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사건보고와 안전분위기 인지에 대한 융합연구

        고유미,김주성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 사건보고지식 및 안전분위기 인지수준을 파악하고 간호사가 인지하는 안전분위 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간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으며 분석은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상관계수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5점 척도에서 간호사의 사건 보고태도는 3.34, 사건보고지식 3.05, 안전분위기 인지는 3.25로 나타났다. 사건보고태도는 사건보고지식, 안전분위기와 양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33, p<.001; r=.38, p<.001) 사건보고지식도 안전분위기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32, p<.001).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건보고지식과 사건보고태도 하위영역 중 개선효과에 대한 신념과 보고의도 였으며 이들 요인은 안전분위기 인지수준의 24.7%를 설명하였다(F=12.22, p<.001). 그러므로 사건보고에 대한 교육과 긍정 적 태도를 증진시켜 안전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안전사고 예방중재로 적용가능하며 환자안전을 위한 강화된 실무전략개발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afety climate and the level of incident reporting attitude, incident reporting knowledge and safety climat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40 nurses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level of incident reporting attitude and incident reporting knowledge was 3.34 and 3.05. The level of safety climate was 3.25. Incident reporting knowledge and safety climate have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incident reporting attitude(r=.33, p<.001; r=.38, p<.001). Incident reporting knowled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afety climate(r=.32, p<.001). Factors influencing safety climate were incident reporting knowledge, belief in improvement and reporting intention which explained 24.7% of the variance(F=12.22, p<.001). The findings indicate that to improve incident reporting knowledge with positive attitude and safety climate should be considered as patient safety strategy and should endeavour to develop interventions for safety.

      • KCI등재

        연구실 문화유형이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한진(Han Jin Jo),이황원(Hwang Won Lee),노영희(Young Hee Roh)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실 문화유형을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의 4가지로 구분하고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안전분위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향후 연구실 안전 관련 정책수립과 안전교육 방향성 확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사고 예방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실 문화유형, 안전분위기, 안전행동 간의 영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연구실안전법 적용대상의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20개를 회수하고, 최종 364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유형은 모두 연구실 안전분위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유형은 모두 연구활동종사자의 안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실 안전분위기는 연구실 문화유형이 연구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실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규정과 안전교육은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 안전순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실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교육과 안전소통은 연구실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가 안전행동의 하위요인인 안전참여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연구실 문화의 모든 유형은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분위기는 이들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안전순응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실의 안전규정과 안전교육 강화가 필요하고, 안전참여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실 안전교육과 안전소통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분위기 하위요인 중 안전교육은 모든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관 안전환경관리자와 연구실책임자는 연구활동종사자들의 안전교육이 잘 이수 될 수 있도록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laboratory culture types into four types: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Through this, we aim to contribute to preventing accidents that occur in laboratorie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laboratory safety-related policies and securing safety education directions. To this end, a survey tool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to test the influence between laboratory culture typ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peopl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subject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a total of 420 were collected, and the final 364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Second, the types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Third, the laboratory safety climat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culture type on researchers' safety behavior.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laboratory safety climate, safety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 safety compliance behavior,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Fifth, among the sub-factors of laboratory safety climate,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were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laboratory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on safety participation, which is a sub-factor of safety behavior. Summarizing these results, all types of laboratory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fety behavior of researchers, and safety climate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se relationships. In detail,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safety compliance behavior, the laboratory's safety regulations and safety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in order to increase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laboratory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ommuni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particular, among the safety climate sub-factors, safety education appears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variables, so institutional safety environment managers and laboratory directors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ensure that safety education is successfully completed by thos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시설관리기업의 안전문화가 안전행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우명,임춘성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국내 시설관리기업의 안전분위기를 결정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이 종사원의 안전행동과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안전분위기를 독립변수로, 안전행동을 매개변수로, 경영성 과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설문은 시설관리기업에 종사하는 일반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지면설문과 이메일설문 및 모바일설문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배포된 설문 지중 371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데이터 중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았거나 결측치가 많은 데이터를 제외하고 총296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 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실증분석을 위한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은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분위기의 하위요인 중 안전교육과 안전규정실천은 종사원의 순응행동과 참여행동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경영가치, 관리감독자, 안전의사소통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행동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순응행동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분위기 요인 중 경영가치와 안전규정실천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리감독자와 안전의사소통, 안전교육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안전에 있어 취약한 시설관리기업의 안전분위기의 제고를 통해 종사원의 안전행동을 제고하고, 그 결과 경영성과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증을 통해 분석한 것이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안전분위기의 하위요인인 교육훈련과 안전규정실천은 종사원의 참여행동 과 관련성이 높으며, 안전분위기는 안전행동을 통하지 않고도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설관리기업에서 작업환 경의 안전분위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경영성과를 제고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safety climate of the domestic facilitymanagement companies(FMC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 safety behaviors of the employees andmanagement performances. Based on the literature studies,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is were set up, and the safety climate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safety behavior as the parameter, and themanagement perform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questionaries were sent 400 general adults engaged in facility management company. A total of 296 samples out of 371 which were collected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SPSS 18.0 and AMOS 18.0.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afety education and safety regulation & practice among the sub-factors of safety climat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afety compliance behaviors and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s of the employees, but management value, supervisor, and safety communication had not. In addition, participation behavi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s, but compliance behavior has not significant. And management value and safety regulation & practi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s, but supervisor, safety communication, and safety training have not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for suggesting way to improve safety behavior of the employe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climate of the facility management companies that are vulnerable to safety-related issues and to improve the management performances too. It was found that safety training and safety regulation &practice, which are sub-factors of the safety climate, highly related to employee participation behavior and that safety climate influences management performances directl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improving safety climate of the work environment in the facility management companies is quite a important agenda not only for the reduction of the employees' safety, but also for themanagement performances.

      • KCI등재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분위기, 안전동기의 매개효과와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

        정하진,이수란,손영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2

        본 연구는 상관의 안전리더십 유형(변혁적, 수동적)이 부하들의 안전동기와 안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고, 부하들의 자율적 안전동기(내재적, 동일시 조절)를 유발하여 안전 참여행동과 순응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안전리더십과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와의 관계에서 상관에 대한 신뢰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해군장병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시행한 결과, 변혁적 안전리더십은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와 내재적 안전동기를 매개로 안전 참여행동과 순응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동일시 조절 안전동기가 매개된 경우에는 안전 순응행동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동적 안전리더십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분위기와 안전동기의 관계에서는 집단수준 안전분위기가 내재적 안전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시 조절 안전동기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안전동기와 안전행동의 관계에서는 내재적 안전동기가 안전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순응행동에 미치는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는 변혁적 안전리더십과 집단수준 안전분위기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수동적 안전리더십과 안전분위기와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취 목표 지향성과 안전 분위기가 안전 및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지희,박영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2

        본 연구는 개인의 성취 목표 지향성과 조직의 안전 분위기가 안전 행동과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전 행동은 준수와 안전습관 행동으로, 불안전 행동은 위반과 실수 행동으로 측정하였다. 기업에 근무하는 35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숙달접근 및 수행접근 지향성은 안전 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불안전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반대로 숙달회피 및 수행회피 지향성은 안전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불안전 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 결과는 숙달목표와 수행목표 지향성이 각각 적응적 및 부적응적 결과물과 관계된다는 다중적 목표 이론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이다. 경영가치, 안전실천, 의사소통, 교육훈련 및 직속상사로 측정한 안전 분위기는 안전 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불안전 행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특히, 안전 분위기는 의도적 행동인 준수 및 위반 행동 보다 비의도적 행동인 안전습관 및 실수 행동과 유의하게 더 강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개인의 특성과 조직의 특성이 안전 행동 및 불안전 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효과에 대해 마지막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안전분위기 구성요소에 관한 실증적 연구

        문기섭(Ki-Seop MOON),장영철(Young-Chul Chang) 한국노동연구원 2014 노동정책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반복되는 사업장의 사망 재해 등 비정상적 사고의 일상화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의 조성 및 확산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관련 연구의 진전 경과를 고찰하고, 그 구성요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Zohar(1980) 이후 다수의 연구를 통해 확인된 안전분위기의 선행요인을 정리하고, 안전분위기가 재해감소로 이어지기 위한 안전행동 변인의 내용과 조건을 살펴보았다. 이를 우리나라의 사업장 상황에 실증적으로 적용해보기 위해서「2012 산업안전보건동향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국 수준에서 경영자의 안전몰입, 안전교육, 안전규정과 절차, 안전소통, 안전활동 참여 등 5개의 하위요인이 확인되었고, 이 중 경영자의 안전몰입, 안전교육 및 근로자의 안전활동 참여가 재해발생빈도와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음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일부 업종과 지역에 한정하여 분석해 온점을 감안할 때 전국 수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해 보았다는 의미가 있다. 다만, 설문분석을 통해 근로자의 안전행동 변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조사 기간의 차별화를 통한 재해발생에의 영향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는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the documentary research on the safety climate constructs within the workplaces of Korea and to analyzes their correlations empirically, in that the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routinized occupational accidents. The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using data of "2012 Survey on the trends fo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in Korea" by the OSHRI. The result shows the 5 constructs of CEO"s commitment to safety issues; safety education; safety-related regulation & procedures; safety communic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were confirmed within the surveyed companies.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ose constructs and the occupational injury frequencies shows the 3 constructs: CEO"s commitment to safety issues; safety education; and safety participation a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injury frequen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 for related policy form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집단응집력과 안전동기의 매개효과: 육군 병사를 대상으로

        이두희,장유진,하정희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병사들의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의 관계를 집단응집력과 안전동기가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복무 중인 육군 병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24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4.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변인들은 상호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안전동기와 집단응집력은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의 관계를 각각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의 관계를 집단응집력과 안전동기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group cohesion and safety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among army soldier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or 300 soldiers in the service and 249 cases were finally used for data analysis. Mediation effects were tested using SPSS 24.0 and Process Macro and then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ere determined by bootstrapping. Results indicated that all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was partially mediated by safety motivation and perceived group cohes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safety climate to safety behaviors was also mediated sequentially by perceived group cohesion and safety motivation.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기업의 안전 관리가 안전성과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기용,구자원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중요성에 비해 부족한 산업안전관리 인식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산업안전관련 주요 요인은 조직 안전 관리 요인, 안전성과 요인, 직무 성과 요인이다. 첫째, 기업의 안전관리가 안전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안전성과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또한 안전성과가 조직 관리 요인과 직무 성과 요인에 대한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표본은 총 253개 이며, 국내 및 글로벌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 리더십, 안전 분위기와 같은 조직 안전 관리 요인은 안전성과인 안전 행동 요인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안전 행동 요인은 직무 만족, 직무 몰입에 정(+)의 영향을,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안전 순응 행동 및 안전 참여 행동이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안전분위기-경영가치 요인은 직무성과의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안전 리더십과 안전분위기-안전실천은 직무성과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안전에 관한 요인들은 조직의 직무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만큼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 내에서 안전을 느끼고 체감할 수 있는 관리적 관점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산업 안전은 형식적인 보여주기 식의 이벤트가 아닌 현장에서 종업원들이 직접 실천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경영진의 안전리더십을 개발함과 동시에 안전 문화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performed empirical research for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afety management, safety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and mediation effects of safe performance between safety man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e 253 samples were used for this empirica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safety management such as safety leadership, safe climate had positively significant for safety performance (safety behavior) and safety behavior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into job satisfaction,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sion. And also, safety behavior had negative effects for the turnover intension and this result can be understood that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safety participation behavior dilute the turnover intension rate. The result of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safety performance showed that safety climate-management value had fully mediation effects and safety climate-safety execution had partially mediation effects with job performance. To sum the results up, the top management team have to prepare the management perspective for the safety that employee can feel safety atmosphere in the work place because safety related factors are significant effects into job performance. TMT’s supports and developments of industrial safety are essential to settle down as an safety culture in organization in order to execute safety behaviors in the work places.

      • KCI등재

        평택항의 항만하역 작업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선일석 한국물류학회 2020 물류학회지 Vol.30 No.3

        항만 하역작업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적 특성과 화물 및 작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타 산업에 비해 위험요인이 높은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타 산업에 비해 안전에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였으며, 특히 실증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안전요인, 안전분위기, 안전행동에 대한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안전문화, 자기효능감은 안전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위험인식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었다. 안전분위기는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안전문화, 위험인식, 자기효능감 등의 모든 하역안전요인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하역안전요인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안전문화와 안전행동과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가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만하역 분야에서의 안전요인이 실제적인 안전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다양한 교육체계를 통해 전체 조직의 안전문화를 확립하고 작업자들의 위험인식과 자기효능감을 기를 수 있는 지속적인 전략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보인다. The port unloading work ha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higher risk factors than other industries due to the locational nature of the work and the specificity of cargo and work. However, research related to safety was lacking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nd in particular, empirical research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ttributes,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Safety culture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afety climate, but risk perception did not. The safety climate had a positive (+) effect on safety behavior, and all unloading safety attributes such as safety culture, risk perception, and self-efficacy were influencing safety behavi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fety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loading safety attributes and safety behavior, the safety atmosphere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afety behavior, the safety climat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climate in the port unloading field are leading to practical safety behaviors. In addition, continuous strategic support to establish the safety culture of the entire organization and raise the worker's risk awareness and self-efficacy through various education systems in the future It seems necessary.

      • KCI등재

        항공사의 안전분위기가 객실승무원의 조직몰입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박희정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9 호텔경영학연구 Vol.28 No.8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a month in May 2019 with domestic airline flight attendants and was verified by demonstration analysi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hat Hypothesis 1 (the safety climate will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nd that safety climat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Therefore, airlines need to establish a hotline so that cabin crews can receive immediate assistance from the safety manager. Also, when preparing internal safety guidelines, cabin crews will be included and applied to safety. In addition, the results of Hypothesis 2 (the safety climate will affect the safety behavior) confirmed that the safety climat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behavior. Therefore, airlines will have to precede vocational training in the construction of safety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education system that introduces a virtual reality (VR) system. Also Hypothesis 3 (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affect safety behavior) offer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behavior. Therefore, airlines have to build emotional relationships with cabin crews. In addition, airlines should offer cabin crews maximum one year limited contract and the full-time convers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Finally, the Hypothesis 4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medi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ur) demonstrated tha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airlines should conduct close aircraft safety checks and actively implement safety-focused management to introduce new aircraft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check the suitability of the safety work for the flight personnel before flight and to strengthe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irlines.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한 달 동안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한 연구 결과와 이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가설 1(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기업의 안전분위기는 객실승무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을 확인한 결과, 안전분위기는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공사는 객실승무원이안전관리자의 즉각적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핫라인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또한 내부 안전지침서 작성 시 객실승무원을 포함시켜 안전정책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설 2(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기업의 안전분위기는 객실승무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실증한 결과, 안전분위기는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공사는 안전교육 구성에서 직업교육을 먼저 선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VR(가상)시스템을 도입한 안전교육방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어서 가설 3(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조직몰입은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을 확인한 결과, 조직몰입은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공사는 객실승무원과 감정적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계약방식을 최대 1년으로제한하고 정규직 전환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가설 4(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항공사의안전분위기와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조직몰입의 부분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 따라서 항공사는 엄격하게 항공기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새로운 항공기를 도입하는 안전중심의 경영을 적극적인 실천해야 한다. 또한 비행 전 항공기운항 직원을 대상으로 안전업무에 대한 적합도를 확인하고, 항공사의 안전관리 제도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