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교육을 위한 인성 교과목의 평가과제 및 평가도구 개발-J대학 <인성과 소통> 교과목을 중심으로

        최경애,이영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erformance tasks and evaluation tools for competency-based personality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of college. For this, first of all,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and character education (CE), and then selected the subject <Personality and Communication> as a mandatory course for personality education. Then, under the consulting of experts on competency modeling and CBE, the essential learning elements of the subject were analyzed in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while the behavioral indicators for the competencies were defined and developed, along with the performance tasks and evaluation tools reflecting these behavioral indicators. Lastly, the evaluation methods and tools were validated through Delphi Research by 6 experts. As a result, firstly, 6 core competencies to be cultivated (self-esteem, morality, responsibility, self-expression, understanding others and empathy, coordination and collaboration) were selected for this course, 63 learning elements, and 13 behavioral indicators were drawn as the criterion for competency evaluation. Secondly, 4 core performance tasks, and lear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to combine learning elements and to demonstrate competencies in complex contexts or interpersonal situations, like discussion worksheets, and team projects activities, personality growth reports, reflection journals, etc. Thirdly, evaluation tools for 20 evaluation criteria for 5 evaluation methods for all tasks and activities were developed and revised through Delphi research.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과정에 편성된 인성 교과목의 역량기반교육을 위해 필요한 수행과제 및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교육과 인성교육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인성역량 향상을 위한 J대학 기초교양 교과목 <인성과 소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교과목의 학습 요소를 지식, 기술, 태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라 핵심역량별 필수학습요소를 정의하고 역량별 행동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행동지표를 반영하는 수행평가방법 및 지표의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평가방법 및 지표에 대해서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역량기반교육으로서의 인성교과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6가지 핵심역량(자기긍정성, 도덕성, 책임감, 자기표현, 이해와 공감, 조정과 협력)을 기반으로 평가기준이 되는 행동지표가 설정되었으며, 복합적인 맥락이나 대인관계 상황에서 역량 관련 지식, 기술, 태도 요소들을 결합하고 능력을 발휘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수행과제와 학습활동 및 평가방법이 설계되었다. 수행과제 및 학습활동에는 1) 수업 내용을 충실히 학습하기 위한 주차별 팀 토론 및 활동지 작성, 2) 학습한 지식, 기술, 태도를 행동으로 실천하는 인성실천활동, 3) 자신의 인성성장 및 변화를 성찰하는 인성역량 성장사례보고서, 4) 개별성찰일지 외에 5) 협동학습에서의 참여도와 동료의 핵심역량을 평정하는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가 포함되어 총 5개의 평가도구가 개발되었다. 끝으로 개발된 평가도구에 대해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20개의 평가지표가 개발, 포함되었으며, 마지막에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공공부문 역량평가센터(assessment center) 평가자의 역량모델 개발

        박소연(So-youn Park),신범석(Bum-seok Shin) 한국정책과학학회 2014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8 No.4

        본 연구는 역량평가센터(assessment center) 평가자의 역량모델을 개발하여 평가자의 선발 및 육성에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한 역량분석틀 구성, 전문가 면담을 통한 역량모델안 설계, 타당성 검증 및 수정보완의 절차를 거쳐 10개 역량 및 30개 행동지표로 구성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공공부문 역량 평가자에게는 책임감, 판단력, 객관성, 윤리성, 역량 이해력, 평가대상 이해력, 평가체제 이해력, 평가 운영능력, 평가기법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역량의 중요성을 분석한 결과, 객관성, 윤리성, 책임감과 같이 주로 평가자의 자질 및 태도와 밀접하게 관련한 역량이 전반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운영능력, 평가기법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개발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역량 이해력, 평가대상 이해력, 평가체계 이해력은 개발가능성이 높은 역량으로 나타났으며, 판단력, 책임감, 객관성, 윤리성의 개발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역량모델에 기초하여 역량평가센터 평가자의 역량분석 및 모듈식 역량개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 model of assessors in the public sector. The draft competency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ith 6 experts in assessment center. The model was tested contents validity with 13 expert panels and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10 competencies: responsibility, judgement, objectivity, ethicality, understanding competency, understanding assessee, understanding system of assessment center, assessment operating competency, assessment technique use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traits/attitudes such as objectivity, ethicality and responsibility are most important competencies, while their development feasibility is lower than other competencies. The competency model of assessors in public assessment center developed in this research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n account of competency assessment and training needs analysis of assessors.

      • KCI등재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여중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

        김소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n musical emo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Methods 89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were classified into a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and a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They performed each performance assessment for 3 months. And then independent t-test and pre-post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mprovement level of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 score o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as more than the total score of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It was .298 points higher. All sub-factors and most of questions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ere improved than before.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showed a sligh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sub-factors and some question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appreciation and application factors of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influencing factor of the understanding and musical knowledge factors that related to the cognitive aspects of musical emotion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Conclusion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n improving the target competency. I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s carried out by real-life tasks, ability evaluation to apply and utilize knowledge and functions, affective domain evaluation, and process-focused evaluation, actual competency can be enhanc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서울시 소재 여중생 89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3개월 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와단순 음악지식 및 기능 숙달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 사후 수행평가 점수를 토대로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수준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유형별 수행평가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사후 총 점수가 .298점 높았다. 역량기반수행평가 집단은 개별 역량의 모든 하위요인 및 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일부하위요인 및 문항들에서 소폭의 점수 향상을 보였다. 각 수행평가 점수를 독립변인으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을 종속변인으로두고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소통 역량의 감상력과 응용력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두 역량의 인지적 측면과 관련된 이해력과 음악지식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나왔다. 결론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따르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보다 목표 역량 신장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실생활맥락의 과제, 지식과 기능을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의 평가, 체계적인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하여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다면 실제 음악적 역량의 신장을 도모할 수 있다.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and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competenc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454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191 from middle schools, and 227 from high schools to evaluat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of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lanning assessments and developing tools”, “assessment adminstration”, “feedback”, “ethics and compliance with legal proced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ment,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eachers’ sub-competencies of student assessment as dependent variables; teachers’ school levels, gender, years of teaching, whether or not to take a subject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raining/workshops participated i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linear mode have shown that school level, gender, years of teaching, some training/workshop related to students assessment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aking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t the university and training/workshops for student assessment did not affect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None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of the teacher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take such courses. The comparison of the teachers’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training/workshops has indicated that taking the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subject competency partly affected the teachers’ sub-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while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aking the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ency, we need to understand the teacher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by school levels that teachers attend. Also the standards of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for school levels. Since the student assessment courses at the university offer the basic skill and knowledge for pre-service teacher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high quality programs for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reconstruct to enhanc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and detailed training/workshops focused on sub competencies rather than overall competencies for student 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고, 역량을 증진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54명, 중학교, 191명, 고등학교 22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인 “평가계획 및 도구 개발” 역량, “평가시행” 역량, “결과환류” 역량, “윤리성 및 법적 절차 준수” 역량을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의 학생평가 하위 역량을 종속변인으로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 교육 관련 연수/워크숍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인 중에서는 교사의 소속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일부 연수/워크숍 유형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와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을 참여 여부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평가 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의 역량이 수강하지 않은 교사의 역량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여한 연수/워크숍에 따른 교사의 역량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과역량에 연수/워크숍 참여가 일부 학생평가 하위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평가 연수/워크숍 참여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증진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교급 상황을 고려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학교급에 적합한 학생평가 역량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대학의 학생평가 관련 수업은 교직경력이 없는 예비교사에게 학생평가 역량의 기초가 될 수 있어서 양질의 학생평가 과목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평가 역량을 총합적으로 증진시키는 것보다, 하위 역량에 중점을 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연수/워크숍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연계된 학생 역량 평가 체제 제안 : G영재학교 교사의 수업과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정윤리 한국교육과정학회 2024 교육과정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연계된 학생 역량 평가 체제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교육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있지만 현존하는 평가 체제는 역량기반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과 평가 체제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학생 역량 평가 체제를 개발하고 실행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학생 역량 평가 체제를 개발한 후, 개발한 역량 체제를 G영재학교의 고급화학Ⅱ, 기초화학 및 실험Ⅱ 과목에서 진행했다. 역량 평가 체제의 실행 과정과 개선점을 탐색하기 위해 학생의 역량 평가 결과와 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교사의 수업 성찰 내용을 분석했으며, 동료 교사들과 함께 연구 과정을 공유하면서 실행 과정을 개선했다. 연구 결과, 역량 평가 체제는 세 가지 범주를 기본으로 상위역량과 하위역량으로 구성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역량 평가 체제에서는 학생이 성취한 역량을 원형 차트로 표한할 수 있었다. 또한, 세 범주를 빛의 3원색과 대응시켜 학생의 역량 성취를 개인의 고유 색깔로 표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proposes a student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competency-based curricula.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um and assessment system. First, after developing a student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ystem was used for advanced chemistry II, basic chemistry, and experimental II subjects of G gifted school.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improve the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the results of student competency assessments and the class reflections of teachers, who were 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implementation process was improved by sharing the research process with fellow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Competency assessment systems could be composed of high or low levels of competencies based on three categories, and in this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the competencies achieved by students could be expressed in a pie chart. Additionally, by matching the three categories with the three primary colors of light, students’ competency achievements can be expressed using unique colors.

      • KCI등재

        역량 평가 도구로서 경영 시뮬레이션의 활용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상수,김지연,이근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4

        This study began with the possibility that if business simulation is a useful educational method for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competency can also be evaluated through business simulation. In fact, there are studies showing that business simulation is a useful tool as a competency evaluation tool for talent, but there are few cases where it is actually used as a competency evaluation tool. In addition, no model or methodology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competency using business s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hat evaluates a company's core competencies using business simulation and to build an evaluation model while applying it to an actual company. In this study, based on Thornton's model, a previous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a method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imulation and evaluating competency using business simulation was presented exploratively. In addition, based on the developed competency evaluation model, competency was evaluated using business simulations while conducting training to improve the management capabilities of executives of large domestic companies. When the competency evaluation method using business simulation was applied to actual companies, a fair and objectively acceptable level of competency evaluation results, which is the core of competency evaluation, were derived. If the competency evaluation method using the management simul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is valid, the case study results are valid, and meaningful, management simulation will increase its value as a competency evaluation tool as well as an education tool. 본 연구는 경영 시뮬레이션이 핵심 인재들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유용한 교육 방법이라면, 경영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역량도 평가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가능성에서 출발하였다. 실제로, 인재의 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경영 시뮬레이션이 유용한 도구라는 연구는 있으나 실제로 역량 평가의 도구로 활용한 사례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경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역량을 평가하는 모델이나 방법론도 개발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경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기업의 핵심 인재의 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모델을 탐색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실제 기업에 적용하면서 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 평가의 선행 연구인 Thornton의 모델을 기반으로 경영 시뮬레이션의 특성을 분석하고 경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역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탐색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런 다음에 개발된 역량 평가 방법을 기초로 국내 대기업의 관리자와 임원들의 경영 역량을 향상하는 교육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경영 역량을 간접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례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반영하여 경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역량 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경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역량 평가 방법을 실제 기업에서 적용해보니, 역량 평가의 핵심인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납득할 만한 수준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만약에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경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역량 평가 방법이 타당하고, 사례연구 결과가 타당하며, 의미가 있다면 경영 시뮬레이션은 교육 도구뿐만 아니라 역량 평가 도구로서의 가치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 글로벌 녹색혁신역량 평가 및 활성화 전략

        정기철,이윤준,유의선,이재억,박건우,박찬열,손상학,오동현,강성진,서환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저탄소 녹색성장의 성공적 추진과 녹색혁신 성과 극대화를 위해 현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녹색혁신 역량을 진단하고, 진단에 기초한 녹색혁신 활성화 전략 제시 필요 -녹색혁신역량 평가 체계 개발, 우리나라 녹색혁신역령 진단, 우리나라 녹색혁신 활성화 전략 제안이라는 세 가지 연구 목적으로 수행 주요 연구내용-문헌 연구(녹색혁신 관련 주요 문헌연구, 복합지수화 방법론 문헌연구, 녹색혁신 활성화 전략 관련 문헌연구) -녹색혁신역량 평가 방법 개발(녹색혁신 평가 개념 정립, 녹색혁신역량 평가 지표 체계 설계, 녹색혁신역량 평가 지표 구출, 녹색혁신역량 종합지수 도출) -녹색혁신역량 평가 및 비교 분석(녹색혁신역량 종합지수 비교분석, 녹색혁신역량평가 지표군 교차분석) -녹색혁신 주요 이슈 분석(녹색생산성 분석, 녹색정책방향 분석, 녹색산업 시장구조와 기술혁신 상관관계 분석) -녹색혁신 활성화 전략(녹색혁신역량 진단, 녹색혁신 활성화 전략 제안) 결론-우리나라를 포함한 OECD 국가들의 녹색혁신역량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30개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83개의 세부지표(19개 정성평가 항목 포함)에 대해 조사·분석하여 국가별 녹색혁신역량지수를 도출하고 우리나라의 녹색혁신역량 진단 및 녹색혁신 활성화 전략을 제시 -녹색혁신역량 종합지수 산출 결과 우리나라는 녹색혁신역량 종합지수값이 0.556으로 비교대상 OECD 국가 30개 중 5위로 분석 -녹색혁신역량 종합지수를 분야별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는 녹색혁신 잠재력은 비교대상 OECD 국가 30개 중 7위, 녹색혁신 노력은 4위, 녹색혁신 성과는 OECD국가 30개 중 16위로 나타나, 녹색혁신 노력과 잠재력은 우수하나 녹색혁신 설과는 취약한 것으로 분석 -둘째, 우리나라는 녹색혁신을 위한 R&D 역량과 R&D 투자의 수준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 -셋째, 우리나라는 녹색혁신의 환경개선, 저탄소화, 에너지효율 개선의 성과는 취약한 것으로 분석 -녹색혁신 이슈별 진단 분석 결과, 첫째 경제성장과 황경보전의 두 가지 성과를 측정하는 녹색생산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 -녹색선진국은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벨기에, 아일랜드 등의 (북)유럽 국가로 분석되었고, 향후 우리나라의 녹색정책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벤치마크 국가로 스위스, 뉴질랜드, 독일, 핀란드, 덴마크 등이 도출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한 녹색성장방향 분석 결과 향후 우리나라의 환경·경제 관련 정책경로는 영국, 노르웨이, 호주의 환경정책을 벤치마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 -녹색산업의 사장구조와 기술혁신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첫째, 기본모형을 통해 시장이 독점적일수록 기술혁신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 정책제언-녹색혁신역량에 대한 종합적 진단 결과 녹색혁신의 잠재력과 노력을 성과로 연결하는 고리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녹색혁신의 활성화 방향은 녹색혁신의 성과 제고에 초점을 두어 녹색혁신의 잠재력과 노력의 결과가 빠르게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에 초점을 두어야 함. -녹색혁신 성과제고를 위해 정책의 목표를 녹색 시장의 확대, 녹색 산업의 활성화, 녹색 기술의 확산에 두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환경 자산에 가격을 부과하는 시장수단의 확대가 시급 -시장 확대와 시장수단, 규제 정책은 녹색기술개발, 녹색산업 활성화와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시장창출 및 확대를 통한 산업 활성화와 더불어 환경규제를 강화하여 시장을 만들어가는 정책이 병행될 필요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녹색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녹색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의 고민이 필요. 녹색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녹색기술별로 기술선도형 전략과 기술추격형 전략을 추진할 필요 -녹색성장은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분리하여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진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나, 국가의 상황에 따라 두 가지 목표의 우선 순위가 조정될 필요 -우리나라는 녹색 신산업의 육성과 기존 산업의 녹색화로 경제 수준 향상, 일자리 창출 등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녹색산업 활성화의 결과로서 저탄소화를 견인하는 전략의 추진이 필요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1

        최근의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 고교학점제, 교사별 학생평가, 대입전형에서의 수시 비율의 확대 등에 의해 교실 단위의 학생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함께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에는 최신 학생평가 동향인 과정 중심 평가와 성취평가제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포함하여, 최신 학생평가와 관련된 역량을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역량 조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총 1,307명의 교사가 응답에 참여하였다. 이 중 300명의 교사의 응답을 척도 타당화를 위해 사용하였고, 나머지 1,007명의 교사 응답을 바탕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척도 타당화를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는 평가시행(α=0.919), 평가계획 및 도구개발(α=0.913), 윤리성 및 법적절차 준수(α=0.938), 결과환류(α=0.876),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학교 급에 따라, 교사의 교육 경력에 따라, 성별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 실태조사를 하였다. 초등 교사가 모든 요인에서 다른 학교 급 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역량을 높이 인식하고 있었고,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역량을 인식하고 있었다. 남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은 모든 요인에서 초중고 모두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교육 경력별로는 경력이 오래될수록 자신의 역량이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최근 학생평가 정책에 대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살펴보면 과정 중심 평가와 관련된 항목들이 성취평가와 관련된 항목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The importance of student assessment in the classroom has been increasing due to recent trends and polices on student assessment, and so has the import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In this study, a self-report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is composed of 18 items including the latest student assessment polices: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 standard-based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The survey using the scale was conducted online and a total of 1,307 teachers participated. Among the responses, the responses of 300 teachers’ were used to validate the scal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ose of 1007 teachers’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the scale consists of four factors: administering student assessment (α = 0.919), developing assessment (α = 0.913), ethics and legal process (α = 0.938), and feedback and usage for assessment results (α = 0.876). With the developed scale, teachers’ competencies in student assess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gender.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mpetencies were highest in all factors followed by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n high school teachers’. Also, there were no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levels in all four factors. According to the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longer the teachers have served, the higher they think their competencies are. Regarding the recent student assessment policies, the mean of the items related to the process-oriented evaluation was higher than those related to the standard-achievement evaluation.

      • KCI등재

        교과 기반 교실수업에서 핵심역량 평가 방안 탐색

        이상하(Lee, Sang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교과 기반 교실수업에서 범교과적 성격의 핵심역량 평가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교교육 전 과정에 걸쳐 핵심역량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나, 핵심역량 발달을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이나 핵심역량 수준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범교과적 핵심역량들은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능력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교과 지식과 관련 있는 학업성취도 평가처럼 선택형이나 서답형 지필평가의 방법만으로 타당도 높은 결과를 얻기는 어렵다. 또한, 교과 기반의 교실수업 상황에서 범교과적 핵심역량에 대한 교수학습 및 평가를 실행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쉬운 일이 아니다. 핵심역량 평가의 이론적 그리고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교과 기반의 교실수업에서 핵심역량 평가의 큰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범교과적 핵심역량으로 자주 언급되고 있는 문제해결, 의사소통, 협력, 창의성, 협력적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는 전략과 평가도구들을 조사하였고, 교과 기반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과의 내용 지식과 범교과적 핵심역량을 함께 측정하는 전략들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교과 기반의 교실수업 상황에서 범교과적 핵심역량을 타당하게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thods for assessing key competencies in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key competencies education throughout the entire school education proces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ssessment tools that can adequately measure key competencies as well as the theoretical basis that can explai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key competencies. Sinc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are related to both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it is difficult to obtain valid results only with selected-response or paper-pencil tests that have widely been used to measure students’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it is not easy for teachers to teach and assess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Despit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of assessing key competencies, there is a need to support teachers to maintain the large direction of assessing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in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To this end, strategies and assessments to measur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creativity,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which are frequently mentioned as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were investigated. And strategies to measure both content knowledg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were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methods that appropriately assess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subject-centered classroom instruction and use assessment results to reinforce teaching and learning the key competencies.

      • KCI등재

        공공기관 재직자의 역량평가 사전교육에 관한 연구 : 역량평가 사전교육의 효과성 향상 방안을 중심으로

        김은정(Kim, Eun Jung),이경화(Lee, Kyung Hwa)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역량평가 사전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피평가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사전교육을 개선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2개의 공공기관에서 역량평가 준비를 위하여 사전교육에 참여하는 피평가자 177명이었으며, 이들에게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인구통계학적 정보(근속기간, 성별, 역량평가 경험 유무), 역량평가에 대한 태도, 집중적으로 학습하기 원하는 역량과 평가기법, 역량평가 사전교육 운영방식, 퍼실리테이터에게 요구되는 자격요건, 사전교육을 통해 추가적으로 알기 원하는 사항으로 구성하였으며, Likert 5점 척도로 응답하게 하였다. 또한 역량평가에 대한 불안과 관련하여 개방형 설문을 통해 구체적인 근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두 개의 표본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역량평가에 대한 태도와 이해, 필요에 대한 공감대에서는 동질한 태도가 나타났으나, 역량평가 경험의 유무는 직접 관련성이 없었다. 역량평가에 대한 이해는 우호적인 자기평가와 관련성이 있었다. 사전교육 운영방식과 관련해서는 서류함기법을 집중적으로 학습하기 원했으며, 연습과제의 난이도는 실제평가와 유사한 난이도를 선택함으로써 실제 평가와 유사한 경험을 해보기를 원했다. 학습자들의 이러한 요구를 바탕으로 역량평가 사전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퍼실리테이터의 피드백 비중을 80%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시뮬레이션 과제의 난이도를 실제 평가과제와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전체 교육에서 서류함기법의 비중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시뮬레이션 모의과제에 대한 피드백 외에 평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과제를 활용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퍼실리테이터의 전문성이 담보되어야 공공기관 역량평가 사전교육의 효과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re-education by analyzing the needs of the assessor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etency assess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177 assessors participating in the pre-education program to prepare for the competency assessment at the two public institutions, and data were collected onlin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information (period of service, gender, and experience in capacity assessment), attitude toward capacity assessment, competency and assessment techniques desired to focus on, qualification requirements by the facilitator, and additional knowledge needed through prior training, and responded with a Likert five-point scale. In addition, specific evidence was collected through an open survey regarding anxiety about capacity assessmen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nto two groups of samples showed a homogeneous attitude in terms of attitude, understanding and need for competency assessment, b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mpetency assessment experience was not directly relevant. Understanding capacity assessment was relevant to friendly self-assessment. Regarding the method of operation of pre-education, he wanted to focus on learning the document box method, and he wanted to have an experience similar to the actual evaluation by choos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actice task. Based on these needs of learner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 assessment pre-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up more than 80% of the feedback portion of the facilitator and ensure tha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simulation task remains similar to that of the actual assessment task. It is also necessary to adjust the weight of the filing cabinets in the entire training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ssessment in addition to feedback on the simulations.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public institution competency assessment pre-education will be enhanced only when the expertise of facilitators to provide feedback using simulation tasks is sec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