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국의 경쟁당국과 지방정부의 법집행

        박수영,양병찬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6 동북아법연구 Vol.9 No.3

        중국의 경쟁법은 반독점법, 반부정당경쟁법, 가격법이 주를 이루며, 이에 대한 집행은 국무원이나 지방정부의 가격주관부서나 공상행정관리부서 등에서 담당한다. 최근 중국의 경쟁법 집행과 관련하여 규제행위의 중복, 관할의 불명확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쟁법상의 규제행위에 따른 그 집행기관의 구분을 시도하고, 지방정부의 경쟁법 집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경쟁법상의 규제행위 중 가격관련 규제행위에 대해서는 가격주관부서(국무원의 경우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비가격 관련 규제행위에 대해서는 공상행정관리부서(국무원의 경우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가 주관하게 된다. 최근 지방정부의 경쟁법 집행에 의한 규제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그 집행건 수에 비해경쟁법 집행에 대한 예측가능성은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경쟁법의 규제대상이 되었을 경우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함에 있어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법집행의 권한, 범위 및감독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Chinese Anti-Monopoly Law (AML) established an administrative and judicial framework that is conceptually similar to that of other countries’ competition law systems. However, unlike other countries, China divided responsibility for competition law among three different administrative agencies, as well as the judiciary. China also established a higher-level body, the Anti-Monopoly Commission (AMC), to oversee and coordinate the administration of the AML, but its power is unclear and its involvement seems intermittent. These unusual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AML reflect its dual role as a competition law and a vehicle for industrial policy. The three Anti-Monopoly Law Enforcement Authorities (AMEAs) responsible for enforcing the AML are the Ministry of Commerce (MOFCOM),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NDRC), and the State Administration for Industry and Commerce (SAIC). This tripartite division of enforcement responsibilities tends to lead to (i) dispersion of competition law expertise among several different agencies; (ⅱ) exposure of competition law enforcement personnel to the institutional pressures of the larger agency to which they belong, which—particularly for NDRC—include a bias toward domestic industrial policy and price caps; and (ⅲ) heightened risk of inconsisten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AML. MOFCOM is China’s most outward-facing economic agency, with responsibility for most aspects of China’s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 policy, including foreign trade and investment policy, WTO affairs, and trade remedies. Under the AML, MOFCOM’s Anti-Monopoly Bureau (AMB) is responsible for reviewing proposed “concentrations”—i.e., mergers, acquisitions, and the formation of joint ventures (whether full-function or not). NDRC is the largest AMEA, and has conducted most non-merger-related investigations under the AML to date. NDRC’s predecessor agency, the State Planning Commission, previously set production targets and prices in China’s centrally planned economy. Today’s NDRC continues to play a broad, albeit less command-and-control, role as a macroeconomic administrator and regulator, responsible for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ies in specific sectors of the economy. SAIC, sometimes referred to as China’s “economic police,” has a more diffuse and decentralized structure than NDRC or MOFCOM, with enforcement activity taking place at the provincial and local levels through local Administrations for Industry and Commerce. The authority for enforcement of the Anti-monopoly Law under the State Council may, in light of the need of work, empower the appropriate departments of the people’s governments of provinces, autonomous regions or municipalities directly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to take charge of relevant enforcement of the Anti-monopoly Law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nti-monopoly Law.

      • KCI등재

        법사상과 법의 이해가능성

        박준석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0 No.3

        이 글의 주제는 ‘법사상(legal ideas)’의 연구와 교육에 관한 것이다. 이들이 과연 어떠한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 그러한 가치의 실현에 장애가 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있는지 등이 바로 그것이다. 사실상 ‘법철학(philosophy of law)’과 구별해 볼 것도 없는 면에서, 법사상은 ‘법의 실재에 대한 이해’의 차원에서 제기되는 법의 이해가능성 문제를 다룰 것이며, 특히 법학자 및 실무 법조인이 추구하고 전달하는 종류의 이해에 관하여 탐구할 것이다. 요컨대, 법사상의 연구는 그것을 통해서 ‘법을 이해가능한 것으로 만드는(making law intelligible)’ 활동이며, 바로 그 지점에서 독특한 연구 가치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개별적 철학 분과로서 법사상의 탐구 활동이 실정법학과의 관계에서 자족적(autonomous)이면서도 동시에 맥락적으로(contextually) 존재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특히 후자와 관련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은, 법사상의 연구를 통해서 법을 이해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활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행되어야 할지에 대하여 하나의 실용적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그것은 법과 판례 중에 숨어 있는 법사상의 흔적을 발굴하는 작업 형태를 취하라는 것, 다시 말해서 법사상을 고전 텍스트의 닫힌 영역 안에서 다루던 것으로부터 벗어나, 법질서의 전체 영역을 무대로 하여 그 의미의 연결고리를 찾아 나서라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법사상의 연구가 이른바 지역화(localization)에 들어서는 것이야말로 “관념(ideas)이란 그 맥락(context)으로부터 찢어서 떼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전제에 부합하는 길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unique value of legal ideas as a separate discipline, to search and solve the major hurdles to its realization. Legal ideas as one of branches of philosophy should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the nature and intelligibility of reality of law. And the notion of intelligibility in this dimension differs from the intelligibility of any given system of positive laws as a particular things. The study of legal ideas is itself an activity of making law intelligible, and has the unique value of its own therein. Philosophical inquiry of legal ideas, however, should be autonomous, rather than parasitic on the legal science, and at the same time be embedded in particular context. In this respec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tudy of legal ideas should be carried out not only inside the boundary of classical texts, but also on the stage of the overall system of positive laws as particular things. This paper calls this alternative to the study of legal ideas the so-called localization of legal ideas.

      • KCI등재

        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 특권의 역사적 기원

        John H. Langbein,조기영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6 동북아법연구 Vol.10 No.2

        이 글은 미국 예일 대학교 로스쿨 John H. Langbein 교수의 논문인『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 특권의 기원』을 번역한 것이다. Langbein 교수는 미국의 저명한 법사학자로서 영미법과 대륙법의 역사, 비교법 등을 연구하는 학자이다. Langbein 교수는 민사 및 형사절차의 역사와 근대 미국법과 대륙법에 관한 많은 비교법적 논문을 저술한 바 있으며, 2000년 법사학 분야에서의 “선구적 업적”을 이유로 미국 법사학회로부터 서덜랜드(Sutherland) 상을 수상하였으며, 그의 저서 『당사자주의 형사재판의 기원(2003)』은 2006년 법학분야 우수 저서로 Coif 저술상(격년)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2009년 Langbein 교수는 법체계의 역사에 관한 교과서인『보통법의 역사 : 앵글로아메리칸 법제도의 발전』을 공저로 출간하기도 하였다. Langbein 교수는 1987년 미국 예술 및 과학 학술원 회원으로 선정되었으며, 캠브리지 대학 Trinity Hall의 명예회원이며 영국학사원의 특별회원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 Langbein 교수는 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의 특권의 진정한 기원은 영국혁명의 정치가 아닌 18세기 말 당사자주의 형사절차의 발흥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보통법상 자기부죄거부 특권은 형사변호인의 작품이다.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후반까지, 보통법상 피고인을 위한 기본적인 보호 장치는 묵비할 수 있는 권리라기보다는 오히려 진술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이러한 성격으로 형사재판이 형성되도록 한 절차상의 특성 중에 가장 근본적인 것은 형사변호인을 금지한 규칙이었다. 형사변호인의 금지는 처음에는 반역사건에서 그 다음에는 중죄사건으로 1696년에서 1836년까지 단계적으로 완화되었다. Langbein 교수의 주장은 18세기 후반 특히 19세기 형사변호인의 영향 아래 자기부죄거부의 특권이 재판 구조의 재구성의 일부분으로서 보통법 절차(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 기준과 근대 형사증거법의 증거배제 장치와 함께)에 들어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변호인에 의한 형사재판의 장악이 형사피고인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에 대한 증인이 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였다는 것이다. This paper is a translation of the above mentioned article of Professor John H. Langbein of Yale University, School of Law. John H. Langbein is a Professor of Law and Legal History at Yale University. He is an eminent legal historian and teaches and writes in the fields of Anglo-American and European legal history, modern comparative law and so forth. Professor Langbein has written extensively about the history of civil and criminal procedure, and about the contrasts between modern American and Continental procedure. His book, The Origins of Adversary Criminal Trial (2003), received the Coif Biennial Book Award (2006) as the outstanding American book on law. In 2000 the American Society for Legal History awarded him the Sutherland Prize for his "pioneering work" in legal history. In 2009 he published History of the Common Law : The Development of Anglo-American Legal Institutions (with R. Lerner & B. Smith), a textbook on the history of the legal system. Professor Langbein was elected to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1987. He is an honorary fellow of Trinity Hall, Cambridge, and a corresponding fellow of the British Academy. In this Article Professor Langbein explains that the true origins of the common law privilege are to be found not in the high politics of the English revolutions, but in the rise of adversary criminal procedure at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t common law was the work of defense counsel. According to Professor Langbein, from the middle of the sixteenth century until lat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fundamental safeguard for the defendant in common law criminal procedure was not the right to remain silent, but rather the opportunity to speak.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criminal trial was to afford the accused an opportunity to reply in person to the charges against him. Among the attributes of the procedure that imported this character to the criminal trial, the most fundamental was the rule that forbade defense counsel. The prohibition upon defense counsel was relaxed in stages from 1696 until 1836, initially for treason, then for felony. In the later eighteenth century and especiall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entered common law procedure (together with the beyond-reasonable-doubt standard of proof and the exclusionary apparatus of the modern law of criminal evidence) as part of this profound reordering of the trial. It was the capture of the criminal trial by lawyers for prosecution and defense that made it possible for the criminal defendant to decline to be a witness against himself.

      • KCI등재
      • KCI등재

        LMO 손해배상특별법제에서의 재정보증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이진수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7 동북아법연구 Vol.11 No.2

        2010년 채택된 “나고야-쿠알라룸푸르 책임구제 추가의정서(Nagoya-Kuala lumpur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to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이하 ‘추가의정서’)” 에서는 사후 대책 수습적 접근(backward -looking) 관점에서 유전자변형생물체로 인한 피해를 사후적으로 구제하기 위한 손해배상법제정립에 관한 국제사회의 합의를 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임박한 시점에 발효가 예상되는 추가의정서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방향에 관하여 살펴보고, 추가의정서에서 예정하고 있는 실효적 손해배상법제의 도입을 전제로 재정보증제도 정립에 관하여 국제적 동향 및 입법례를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어떠한 경우이든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손해배상에 관한 특별법제의 도입이 이루어질 경우 사업자 등의 배상책임부담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이고, 제도의 구축이 근본적인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책임의 인정뿐만이 아니고 청구권의 실현가능성을 위한 재정이 보증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비교법적 검토방법을 이용하였다. 손해배상특별법제가 도입되는 경우 실효적 구제를 위해 재정보증제도의 도입은 필수적이다. 우선적으로 LMO 사업자들이 책임보험가입을 의무화하는 것이 방안이 된다. 이는 손해배상특별법제와 동시에 입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보험의 특성상 위험을 계산하기 위한 정보가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므로 구체적인 시행은 하위법에 위임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경우의 피해자 구제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강제기금제도의 활용이 적합하다. 기금제도는 보험제도와 같은 한계가 없어 제도 운영이 비교적 자유롭고, 기금을 통한 손해보상 사유를 자유롭게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기금의 참여자 확정의 문제, 기금액 조성 기준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만약 특별법제가 도입되지 않는다고 해도 강제기금 제도의 활용은 가능하다. 이는 민사법리와 독립하여 운영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손해배상청구권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해자 구제를 위해 지급을 결정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은 제5조 제1항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적인 이용에 대하여 유전자변형생물체가 끼칠 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마련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강제기금제도에 대한 정책을 입안할 수 있다. 나아가 제34조는 “국가책임기관의 장은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수출입등과 관련하여 국민의 건강과 생물다양성의 보전 및 지속적인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손해배상책임에 대한 특별법제와는 별개로 이 조항을 근거로 기금조성에 대한 정책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것이 피해자 구제를 위한 실질적 대책이 된다. The Nagoya–Kuala Lumpur Supplementary Protocol on Liability and Redress was finally adopted on 15 October 2010 at Nagoya, Japan. The Supplementary Protocol seeks to deal with damage to biodiversity as well as ‘associated’ traditional material or personal damage. But this Supplementary Protocol has just suggested overall outlines, not devising more details, and it was left as a burden on the nations concerned. So a discussion to enact the text as to the Liability and Redress which was suggested in the Supplementary Protocol is necessary. Therefore the special legal liability system for LMO Accidents being imported, this paper has given an overview of legal trends about the financial security system around the world. I think business operators will have a lot more responsibility than now in any events if the special legal system is introduced. Accordingly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ecure enough compensation is to examine whether the financial security obligation would be compliant with the national treatment principle. To do this, this paper has reviewed that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legal systems. For the time being, parties may legislate for the coverage of liability through financial securities e.g. “LMO liability insurance” But this way would be not enough to cover the damages because of the lack information for risk computation. So this paper has proposed mandatory funds as a possible alternative to the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Mandatory funds as financial securit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liability insurance in that there is no need to establish civil liabilities. However, the details(e.g participant, amound and so on) should be decided first.

      • KCI등재

        독일 주거소유권법의 규약과 의사결정

        신봉근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6 동북아법연구 Vol.10 No.1

        독일 주거소유권법(WEG)의 입법적 목적은 집합건물의 효율적인 관리와 주거 생활의 안정이며, 그 주요 내용은 주거소유권의 체계적 · 통일적인 관리와 이용에 관한 것이다. 독일 주거소유권법(WEG)의 ‘규약’은 주거소유권자들의 약정과 조직체의 결정에 관한 규범적 요약이다. 이러한 규약의 법적 성질은 단순한 자치규범을 넘는 특별한 효력, 즉 채권계약 이상의 객관적 효력이 부여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규약이란 ‘구분소유자 단체의 최고의 자치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독일 주거소유권법에서의 규약(Gemeinschaftsordnung)은 계약(Vertrag)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규약의 설정과 변경에는 새로운 계약으로서의 주거소유권자 ‘전원의 합의’가 필요하다. 독일 주거소유권법은 공동체의 규율에 대하여,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과 단순 과반수에 의한 결의를 상정한 후,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을 원칙으로 하고 단순 과반수에 의한 결의를 예외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이 문제점을 표출하자, 규약에 관한 다수결의 원칙의 도입을 취지로 하는 주거소유권법 개정론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거소유권법 개정론을 무마시킨 해결 방안 중 하나는 독일 민법(BGB) 제242조의 신의칙에 의한 규약의 변경 청구와 이에 따른 동의 의무의 발생이고, 다른 하나는 규약으로만 규제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서까지 집회의 결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는 특별결의조항(Öffnungsklausel)의 설정에 의한 규약의 변경이다. 독일법에서는 주거소유권자가 어떤 사항을 전원합의에 의한 규약에 의해 결정할 필요가 있는가, 그렇지 않으면 다수결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가는 당해 사항에 관하여 주거소유권자가 ‘결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가의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A Condominium is very popular in modern society. Individually owned units are independent in structure and utilization, but they are parts of a condominium with other individually owned units in shape. So, a resid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other residents. As a result, the legal relation, that is to say, many problems about rights and obligations of resident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t is the reason to need a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The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is a means of decision-making. Management association makes it independently. It is a rule and a basic order of an organization to form a community. It is made by 'contracts' and 'resolutions' of partitioned owners. It has a special legal effect to transcend a contract that generates a credit. In other words, It is a supreme autonomic norms of partitioned owners-community. German residence-ownership act have an effect on the Korean and Japan act of it. But, they are different an another, and have a distinct characteristic. In the German residence-ownership act, It is created, revised and abolished by the agreement of all divided owners. It contains important items to have to do with a ownership. It has brought about some problems. One of the solution is the request for a revision of it by the good faith doctrine(BGB §242). The other is the revision of it by the enactment of special resolution clauses. It is natural that the study on it is very meaningful, because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daily life. I think the Collective Building Management Rule of Korea has to be improved. I hope that this paper help it.

      • KCI등재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제고

        이재삼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9 동북아법연구 Vol.13 No.1

        청소년이란 나라의 든든한 미래이므로 그들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에 대한 가정과 사회 및 국가의 책임이 수반되어야 하며 또 이에 따른 지원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사회적으로 청소년들의 건강한 성장에 유해한 물질⋅물건⋅장소⋅행위 등 각종 유해 환경에 둘러싸여 있는 환경에 기인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청소년들의 자살, 학교폭력이나 가출, 유해약물, 유해업소, 학대 등 부정적인 청 소년 문제가 사회의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에 대한 법적 문제로서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개념의 혼란, 청소년 자신의 책임, 청소년에 대한 가정의 책임, 청소년에 대한 사회의 책임, 청소년에 대한 국가의 책임 등이 문제 가 되고 있다. 우선,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에 대한 개념이 불확실하다. 청소년의 연령이 법적 으로 각각 달리 규정하고 있어서 혼란이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의 문제가 날로 심화되고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면서 위기 청소년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또 가정에서 자녀에 대한 무관심과 방임 또는 학대 등으로 인하여 자살, 폭력, 가출, 유해환경 접촉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아울러 현대 사회의 문제화로 인하여 청소년에게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입시 경쟁, 취업 지연, 청소년 범죄, 환경오염, 나쁜 건강 상태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 밖에 정부의 청소년 정책의 체계성과 일관성 부족, 청소년 육성⋅지원 추진체계 부진 등이 문제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개념의 통일화, 청소년의 권리에 따른 의무의 충실화, 가정에서의 자녀 교육과 지도의 충실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도의 충실화, 국가의 청소년 정책 강화 등이 요망된다. 우선 청소년의 민주적인 가치관 정립과 지도력 강화를 위해서 인성과 전문지식의 함양, 건강과 봉사정신 강화, 문화적 정체성 확립 등이 중요하다. 그리고 가정에서는 자녀에 대한 사랑과 관심으로 지도하며 개성과 자아실현에 힘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모 는 자녀와 진솔한 관계형성, 자녀에 대한 수용과 존중, 엄격함과 자애로움의 균형, 토론⋅조언⋅ 충고의 제공자가 되어야 한다. 또 사회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유해환경의 사전방지와 경제적⋅사 회적⋅문화적⋅정신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주어야 한다. 아울러 국가 의 청소년 정책에 있어서는 미래 청소년을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마련과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 적이며 일관성 있는 정책의 수립⋅시행이 필요하다. 이상 청소년 지도에 있어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서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개념에 대한 통일화를 위한 입법적 보완, 청소년 자신과 가정⋅사회⋅국가 등의 책임 강화, 그리고 청소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방지 제도와 권리에 따른 의무가 수반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youth are the dependable future of the country, so we must contribute to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Therefore, responsibilities of the family, society and the nation to the youth have to be accompanied, and we should not spare any effort according to premise. What have become problems to the youth these days results from the various noxious environments surrounding them such as the material, items, places and acts harmful to their healthy growth and as a result, negative youth problems such as suicide, school violence, runaway, dangerous drugs, harmful businesses, abuse, etc.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in society. In particular, confusion on the concept of youth under the Framework Act on Juveniles, responsibility of the youth themselves, the family’s responsibility to the youth, the society’s responsibility to the youth, and the nation’s responsibility to the youth have become problematic as the legal issues for the youth. First, the idea on the youth is unclear according to the Framework Act on Juveniles. The age of the youth is defined differently under different laws, which causes confusion. And as youth problems become aggravated and significant as a social problem, the number of youth in crisis increase every year and the issue is becoming more complex. In addition, suicide, violence, runaway and contact with harmful environment have become a problem due to indifference, neglect or abuse at home. Also, the problems of the modern society are having a negative impact on the youth. Competition in college admission, delays in finding employment, juvenile crimes, environmental pollution, bad health, etc. have become problematic. In addition, the lack of systematic and consistency in the youth policy of the government, poor promotion system of fostering and support of the youth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problems. For these issues, harmonization of the concept of the youth under the Framework Act on Juveniles, faithfulness to the duties to the rights of the youth, devoted education and guidance on the youth at home, devoted social guidance on the youth and strengthening the youth policy on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First,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good characters and professional expertise, strengthen health and service spirit and establish a cultural identity. At home, we need to guide the youth with love and concern on children and strive for them to realize their individuality and self.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we need to form a hones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ccept and respect children, maintain a balance between austerity and benevolence, and become a provider of discussions, advices and counseling. Also, the society in general must prevent environment harmful to the youth in advance and help the youth in difficult situations economically, socially, culturally and psychologically. In addition, we need to provide legal and systematic measures for the future youth and establish and implement more long-term, systematic and consistent policies. As the detailed action plans for youth guidance, we need complementary legislations for the unification of the concept of youth under the Framework Act of Juveniles,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youth themselves, family, society and the nation, and to ensure that the preventive measures to ensure youth problems do not occur and responsibilities to their rights are accompanied.

      • KCI등재

        쟁점으로 본 일본행정법의 현상(現狀)과 과제 - 행정법총론을 중심으로 -

        유진식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0 동북아법연구 Vol.13 No.3

        본고는 행정법총론 가운데 전통적인 테마를 소재로 하여 일본 근대행정, 행정법의 에토스라고 할 수 있는 국가이데올로기에 바탕한 공익을 우위에 둔 권위적인 행정법이 학설과 판례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면서 이를 극복해가고 있는가 하는 점에 중점을 두고 살펴본 글이다. 먼저 행정법의 기본원리 가운데 법치주의에 관해서는 독일식의 표현인 「법률에 의한 행정의 원리」 가운데 법률유보론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았다. 그런데 법률유보론 가운데 패전 이전의 통설인 침해유보설이 패전 후 일본국헌법의 제정에 따라 주권이 천황주권에서 국민주권으로 바뀌고 또 국가의 기능변화에 따라 다양한 학설이 주장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유력한 설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은 매우 흥미 있는 사안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공익 우위의 행정법의 전형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 공•사법구별 이원론이 학설에 의해서 해체되어 대부분의 학자들이 수용하게 된 것 또한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이다. 행정법방법론의 경우 행정행위 중심에서 행정과정론 그리고 법적 시쿠미론으로 계속 그 한계점을 의식하며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어서 행정법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행정행위론의 경우, 다나카 지로우에 의한 분류체계, 공정력이론 그리고 재량론에서 학설과 판례가 서로 상호작용 하면서 일본법 특유의 이론을 형성해 가고 있는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행정입법은 법규명령과 행정규칙이라는 전통적인 분류방식은 그동안의 학설과 판례의 영향으로 1993년 행정절차법에 심사기준이 규정됨으로써 양자는 상대화의 길을 걷고 있음을 알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메이지기부터 존속해온 공익을 위위에 둔 행정법이 학설과 판례에 의해서 어느 정도 극복되어 왔지만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말을 덧붙이고 싶다.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