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공의 진로 역량과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외 문헌 고찰과 제안

        이민정(Min-jung Lee),이승희(Seungh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전공의 수료 후 진로를 선택하는 것은 의사의 삶에 있어 중요한 발달 과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전공의 진로 역량과 연구 문헌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공의에게 적합한 진로 역량과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공의 대상 진로 교육과 관련된 연구 논문, 보고서, 신문기사 등 각종 국내외 문헌을 조사하고 여러 전공의 교육 담당기관의 홈페이지를 검색하였다. 자료 분석은 진로와 관련된 국내외 전공의 역량을 한국, 미국, 캐나다, 영국, 유럽으로 나누어 국가별로 살펴보고, 전공의 진로 교육과 관련된 연구 현황을 진로 선택 요인, 진로 개발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전공의 진로 공통 역량과 진로 개발 공통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결과 국내외 전공의 교육 담당기관에서는 전공의의 진로 개발과 의사로서 다양한 역할 수행에 대하여 역량을 규정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진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전공의와 보건 의료체계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에 부응하는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전공의 공통 진로 역량을 4단계로 제시하고 각 단계 역량과 연계된 전공의 진로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결론 전공의 개개인의 안녕과 보건 의료체계에서 의사 인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전공의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Choosing a career path after residency graduation is an essential development task for a lifelong career as a doctor. Therefore, the career competencies and curriculum suitable for Korean medical residents were proposed based on doctor’s competencies and research article. Methods We reviewed Korean and English literature, such as research papers and newspaper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or the residents. Also, we searched the website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GME) institutions for residents in different countries. Then, we reviewed doctor’s competenci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from GME institutions in US, Canada, UK, EU, and Korea including ACGME. Review on current literatures was conducted focusing on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fluencing residents’ career decision making, and effectiv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Lastly, we proposed 4-level common career competencies,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residents in each level. Results Many GME institutions for residents established competencies about the resident’s career development and various roles as doctors. Many foreign institutions and provided career information through their website and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residents and the health care system.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suggested the generic career competencies of Korean residents in 4 stages and the career development curriculum linked to each competency stag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nitiate a systemic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Korean residents to ensure individual residents’ well-being and the stable supply of doctors in the national health care system.

      • KCI등재

        전공의관련 법적 분쟁의 최근 유형들과 제도적 시사점 : 전공의관련 판례의 유형과 제도적 개선방안

        박경기 ( Park Kyung Kgi ),김기영 ( Kim Ki-young ),허정식 ( Huh Jung-sik ) 한국의료법학회 2019 한국의료법학회지 Vol.27 No.1

        전공의는 피교육자이자 의과대학의 학생의 임상실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자이다. 전공의는 지도전문의의 지도하에 전문과목에 대한 수련을 받아야 하며 이는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 아니라 환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병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련 과정은 인턴과정과 전공의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전문과목마다 수련기간이 다르다. 전공의의 수련환경은 각 병원마다 차이가 있으나 도제식교육과 피교육자라는 것으로 인해 장기간의 근무로 인해 만성피로와 주의력부족 등으로 인해 의료사고에 노출이 될 수 있으나 최근 전공의 특별법이 제정되어 전공의의 근무시간을 제한하게 되어 있다. 전공의의 경우 전문과목별 술기에만 교육과정이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많다. 각 전문학회에서 전공의 교육을 위한 목표와 목적을 정하고 수련과정을 정하고 있으나 인성과 최근 변화되는 의료환경과 의료법 등에 대한 교육은 미흡하고 특히 의료사고 발생과 관련된 조치에 대한 교육은 미흡한 상태이다. 최근 의료사고와 관련되어 전공의를 포함한 의료진이 구속되는 등의 사건이 발생하였다. 전공의와 둘러싼 법적 문제들 중에서 의료법 위반 및 징계 및 행정처분 사건, 의료사고에 대한 민형사상책임문제, 전공의의 강제추행 등 사건 및 전공의의 과로 등 보호의무위반으로 인한 병원의 사용자책임 사건 등을 분석하면 다른 의료사고와 마찬가지로 전공의 능력을 초과한 부분에 대한 지도전문의의 감독지도가 부족하고 이를 인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전공의가 수련과정이지만 민형사상의 책임을 지는 경우가 있으며 직접 의료사고의 인과관계가 없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의료사고가 발생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하며 이를 위한 병원과 전문학회의 교육과 보호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A resident is a trainee and also a teacher who plays an an important role in the clinical practice of the students of the medical school. The residents must be trained in specialized courses under the guidance of a specialist. They work at the hospital and they are in charge of the patient's treatment, no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such as the school. The training process is divided into internship courses and resident courses. The train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is different in each hospital, but it is exposed to medical accidents due to chronic fatigue and lack of attention, because of long-term work as the apprenticeship education and the trainee, but recent special law has been enacted, therefore working time at the hospital is limited. The resident training course tends to be focused only on the technique of each speciality. Although each special association of speciality has set goals and objectives for the education of its resident and set the course of training, the education on humanity and the recently changed medical environment and medical law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education about measure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medical accidents. Recently, there have been incidents such as the arrest of the medical staff including the residents related to the medical accident. Analysis of the legal issues surrounding the medical law, cases of discipline and administrative disposition, problems of civil liability for medical accidents, cases of forced enforced of residents, and cases of hospital occupational accidents caused by violation of the protection obligations like other medical accidents, there is a lack of supervisory guidance by the specialist in areas beyond the competence of the major. This should explain the fact that the residents are in the process of training but have civil liability and there i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rect medical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to deal actively when a medical accident occurs, and education and protection measures at the hospital and association of speciality will be needed.

      • KCI등재

        의료기관 전공의의 노동법적 지위와 보호방안 검토 - 전공의 근로자성과 전공의 특별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영학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1 No.1

        이 글은 의료기관 전공의의 열악한 수련환경을 개선하고 그들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원칙적인 방법이 무엇인지를 모색하기 위해 작성된 글이다. 먼저, 전공의 수련제도의 일반적인 내용과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한다. 그 다음으로 판례 분석과 법 해석 전반에 걸친 쟁점사항을 검토하여 전공의의 노동법적 지위를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새롭게 재정된 전공의 특별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을 평가하여 기본적인 보호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료 질 향상을 통해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시작된 전공의 수련제도는 오늘날 의료인에게 일반화된 과정이다. 그러나 주100시간 넘는 수련시간 등 그 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수련병원이 전공의를 피교육자 지위에서 과도한 근로를 전제로 진료계획을 세우기 때문이다. 법원은 전공의의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성을 일관되게 인정한다. 근로 경험이 곧 수련이라는 관점에서 사용종속관계가 인정됨에 따라 근로자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수련기준의 법제화라는 평가를 받는 전공의 특별법과 의료현실은 여전히 전공의를 피교육자 지위에서 처우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근로제공의 동기가 수련이라는 점이 근로기준법을 온전히 적용 할 수 없는 이유라고 지적한다. 그러나 수련병원의 경영상 어려움이나 이중적 지위는 근로자성을 배제하는 근거로 볼 수 없고, 근로제공의 동기는 근로자성 판단요소가 아니다. 따라서 전공의 수련은 근로자 지위에서 평가되고 재정립되어야 한다. 아울러 전공의 특별법은 그 동안 전공의가 법원의 결정을 통해 근로자 권리를 인정 받아오던 상황에서 주80시간 근로에 대한 법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이나 보호 규정이 배제 된다는 점, 수련과 근로에 대한 개념 구별이 없고 각종 가산임금 산정 기준에 관한 규정조차 없다는 점 그리고 대등한 교섭 주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근로와 수련계약 체결을 강제하고 있다는 점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결국 전공의 수련제도는 근로기준법상 각종 근로자 권리를 전제로 재정립되어야 하고, 국가의 재정적 지원이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스스로 수련환경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교섭 가능한 전공의단체와 수련환경을 관리․감독할 수 있는 독립적인 단체의 설립 근거를 마련하여 전공의 보호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with specific objectives in seeking the effective ways to improve inadequate training environments of the residents in medical institutions, and to find out complementary principles to protect their labor rights. To cope with such objectives, the empir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concept and enactment background of medical resident training system, along with its substantive needs of protection will be conducted. Subsequent efforts will be made to properly define the right concepts by determining the controversial issues on attitudes of the court, its interpretation of the laws and the labor legal status of medical residents in general. Lastly, some of the main contents, disadvantages and improvement methods for Special Act on Medical Residents, with other means of resolving the issues will be suggested as effective alternatives for protective directions. Medical resident training system has been initiated in order to deliver a high standard of medical services through the enhancement of medical qualities, which has become a generally accepted procedure among the medical specialist nowadays. Nevertheless, its training environments reveal quite inadequate institutional policies with more than 100 hours of training per week, and other infringements of labor rights. Such realities have been due to medical treatment plans, which are organized by the training hospitals based on a precondition of excessive training hours for medical residents as trainee status. In this regard, the court recognizes the status of trainee for medical residents, together with their legal nature of the labors based on the Labor Standards Act.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al working experiences as means of training, the court further acknowledges the appropriate labor rights in this context as well. However, the medical reality with Special Act on Medical Residents being evaluated as merely an enactment of training standards, still place medical residents in trainee status. Some has pointed out that resident training as the motives of offering labors may have caused an inability to apply the Labor Standards Act in its entirety. Unfortunately, neither the managerial difficulties nor dual status can be perceived as the evidence that excludes a legal nature of the labors. Even the motives of offering labors cannot be a judgement factor for such nature. Thus, it will be proper to perceive a resident training with the status of professional worker, rather than simply conclude i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rainee. Especially, there have been many disadvantages of Special Act on Medical Residents as it can be used for a legal evidence of working 80 hours per week, under the situation where the court has been the one to make a decision on the residents’ labor rights; the reality of partial applications of Labor Standards Act upon the residents; non-existence of payment standards and ambiguity in the differences between training and working; and finally for forcing the labors and training contracts with no such recognition of equal bargaining subjects. To conclude the article, the medical resident training system should be readjusted to meet various labor rights in the Labor Standards Act as obligatory prerequisites. Moreover, the nation’s financial supports should be entailed with empowering the protection of the residents’ rights through the inaugurations of relative associations, and the independent management supervisory institutio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전공의들의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심리적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생각과의 연관성

        최보경,김지환,김승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2

        F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medical residents. This study sought to 1) assess the preval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2)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outcomes (i.e.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ve symptoms, suicidal ideation) among medical residents, using a cross-sectional dataset of 1,155 Korean medical residents in 2014. Experi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over the past year and its reason (i.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ge, appearance, grade, and others) were assessed. Our analysis found that 27.1% (N=216) of male and 42.9% (N=153) of female medical residents experienced workplace discrimination over the past year. Among medical residents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t work, the most common reasons for discrimination was educational background (32.4%) for male, whereas it was gender (69.3%) for female medical residents. Experience of workplace discrimin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sychological distress (PR: 2.27, 95% CI: 1.65-3.12), depressive symptoms (PR: 1.56, 95% CI: 1.32-1.83), and suicidal ideation (PR: 1.61, 95% CI: 1.04-2.49) among male whe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only in the analysis of depressive symptoms (PR: 1.22, 95% CI: 1.00-1.48) among female residents. This study found that workplace discrimination was prevalent among Korean medical residents, and it wa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본 연구는 2014년에 전국 25개 전문과목 전공의 1,15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단면연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의 연구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 첫째, 전공의들의 1년 동안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차별 경험의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한다. 둘째, 이와 같은 직장 내 차별 경험이 전공의들의 정신건강(심리적 스트레스, 우울감, 자살 생각)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남녀로 나누어 검토한다. 분석 결과, 남성 전공의 798명 중 216명(27.1%), 여성 전공의 357명 중 153명(42.9%)이 지난 1년 동안 직장 내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차별을 경험한 전공의 중 남성 전공의는 출신학교(32.4%)와 나이(27.3%), 여성 전공의는 성별(69.3%)과 출신학교(30.7%)를 차별 경험의 주된 요인으로 보고하였다. 성별을 나누어 검토한 결과, 남성 전공의에서는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심리적 스트레스(PR: 2.27, 95% CI: 1.65-3.12), 우울감(PR: 1.56, 95% CI: 1.32-1.83), 자살 생각(PR: 1.61, 95% CI:1.04-2.49)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반면 여성 전공의에서는 직장 내 차별 경험과 우울감(PR: 1.22, 95% CI: 1.00-1.48)과의 연관성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공의들이 경험하는 직장 내 차별이 정신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 첫 연구로, 병원 내 차별 문제와 전공의의 정신건강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 수립의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병원에서 교수에 의한 전공의 성희롱

        박창범 한국의료윤리학회 2018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1 No.1

        The sexual harassment of residents by professors in university hospitals has recently received significant public attention. Causal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form of sexual harassment include the hierarchical and authoritarian working culture in university hospitals, the tradition of semi-coercive social gatherings, the sense of tribalism among professors, and the structure of resident training programs. This article makes several policy proposal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instances of sexual harassment of residents by university professors,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for professors and strong punishment for offenders, such as salary reductions, short-term suspensions, and even dismissal. The culture of drinking in semi-coercive social gatherings must also be eradicated, and residents must be able to move easily to other training hospitals to protect themselves from sexual harassment. However, in order for such changes to take place, government action in the form of new legislation is required. 대학병원은 의과대학/대학원생 교육뿐 아니라 전공의들을 전문의로 양성시키는 교육기관이면서 동시에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는 직장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대학병원에서 교수에 의해 발생하는 성희롱은 일반적인 직장 내 성희롱 및 대학의 교수에 의한 성희롱의 복합적인 양상을 가진다. 대학병원에서 발생하는 교수에 의한 전공의 성희롱의 주 원인으로는 대학병원 교수들의 권위주의, 전공의-임상강사-교수로 이어지는 위계적 질서 및 반말문화, 회식 및 접대문화, 교수들 사이의 패거리주의, 전공의 수련의 구조적 문제점 등을 들 수 있다. 대학병원에서 교수에 의한 전공의 성희롱을 예방하기 위한 제안으로 교수들의 권위주의 청산하고 교수와 전공의 사이에 서로 존댓말을 사용할 것을 교육하며, 만약 성희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경고, 견책, 감봉, 3개월 이하 정직과 같은 경징계보다는 1년 이상의 정직, 해임이나 파면과 같은 중징계를 하여야 한다. 또한 취할 때까지 마시는 현재의 회식문화는 근절되어야 한다. 동시에 교수들의 패거리문화로 인한 피해자 전공의의 성희롱 2차 피해 예방을 위하여 교수들의 패거리 문화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전공의 수련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해자 전공의의 타병원으로의 수련병원 이동을 현재보다 쉽게 만들어야 한다. 정부나 국회에서도 대학병원 교수에 의한 전공의 성희롱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예방교육에 있어서 현재 주가 되고 있는 성희롱에 대한 법령소개 및 처벌사례에 그치지 않고 교수와 전공의 모두 성적 자기결정권, 인격권, 평등권을 이해하고 실천하게 하는 가치교육 및 윤리교육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전공의의 법적지위와 쟁점에 관한 고찰- 대상판결: 대전고등법원 2014.11.26. 선고 2013나11186 판결, 서울북부지방법원 2015.9.10. 선고 2014가합23014 판결을 중심으로 -

        김희성,최홍기 한국경영법률학회 2016 經營法律 Vol.26 No.2

        Since it has been adjudged continuously about the Special Act on the medical residents, the legal status as the medical resident and overtime pay, social concerns toward the medical resident has been heightened. Based on this atmosphere, this study reviews the major issues about the legal status as a medical resident and overtime pay with Konyang University Hospital adjudication(Dajeon High Court 2014.11.26 adjudgment 2013 NA 11186) which adjudged to give overtime pay for the medical residents at the very first, and Samyook Medical Center adjudication(Seoul Northern District Court 2015.9.10. adjudgment 2014 GA 23014). According to the relative regulations and judicial precedents, medical residents have status both as trainee and workers. Basically in principle, medical residents are seemed to be trainee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high quality of medical treatment and to acquire a certificate of medical specialist. Exceptionally, it grants them the status of laborer when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 training hospital, explicitly. Thus, medical residents can be subjected to the Labor Standards Act under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the training hospital and under judicially subjected business. It, however, requires the purpose of training to apply the specific regulations of the Labor Standards Act. Based on this perspective, it critically analyzes and evaluate adjudication ①, ② and it strives to make a remark on the direction of the Special Act on medical residents. Henceforth, it expects more reasonable discussions about medical resident system under the purpose of training better quality of labor force in the medical field. 최근 전공의 특별법의 제정을 비롯해 전공의 법적지위 및 시간외 수당 등을 둘러싼 판결들이 지속적으로 선고됨으로써, 전공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상당히 고조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 기초에 본 연구에서는 전공의에게 시간외 수당의 지급을 처음으로 판단했던 건양대 병원 판결(대전고등법원 2014.11.26. 선고 2013나11186 판결)과 더불어 최근 내려진 삼육서울병원 판결(서울북부지방법원 2015.9.10. 선고 2014가합23014 판결)을 검토대상으로 삼아 전공의의 법적지위와 시간외 수당 등의 지급을 둘러싼 주요 쟁점을 노동법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현행 관련규정 및 판례에 따르면, 전공의는 피교육생(훈련생)과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이중적으로 가지고 있다. 원칙적으로 전공의는 수련제도의 목적 및 취지상 국민건강 및 양질의 진료를 위한 진료수준을 확보하고 관련 전문의 자격 취득을 위한 피교육생(훈련생)으로서 갖는다고 봄이 상당하다. 그리고 예외적으로 수련병원과의 실질적 사용종속관계가 명확히 인정될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의 지위가 부여된다고 볼 수 있다. 즉 후자와 관련하여 전공의도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사업에서 수련병원의 사용종속관계 하에서 근로를 제공하는 한도 내에서는 예외적으로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로서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게 된다. 다만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근로기준법의 구체적인 규정의 적용에는 수련(훈련)목적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을 기초로 대상판결①, ②를 비판적으로 분석, 평가하였으며, 나아가 새로이 제정된 전공의 특별법의 규율방향에 대해서도 논평을 시도하였다. 향후 전공의 제도를 둘러싼 논의는 국민의 건강권과 의료발전을 책임질 유능한 의료전문 인력의 양성이라는 목적 하에서 보다 합리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의대교수와 전공의의 자아방어기제에 대한 연구: 내과계와 외과계의 비교

        정한용,홍혜경,김양래,이소영,정희연,한선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계열과 외과계열 교수와 전공의의 직위와 계열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차이 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본 연구는 2000년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에서 근무하는 외과계열(일반외과, 산부인과, 정형외과, 성 형외과, 이비인후과, 안과, 비뇨기과) 교수 30명과 내과계열(내과, 소아과, 피부과, 재활의학과, 정신과) 교수 30명 및 1999년 같은 병원에서 근무한 내과계열 전공의 30명과 외과계열 전공의 30명, 총 120 명을 대상으로 이화방어기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아방어기제를 검사하였다. 결 과: 첫째, 계열에 따른 자아 방어기제의 평균점수는 외과계열이 내과계열에 비하여 허세와 투사가 각각 유의하게 높았고, 직위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차이는 전공의가 교수에 비하여 허세, 수동공격, 해리, 신체화, 행동화, 퇴행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위와 계열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결과 예견과 이타주의가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예견 은 외과계열에서는 전공의가 교수에 비하여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반면 내과계열에서는 전공 의에 비하여 교수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타주의는 교수내에서도 내과계열 이 외과계열에 비하여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숙도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비교에서, 내과계열에 비하여 외과계열에서 자기애적 방어기제 와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위에 따라서는 교수에 비하여 전공의의 경우 미성숙한 방어기제와 신경증적 방어기제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다. 성숙한 방어기제는 외과계열에 비하여 내과계열의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고 전공의에 비하여 교수의 평균값이 높게 나왔다 결 론: 특정과를 전공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성격특성이나 적응방식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의대생 또는 수련의가 자신의 성격특성에 맞게 전공과를 선택할 수도 있겠으며, 또한 전공하고 있는 전공의들에게 있어서는 자신들의 성격특성을 알아 선택한 전공과에 보다 만족하고 자신의 능력을 훌륭히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defense mechanisms between medicine and surgery groups, and between residents and specialists who were professors of a medical school. The author evaluated the defense mechanisms by using Ewha Defense Mechanisms Test. The author compared the defense mechanisms of medicine and surgery specialist groups who are employed by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as professors in 2000, and of medicine and surgery resident groups in 1999.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cores of the defense mechanisms ratings. In surgery specialist group, the rate of using projection and show-off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edicine group. In resident group, show-off, passive-aggression, dissociation, somatization, acting-out and reg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pecialist group. In medicine group, residents were higher than specialists in show-off, passive-aggression, acting-out and regression. But for the specialist group, the score on anticipation was higher than in the resident group. In surgery group, residents were higher than specialists in identification, rationalization and regression. In the interaction, analysis by hierarchy and field anticipation and altruism hav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Second, in comparison of maturity level between the field of speciality and level of hierarchies, surgery group used more neurotic and narcissistic defense than medicine group significantly. For the level of hierarchies, residents used more immature and neurotic defense than specialists. In medicine group, residents used immature defense more than specialists, but more mature defenses were used in specialists than residents significantly. In surgery group, residents used more immature and neurotic defenses than specialists. Mature defenses have more interaction effect. This results may reflect the fact that discipline in surgery have characteristic apprentices system and more dramatical therapeutic approach. The results seem to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optimal character for each specialit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spescialities evaluating one’s defenses and matching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coping mechanisms of each specialty group can be helpful

      • KCI등재

        가정의학과 전공의의 노인의학 수련 태도와 제안

        손보드리,원장원,김일신,김병성,최현림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9

        Background: With the number of geriatric population on a steep increase, the roles of family physicians broaden to give comprehensive medical care to the elderly. Therefore, geriatrics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for the residents of family medicine. The authors have surveyed and researched on resident’s current attention, actual training conditions, and future needs on geriatrics. Methods: Family medicine residents in 79 hospitals registered to Korean Family Medicine Resident Union were enrolled. By means of electronic and postage mail surveys, informations were gathered; including demographics, the order of importance of nine training curricula, the necessity of training itself, the facility and academic conference of geriatrics training. Results: A total of 173 residents in 45 hospitals replied with return rates of 51.9%. Among the total, 169 (97.7%) of the answered agreed on the necessity of geriatrics training. Of the nine curricula, geriatrics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nd residents considered family medicine outpatient department and inpatient ward to be the most important place for geriatrics training. Furthermore, the residents considered elderly’s diseases or symptoms as more important conference title, but the parameters such as the quality of life, physiology of aging, care in nursing home were considered less important. Conclusion: The geriatrics training program is not up to the standards of residents’ satisfac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absence of a formal training program. To provide a better care for the elderly, it is compulsory to gain broad knowledge of geriatrics and actual experience out in the field. 연구배경: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노인환자에게 지속적, 포괄적 의료를 제공해야 하는 가정의들의 역할과 책임이 커짐에 따라 가정의학과 전공의 수련과정에서 노인의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현재 가정의학과 전공의의 노인의학 수련에 대한 관심도 및 수련실태, 효과적인 노인의학 수련 커리큘럼에 필요한 요건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논문을 계획하였다. 방법: 2007년 가정의학과 전공의 협의회에 등록되어 있는 79개의 가정의학과 수련병원의 가정의학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전자메일 설문조사와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 노인의학 수련의 필요성 유무, 수련 프로그램 및 수련장소와 컨퍼런스 주제에 대한 중요도 평가로 구성하였다. 결과: 가정의학과 전공의 협의회에 등록되어 있는 79개 병원 중 45개 병원(56.9%)에서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총 184명의 전공의가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180명(97.8%)이 노인의학 수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노인 환자 진료 시 자신감은 ‘별로 없다’(10.9%), ‘그저 그렇다’(56.5%)로 부정적인 의견이 긍정적인 대답보다 많았다. 또한 노인의학 수련장소로 가정의학과 외래(5점 만점에 3.91점)와 가정의학과 병실(3.66점), 요양병원(3.66점)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노인의학 컨퍼런스 주제 평가에서는 노인의 질환이나 증상 위주의 주제를 높게 평가하였고 삶의 질, 노화의 생리, 요양원 간병 문제들을 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가정의학과 전공의는 노인의학 수련에 대한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으나, 노인환자 진료시 자신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공의의 수련의지와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앞으로 급증하는 노인환자에게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인의학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습득 뿐 아니라, 요양원이나 사회복지시설과 같은 구체적인 수련 장소에서의 경험을 통해 치료에 유용한 실제적인 임상지식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노인의학 수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정신과 전공의의 수련 기간 중 비 약물 치료법 경험

        문수진(Su Jin Moon),박준헌(Jun Heon Park),김태(Tae Kim),송지영(Ji Young Song),반건호(Geon Ho Bah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9 사회정신의학 Vol.14 No.1

        목 적: 현재 한국의 정신과 사 년 차를 대상으로 정신과 전공의 수련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약물 치료 이외의 치료 방법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앞으로의 다양한 치료 방법들에 대한 정신과 전공의 수련 교육의 내용과 수준, 교육 방식을 설정하고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코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두 달 동안 전국 72개 수련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 사년 차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 검사를 실시하였고 총 63명(50%)이 응답하였다. 설문지의 보기에는 총 39가지의 치료법을 제시하였다. 결 과: 현 전공의 사 년 차가 수련 기간 동안 경험한 치료 술기의 수는 최소 1개에서 최대 17개로, 평균 6.9개의 치료술기를 경험하 였다. 지역별 차이(수도권 지역과 비수도권 지역)와 전공의의 치료 술기의 다양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원 내 전문의의 수와 연 차별 전공의의 수는 치료 다양성은 양의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다. 전공의 들은 현재 병원 내에서 시행하고 있지는 않으나 관심이 있는 분야로 최면(45%), EMDR(26.7%), 예술치료(21.7%)를 꼽았다. 결 론: 전공의가 경험하는 치료 내용의 양적 및 질적 차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본 학회는 물론 각 분과 학회의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rvey fourth year psychiatric residents' experience about the application of non-pharmacological therapies during their residency training in Korea. This survey may help trainer to determine how psychiatric trainee think about their level of education, content of education, methods of education, and current problems in psychiatric residency training, as well as to reform the non-pharmacological psychiatric therapies. Methods:A total of 63 subjec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we sent. 39 types of therapy were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Results:The results of our survey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therapies that residents were exposed to during their four years of training ranged from 1 to 17 (6.9±3.3). The regional disparity, the nation’s metropolitan area vs non-metropolitan area, had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diversity of non-pharmacological psychiatric interventions.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and the number of resid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iversity of nonpharmacological psychiatric therapies. The results of our survey also showed that many residents were interested in other types of non-pharmacological psychiatric interventions that they have not been exposed to, such as hypnosis (45%), EMDR (26.7%), and art therapy (21.7%). Conclusion:It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difference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therapies experienced among psychiatric residents for improving in residency training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