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성과 현대성의 경계

        이경영(Lee, Kyung-Young)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5 No.-

        본 논문은 시조의 형식장치가 오늘의 현대시조에 와서 어떻게 변형되고 이탈되고 있는지를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살폈다. 章의 특성과 이 특성을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으로 하여 생기는 오해의 상황들, 句의 이탈과 한계, 음보의 分行과 이탈 등에 대해 실제 작품들을 분석하여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시조의 章은 자유시의 행(line)처럼 쓰이기는 하지만 행과는 전혀 다른 속성을 보여준다.시조의 3章은 ‘3단위 의미구조’를 갖고 이는 1단위(초장) 2단위(중장) 3단위(종장)라는 의미의 3분절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통사 의미론적 연결고리를 이루는 3개의 章”과 “두 구가 결합될 때 보다 큰 의미 단위의 장이 이룩”되는 점을 감안해보면 시조의 초·중·종장은 일단 하나의 완결된 시상을 가지면서, 각 장별로는 별개의 작은 의미구조와 두 개의 句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章의 특성을 잘못 이해하여 각장이 별개의 작은 의미구조를 갖지 못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고 있다. 또한 오늘날의 현대시조는 장 구분의 표시가 없거나 불명확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현상은 일반 독자들로 하여금 시조 장르의 인식에 심한 혼란을 가져와 현대시조 장르 확산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 연시조를 연 구분이 없이 배열한다든지, 한 수를 한 행으로 처리 한다든지, 각 장을 한 연으로 구분하여 시원하게 보이게 하는 방법들은 일견 자유시와 별반 다르지 않게 보이게 하여 세련되게 보일런지 모르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는 점을 명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세련되고 현대적인 감각이라는 인식 자체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적 상황에 맞게 이러한 방법들이 구사되어야 올바른 시적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句가 이탈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초장과 중장의 경우는 ‘1음보-3음보’의 행 가름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무자각적으로 사용하는 시인 개개인의 습관과 관련이 깊다. 종장은 초?중장과는 달리 첫 음보의 독립적 성격으로 인해 ‘1음보-3음보’의 행 가름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의 역전 형태인 ‘3음보-1음보’의 행 가름은 문제가 있다. 章의 겹침, 한 음보의 分行과 이탈에서는 현대시조에 있어 언어 실험에 몰두하면서 말과 언어의 사유에 대한 깊은 탐색을 보여준 류제하의 작품에 드러난 문제점을 살폈다. 그의 작품은 章 구분이 행으로 구분되지 않는 파격을 보이고 있다. 한 행에 두 장이 겹침으로써 언어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고 있기도 한다. 한 음보를 2행 이상에 걸쳐 분행하고 있는 것도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오늘날의 현대시조는 형식 장치에 있어 늘 해체의 위험에 시달리고 있다. 해체를 강조하는 입장은 늘 전통에 대한 계승적 차원을 강조하며 자기 혁신적 노력이 없는 현대화가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며 새로운 변신에 대한 명분을 쌓아간다. 전통성과 현대성의 미묘한 경계 위에 오늘날의 현대시조는 놓여있다. 논리적 근거를 갖추지 못한 관습적인 사용과 현대적 기법을 빙자한 무분별한 태도로 시조의 본모습을 잃어버린다면 큰 비극이 아닐 수 없다. 본 논문은 현대 시조의 실제 작품을 중심으로 가감 없는 비판의 소리를 담았다. This thesis examined how the type device of sijo is being transformed and breaking away in modern sijo of today in three aspects. I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erses and situations of misunderstanding occurring by not identify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approached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about deviation and limit of phrases, deviation and line separation of Eumbos (see note) etc. by analyzing actual works. Though a stanza of sijo is used as lines of free verse, it shows completely different properties from lines. 3 verses of sijo has ‘3-unit meaning structure’ and this contains three segments of meaning, 1unit (first), 2unit (middle), 3unit (last). Considering that “3 verses forming syntactic semantic links” and “a verse of much greater meaning unit is achieved when 2 phrases are combined”, it can be seen that first·middle·last of the 3 verses of a sijo poem has one completed poetic concept and each verse has individual a small meaning structure and 2 phrases. Sometimes the case that each verse does not have separate small meaning structure due to wrong understanding about characteristics of verses. Also, today’s modern sijo has no mark for verse classification or is unclear and this phenomenon is more likely to act as a negative element in modern sijo genre spread because it causes severe confusion to general readers’ recognition on sijo genre. The methods of arranging a serial sijo without a stanza, treating a poem as a line, and making it look cool by classifying each verse into one stanza may look stylish since they do not look different from free verse at first glance but it needs to be recognized it is never like that. The recognition itself that this is stylish and modern sense has a problem and proper poetical outcome can be achieved when these methods are used according to poetic situation. The case that phrases are deviated occurs frequently. In case of the first and middle, line separation of ‘1 Eumbo-3 Eumbos’ occurs frequently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habit of individual poet using unconsciously. Unlike the first and middle of the 3 verses, in case of the last, line separation of ‘1 Eumbo-3 Eumbos’ is not a problem due to the independent nature of the first Eumbo. But its reverse from, line separation of ‘3 Eumbos -1 Eumbo’ has a problem. For deviation of line separation of one Eumbo, overlapping of verses, problems reveled in the work of Je Ha Ryu that showed deep exploration on thinking of words and language, while immersed in the language experiment in modern sijo. His works show exception that a verse is not separated by lines. The normal flow of the language is also disrupted by overlapping two verses in one line. The problem was also pointed out that one Eumbo is separated over 2 lines. Today’s modern sijo always suffers from the risk of dissolution in type device. Position emphasizing dissolution is building justification for the new transformation, saying that what modernization emphasizing succession of tradition without self innovative effort means. Today’s modern sijo lies on the delicate boundary of tradition and modernity. It must be a great tragedy if the true identity of sijo is lost by conventional use without logical grounds and reckless attitude under color of modern technique. This thesis contained the sound of criticism without making any adjustments focusing on actual works of modern sijo. Through this thesis, if writers of modern sijo take a cautious attitude in type devide of sijo and become more sober about their works, the meaning of this paper, which volunteered somewhat bitter criticism, would be slightly more shone

      • KCI등재

        滄旅 張鎭弘의 생애와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의거

        이성우(Lee, Sung-wo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7

        張鎭弘은 1895년 경북 칠곡군 인동에서 태어났으며, 1927년 10월 18일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의거를 거행했다. 그가 민족운동의 길로 나서게 된 것은 고향 인동에 설립된 仁明學校에 수학하면서부터이다. 그는 인명학교에서 동지 李乃成을 만났고 교사로 근무하던 스승 張志必을 만나 항일의식을 형성했다. 장지필은 경북 고령의 乃山書堂에서 수학하며 李斗勳의 가르침을 받았다. 이두훈은 寒洲 李震相의 제자로 대표적인 한주학파였으며, 그의 가르침을 받은 장지필도 寒洲學脈을 계승하고 있었다. 장지필과 장진홍이 한주학파 문인들과 독립운동을 함께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장진홍은 인명학교에서 수학한 후 1914년 조선보병대에 입대해 근무했으며, 조선보병대를 마친후 만주로 건너갔다. 그는 1918년 중국 봉천에서 이내성의 소개로 金正默·李國弼을 만나 독립운동 방략을 논의한 후 러시아 하바로브스크에서 군대양성에 주력했다. 그러나 러시아 백군과 적군의 전투가 격렬해지자 국내로 돌아왔다. 그는 국내로 돌아온 후 3·1운동 과정에서 일제 가 자행한 만행을 조사해 세계 각국에 배포하는 일을 추진했다. 장진홍은 1927년 10월 18일 벌꿀상자로 위장한 폭탄을 전달해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의거를 단행했다. 그는 의거직후 일제경찰의 추적을 피해 경북 선산과 안동·영천일대에서 은신하면서 또다시 영천경찰서 폭파를 준비했으나 실행하지 못했다. 장진홍은 일제의 수사망을 피해 일본으로 건너가 은신하던 중 체포되었으며, 1930년 7월 31일 옥중에서 자결 순국했다. 장진홍 의거는 1920년대 후반 경북지역에서 전개된 대표적인 의열투쟁이었다. 일제는 장진홍 의거의 배후를 파악하지 못했고 단독의거로 결론지었다. 그러나 장진홍 의거는 1920년대 경북지역의 독립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특히 金昌淑이 중심이 되어 전개한 제2차 유림단 의거와 국민당과 북경한교동지회, 다물단 등 해외독립운동단체와 유기적으로 연계된 의거였다. 이러한 성격은 장진홍의 스승인 장지필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이었다. 장진홍과 이내성이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의거를 계획한 것은 1926년이다. 당시 장진홍과 이내성의 활동은 장지필과 김정묵, 그리고 이들과 연계된 김창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장지필과 김정묵은 상해에서 김창숙과 함께 활동을 벌였고, 그가 주도한 제2차 유림단 의거 당시 국내에서 활동했다. 김창숙과 장지필, 김정묵은 모두 한주학파로 의열단과 관계가 있었다. 이를 통해 보면 장진홍 의거는 단독의거가 아니라 장지필·김정묵·김창숙과 관계 속에서 전개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특히 김창숙이 국내에서 자금을 모집하던 시점에 대구에서는 李定基가 비밀단체 암살단을 조직했다. 이정기도 한주학맥을 계승하고 있었다. 그는 1925년 1월 북경에서 南亨祐·金昌淑·裵天澤과 만나 자금모집과 파괴·암살을 목적으로 하는 비밀단체 조직을 협의했다. 그는 1925년 9월 남형우와 배천택으로부터 무기제조법을 습득하고 권총 2정과 탄환을 받아 귀국한 후 대구를 중심으로 ‘암살단’을 조직했다. 그런데 김창숙·남형우·배천택은 1923년 3월과 1924년 8월 북경에서 조직된 국민당, 북경한교동지회에서 주도적인 활동을 벌였으며, 1925년 4월 북경에서 조직된 多勿團의 핵심인물이었다. 이정기가 1925년 9월 귀국해 암살단을 조직했다면 그가 조직한 암살단은 다물단의 국내조직적 성격을 갖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김창숙의 자금모집에 암살단원들이 참여했고, 장진홍도 이에 참여했다고 보아야 한다. 김정묵과 함께 북경한교동지회에서 활동했던 장택원이 장진홍과 함께 의거를 추진한 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장진홍 의거는 단독의거가 아니라 1920년대 경북지역 독립운동, 한주학파의 독립운동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 KCI등재

        ‘장(場)이론’의 관점에서 본 현대 건축의 장소성 구축에 대한 연구 : 프랭크 게리(F. Gehry)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희영,조승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2

        본 연구는 장이론에서 나타나는 이론적인 특징들을 바탕으로, 현대 건축에서 재현되고 있는 물질과 장이 지니고 있는 운동의 결과가 장소성 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서술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축의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이론적 결과를 바탕으로 장이론이 현대건축에서 장소성을 구축함에 있어 하나의 방법론으로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장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도출된 상호침투, 중첩, 영역의 특징을 서술하고, 이러한 특징들을 장소성 구축을 위한 도구로 적용하기 위하여, 각각 ‘변환’, ‘융합’, ‘퍼짐’ 등으로 치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틀(frame)을 바탕으로 F. Gehry의 작품을 선택하여, 장이론이 건축에서 장소성을 구축하는데 있어 해석적인 방법으로 적용 가능함을 제시한다.

      • KCI등재

        부르디외와 라투르의 대질과 수정: 사회과학 지식체계에서 장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김동일 ( Dong Il Kim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18 No.2

        부르디외는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를 비판적으로 종합함으로써, 동시대 사회과학의 지식생산과 축적과정에서 참조할 만한 중요한 성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부르디외의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장 개념은 그것의 성과와 장점뿐 아니라, 몇 가지 한계들을 노정하고 있으며, 사회과학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연구자는 이점들에 대한 비판과 수정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장-아비튀스 개념을 사회과학의 지식생산체제에 적용하려는 부르디외의 성찰적 사회학의 가능성 역시 일종의 규범적인 요구(normative requirement)에 불과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첫째, 부르디외는 장의 자율성을 이념형적으로 규정하는 반면, 그것의 자율성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차별성에 관해서는 달리 고려하지 않고 있다. 둘째, 부르디외는 장의 자율성에 지나치게 경도한 나머지, 장과 장들, 장과 사회공간 사이의 상동성의 테제에 관해서는 차별적인 설명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셋째, 부르디외는 실천을 장내 위치와 관련시킴으로써, 장의 자율성에 상응하는 실천이론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연구자는 논문에서, 부르디외의 아비튀스와 장 개념의 기본내용과 사회과학 자체에 대한 성찰적 함의를 검토하고, 그의 장이론이 갖는 몇 가지 한계들을 논증할 것이다. 아울러, 부르디외의 장 개념이 갖는 한계를 부르노 라투르의 `이해관계번역`(translation of interests) 개념과 대질시킴으로써 부르디외 뿐 아니라, 라투르의 이론에 내재된 한계 또한 우회하는 또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부르디외와 라투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정하는 작업은, 부르디외 사회학의 정점에서 핵심적인 실천과제 가운데 하나였던 사회과학 장 자체의 자율성을 제고하는 과정에도 나름의 긍정적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Pierre Bourdieu, a French sociologist, brought meaningful, important outcome to which can be referred, by critically synthesizing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in procedure of producing and accumulating knowledge of contemporary social science. But, I think that there are not only productive outcome and strength, but also some serious limitations in Bourdieu`s concept of `field`, and these could be obstacles in achieving autonomy of social science, if not treated carefully. I will argue in this paper that without criticizing and revising these limits in Bourdieu`s social theory, Bourdieu`s attempt of reflexive sociology that tries to apply the conceptual combination of field and habitus to system of production in social science could become no more than an `normative` requirement at most. First, almost every case, Bourdieu supposes autonomy of field as ideal level, but doesn`t consider the concret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ub fields. Second, Bourdieu does not develop further explanation on homology thesis between a certain field and other fields, and social spaces, but gives his theoretical energy excessively to explaining and investigating the autonomy of field. Third, Bourdieu does not develop theory of practice corresponding to autonomy of field by relating practice to the position of actors in field. I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cepts habitus-field and reflexive sociology on social science itself, and argue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Bourdiue`s social theory. In this course, I will introduce another French sociologist of science Bruno Latour`s `translation of interests` and confront it with the limit of Bourdieu`s field theory. In doing so, I will try to find another way to detour the limitations of not only Bourdieu but also Latour. This attempt to examine critically and remodify mutually both Bourdieu and Latour can provide the positive possibility in the procedure of trying to increase the autonomy of social science field that is one of the key subjects in Bourdieu`s reflexive sociology.

      • KCI등재

        대학생의 브랜드화장품 판매직에 관한 직업 인식 및 이해

        최윤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미용 화장품 분야의 새로운 직군인 브랜드화장품 판매직의 직업적 인식과 이해와 관련하여 24개 문항을 설문 조사하였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을 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화장품 판매직은 조사대상의 40% 이상이 좋은 이미지로 인식하였고, 직업 인식의 경우 46.9% 가 호의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의 42.9%가 직업적 안정성이 가장 부족하며 꿈의 실현을 할 수없을 거라고 여겼 고 36% 이상이 미래 성장성이 없는 직업으로 인식하였다. 사 회적 지위 인식은 34.4%가 낮은 것으로, 57.3%가 전문성을 요구하는 직업으로 인식하였다. 하루 평균 8시간 이상의 근무 와 20대 중 후반에 어울리는 직종이라 여겼으며 노동의 강도 가 강하며 직무 만족도는 보통인 직업으로 느끼는 비율이 가 장 높았다. 업무상 불만족 요소는 고객 응대의 부담감이며, 직무 만족이 높은 이유는 쾌적한 환경에서의 근무로 조사되 었다. 그러나 대다수가 휴일과 휴식 시설이 부족할 것이라 여 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시작으로 브랜드화 장품 판매직의 직업적 인식이 사회적으로 향상될 필요가 있 으며 미용기술 외에 화장품의 이해와 브랜드의 특성, 감정노 동 등의 교과목 개발과 적용으로 새로운 직군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의 변화가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 를 시작으로 새로운 직업군인 브랜드화장품 판매 직종의 근 무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92 university students on 24 questions regarding the pro fessional guidance and understanding of branded cosmeti cs sales staff, which is a new direct connection in the fiel d of beauty and cosmetic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 ysis and cross-sectional analysis. gone. As a result, it wa s investigated that more than 40% of the university stude 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had a good image of a brand cosmetics salesperson, and 46.9% had a good ima ge of vocational guidance. 42.9% thought that their drea ms could not be realized due to lack of vocational stabilit y, and more than 36% recognized that they were professi ons with no potential for future growth. Social status rec ognition was as low as 34.4%, and occupational recogniti on requiring specialization was 57.3%. Also,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is 8 hours or more, it is evaluated that it has a strong labor force in a profess ion suitable for the mid to late 20s. The cause of the com plaint was the burden of customer service, and we invest igated the reasons for high vocational satisfaction in a co mfortable environment. However, I knew that most peopl e had a negative perspective that there were no holidays or rest facil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vocational awareness of brand cosmetics sales staff in thi s research, and in addition to beauty technology, stable a daptation to sales staff and work through the developmen t and adaptation of education on understanding cosmetic s, brand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I hope it hel ps to improve the environment.

      • KCI등재

        「莊子序」 眞僞 問題와 郭象의 『莊子』 編輯에 관한 고찰

        오일훈(Oh, Ilho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8 道敎文化硏究 Vol.49 No.-

        본 논문은 1978년 발표된 王利器의 논문에 의해 촉발된 「莊子序」 眞僞 問題의 논점과 한계 그리고 그 동안의 논의에 대해 살펴보고, 郭象의 원본 「장자서」로 지목된 高山寺 『莊子』 곽상 「後語」에 나타는 곽상의 『장자』 편집의 경위와 그 의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왕리기에 의해 제기된 통행본 「장자서」 僞作說은 역사적인 증거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으나, 「장자서」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왕리기의 논문 이후 「장자서」 진위문제에 대한 논의는 주로 「장자서」와 『장자주』 사이의 사상적 同異에 주목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학자들 간의 분명한 견해차가 상존해 있는 상황이다. 일본의 중국학자 古勝隆一은 기존의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魏晉時期의 注釋史的 傳統속에서 주석서 서문의 형식적인 측면에 주목하였으며, 곽상 「후어」에 보이는 위진 시기 주석서의 특징을 통해 진본 「장자서」임을 주장하고 있다. 아직까지 통행본 「장자서」 진위 문제와 곽상 「후어」의 성격과 지위에 대한 학자들 간의 일치된 견해는 없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곽상의 『장자주』 연구의 폭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곽상 「후어」의 학술적 가치는 곽상의 『장자』 편집의 기준과 경위 그리고 그 의도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있다. 곽상은 고본 『장자』의 오염을 지적하고 『장자』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편집하였다. 곽상의 『장자』 편집은 『장자』를 복원하는 데 있지 않았다. 곽상은 장자 ‘妄竄奇說’에 의해 왜곡되었다고 주장하였는데, 그가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비판의 대상을 『장자주』를 통해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것은 莊子의 生死觀을 ‘樂死惡生’의 說로 이해하는 從來의 說, 隱者를 높이는 사회풍조 그리고 莊子를 ‘辯者之類’로 이해하는 경향이다. 물론 이러한 비판에는 『장자』를 ‘經國體致’의 서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곽상의 의도가 담겨 있으며, 당시의 사회적·정치적 모순에 대한 비판과 지배층에 대한 自省의 경고가 담겨져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troversy on the authenticity of Guo Xiang’s Zhuangzi Preface which was triggered by Wang Liqi in 1978, and analyze the details of revision and intention in Guo Xiang’s Postface to Zhuangzi manuscript at the Kōzanji in Kyoto, Japan which is regarded as the original Preface by Wang Liqi and Kogachi Ryuichi. The controversy on the authenticity of Guo Xiang’s Zhuangzi Preface is based on Song huiyao jigao 宋會要輯稿 edited by Xu Song 徐松 which records the episode of deleting Guo Xiang’s Zhuangzi Preface. However, historical records can not offer any decided evidence. Scholars tend to focu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ought between Guo Xiang’ Zhuangzi Preface and his commentary to Zhuangzi to prove the authenticity Guo Xiang’s Postface to Zhuangzi manuscript at the Kōzanji is worth researching by that we can investigate the account and intention of Guo Xaing’s Zhuangzi revision. Guo Xiang revised Zhuangzi intentionally and deleted some chapters and passages which were similar to Shan Hai Jing 山海經, Huai Nan Zi 淮南子, and Zhan Meng Shu 占夢書, and related with Form and Name(形名). By revising and annotating Zhuangzi Guo Xiang intended not to explain Zhuangzi literally but to code his political stance and critical thinking on society and the ruling class.

      • KCI등재

        張晩의 대외정세 인식과 대중국 외교현안 대응

        허태구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6 No.-

        This paper examined Jang Man(張晩)'s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response to diplomatic issues with China, who served as the highest-ranking military and diplomatic experts from the reign of King Seonjo(宣祖) to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The important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Jangman(張晩)'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Hugeum(後金) changed little by little as the Hugeum(後金)'s power expanded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it changed. However, Jang Man(張晩) and other kings and servants of the Royal Court judged that the Hugeum(後金)'s top priority attack goal was not Joseon(朝鮮) or Mao Wenlong(毛文龍)'s military camp, so they did not see the possibility of a full-scale invasion of the Hugeum(後金) until just before the Jeongmyo Horan(丁卯胡亂). In the early days of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one of the most important security issues in Joseon(朝鮮) was the response to Mao Wenlong(毛文龍) and Liao Dong refugees(遼民). Jang Man(張晩) was concerned about the unintended war situation between Joseon(朝鮮) and Hugeum(後金) caused by Mao Wenlong(毛文龍)'s conspicuous and provocative armed demonstration against the Hugeum(後金). And he insisted on strengthening his defense posture. Second, Jang Man(張晩) was a competent practical official who was in charge of post-war defense in the Pyeongan-do(平安道) area devastated by the defeat of the Simha battle(深河戰鬪) and helped King Gwanghaegun(光海君)'s wait-and-see diplomatic route. Nevertheless, when dealing with various diplomatic issues related to the Ming(明), he still strongly recognized and dealt with the justification of Daemyeongeuirie(對明義理). His position and attitude did not change when dealing with problems related to Daemyeongeuirie(對明義理) in the reign of King Injo(仁祖). However, his Daemyeongsadae(對明事大) was not at all in the name of Daemyeongeuirie(對明義理), giving up Joseon(朝鮮)'s national interests. His move was distinct from Yi I-cheom(李爾瞻) and Yoo Hee-bun(柳希奮), who insisted on a strong Cheokhwa-ron(斥和論) against the Hugeum(後金). 이 논문은 선조대부터 인조대까지 최고위급 군사‧외교 전문가로 활약한 張晩(1566∼1629)의 대외정세 인식과 대중국 외교현안에 대한 대응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의 중요한 논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만의 대후금 인식과 평가는 後金의 세력이 확대되고 이를 둘러싼 대외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조금씩 달라졌다. 그러나 장만을 비롯한 인조대 조정의 君臣들은 후금의 최우선 공격 목표를 조선이나 毛營이 아닌 中原으로 판단하여, 정묘호란 직전까지도 후금의 전면적인 침략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았다. 인조대 초반의 조선의 가장 중요한 안보 이슈 가운데 하나는 毛文龍과 요동 난민에 대한 대응이었다. 장만은 후금에 대한 모문룡의 과시적이고 도발적인 무력시위가 조선과 후금 사이의 우발적 교전을 야기하는 상황을 우려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방어 태세 강화를 시종일관 주장하였다. 둘째, 장만은 深河 패전으로 초토화된 關西 지역의 전후 수습을 전담하며 광해군의 관망적이고 양단적인 외교노선에 힘을 보탠 유능한 실무형 관료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명과 관련된 다양한 외교현안을 다룰 때에는 여전히 對明義理라는 명분을 강하게 인식하며 대처하였다. 인조대 모문룡 문제를 처리할 때에도 이와 유사한 그의 입장과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對明事大가 대명의리라는 명분에 함몰되어 조선의 국익을 방기하는 성격의 것은 전혀 아니었다. 이러한 그의 행보는 후금에 대한 강경한 척화론을 주장하였던 李爾瞻, 柳希奮 등과는 구별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알칼리장석-일라이트가 육용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국길,김정은,정진형,김재필,선상수,김광현,정완태,정광화,안종남,이병석,정일병,양철주,양재은,Kook K.,Kim J. E.,Jeong J. H.,Kim J. P.,Sun S. S.,Kim K. H.,Jeong Y. T.,Jeong K. H.,Ahn J. N.,Lee B. S.,Jeong I. B.,Yang C. J.,Yang J. E.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4

        본 연구는 3주령의 육용오린 사료에 알칼리장석-일라이트를 0, 0+ 항생제, 0.5, 1.0 및 $1.5\%$ 첨가한 5처리구에 3반복으로 각각 12수씩 배치하여 43일간 급여하여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행하였다. 육성오리의 일당 증체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0와 $1.5\%$ 첨가구에서 약간 증가하였다(p>0.05). 사료섭취 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5).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처리구에서 약간 감소한 반면에(p>0.05) 혈중 요소태 질소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도체중과 도체율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5). 알칼리 장석-일라이트 급여에 의한 육용오리 가슴육의 조지방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5\%$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육색의 명도와 황색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지방산 패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약간 감소하였다(p>0.05).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에 의한 포화지방산 비율이 약간감소하는 경향인 반면에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에 의한 육성오리 간의 중금속 함량은 납 축적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 평가(appearance)에서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0와 $1.5\%$ 첨가구에서 외관의 유의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육성오리에 대한 알칼리장석-일라이트 급여는 증체량의 개선효과와 더불어 가슴육의 조지방 함량의 감소 그리고 관능평가에서 외관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upplemental alkali feldspar-ilite(feldspar)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 ducks for 43 days. One hundred eighty broiler ducks were divided into 5 groups of 12ducks. Dietary levels of feldspar 0, 0+antibiotics, 0.5, 1.0 and $1.5\%$ were added to experimental diets of each of the groups. Daily weight gain was slightly increased in 1.0 and $1.5\%$ feldspar treatments. Feed intake was slightly increased at all feldspar treatments. Glucose concentration of serum profile was decreased whereas BU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at $0.5\%$ feldspar.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decreased at all feldspar treatments, this difference was especially observed in supplemental levels of $0.5\%$ feldspar(p<0.05). Carcass weight was increased at all feldspar treatments. Moisture and crude fat contents of proximate chemical composition in duck meat were decreased at all feldspar treatment, this difference especially was observed in supplemental levels of $1.5\%$ feldspar(p<0.05) on crude fat content. Lightness and yellowness was increased at all feldspar treatment. Cholesterol contents and TBA in meat were decreased, but this parameters were not difference by feldspar treatment. The composition of saturated fatty acids(SFA) was decreased, whereas unsaturated fatty acids(USFA) was slightly increased by feldspar treatment. The Pb content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was increased with compared control, but not difference. The appearance of sensory evaluation was improved by supplemental feldspar, especially in supplemental feldspar, 1.0 and $1.5\%$(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upplemental alkali feldspar may improve the production and meat quality of broiler ducks.

      • KCI등재

        장이론(場理論)의 정립과 확장 - 『장자』와 부르디외의 장(場) 담론을 중심으로 -

        김덕삼,김태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8

        장(場)은 물리학, 심리학, 문학, 철학, 사회학 등에서 거론된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된 장 담론을 『장자』와 부르디외를 중심으로 고찰하며 장이론의 정립과 확장을 시도한다. 이를 통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장이론에 부합하도록 한다. 지금 우리는 ‘책임의 개인화-개인에게 책임 지우는 시스템의 문제’를 안고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에서 벗어나 서로 연계되어 있다는 공동체적 사고가 요청되는바 여기에 장이론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장은 환경, 상황, 입장, 영역, 구조 등의 의미를 갖는다. 본고에서는 『장자』와 부르디외의 장 담론을 ‘주체와 장의 상관성’과 ‘장의 중첩’에 집중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현실에 부응한 장이론의 정립과 확장을 모색하고자 한다. Field discourse is discussed in physics, psychology, literature, philosophy, and sociology.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discussions related to the field theory, focusing on Zhuangzi and Bourdieu, and attempt to establish and expand this theory. This consideration conforms to the field theory required by modern society. This is because we now live with the idea of the personalization of responsibility—the problem of a system that holds individuals accountable. A community mindset that all beings are linked to each other is required, away from passing on responsibility to individuals. Here, field theory can present a theoretical basis, where the field can mean the environment, situation, position, area, or structure. In this paper, the field theory of Zhuangzi and Bourdieu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field and the overlap of the field. Through this, we intend to establish and expand field theory so that it can live to reality.

      • KCI등재

        장(場) 개념의 사용과 확장 탐구

        김덕삼,이경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22 동방문화와 사상 Vol.12 No.-

        This The field concept mentioned in academics exists with a wide range of meanings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the study focused on the use and expansion of the field concept. To this end, the use of the concept of 'field' was first analyzed. The field concept, whi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iscourse on the field, was divided into symbolic use and deceptive use, and examined in physics, morphology, Chinese thought, structuralism, and sociology. Subsequently, the common meaning of the field concept shown in this use was analyzed. In other words, the common meaning was identified as a field that refers to one area, a field that implies perception of a relationship, and a field that has a multi-layered tendency. Subsequently, the value and necessity that the field concept should be studied and utilized were examined. At presen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effects and changes related to the field, but in the future, more accurate results will be derived, so continuous research on the field is needed. In addition, the field concept has a value that makes you think beyond the limits of the field, and furthermore, it can be the basis for community thinking, so the value and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field concept are great. An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expansion of the field concept was considered. This is an extension 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field and an extension as an overlap of the field. Through this paper, we review discourses on fields mentioned in various fields and think that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fields is a meaningful beginning for field theory research.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field' was expressed in various meanings, and the word 'field' was used in various ways. More verification and analysis will be requested in the future, and systematic analysis and the use of creative field theory will be requested, but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given in terms of organizing fields and considering future directions. 학문에서 언급되는 장(場) 개념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뜻을 가진다. 그중 본 연구는 장 개념의 사용과 확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 개념의 사용과 의미’에서는 ‘장’ 개념의 사용을 분석하였다. 장에 대한 담론이 형성될 수 있는 중요한 영향을 미친 장 개념을 기표적 사용과 기의적 사용으로 구분하여 물리학, 형태심리학, 중국 사상, 구조주의, 사회학 등에서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러한 사용에 나타난 장 개념의 공통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즉, 하나의 영역을 말하는 장, 관계에 대한 인식을 내포하는 장, 다층적 성향을 갖고 있는 장으로 그 공통된 의미를 파악하였다. ‘Ⅲ장 개념의 가치와 확장’에서는 먼저 장 개념이 연구되고 활용되어야 할 가치와 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로서는 장과 관련된 영향과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지만, 향후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장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장 개념은 장의 한계를 넘어 생각하게 하는 가치를 갖고 있으며, 나아가 공동체적 사고의 기초가 될 수 있기에 장 개념에 대한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장 개념의 확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는 주체와 장의 관계로서의 확장, 장의 중첩으로서의 확장이다. 장 개념은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장 개념 자체에 대한 통합적 접근의 연구와 정리는 전무한 편이다. 향후 체계적인 연구와 창의적인 장이론의 확장이 진행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장 연구의 방향과 가능성을 가늠한다는 측면에서 일정 정도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