understanding, Gnostics proclaimed, is that knowledge through which the mind becomes unified with the object of knowledge. 영지주의(靈知主義)는 1945년 이집트 나그 함마디에서 발견된 문헌으로 인해 그 실체가 알려지기 시작한 기독교의 일파다. 영지주의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지금까지 알려진 초기 기독교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것은 정통 기독교에서 주장하는 내용, 그러니까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기독교의 모습과 너무나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초기 기독교의 역사를 다시 써야 할 뿐 만 아니라, 기독교의 본질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영지주의의 특성을 보여주는 구원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구원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분석해 보고, 구원이 주는 의미를 내세에 대한 것으로 규정하지 않고, 영지주의의 주장에서 나타나는 내적인 세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즉 의식의 전환이라는 점에 강조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또한 영지주의는 이전의 신화나 종교, 철학과 무관하게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근동 지역 뿐 만 아니라 그리스, 이집트 더 나아가 인도 사상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영지주의는 신화적인 배경과 철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리스의 미스테리아라는 대중적인 종교에 그 근원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미스테리아는 신화적인 내용과 철학적인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철학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그리스 철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플라톤의 일자 사상의 내용은 미스테리아 사상과 연관되어 있고, 미스테리아의 일자는, 영지주의의 신관과 연관되어 있으며, 구원관의 내용에서 중요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특성은 정통 기독교와 상이한 것이며, 오히려 불교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난다. 영지주의는 아직은 그 실체가 정확한 것은 아니어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영지주의로 규정할 수 있는 특징을 분명히 가지고 있다. 정통 기독교의 새로운 이해를 위해서도 반드시 영지주의의 내용이 밝혀져야 하고, 종교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특히 불교와 같은 동양 종교와의 상관성도 상세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원의 의미를 다시 규정하고, 영지주의가 주장하는 구원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초기 기독교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종교의 진정한 의미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박종홍의 「퇴계의 교육사상」(1928)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균섭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4

        In 1928, Park Jong-Hong skipped the research stage on Toegye's philosophy and immediately published his research results on Toegye's educational thought. Park Jong-Hong's Toegye Study, who worked as a teacher at Daegu Higher Common School after serving as a teacher at Boseong Common School an181d Daegu Suchang Common School, had a deep layer of research and its speciality. Park Jong-Hong's study of educational thought was baptized by the theory of teacher education in modern Japanese pedagogy, which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 system of educational thought based on the purpose and method of education. Park Jong-Hong's study of educational th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Toegye’s Text earned a special academic status at that time. However, Park Jong-Hong, who experienced the reality of colonial education more than anyone else while working as a teacher at Daegu Higher Common School, did not mention the reality of colonial education nor any political and social repercussions derived from colonial power. It can be said that Park Jong-Hong's study on Toegye was conduct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epistemological violence and the ethical despotism by colonial power. This means that Park Jong-Hong served silently in colonial education, which created a system-conforming people at that time. When we can check Park Jong-Hong's Toegye study precisel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above problems, we can read accurately about the nature of Toegyehak. 1928년, 박종홍은 퇴계의 철학에 대한 연구 단계를 건너뛰고 곧바로 퇴계의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보성보통학교와 대구수창보통학교 교사를 거쳐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교사로 근무했던 당시 박종홍의 퇴계 연구는 연구의 심층과 그 특별함을 갖춘 것이었다. 박종홍의 교육사상 연구는 근대 일본교육학의 사범교육론의 세례를 받은 것이며, 이는 교육목적과 교육방법을 두 축으로 삼은 교육사상 연구체제를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박종홍의 퇴계문집 분석을 통한 교육사상 연구는 당시로서는 각별한 학술적 위상을 확보한 것이었다. 하지만, 대구고보 교사로 근무하면서 식민교육의 현실을 누구보다도 직접 체험했던 박종홍은 식민지 교육현실에 대해, 그리고 식민권력에 의해 파생되는 정치사회적 파동에 대해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 박종홍의 퇴계 연구는 식민권력에 의한 인식론적 폭력과 윤리적 폭정의 작동 범주 안에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이는 박종홍이 당시 체제순응적 신민을 만들어내는 식민교육에 묵묵히 복무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문제에 유의하면서 박종홍의 퇴계 연구를 정밀하게 점검할 수 있을 때에 우리는 퇴계학의 본연에 대해 정확히 판독할 수 있다.

      • KCI등재

        담헌 홍대용의 탈성리학적 사상의 형성-理氣心性論에 따른 物의 談論 변화를 중심으로-

        곽혜성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29

        담헌 홍대용은 18세기 조선 북학론의 선구자로, 과학 분야에서의 업적뿐 아니라 가치 상대주의를 주장하였다는 점에서 사상사적으로 한 획을 그은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의 가치로 타물을 평가해서는 안 되며, 그들 나름의 가치를 존중해야 함을 강조했다. 당시 대부분의 성리학자들이 理 중심의 일방향적이고 인간중심적인 가치관을 지니고 있었음을 고려하면, 홍대용이 다양한 가치체계를 수용한 것은 당시로서는 급진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었다. 그의 이러한 탈성리학적 사상변화는 1765년의 연행을 계기로 형성된 것이다. 홍대용은 노론 낙론계열의 학맥을 전수받았으나 한편으로 성리학의 理·性善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청나라의 번영을 목도하고 국경을 초월한 우정의 경험을 통해, 홍대용은 기존의 학문방법과 華夷의 구분을 재성찰하게 되었고 나아가 선진문물을 배우자는 北學論을 주창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홍대용의 탈성리학적 사상의 배경과 사상적 변화 추이를 밝히기 위해, 그의 연행전후의 저작을 검토하여 理氣論과 人物性論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핀다. Hongdaeyong is the most interesting person in his era, not only because he made great achievements in science, but because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ral relativism. He claimed that people should not look down on animals from a human perspective, but should respect their values themselves as meaningful as our own. Accepting multiple values was a radical idea, because almost all the other Neo-confucian scholars had a rigid value system and considered humans to be far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reatures on earth. His transformation began when he visited Qing. There he saw a new culture, and had some connection with Chinese scholars in academic and emotional way. These experiences transformed him from a neo-confucian into the post neo-confucian. The process of change shows the transition of his understanding about Theory of Liqi(理氣)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nimals(物). Hong Dae-yong followed the stream of Nak-school(洛論) study at his early age. But he had critical issues about the concept of Li and Xingshan(性善) which is the basic premise of Neo-confucianism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experiences at Qing were eye-opening for him, which made him stop interpreting animals according to human moral values and try to respect values of other being itself. This leads to 北學論, which claims the change in the past ideology to perceive other being and accept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서양문학 배경으로서의 양대 인간이해 전통 -그리스와 히브리의 인간이해의 비교-

        김한 ( Han Kim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5 철학·사상·문화 Vol.0 No.2

        현대 서구사상의 지성적, 종교적 기초는 일찍이 B. C. 900 년경에서 B.C. 300년에 걸쳐 지중해 연안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B.C. 300년경 알렉산더 대왕(Alexander the Great)에 의한 세계 통일과 더불어, A.D. 300년까지, 형성되었던 헬레니즘(Hellenism)은 히브리ㆍ그리스 양 대사유의 복합 절충주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고, 영지주의와 스토아사상(Stoicism)이 중심이 되고 있다. 그리스적 사유와 히브리적 사유라고 불리우는 양대 사유 전통은 서구문학은 물론, 서구 사상, 제도, 서구문화 일반의 기초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히브리 사유와 그리스사유의 구별되는 특징을 고찰해 보고자함을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신, 자연, 인간이 해를 중심으로 양 사유를 비교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스 인의 궁극적 관심사는 존재(근원)요, 히브리인의 경우 실존(삶)이다. 그리스인은 인간을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영과 육으로 이루어진 존재로서 파악했고, 히브리인은 영을 육을 살아있게 하는 하느님의 숨결정도로 파악했다. 히브리인은 또한 그리스적 의미에서의 자연을 모른다. 그리스인이 파악하는 세계의 생성이 대체로 그러하듯 하늘과 땅은 그냥 생겨났다. 그리스인들은 신의 지혜를 조화롭고 유기적인 우주의 합목적성에서 읽는다. 그리스의 신은 결국 법칙이다. 히브리의 경우, 신은 창조의지를 가지고 하늘, 땅, 인간, 모든 동식물과 자연물을 창조한 창조신이다. 이 신은 인간의 역사에 현실적으로 참여하기를 계속해온다. 히브리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것은 관계이다. The two main traditions in the way of thinking, that is, the Greek way of thinking and the Hebraic way of thinking, have been running as two main substreams in Western literature and culture in general. To comprehend these two traditions will be to understand the birth place of English literature, which has been neglected so far by literary students. The concern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two traditions in connection with the way of viewing God, Nature and Man during the 600-year period covering B.C. 900-B.C. 300 when the world had not been Hellenized yet. 1. The understanding of God: The Greeks and the Hebrews all thought of God as transcendental as an eternal being. The transcendency of God, however, meant different things to the two ancient peoples. For the Greeks, it meant timelessness as against birth and death, and transcendence of the spirit as against body and emotion. For them God was the law of spirit which brought harmony and form to the universe. The Greeks read God's wisdom from the purposefulness of the organic cosmos. The Hebrews believed in the loving care of God, Creator of the world, who performed actions participating in the history of man. God was for them the object of admiration and surprise, not that of agnosticism. 2. The understanding of Nature: For the Greeks Nature existed by itself and for itself. They closely observed and verified Nature. Reason led them to reach the wisdom of God which was the harmonious universal law. The mastery of this law or God's wisdom helped them to cultivate the natural sciences. On the other hand, the Hebrews thought that Nature was created by God out of nothing. Nature did not exist by itself. She was something created by means of the action of God. The world for the Hebrews was the world in which You and I formed a relation of interaction as two different individuals. And Nature was nothing but a stage on which human beings performed actions and made histories. 3. The understanding of Man: The Greeks characteristically regarded man as composed of body and soul. Body was a temporary being to be trained and overcome through training. And soul was the trained inner-spirit and the very maker of a true human being. The Greeks gave the ultimate priority to the spirit over the body. Contrariwise, the Hebrews did not know how to distinguish spirit from body. They merely presumed that soul animates and enlivens the body. They did not ever stop to ask, What is man?, as the Greeks did. Instead their question was, Adam, where are you now? Thus their concern was not for mankind in general but for individuals like 'you' and 'I' at the specific station of place and time. A man for Greeks was ultimately a spiritual being. A man for Hebrews was a being of will.

      • KCI등재

        존재의 예술, 무(無)의 예술 - 하이데거와 히사마쯔의 예술론 비교 -

        서동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4

        히사마쯔, 신이치(久松眞一, 1889~1980)는 하이데거를 방문하여 예술에 관한 대화를 한 바 있다. 두 사람은 2회에 걸쳐 대화를 나눈바 있는데, 이 대화를 살펴보면 두 사람 사이에는 깊은 단절감이 있다. 같은 주제어를 가지고 대화하고 있지만, 이 두 사상가가 염두에 두고 있었던 존재론(혹은 세계관)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두 사상가는 각각의 자신의 저작 『예술작품의 근원』과 『다도의 철학』에서 각각 존재에 입각한 예술, 무(無)경험에 입각한 예술론을 펼치고 있는데, 이에 입각해서 보면 두 사상가는 서로 다른 입장에서 서양 및 서양의 근대를 극복하고자 하였고, 그에 따라 예술에 대한 이해도 전혀 달랐다. 이 두 사상가의 예술론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두 사상가의 역사적 만남과 대화에서 보이는 단절과 어색함을 분명하게 읽을 수 있다. 서로 다른 문화권의 만남이란 이러한 어색함과 단절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단절과 어색함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대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게 되고, 이 단절을 메울 수 있는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 과제는 과거 두 사람 사이에 있었던 과제이면서 동시에 여전히 서양 근대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오늘 우리가 진지하게 숙고해야 할 사유의 과제이기도 하다. Hisamastu, Shinichi(久松眞一, 1889~1980) once visited Heidegger and conversed on art. This dialogue was made twice, in which two shared an unbridgeable gap which derived from their different worldviews. Although they used the same terms, their ontologie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Heidegger’s The Origin of Art Works and Hisamastu’s Philosophy of Tea Ceremony show their respective ways to approach art, but the former’s method was based upon the notion of being and the latter the experience of nothingness. Although both of them tried to overcome the Western modernity, their ways are profoundly different, and their understandings on art are different. By comparing these two theories of art, one can sense the rupture and awkwardness in their historical encounters and conversations.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an encounter of different cultures set out from this kind of rupture. By understanding this rupture and awkwardness, one can open a possibility of new dialogue and take upon oneself a task to bridge the gap. This task was the past one between two thinkers, but it is also the task for us, who still live and experience the Western modernity and thus think more sincerely of it.

      • KCI등재

        이슬람 사상의 경제원리 및 규범체계 분석

        김중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4

        개방과 경쟁이 일상화되는 세계화 시대에 이슬람 사회에서 운용되는 경제‧사상적 원리와 개념에 대한 근본적 이해도 필요하게 되었다. 이슬람의 경제행태는 13세기전 무함마드에 의해 소개된 샤리아(شريعة; 이슬람 법)의 규범체계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일반경제학의 시장원리와 다른 차원의 가치기준에서 해석된다. 이슬람의 경제사상은 원리적인 측면에서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경제체제로 분류 및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 경제사상의 기본 가치(우술, 자카, 움마)와 이슬람금융 및 할랄 산업을 중심으로 원칙 및 기준, 재화의 생산과 소비에 관련한 원리를 정리하고, 그의 특성을 중심으로 경제사상을 개관하였다. 이슬람사상에서 생산과 소비의 기본적 개념 및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이슬람 경제에서 생산은 중요한 요소이며, 재화는 사치품과 필수품으로 구분한다. 필수품에 대한 생산자의 의무는 수익성 이전에 공동체 구성원에게 구매 가능한 최적가격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일반경제에서 소비자들은 가처분소득과 재화의 상대가격에 기초를 두고 한계효용을 극대화하지만, 무슬림소비자들은 종교적 가치를 포함한다. Islamic economic idea has derived from the general concept in Shari'a (Islamic law). Islamic economic principle is based on a system that is assessed as a third system that cannot be capitalism nor socialism. The major paradigm of Islamic thought was introduced by the Prophet Muhammad 13 centuries ago, and the ideas were enforced as Islamic regulations. Basic idea of Islamic economics can refer to the application of Islamic law to modern economic activity. It can be adapted to production, consumption, and investment with modern business formulation. This paper studies an economic system as well as norm, a major role played by the state in such matters as circulation and equitable distribution of wealth and ensuring participants in the marketplace to be rewarded by being exposed to risk or liability. The paradigm of necessity is more limited than general capitalistic market where the state does not follow Islamic law in Islamic society.

      • KCI등재

        장자(莊子)의 ‘유(遊)’사상을 통한 광기(狂氣)의 의미 고찰

        장선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문화 Vol.0 No.31

        In the traditional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which emphasizes the rational and universal thinking, ‘Kwang’ has been regarded as an irrational concept. However, since the modern era, the concept of Kwang began to change. Kwang, which was regarded as a subject of surveillance and punishment, has been reevaluated through the aesthetic discussions of Schopenhauer and Nietzsche, and gradually began to become an important driving force of artistic creation. However, Kwang could not escape from seeing it as an expression of anger. On the other hand, in the Asian aesthetics, Kwang was seen not only in terms of negative aspects but also in terms of positive aspects such as pursuing liberation from spiritual bondage. Since Confucianism emphasized the form and tradition, it was critical about Kwang. Nonetheless, Confucius regarded Kwang as an infinite capacity with genuine emotion and progressive temperament. However, it was too large and therefore it should be finely trimmed eventually. Taoism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the Confucianism, but there exist similar characteristics between Yu of Zhangji and Kwang of Confucius. Yu comes from the spirit of ‘Eun-il' which has the meaning of 'following the trends' and implies the freedom from the bondage suppressing the natural instincts and hence playing in a state of Jigo, i.e., extreme highness. This concept contains ultimate ideals of Zhangji, 'Big' and 'Enterprising'. In the midst of the most confusing Chinese era, Wy-Jin and South and North Jo, artists made lots of insane and strange conducts due to the despair and anger at that time. However, they followed the concept of Yu and sublimated the Kwang to a free and inventive artistic spirit. In other words, in Asian art, Kwang is not only regarded as anger coming from the conflict and separation, but also as a driving force for positive artistic creation that seeks absolute freedom from realistic bondage. 합리적·보편적 사고를 중시하는 서구 전통철학에서는 ‘광(狂)’을 비이성적 개념으로 간주하였으나 근대 이후 이성주의에 대한 반성을 통하여 광을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했다. 감시와 처벌의 대상으로 보았던 ‘광기(狂氣)’는 쇼펜하우어, 니체 등의 미학적 논의를 통하여 재평가되었으며, 예술 창작의 중요한 원동력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하지만 광기를 현실과 이상의 괴리에서 오는 분노의 표출로 보았다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반면에 동양 미학에서는 광기를 부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속박에서 벗어나 진취적인 자유로움을 지향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으로도 바라보았다. 형식과 전통을 중시하는 유가는 광기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나, 공자는 광을 진솔한 감정과 진취적 기질을 지닌 무한 역량이라 여겼다. 다만 광간(狂簡)하여 정교하지 않은 상태는 다듬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도가에서는 공자와 유사하게 광을 바라보는 장자의 유(遊)사상이 있다. ‘시류에 따른다’는 은일(隱逸) 정신에서 비롯된 유사상은 자연 변화를 따르는 동시에 본성을 억압하는 일체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지고(志高)의 경지에서 노님을 의미한다. 즉, 궁극적인 이상향(理想鄕)인 ‘대(大)’와 ‘진취(進取)’를 포함한다. 중국 역사상 가장 혼란스러웠던 위진 남북조와 명말·청초의 예술가들은 시대적 절망과 분노로 인해 광적인 기행을 일삼았지만, 유(遊)사상을 토대로 광기를 자유로운 창신(創新)적 예술 정신으로 승화시켰다. 동양 예술에서는 광기를 분노의 표출만이 아닌 절대적 자유를 추구하는 긍정적인 예술 창조의 원동력으로 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