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의 제2형 당뇨병 및 비당뇨병성 비만 환자에서 체지방 분포와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의 관계

        김철식,박진아,조민호,박종숙,남주영,김똘미,윤수지,안철우,차봉수,임승길,김경래,이현철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3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과 비만은 공통적 병인기전은로서 인슬린저항성이 매개되어 있으며,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만들어지는 아디포넥틴은 당대사 및 인슬린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만한 사람 및 제2형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에게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치 감소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비만증 환자와 단순 비만증 환자에서혈청 아디포넥틴의 농도와 내장지방 및 골격근내 지방 등의 연관성 및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의 비만한 제 2형 당뇨병환자 16명과, 체질량지수와 연령을 맞춘 단순 비만 환자 1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성별 현재의 신체계측. 혈압 측정, 그리고 혈액 생화학 및 내분비검사를 시행하였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복부내장지방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복부지방면적, 복부피하지방면적, 정상밀도 골격근면적 및 저밀도 골격근면적을 구하였고, HOMA-IR 및 HOMA-β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 신체계측, 임상적 특성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상관관차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순 비만인과 당뇨병 비만인에서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혈압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 비만인에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의미있게 높았고,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낮았다 한편 복부피하지방 면적, 내장지방면적 및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비 (VSR)는 단순 비만인에서 넓었으며, 반면에 대퇴부 저밀도근육면적은 당뇨병 비만인에게서 높았다 또한, HOMA-IR 수치는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C-peptide 값과 HOMA-β는 당뇨병 비만인에서 낮게 나타났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는 단순 비만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디포넥틴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차를 보이는 변수는 나이, 체중, 키,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당화혈색소,HOMA-IR, 내장지방면적, 저밀도근육면적이었으며 다변량회귀분석 결과 아디포넥틴 농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나이, 당화혈색소, HOMA-IR, 내장지방면적 및 저밀도근육면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서 동일한 인슐린 저항성에서 내장지방은 비만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저밀도근육은 당뇨병 환자에서 더 높은 것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측면에서 두 질환의 인슐린 저항성에 기여하는 인자 뿐 만 아니라. 아디포넥틴 등의 adipocytokine 농도의 차이를 시사한다. 이러한 adipocytokine과 인슐린저항성의 특징은 비만과 제 2형 당뇨병의 임상양상과 죽상경화증을 비롯한 합병증의 양상도 다소상이하게 표현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d obesity share a common pathogenesis involving an insulin resistance, and adiponectin, a factor specific to adipose tiss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glucose metabolism and an insulin resistance. The adiponectin level is reduced not only in patients with obesity and T2DM, but also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haracterize the insulin resistance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level and visceral and skeletal muscle fat areas among obese, T2DM patients and non diabetic obese patients. Methods: The anthrop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of 16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BMI 225 kg/㎡) and 12 obese non diabetic subjects were measured.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areas and mid-thigh skeletal muscle areas were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T). The HOMA-IR and HOMA-β scor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ory function. We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adiponectin level with body fat distribution, anthropo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height, weight, BMI,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between T2DM obesity group and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ere as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2DM obesity group. However,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rea, visceral fat area, VSR were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ile mid-thigh low density muscle areas were greater in T2DM group.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HOMA-IR between the two groups, but C-peptid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HOMA-β were lower in T2DM obesity group. The age, weight, height, BMI, systolic blood pressure, HbA_(IC), HOMA- 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in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lso,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HbA_(IC), HOMA-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found to correlate well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 the setting of similar insulin resistance levels, the abdominal visceral fat area is significantly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and the low density muscle area is higher in diabetic obesity group. This implies that in addition to variou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insulin resistance, adipocytokine concentration, such as adiponectinin, has a significant role in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resistance. Moreov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insulin resistance and adipocytokines may lead to somewhat different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mplications such as atherosclerosis in the diabetic and obese patients.

      • KCI등재후보

        비만도에 따른 Adiponectin, Leptin, Ghrelin과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위험인자의 상호 연관성

        김종엽 ( Jong Yeop Kim ),신현원 ( Hyun Won Shin ),정인경 ( In Kyung Jeong ),조성휘 ( Seong Whi Cho ),민선정 ( Seon Jeong Min ),이성진 ( Seong Jin Lee ),박철영 ( Cheol Young Park ),오기원 ( Ki Won Oh ),홍은경 ( Eun Gyoung Hong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6

        목적 : 최근 지방세포가 다양한 물질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의 하나로 간주되면서 이들의 생체내 기능과 역할을 규명하는 것은 비만 및 이와 관련된 대사 질환에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 등은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의 변화를 체질량지수 또는 내장지방량 정도에 따라 관찰하고, 심혈관 위험인자 및 인슐린 저항성과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 간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내과적 질환이 없는 남녀 86명(남:여=36:50, 나이 21~71세, 체질량지수:18.0~39.5 kg/㎡)을 대상으로 키,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측정하고 공복 혈액에서 포도당,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HOMA-IR),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유리지방산,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을 측정하였으며, 체지방 분포는 4번째와 5번째 요추 부위를 CT로 촬영한 후 총복부지방,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남녀 각각 체질량지수(BMI)가 25 kg/㎡ 이상인 비만 유무에 따라, 그리고 복강지방 면적이 100 ㎡ 이상이거나 내장지방 대 피하지방의 비가 0.4 이상인 내장지방 주요군으로 나누어 HOMA-IR, 혈중 당대사 및 지질대사, 공복 혈액내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을 비교하고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체질량지수 25 kg/㎡를 기준으로 한 비만군에서 남자의 경우에서는 허리둘레, 총복부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복강내 내장지방 면적, HDL-C, 유리지방산, hsCRP, 렙틴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여자의 경우에서는 허리둘레,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의 비, 체지방률, 총복부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복강내 내장지방 면적, hsCRP, 렙틴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2) 복강내 지방 면적을 기준으로 한 내장지방 주요군에서 남자의 경우, 체질량지수로 나눈 비만군보다 나이, 중성지방, 아디포넥틴, 그렐린에서 추가적인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여자에서는 체질량지수로 나누었을때 보다 나이,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의 비, 체지방률, 공복 혈당, 공복인슐린, 아디포넥틴에서 추가적인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3)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과 비만, 인슐린저항성, 심혈관 위험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렙틴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비, 총복부지방면적, 피하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LDL-C, 공복 인슐린, HOMA-IR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디포넥틴은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대 엉덩이 둘레비, 총복부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HOMA-IR과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HDL-C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렐린은 허리둘레 대 엉덩이둘레비, 내장지방면적, 공복혈당, HOMA-IR과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HDL-C와는 유의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렙틴과 그렐린과는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방 분포에 따라 피하지방 면적은 렙틴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내방지방면적은 렙틴과는 양의 상관관계, 아디포넥틴 및 그렐린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남녀 모두에서 체질량지수 보다 복부내장지방면적을 기준으로 구분 하였을 때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 및 심혈관 위험인자가 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아디포넥틴, 렙틴, 그렐린 간의 연관성에 있어서는 렙틴과 그렐린이 서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사람 혈액에서는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Background : Adiponectin, letin and ghrelin are considered to take part in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adipokines and body mass index (BMI), regional adiposity,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uman. Methods : Eighty six (Male : Female = 36 : 50, Age = 21-71 year old, BMI : 18 - 39.5 kg/㎡) subjects without known medical proble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grouped based on BMI or visceral fat area (VFA) and gender. We measured lipid concentration,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high sensitivity CRP (hsCRP). Body fat distribution was determined by computed tomography. Fasting serum adiponectin, leptin, and ghrelin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 The group of BMI over 25 k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aist circumference (WC), total fat area (TFA), subcutaneous fat area (SFA), VFA, Triglyceride (TG), hsCRP and leptin. Visceral fat dominant (VFD) group (VFA≥100 ㎠ or VFA/SFA≥0.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MI, WC, TFA, SFA, free fatty acid, HOMA-IR, hsCRP, adiponectin, leptin and ghrelin. Lept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waist hip ratio (WHR), TFA, VFA, SFA,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HOMA-IR and fasting insulin. Adiponect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 WHR, TFA, VFA, HOMA-IR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Ghrelin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HR, VFA, fasting glucose, HOMA-IR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C. And lept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hrelin. As regional adiposity, SF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and VF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iponectin and ghrelin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ptin.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VFA had mor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lipid metabolism & adipokine secretion than BMI and leptin levels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ghrelin level.(Korean J Med 69:631-641, 2005)

      • KCI등재

        원문 : 유산소 운동이 건강한 성인의 인슐린감수성과 말초혈액 단핵세포의 아디포넥틴 수용체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신호 ( Shin Ho Lee ),박승우 ( Seung Woo Park ),조진경 ( Jin Kyung Cho ),하창덕 ( Chang Duk Ha ),강현식 ( Hyun Sik K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 트레이닝이 인슐린 민감성, 혈중 아디포넥틴(adiponectin), 말초혈액단핵세포의 아디포넥틴 수용체(adiponectin receptors)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경기도 지역 S대학교 성인 남성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의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다. 말초혈액단핵세포의 아디포넥틴 수용체 mRNA 발현 분석은 RT-PCR법을 이용하였다. 측정변인으로는 심폐체력과 비만지표(최대산소섭취량,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허리-둔부 둘레 비율) 그리고 혈압 및 혈액변인(혈압, 총 콜레스테롤, 고밀 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인슐린, 호마지수)로 하였으며, 총 아디포넥틴(total adiponectin), 고분자량 아디포넥틴(high molecular weight(HMW) adiponectin),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nterleukin-6(IL-6)을 측정하였으며, 혈중 아디포넥틴과 말초혈액단핵세포의 아디포넥틴 수용체을 포함한 측정변인들의 상호작용을 검정하기 위해 반복측정방식의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허리둘레(p=.028), 심폐체력(p=.001), HMW adiponectin(p=.020), TNF-.(p=.035), IL-6(p=.042), 인슐린 곡선 아래 면적(p=.018)에서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유산소 운동은 복부지방 감소와 심폐지구력 향상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HMW adiponectin 농도 증가 및 인슐린 민감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유도한 반면 말초혈액단핵세포의 아디포넥틴 수용체 mRNA 발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whole body insulin sensitivity, serum adiponectin, and mRNAs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PBMC) adiponectin receptors in healthy young adults. Twelve young men were studied. We divided the subject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N=6) and control group(N=6) as well as exercise group underwent 8 weeks of aerobic exercise. Primary outcomes of the study included body composition parameters including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and waist circumference, hip waist circumference and waist-to-hip ratio and blood pressure and blood variable including resting blood pressures,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s, fasting glucose, insulin and homeostasis assessment model of insulin resistance(HOMA-IR) and adipocytokine including serum adiponectin, HMW adiponectin, TNF-., IL-6. Analyses of variance with repeated measures were used to test any significant time×group interaction effects on the measured variables.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tested at p=0.05 with SPSS-PC(version 18.0). As a result, aerobic exercis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in WC(p=.028), VO2max(p=.001), HMW adiponectin(p=.020) and TNF-.(p=.035), IL-6(p=.042), AUC for insulin(p=.018).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8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improved circulating adiponectin as well as inflammatory factors without any changes in PBMC adiponectin receptors mRNAs in adults.

      • KCI우수등재

        원저 : 복부비만이 있는 성인에서 혈장 아디포넥틴과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와의 연관성

        이승은 ( Seung Eun Lee ),문정현 ( Jung Hyun Moon ),안지현 ( Ji Hyun Ahn ),오연상 ( Yeon Sahng Oh ),신순현 ( Soon Hyun Shinn ) 대한비만학회 2007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6 No.4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을 공통분모로 비만, 고혈압, 내당능장애, 이상지혈증 등을 동반하는 질환군으로 죽상경화증 및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 주목받고 있다. 대사증후군의 주요병태생리인 인슐린저항성의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복부비만이 강조되고 있으며, 비만인에서 지방과 혈장의 아디포넥틴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부비만이 있는 성인에서 혈장 아디포넥틴과 대사증후군의 다른 구성요소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5월부터 8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0세 이상의 성인 가운데 복부둘레가 대한비만학회(2005년)의 한국인 기준에 따라 남자는 90 cm, 여자는 85 cm 이상에 해당하는 110명을 대상으로 혈압, 혈청지질, 공복혈당, 인슐린, 아디포넥틴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총 110명 중 남자는 65명(59.1%), 여자는 45명(40.9%)이었고, 연령은 23세에서 71세에 걸쳐 분포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48.02 ± 11.41세였다. IDF의 진단기준으로 대사증후군을 만족하는 대상자는 70명(63.6%), 그렇지 않은 대상자는 40명(36.4%)이었다. 공복 혈장 인슐린 농도와 HOMA-IR 값은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공복혈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공복 혈장 아디포넥틴 농도는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이때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가 독립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한비만학회의 복부비만 기준과 IDF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을 사용하였을 때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가운데 저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만 혈장 아디포넥틴 농도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복부비만의 개선 노력에 따른 혈장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와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의 연관성에 대해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metabolic syndrome is a constellation of interrelated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bdominal obesity is emphasized a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insulin resistance, which is the major pathogenesis of the metabolic syndrome. It is reported that adiponectin concentration in fat and plasma is decreased in obese individual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lasma adiponectin and the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Method: This study included 110 Korean adults with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 ≥ 90 cm in men and ≥ 85 cm in women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5), who visited to Center for Health Promotion in Chung-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ir blood pressure, lipid profiles, fasting plasma glucose, insulin, and adiponectin concentration were measured. Results: A total 110 adults (aged 23-71 years, 65 men and 45 women) were included. Using the IDF criteria, number of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was 70 (63.5%). Fasting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and HOMA-IR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fasting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In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asting plasma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mainly influenced by serum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Conclusion: It is noted that low level of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the only independent factor of fasting plasma adiponectin concentration. Further prospective studie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nge in plasma adiponectin and the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after relieving abdominal obesity seem to be warranted.

      • KCI우수등재

        12주간의 댄스스포츠운동이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아이리신, 아디포넥틴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이진욱(LeeJin-wook),장석암(ZhangSeok-am),김찬양(KimChan-yang)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댄스스포츠가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아이리신, 아디포넥틴 및 혈중지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비만노인여성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있다. 의학적 질환과 증상이 없는 65세 이상 비만노인여성 26명을 대상으로 운동군 13명과 대조군에 13명을 무작위 배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운동군은 12주간, 주 2회, 일일 60분 댄스스포츠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동일 처치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했다.이 연구의 결과에서 혈중 아이리신 농도는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아디포넥틴 농도는 운동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지질의 TG, LDL-C농도는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C과 HDL-C농도는 운동군에 감소 및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낮은 수준의 아이리신과 아디포넥틴, 혈중 콜레스테롤이 댄스 스포츠 운동 후 비만노인 여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 노인 비만 관리를 위한 좋은 운동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12 weeks dance sports on body composition, irisin, adiponectin and blood lipids in obesity elderly women. The subjects were 26 obesity elderly women who do not have medically problems. The subjects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dance sports exercise(n=13), control(n=13). The subjects in dance sports group were participated for 60 minutes/day with two times/wk for 12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trol group were asked to maintain normal lifestyle during the same intervention period.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blood iris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The blood adiponectin level tended to increase in the exercise gorup. The blood lipids, TG and LCL-C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ercise group. The TC was slightly decreased, and the HDL-C was slightly increased.In conclusion, low irisin and adiponectin level in obese people have a positive effect on obese elderly women after dance sports. Therefore, exercise is thought to be good for the care of elderly obesity.

      • KCI등재

        일회성 유산소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염증반응인자와 혈중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임강일,석민화,신윤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2 No.4

        Background: Exercise intensity may induce changes in inflammatory markers and adipocytokines.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acute exercise-induced change to adiponenctin is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markers and other adipocytokines in obese middle-aged individu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aerobic exercise on circulating adipocyt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middle-aged women. MMethods: Using a crossover design, 10 obese middle-aged women (aged 48.4±5.1 years; body mass index 29.6±2.9 kg/m2) exercised on the treadmill at different durations and velocities at 60% and 80% maximum oxygen consumption (VO2max) in order to equalize energy expenditure (400 kcal). Blood samples were drawn to measure glucose, insulin, fibrinogen, high-sensitive C-reactive protein, leptin,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and adiponectin concentrations. Results: Glucose, fibrinogen, and hsCRP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fter exercise whereas homeostas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Adiponectin, leptin, and TNF-α level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t immediate postexercise, and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time × intensity interactions for all variables. The percentage change in adiponectin concentration from baseline to the end of exercise correlated with the percentage change in leptin concentration (r= -0.642, P<0.05) with 60% VO2max exercise.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in obese middle-aged women, neither 60% nor 80% VO2max exercise alters adiponectin concentration, in spite of the changes to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ory markers. However,after acute moderate exercise, adiponectin concentrat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change in leptin levels. 연구배경: 운동강도는 염증반응인자와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만인에 있어 일회성 운동에 의한 아디포넥틴의 변화가 염증반응인자와 다른 아디포사이토카인들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중년 비만 여성을대상으로 아디포사이토카인과 염증반응인자들의 변화에대한 일회성 유산소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교차연구 설계를 이용하여, 10명의 비만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400 kcal의 에너지 소비량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최대산소섭취량 60%와 80%에 해당하는 각각의다른 속도와 시간을 적용한 트레드밀 일회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혈액은 글루코스, 인슐린, 피브리노겐,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 렙틴,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그리고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채혈하였다. 결과: 글루코스, 피브리노겐, hsCRP는 유의한 증가(P<0.05)를 보인 반면, 인슐린저항성은 유의한 감소(P<0.05)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디포넥틴, 렙틴, TNF-α는 운동 직후 변화되지 않았으며, 모든 변인들에 있어 시기와 운동강도의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최대산섭취량의 60%의중강도 운동 동안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는 렙틴 농도의변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642,P<0.05). 결론: 일회성 유산소 운동은 비만 중년여성의 아디포넥틴 수치를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그러나 중강도 운동 시아디포넥틴 농도는 렙틴 농도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코골이 환자에서 수면무호흡정도와 인슐린저항성, 아디포넥틴 및 visfatin과의 관련성

        서영성,안병훈,황상희,조용원 대한비만학회 2008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7 No.2

        연구배경: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에서는 복부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이 흔히 동반된다. 그러나 비만을 보정한 후 시행된 연구에서 인슐린저항성과 무호흡-저호흡지수(AHI)간의 관련성은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코골이 환자에서 수면무호흡정도와 지방세포분비 단백질인 혈중 아디포넥틴과 visfatin 치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한다. 방법: 이 연구는 20세 이상 코골이를 주소로 대구시내 모 대학병원 수면센타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성인 남녀 81명(남 70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다원검사로 측정된 AHI에 따라 5미만을 단순 코골이 군으로 하였고, AHI 5 ~ 14.9까지를 경증 수면 무호흡증군, 15 이상을 중등도 및 중증무호흡증군으로 나누었다. 혈당, 인슐린, 아디포넥틴, visfatin은 공복 정맥혈에서 채혈한 후 측정되었다. 결과: 1)대상군은 AHI 5미만인 군 24명, 5이상 15미만 군 19명, 15이상인 군 38명이었다. 세군간 비교에서는 성별 및 허리둘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3, P=0.007). 연령, 성별 및 허리둘레를 보정한 후 세군간의 비교에서는 인슐린, 아디포넥틴, HOMA-IR 및 visfatin의 차이는 없었다. 2)상관분석결과 아디포넥틴은 성별, 허리둘레 및 AHI 정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인슐린은 BMI, 허리둘레 및 엉덩이둘레, AHI 정도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HOMA-IR는 성별이외의 모든 변수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Visfatin은 성별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3) 단계별 회귀분석 결과 혈중 인슐린과 HOMA-IR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수는 허리둘레였고, 아디포넥틴은 성별과 허리둘레였다. Visfatin은 성별이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변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코골이 환자에서 인슐린저항성 및 혈중 아디포넥틴은 허리둘레와 관련되었고 수면무호흡 정도와는 무관하였다. 또한 혈중 visfatin 치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는 성별이외 없었다.

      • KCI등재후보

        태권도 수련이 비만 아동의 신체구성과 체력 및 혈청 아디포넥틴(adiponectin)에 미치는 영향

        권유찬 ( Yoo Chan Kwon ),박상갑 ( Sang Kab Park ),김은희 ( Eun Hee Kim ),박진기 ( Jin Kee Park ),장재희 ( Jae Hee Jang ) 대한무도학회 2010 대한무도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태권도 수련을 통하여 신체구성과 체력 및 인슐린저항성과 고혈당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체지방률이 25%이상인 8~12세의 비만아동 24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12명, 태권도 수련군 12명으로 무선배치 하였다. 태권도 프로그램은 평균 운동 강도 1~4주는 최대심박수의 약 55~60%, 5~12주는 최대심박수의 65~70%로 1회 60분, 주 3회, 12주간 실시하였으며 신체구성은 신장, 체중, 체지방률, 제지방량을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악력, 배근력, 윗몸일으키기 등을 실시하였고 혈액은 아디포넥틴을 비롯한 혈청지질과 인슐린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주간의 태권도 수련후 체지방률(p<.001)이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체력에서는 좌전굴(p<.05), 외발서기(p<0.5), 50m달리기(p<.01), 제자리 멀리뛰기(p<.05), 사이드스텝(p<.01), 최대산소섭취량(p<.01), 체중당최대산소섭취량(p<.001)이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아디포넥틴(p<.05), 글루코스(p<.05), 총콜레스테롤(p<.001), LDL 콜레스테롤(p<.05), 인슐린(p<.05), 인슐린저항성(p<.01)이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은 비만아동들에게 있어서 아디포넥틴, 인슐린저항성의 개선에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아동들의 신체조성과 체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for 12 weeks on adiponectin, which was reported as closely related to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in obese children. The subjects were 8~12-year-old obese children(n=24) whose BFP(body fat percentage) was over 25%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n=12) and the taekwondo training group(n=12). As to the Taekwondo program, the average exercise intensity was 55~60% of HRmax(maximal heart rate) during the first to fourth weeks and 65~70% of HRmax during the 5 to 12 weeks, 60minutes per each time and three times a week for 12week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height, weight, BFP and LBM(leanbodymass), while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by grip strength, back muscle strength and sit-up. Bloods were analyzed by adiponectin, serum lipid and insulin. As a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with regard to BFP(p<.001) after the 12 weeks of Taekwondo training,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shown with regard to physical fitness in such factors as forward bending(p<.05), standing on one foot(p<0.5), 50m running(p<.01), standing long jump(p<.05), side step(p<.01), VO2max(p<.01), VO2max per unit weight(p<.001). In addition, adiponectin(p<.05), glucose(P<.05), total cholesterol(p<.001), LDL cholesterol(P<.05), insulin(P<.05) and insulin resistance(P<.02)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aekwondo training group and the other group.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for obese children, taekwondo training not only improves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but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 KCI등재후보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갑상선 기능과 체중의 회복 후 혈청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

        정한영,김철식,남지선,조민호,박종숙,안철우,김경래 대한비만학회 2009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8 No.2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렙틴, 아디포넥틴, 레지스틴 및 레티놀결합단백질(retinol-binding protein-4, RBP-4) 등과 같은 아디포사이토카인이 그레이브스병과 같은 대사 항진 및 체중 감소의 상태에서 항갑상선 약물을 투여하여 정상으로 회복되었을 때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각종 대사 지표를 비교하고 이들의 변화가 갑상선 호르몬, 신체계측수치 및 각종 대사지표의 변화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명의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 당시와 항갑상선 약물치료 후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된 후에 이들의 신체계측수치, 포도당, 콜레스테롤, 인슐린저항성 수치 등의 생화학적 지표와 혈청 아디포넥틴, 렙틴, 레지스틴, RBP-4 등의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들 변수들의 변화 값들의 상관관계를 구하였다. 결과: 그레이브스병 진단 당시와 갑상선 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비교한 결과, 신체계측수치,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인슐린 저항성은 감소하였으며 혈청 렙틴, 레지스틴, RBP-4 농도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아디포넥틴 농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와 신체계측수치 및 생화학적 수치들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렙틴의 변화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와의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r = 0.59, p = 0.01)가 관찰되었고 다른 변수간의 변화와의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갑상선 기능이 회복되면서, 신체계측수치 및 생화학적 지표의 유의한 변화 및 렙틴, 레지스틴, RBP-4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각각의 변수들과의 변화들과의 연관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기능이 정상화와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는 뚜렷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로 한다.

      • KCI등재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이 20대 비만 남성의 신체구성, 아디포넥틴, C-반응성 단백질 및 호모시스테인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 Seunghwan Kim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6

        본 연구는 13주간의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이 20대 비만 남성의 신체구성, 아디포넥틴, C-반응성 단백질 및 호모시스테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9명)과 통제 집단(8명)으로 구분하였다. 트레이닝 방법은 1RM의 60%의 강도로 운동 부하를 설정하고 종목당 3세트씩 30분간 주 4회 빈도로 13주간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의 체중, 신체질량지수 및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의 아디포넥틴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과 통제 집단의 C-반응성 단백질은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넷째,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의 호모시스테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3주간의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이 20대 비만 남성의 신체구성, 아디포넥틴 그리고 호모시스테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13-week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and adiponectin, C-reactive protein, and homocysteine levels of obese men in their 20s. The training group in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four times per week for 13 wee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eight, body mass index, and body fat percentag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2) Adiponecti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3)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reactive protein level were observed in th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4) Homocystein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13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ould be beneficial for ameliorating the body composition and adiponectin, C-reactive protein, and homocysteine levels of obese men in their 2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